KR20100063837A - 휴대단말에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에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3837A
KR20100063837A KR1020080118492A KR20080118492A KR20100063837A KR 20100063837 A KR20100063837 A KR 20100063837A KR 1020080118492 A KR1020080118492 A KR 1020080118492A KR 20080118492 A KR20080118492 A KR 20080118492A KR 20100063837 A KR20100063837 A KR 20100063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unit
sos
mobile termina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구
김상훈
김동섭
윤용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8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3837A/ko
Priority to US12/625,272 priority patent/US9275539B2/en
Priority to EP09177130.3A priority patent/EP2196969B1/en
Publication of KR20100063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8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04M1/724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with manual activation of emergency-service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수행 모드에 관계없이 긴급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시 상기 휴대단말 자체에서도 긴급알림 서비스에 대응하는 경보를 발생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특정모드 수행 중에 제어부가 SOS 실행 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부가 상기 SOS 실행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수행 모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수행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를 음원처리부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음원처리부가 상기 제어신호가 전달되는 입력포트에 따라 음원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Figure P1020080118492
휴대단말, 긴급알림 서비스, SOS, 스위치, GPIO

Description

휴대단말에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OS SERVICE IN A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긴급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에서 긴급알림 서비스의 남용을 방지하고, 긴급알림 서비스 시 긴급알림 서비스를 요청하는 휴대단말에서 긴급알림 서비스에 따른 설정된 음원 출력을 통해 자체 경보를 발생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단말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특히,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메일, 인터넷, 게임 등과 같은 기능을 비롯하여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되는 화상데이터까지 전달하는 멀티미디어 기능도 계속 추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휴대단말은 주기적으로 해당 지역의 기지국과 교신하면서 휴대단말의 위치를 기지국에게 알려주어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때, 휴대단말을 차량이나 도보로 위치를 이동시키면, 휴대단말은 해당 기지국에서 이동하는 지역의 기지국으로 교신을 바꾸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교통사고를 당하거나 산 속에서 조난을 당했을 때, 또는 괴한으로부터 납치를 당하는 등의 긴급 상황에 처했을 때, 이러한 긴급 상황을 지인, 경찰서 및 긴급 구조대 등으로 알리기 위해서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직접 전화를 해야 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급박한 상황에서 직접 전화를 하여 지인, 경찰서나 또는 긴급 구조대로 상황을 알리는 것은 적지 않은 시간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전화를 발신할 수 있는 여건이 충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착안하여, 휴대단말 긴급 상황을 알릴 수 있는 기능이 서비스되고 있다. 이러한 긴급 상황 알림 기능(긴급알림 서비스)은 휴대단말 사용자가 긴급한 상황에서 미리 등록된 수신처로 긴급알림 메시지(이하 'SOS 메시지'라 칭함)를 전송하여 사용자의 긴급 상황을 다른 사람에게 알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OS 메시지가 수신된 휴대단말에서는 긴급 상황을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전달된 번호로 콜을 연결하여 긴급 상황에 대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긴급알림 서비스는, 긴급알림 서비스를 요청하는 해당 휴대단말이 항상 대기모드에 있어야 한다. 즉, 휴대단말이 통화 중이나 카메라 기능 동작 등과 같이 휴대단말이 특정 모드를 수행하는 환경에서는 긴급알림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긴급알림 서비스를 요청 시 해당 휴대단말은 단순하게 상기와 같이 SOS 메시지를 생성하여 지정된 수신처로 SOS 메시지를 전송할 뿐, 상기 휴대단말 자체에서는 어떠한 경보도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존 휴대단말에서의 긴급알림 서비스는 긴급 상황을 알릴 수 있는 환경이 제한적이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위급 상황에 대한 알림이 부족하였다. 예 를 들어, 산 속에서 조난을 당하거나, 밀폐된 공간에 갇힌 경우 등과 같은 위급 상황의 경우, SOS 메시지를 수신하는 지인, 경찰, 긴급 구조대에 의해서는 대처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으며, 이러한 위급 상황에서는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빠를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위급 상황을 사용자 주변의 사람들에게 알리게 위한 수단으로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음성에 의존하는 것과 같이 매우 제한적이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위급 상황에 주변 사람들에게 알림으로써 빠른 대처가 가능한 경우에도, SOS 메시지에 의존해서는 위급 상황 대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종래 휴대단말에서는 휴대단말에 구비된 입력수단의 설정된 조작에 따라 긴급알림 서비스가 구현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조작 실수 등에 의해 불필요한 긴급알림 서비스가 동작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긴급알림 서비스에 따른 SOS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휴대단말의 경우 불필요한 경보를 발생함에 따라 수신 휴대단말 사용자가 난처한 입장에 빠질 수 있으며, 불필요한 오동작에 의해 수신 휴대단말 사용자의 심리적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제공하는 긴급알림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용 방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의 현재 상태(수행 모드)에 관계없이, 긴급알림 서비스를 강제 수행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긴급알림 서비스 시 긴급알림 서비스를 요청하는 휴대단말에서 상기 긴급알림 서비스에 따른 설정된 음원을 출력을 통해 자체 경보를 발생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의 긴급알림 서비스 시 출력하는 음원을 상기 휴대단말의 현재 수행모드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긴급알림 서비스에 따른 음원 출력 시, 상기 출력하는 음원을 상기 휴대단말의 현재 수행 모드에 따라 일정구간(시간) 무음 처리한 후 출력하거나, 음원 출력 자체를 일정시간 지연한 후 출력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의 긴급알림 서비스를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거하여 기능 활성화/비활성화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오 작동에 따른 긴급알림 서비스 발생 등과 같은 남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특정모드 수행 중에 제어부가 SOS 실행 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부가 상기 SOS 실행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수행 모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수행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를 음원처리부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음원처리부가 상기 제어신호가 전달되는 입력포트에 따라 음원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SOS 실행 신호를 발생하는 SOS 입력부와, 상기 SOS 실행 신호의 전달 및 차단을 스위칭하는 제1스위치부와, 상기 제1스위치부를 통해 바이패스되는 상기 SOS 실행 신호를 감지할 시, 상기 휴대단말의 수행 모드를 판별하고, 상기 수행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모드입력포트에 대응하는 설정된 음원 출력을 처리하는 음원처리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단말의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휴대단말의 긴급알림 서비스에 대한 기능을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시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거하여 긴급알림 서비스의 기능에 대한 활성화/비활성화 제어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에서의 불필요한 긴급알림 서비스의 남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긴급알림 서비스를 발생하는 휴대단말에서 음원 송출을 통한 자체 경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위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의 현재 수행모드에 관계없이, 긴급알림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시, 휴대단말의 수행모드에 대응하는 음원 송출 제어가 가능하며, 이에 의해 휴대단말이 사용자의 귀에 근접하는 통화모드에서 갑작스런 음원 송출로 인한 사용자의 귀 손상(damage)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수행 모드에 관계없이 긴급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시 상기 휴대단말 자체에서도 설정된 이펙트 출력을 통해 자체 경보를 발생할 수 있는 휴대단말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단말에서 긴급알림 서비스 발생 시, 상기 휴대단말의 현재 수행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단하는 수행모드에 따라 설정된 이펙트를 호출하여 휴대단말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휴대단말이 통화모드 상태에서 상기 긴급알림 서비스에 따른 음원 출력 시, 사용자의 보호를 위해 일정구간 또는 일정시간 상기 음원을 무음 처리하거나 딜레이한 후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 및 상기 휴대단말에서 본 발명의 긴급알림 서비스를 위해 구비되는 구성에 대하여 하기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외형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긴급알림 서비스를 위한 수단으로, SOS 입력부재(110)와 스위치제어부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SOS 입력부재(110)는 본 발명의 긴급알림 서비스 구동을 위한 SOS 실행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나타내고, 상기 휴대단말 몸체(130)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SOS 입력부재(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슬라이딩 개폐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SOS 입력부재(110)는 상하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몸체(150)와, 상기 슬라이딩 몸체가 탈착될 수 있는 홈(16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딩 몸체(150)를 위로 밀어 올리면 상기 홈(160)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몸체(150) 및 상기 홈(160)은, 상기 슬라이딩 몸체(150)가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시 상기 휴대단말 몸체(1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구(미도시)와 상기 고정구를 수용하는 수용부(미도시)가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 몸체(150)와 상기 홈(160)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딩 몸체(150)와 상기 홈(160)을 연결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가 개재되어, 상기 슬라이딩 몸체(150)를 상기 홈(160)에 상호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몸체(150)의 슬라이드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개폐구조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몸체(150)가 안정적으로 활주할 수 있다.
상기 SOS 입력부재(110)는 상기 슬라이딩 몸체(150)가 상측으로 이동 시, 본 발명의 긴급알림 서비스의 구동을 요청하는 SOS 실행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몸체(150)에는 상기 SOS 실행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신호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160)에는 상기 슬라이딩 몸체(150)의 신호패턴과 접속되도록 상기 신호패턴에 대응되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딩 몸체(150)가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딩 몸체(150)의 신호패턴과 상기 홈(160)의 신호패턴이 접속되면 상기 SOS 실행 신호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신호패턴은 스위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딩 몸체(150)가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시, 상기 슬라이딩 몸체(150)와 상기 홈(160) 간의 오프(Off) 상태인 스위치가 온(On) 상태로 접촉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스위치제어부재(120)는 본 발명의 긴급알림 서비스의 오작동 및 긴급알림 서비스의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후술하는 제1스위치부(270)의 온/오프(On/Off)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나타내고, 상기 휴대단말 몸체(130)의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스위치제어부재(120)는 상기 긴급알림 서비스의 잠금 기능을 위한 수단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스위치제어부재(120)는 스위치 온/오프(On/Off) 구조로 개재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위치제어부재(120)의 상기 스위치 온/오프(On/Off) 구조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스위치제어부재(120)에 스위치 온/오프(On/Off) 제어에 의하여 긴급알림 서비스의 잠금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스위치제어부재(120)는 상기한 구조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긴급알림 서비스의 잠금 기능을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모든 수단 및 구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의 몸체(130) 후면에는 상기 휴대단말에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battery)가 안착되는 배터리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140)는 상기 몸체(130)로부터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는 덮개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덮개를 탈착할 시 상기 배터리를 삽입할 수 있는 배터리삽입부가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는 휴대단말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신호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삽입부는 이러한 신호패턴과 접속되도록 상기 신호패턴에 대응되는 패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배터리에 의한 전원 공급은 상기 휴대단말 내에서 동작하는 각 블록 구성으로 공급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후술하는 음원처리부(300) 및 출력부(310)로의 전원 공급은 본 발명의 제어 신호 전달 과정에 의해 후술되는 제2스위치부(290)가 온(On)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만 전원 이 공급될 수 있다. 이는, 긴급알림 서비스가 수행되지 않을 경우, 상기 음원처리부(300) 및 상기 출력부(310)에 의한 불필요한 소비전력을 방지하고, 또한 사용자의 오작동에 따른 긴급알림 서비스에 따른 음원 출력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도 1에서는 상기 SOS 입력부재(110)가 상기 휴대단말 몸체(130)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제어부재(120)가 상기 휴대단말 몸체(13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반드시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단말의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 SOS 입력부재(110) 및 상기 스위치제어부재(120) 각각이 몸체(130)의 전면과 상기 몸체(130)의 타측면(상기 일측면의 반대에 형성)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SOS 입력부재(110) 및 상기 스위치제어부재(120) 각각이 상기 몸체(130)의 전면과 후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SOS 입력부재(110) 및 상기 스위치제어부재(120) 각각이 상기 몸체(130)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하나의 전체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긴급알림 서비스를 위한 외형적 제어 수단인 상기 SOS 입력부재(110) 및 상기 스위치제어부재(120)는 휴대단말 제조 시에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아울러, 휴대단말은 외형이나 작동방식에 따라 일반적으로 플립타입, 폴더타입, 바타입 및 슬라이딩 타입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상기와 같은 모든 타입에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외형적 구성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구성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긴급알림 서비스를 위한 SOS 실행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수단(SOS 입력부재(110))과, 긴급알림 서비스의 오작동 및 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기능을 발생할 수 있는 수단(스위치제어부재(120))을 형성할 수 있는 모든 구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표적인 예시로 나타내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반드시 이동통신 단말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휴대단말에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예시로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외형적 구조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상기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긴급알림 서비스를 발생하기 위한 스위치 제어를 통해 SOS 실행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구조이면 된다.
그러면 이하, 상기와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본 발명의 긴급알림 서비스를 제어하는 휴대단말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 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러면, 이하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구조를 하기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블록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를 일예로 하여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반드시 이동통신 단말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은 무선통신부(210)와, 입력부(220)와, 오디오처리부(230)와, 표시부(240)와, 저장부(250), SOS 입력부(260), 제1스위치부(270), 제어부(280), 제2스위치부(290), 음원처리부(300) 및 출력부(310) 등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통신부(210)는 상기 휴대단말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통신부(210)는 지원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과 설정된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 등과 같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통신부(2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무선통신부(210)는 상기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긴급알림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SOS 메시지) 송신 및 그에 응답하는 콜(Call) 연결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처리한다. 이때,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MP3 플레이어, PMP 등과 같은 휴대단말인 경우, 상기 무선통신부(210)의 구조는 생략될 수 있으며, 아울러, SOS 메시지 생성 및 전송하는 절차는 생략하고 본 발명의 음원을 송출하는 동작만을 처리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220)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28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220)는 사용자의 행위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위한 키패드(Keypad)와 터치패드(Touch pa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20)는 상기 표시부(240)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입력부(220)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볼륨 키 및 핫키 등의 기능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한 SOS 입력부재(110) 및 스위치제어부재(120)는 상기 기능키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별도의 기능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기능키(SOS 입력부재(110))의 입력을 통해 긴급알림 서비스의 실행을 상기 휴대단말로 요청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기능키(스위치제어부재(120))의 입력을 통해 긴급알림 서비스의 남용 방지를 위한 스위치(제1스위치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긴급알림 서비스의 잠금(lock) 및 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230)는 마이크(MIC, Microphone) 및 스피커(SPK, Speaker)와 접속되며,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제어부(280)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28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오디오신호를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오디오처리부(230)는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 호로 변환하거나, 상기 제어부(28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음성신호/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특히, 상기 오디오처리부(230)는 휴대단말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콘텐츠들에 포함된 오디오 성분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재생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40)는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화면 데이터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키 조작 및 기능 설정 등에 따른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240)는 상기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긴급알림 서비스와 관련된 화면 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240)는 상기 제어부(280)로부터 출력되는 여러 신호와 색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특히, 상기 표시부(240)는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시, 상기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이펙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240)는 상기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백라이트의 온/오프를 통해 상기 이펙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40)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250)는 ROM(Read Only Memory)과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5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생성 및 활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휴대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 및 상기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외부(예컨대, 콘텐츠 서버, 개인용 컴퓨터 등)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데이터는 본 발명의 이펙트 출력을 위한 음원데이 터를 포함하며, 아울러, 상기 휴대단말에서 제공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상기 휴대단말 이용에 따른 여러 설정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저장부(2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란 긴급알림 서비스와 관련된 설정정보, SOS 메시지, 긴급알림 서비스 발생 시 호출할 이펙트 설정정보 등을 저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설정정보들은 상기 저장부(250)의 설정정보 저장영역(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250)는 상기 휴대단말의 일반적인 동작을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본 발명의 긴급알림 서비스를 위한 일련의 동작을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은 전술 및 후술하는 본 발명에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상기 저장부(250)의 어플리케이션 저장영역(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250)는 상기 무선통신부(210)를 통한 통신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저장부(250)는 상기 제어부(280)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된 각종 임시 데이터와, 전화번호, 벨 소리 등과 같은 사용자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250)는 전술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250)는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스마트카드(Smart card) 등과 같이 외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외부의 모든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SOS 입력부(260)는 상기 도 1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 은 SOS 입력부재(110)에 대응한다. 상기 SOS 입력부(260)는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긴급알림 서비스를 위한 SOS 실행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280)로 전달한다.
상기 제1스위치부(270)는 상기 도 1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스위치제어부재(120)에 의한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On/Off) 제어된다. 상기 제1스위치부(270)는 상기 스위치제어부재(120)에 의해 온(On) 상태인 경우, 상기 SOS 입력부(260)와 상기 제어부(280) 간의 신호 경로를 설정한다. 상기 제1스위치부(270)는 상기 온(On) 상태에서, 상기 신호 경로를 통해 상기 SOS 입력부(260)에서 발생하는 SOS 실행 신호를 상기 제어부(280)로 바이패스(bypass)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휴대단말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휴대단말 내의 상기 각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무선통신부(210)와, 상기 입력부(220)와, 상기 오디오처리부(230)와, 상기 표시부(240)와, 상기 저장부(250)와, 상기 제2스위치부(290) 및 상기 음원처리부(300) 등과 같은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80)는 본 발명의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시, SOS 메시지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아닌 MP3 플레이어, PMP 등과 같은 통신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인 경우, 상기 SOS 메시지 생성 및 전송 동작은 생략되며, 본 발명에 의한 긴급알림 서비스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280)는 본 발명의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시 상기 휴대단말의 현재 수행 모드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하는 모드에 따라 긴급알림 서비스를 위한 프로세싱을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SOS 입력부(260)에서 발생하는 SOS 실행 신호가 상기 제1스위치부(270)를 통해 전달되면, 상기 SOS 실행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현재 수행중인 모드를 판별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SOS 실행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스위치부(290)의 상태를 온(On) 설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스위치부(290)는 음원처리부(300) 및 상기 출력부(3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평상시와 같이 긴급알림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음원처리부(300) 및 상기 출력부(3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소비전력을 줄이고, 사용자의 오작동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가 아니라, 항시 상기 음원처리부(300) 및 상기 출력부(310)가 구동되는 방식에서는 상기 제2스위치부(290)는 본 발명에서 생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280)의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음원처리부(300)로 바로 전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휴대단말의 모드를 판별할 시, 해당 모드를 명령하는 모드제어신호를 상기 음원처리부(300)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80)는 판별하는 모드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출력포트(GPIO)를 통해 상기 모드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모드 판별 후, 미리 설정된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모드에서 수행되는 이펙트를 호출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240)의 백라이트 온/오프 등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280)는 전술한 휴대단말의 동작 및 전술한 도 1과 후술하는 도 3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80)에 의한 기능 제어는 소정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본 발명의 동작을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80)는 베이스밴드(Baseband)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밴드 모듈은 전송될 신호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인터리빙(interleaving) 등을 통해 변환한 후 변조하여 RF 모듈로 제공할 수 있으며, RF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복조, 등화(Equalization), 채널 디코딩(Channel decoding) 및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베이스밴드 모듈이 상기 제어부(280)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베이스밴드 모듈은 상기 제어부(280) 및 상기 무선통신부(210)에 각각 구비될 수 있거나, 상기 제어부(280) 및 상기 무선통신부(210)와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밴드 모듈은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의 형태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2스위치부(290)는 상기 도 1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Vcc)을 상기 음원처리부(300) 및 상기 출력부(310)로 바이패스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2스위치부(290)는 상기 제어부(280)에 의한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On/Off) 제어된다.
상기 제2스위치부(290)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제2스위치부(290)는 상기 제어부(280)로부터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가 입력되기 전까지 오프(Off)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80)가 상기 SOS 입력부(260)에 의한 SOS 실행 신호를 감지할 시, 그에 응답하여 상기 제2스위치부(29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2스위치부(29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2스위치부(290)는 상기 제어부(2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스위칭 한다.
이어서, 상기 제2스위치부(290)는 상기 온(On) 상태로 스위칭함에 따라, 상기 배터리와 상기 음원처리부(300) 간 및 상기 배터리와 상기 출력부(310) 간의 신호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신호 경로를 통해 상기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Vcc)를 상기 음원처리부(300) 및 상기 출력부(310)로 바이패스하는 기능을 처리한다.
상기 음원처리부(300)는 상기 음원처리부(300)는 음원 출력을 제어하고, 특정 상황에서 상기 음원의 무음 처리 또는 지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특정 음원 제어칩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을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포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포트들은 크게 전원입력포트와 다수개의 모드입력포트들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전원입력포트 및 모드입력포트들은 각각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Pin)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80) 또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긴급알림 서비스에 관련된 동작이 수행될 때, 상기 제어부(280) 또는 소프트웨어에서 발생하는 특정 명령 신호를 상기 GPIO를 통해 상기 음원처리부(300)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음원처리부(300)가 상기 GPIO를 통해 전달되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일예로, 상기 음원처리부(300)는 상기한 배터리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인가받는 상기 전원입력포트(GPIO4)와, 상기 제어부(280)에서 상기 휴대단말의 모드별 제어신호를 인가받는 상기 모드입력포트들(GPIO1, GPIO2, GPIO3)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는 상기 모드입력포트들(GPIO1, GPIO2, GPIO3)은 상기 휴대단말의 모드에 따라 어느 하나의 모드입력포트를 통해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음원처리부(300)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원(Vcc)이 상기 전원입력포트(GPIO4)를 통해 인가될 시 구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음원처리부(300)는 상기 전원 인가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긴급알림 서비스에 따른 음원 출력 제어를 위한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원처리부(300)는 상기 모드입력포트들(GPIO1, GPIO2, GPIO3) 중 어느 하나의 모드입력포트를 통해 상기 제어부(280)의 제어 신호가 입력될 시, 해당 모드입력포트에 대응하여 음원 출력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단말의 모드를 세 가지 모드로 구분하고, 상기 세 가지 모드 중 제1모드를 휴대단말이 대기상태에 존재하는 대기모드, 제2모드를 상기 휴대단말이 통화상태에 존재하는 통화모드, 제3모드를 상기 휴대단말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타모드인 것으로 매핑하여 설정하고, 상기 제1모드에 의한 제어신호는 제1모드입력포트(GPIO1)로 인가되고, 상기 제2모드에 의한 제어신호는 제2모드입력포트(GPIO2)로 인가되고, 상기 제3모드에 의한 제어신호는 제3모드입력포트(GPIO3)로 인가되는 것을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음원처리부(300)는 상기 제1모드입력포트(GPIO1)로부터 제어 신호 입력을 감지할 시, 미리 설정된 음원(경보음 등)을 상기 저장부(250)로부터 호출하고, 상기 음원을 상기 출력부(31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음원처리부(300)는 상기 제2모드입력포트(GPIO2)로부터 제어 신호 입력을 감지할 시, 미리 설정된 음원을 상기 저장부(250)로부터 호출한다. 이어서, 상기 음원처리부(300)는 상기 음원을 상기 출력부(310)로 전달할 시, 일정구간 또는 일정시간 무음 처리한 후 상기 출력부(310)로 전달하거나, 또는 일정시간만큼 상기 음원의 전달을 지연하고, 상기 일정시간이 만료될 시 상기 음원을 상기 출력부(31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원처리부(300)는 상기 제3모드입력포트(GPIO3)로부터 제어 신호 입력을 감지할 시, 음원 출력 동작을 생략하거나, 미리 설정된 다른 음원을 상기 저장부(340)로부터 호출하고, 상기 음원을 상기 출력부(3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휴대단말의 모드, 모드별 입력포트, 모드별 음원 등은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여 출력가능하며, 사용자 희망에 따라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출력부(310)는 상기 음원처리부(300)로부터 전달되는 음원을 출력한다. 상기 출력부(310)는 상기 전달되는 음원을 소정 크기만큼 증폭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출력부(310)는 별도의 스피커 또는 부저 등을 이용하여 상기 도 2와 같이 별도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상기 출력부(310)의 구성을 생략하고, 상기 출력부(310)의 기능을 상기 휴대단말의 리시버로 기능을 대 체할 수도 있다. 상기 리시버는 상기 오디오처리부(230)로 접속되는 스피커(SPK)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구성 예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이 반드시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디지털방송수신모듈, 근거리통신모듈, 카메라모듈 및 인터넷통신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블록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블록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할 시 이를 위한 근거리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다른 휴대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인터넷 망을 이용한 통신을 지원할 시 이를 위한 인터넷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인터넷모듈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인터넷 망을 통해 다른 휴대단말 및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디지털 방송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할 시 이를 위한 방송수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이 MP3 플 레이어, PMP, PDA 등과 같은 단말인 경우, 상기한 무선통신부(210)의 구성과, 상기 제어부(280)내 베이스밴드 모듈과 같은 구성은 제외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제2스위치부(290)에 의한 전원 공급 동작을 생략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시, 상기 제2스위치부(290)의 구성 역시도 제외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긴급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단말을 통해, 휴대단말 사용자의 위급한 상황을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알릴 수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을 이용한 사용자의 안전과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스위치부(270) 및 제2스위치부(290)의 스위칭 동작에 따른 본 발명의 동작을 하기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칭 동작에 따른 긴급알림 서비스 구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3a는 상기 제1스위치부(270)가 온(On) 상태인 경우를 예시로 나타낸 것이며, 상기 도 3b는 상기 제1스위치부(270)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를 예시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SOS 입력부(260)에 의해 SOS 실행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제1스위치부(270)의 온/오프(On/Off) 상태에 따라 상기 실행 신호가 상기 제어부(280)에 전달되거나(도 3a),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도 3b).
상기 도 3a의 경우에는, 상기 SOS 실행 신호가 상기 제1스위치부(270)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제어부(280)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SOS 실행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SOS 실행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2스위치부(290)를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2스위치부(290)는 상기 제어부(280)의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스위칭 동작을 전환한다. 이후, 상기 제2스위치부(290)가 온(On) 상태에 따라 상기 제2스위치부(290)와 접속되는 전원공급부(배터리)로부터의 전원(Vcc)이 바이패스되어 상기 음원처리부(300) 및 상기 출력부(310)로 제공된다. 이어서, 상기 음원처리부(300) 및 상기 출력부(310)는 상기 전원(Vcc) 인가에 의하여 구동할 수 있다.
상기 도 3b의 경우에는, 상기 SOS 실행 신호가 상기 제1스위치부(270)의 오프(Off)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부(280)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SOS 입력부(260)에 의한 SOS 실행 신호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SOS 실행 신호의 전달이 없음에 따라 상기 도 3a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상기 제2스위치부(290)에 대한 제어 신호 역시도 발생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음원처리부(300) 및 상기 출력부(310) 역시도 상기 제2스위치부(290)를 통한 전원(Vcc)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동작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도 3b와 같은 경우는, 사용자의 긴급알림 서비스 남용을 방지하거나, 사용자의 오작동에 의한 긴급알림 서비스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러한 설정 및 구성은 사용자 또는 휴대단말 제조 시점에서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 및 그의 구성 수단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긴급알림 서비스를 처리하는 제어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상기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280)의 제어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휴대단말이 특정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401단계), 상기 제어부(280)가 SOS 실행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403단계). 여기서, 상기 특정 모드는 대기모드, 통화모드 및 멀티미디어모드와 같은 기타모드 등일 수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한 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수행 중일 수 있다. 상기 특정 모드 수행 중에, 전술한 바와 같이, SOS 입력부재(110)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SOS 실행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SOS 실행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제어부재(120)의 잠금 기능에 의해 상기한 제1스위치부(270)의 상태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 상기 SOS 실행 신호는 전달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SOS 실행 신호를 감지할 시, 상기 SOS 실행 신호에 응답하여 긴급알림 서비스를 위한 SOS 메시지를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상대 휴대단말로 상기 SOS 메시지를 전송하 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405단계). 이때, 상기 휴대단말이 MP3 플레이어와 같은 단말인 경우 상기 405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405단계는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알림 서비스에 관련된 동작을 수행 중, 또는 수행 후에 처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SOS 실행 신호를 감지할 시, 상기 휴대단말이 수행 중인 모드를 판별한다(407단계). 이어서,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휴대단말이 수행 중인 모드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 출력 경로를 설정한다(409단계). 아울러,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한 제2스위치부(290)의 상태를 온(On)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2스위치부(290)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411단계).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설정하는 출력 경로를 통해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음원처리부(300)로 전달한다(413단계). 아울러,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판별하는 상기 휴대단말이 수행 중인 모드에 따라 설정된 이펙트를 판단하고(415단계), 상기 판단하는 해당 이펙트의 출력을 제어한다(417단계). 상기 이펙트 출력의 예시로, 상기 표시부(240)의 백라이트를 제어하여 상기 표시부(240)의 온/오프(On/Off)를 통한 출력을 발생하거나, 만약 상기 휴대단말이 별도의 LED(Light Emitting Diode lamp)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LED의 발광을 통한 출력을 발생하는 등을 처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음원처리 부(300)의 제어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음원처리부(300)는 전원입력포트를 통해 전원(Vcc)이 인가되면(501단계), 음원 출력 제어를 위한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음원처리부(300)는 설정된 모드입력포트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제어부(280)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다(503단계). 이어서, 상기 음원처리부(300)는 상기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해당 모드입력포트를 식별하여(505단계, 507단계), 해당 모드입력포트에 대응하는 음원 출력을 처리한다. 즉, 상기 휴대단말의 수행 중인 모드에 따른 음원 출력을 처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음원처리부(300)는 상기 제어 신호가 제1모드입력포트를 통해 전달될 시, 상기 제1모드입력포트를 통한 상기 제어 신호를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모드입력포트에 의한 제어 신호는 상기 휴대단말이 대기모드에 존재하는 경우일 수 있다. 상기 음원처리부(300)는 상기 인지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음원(경보음 등)을 호출하고(511단계), 상기 호출하는 음원을 상기 출력부(3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513단계).
다음으로, 상기 음원처리부(300)는 상기 제어 신호가 제2모드입력포트를 통해 전달될 시, 상기 제2모드입력포트를 통한 상기 제어 신호를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모드입력포트에 의한 제어 신호는 상기 휴대단말이 통화모드에 존재하는 경우일 수 있다. 상기 음원처리부(300)는 상기 인지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음원(경보음 등)을 호출하고(521단계), 상기 호출하는 음원에 대하여 설정된 일정구간 또는 일정시간만큼 무음처리하면서(523단계) 상기 출력부(3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525단계). 따라서 상기 일정구산 또는 일정시간 동안에는 상기 출력부(310)에 상기 호출하는 음원이 전달되지만, 실제 상기 출력부(310)에 의해서는 음원에 따른 소리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다른 예시로, 상기 음원처리부(300)는 상기 호출하는 음원에 대하여 상기 출력부(310)로의 전달을 설정된 일정시간만큼 지연시키고, 이후 상기 일정시간이 만료될 시 상기 음원을 상기 출력부(31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통화모드에서 사용자의 귀에 갑작스런 음원 출력으로 인한 손상(damage)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음원처리부(300)는 상기 제어 신호가 제3모드입력포트를 통해 전달될 시, 상기 제3모드입력포트를 통한 상기 제어 신호를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모드입력포트에 의한 제어 신호는 상기 휴대단말이 기타모드에 존재하는 경우일 수 있다. 상기 기타모드의 예시로는, 멀티미디어 수행모드, 문자메시지 작성모드 등 상기에서 설정되는 대기모드 및 통신모드를 제외한 다른 모드가 될 수 있다. 상기 음원처리부(300)는 상기 인지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다른 음원을 호출하고(531단계), 상기 호출하는 음원을 상기 출력부(3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타모드에서 상기 음원처리부(300)는 상기 음원 출력 동작을 생략하거나, 또는 상기 출력하는 음원을 무음으로 처리하여 상기 출력부(3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의 상기 기타모드가 대기모드 또는 통화모드로 전환될 시, 상기 음원의 무음 처리를 중단하고, 정상적인 음원을 상기 출력부(31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 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외형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블록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칭 동작에 따른 긴급알림 서비스 구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

Claims (26)

  1. 휴대단말의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특정모드 수행 중에 제어부가 SOS 실행 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부가 상기 SOS 실행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수행 모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수행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를 음원처리부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음원처리부가 상기 제어신호가 전달되는 입력포트에 따라 음원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SOS 실행 신호를 감지할 시, 상기 음원처리부의 전원 공급라인을 활성화하는 과정과,
    상기 음원처리부가 상기 전원 공급라인을 통한 전원이 인가될 시 기능을 활성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OS 실행 신호는 상기 휴대단말의 SOS 입력부에서 발생하고, 상기 SOS 실행 신호의 전달 및 차단을 스위칭하는 제1스위치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부는 온(On) 상태일 시 상기 SOS 입력부의 상기 SOS 실행 신호를 바이패스하고, 오프(Off) 상태일 시 상기 SOS 입력부의 상기 SOS 실행 신호 전달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부의 상기 스위칭은 상기 휴대단말의 외부에 형성되는 스위치제어부재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하는 휴대단말의 수행 모드에 대응하는 설정된 이펙 트의 출력을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라인을 활성화하는 과정은,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전달 및 차단을 스위칭하는 제2스위치부를 온(On)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치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On/Off)되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온(On) 상태일 시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음원처리부로 바이패스하고, 오프(Off) 상태일 시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음원을 출력하는 과정은,
    전원입력포트를 통해 상기 전원이 인가될 시, 설정된 다수개의 모드입력포트들 중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해당 모드입력포트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모드입력포트에 대응하여 음원 출력을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음원을 출력할 시, 상기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모드입력포트에 따라 상기 출력하는 음원을 일정시간만큼 무음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음원을 출력할 시, 상기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모드입력포트에 따라 상기 음원의 출력을 일정시간만큼 지연하고,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할 시 상기 음원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을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음원처리부가 설정된 음원을 호출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스피커 또는 설정된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긴 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3. 휴대단말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SOS 실행 신호를 발생하는 SOS 입력부와,
    상기 SOS 실행 신호의 전달 및 차단을 스위칭하는 제1스위치부와,
    상기 제1스위치부를 통해 바이패스되는 상기 SOS 실행 신호를 감지할 시, 상기 휴대단말의 수행 모드를 판별하고, 상기 수행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모드입력포트에 대응하는 설정된 음원 출력을 처리하는 음원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제1스위치부의 온/오프(On/Off) 스위칭 제어를 위한 스위치제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음원처리부가 처리하는 음원을 실제 소리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긴급알림 서비스와 관련된 설정정보, SOS 메시지, 이펙트 설정정보 및 휴대단말의 수행 모드별 출력 음원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제어부재의 제어에 따라 온(On) 상태로 설정될 시 상기 SOS 입력부의 상기 SOS 실행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바이패스하고, 오프(Off) 상태로 설정될 시 상기 SOS 입력부의 상기 SOS 실행 신호의 상기 제어부로 전달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하는 휴대단말의 수행 모드에 대응하는 설정된 이펙트에 따른 출력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활성화되어, 스위칭 경로 상에 상기 음원처리부로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바이패스하는 제2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행 모드에 따른 제1제어신호 및 제2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2스위치부는 상기 제1제어신호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기 음원처리부로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바이패스하고,
    상기 음원처리부는 제2스위치부를 통해 바이패스되는 상기 전원이 인가될 시 기능을 활성화하여, 상기 제2제어신호가 입력되는 모드입력포트에 대응하는 음원 출력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치부는,
    상기 제어부의 상기 제1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On/Off) 제어되며, 상기 제1제어신호에 따라 온(On) 상태로 설정될 시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음원 처리부로 바이패스하고, 오프(Off) 상태로 설정될 시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음원처리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처리부는,
    전원입력포트와 다수개의 모드입력포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스위치부를 통해 바이패스되는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전원입력포트로 인가받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상기 다수개의 모드입력포트들 중 어느 하나의 모드입력포트를 통해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처리부는,
    상기 휴대단말의 대기모드, 통화모드 및 기타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어느 하나의 모드입력포트를 통해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처리부는,
    상기 모드입력포트들 중 상기 통화모드에 대응하는 모드입력포트에 의해 상기 제어신호가 인가될 시 출력하는 음원을 일정시간만큼 무음 처리하면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처리부는,
    상기 모드입력포트들 중 상기 통화모드에 대응하는 모드입력포트에 의해 상기 제어신호가 인가될 시 음원 출력을 일정시간만큼 지연하고,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할 시 상기 음원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휴대단말이 지원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과 설정된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SOS 메시지의 송신 및 그에 응답하는 콜 연결 신호 수신을 처리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KR1020080118492A 2008-11-27 2008-11-27 휴대단말에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00063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492A KR20100063837A (ko) 2008-11-27 2008-11-27 휴대단말에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2/625,272 US9275539B2 (en) 2008-11-27 2009-11-24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alert service in portable terminal
EP09177130.3A EP2196969B1 (en) 2008-11-27 2009-11-2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alert service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492A KR20100063837A (ko) 2008-11-27 2008-11-27 휴대단말에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837A true KR20100063837A (ko) 2010-06-14

Family

ID=41719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492A KR20100063837A (ko) 2008-11-27 2008-11-27 휴대단말에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75539B2 (ko)
EP (1) EP2196969B1 (ko)
KR (1) KR201000638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354B1 (ko) * 2012-08-29 2014-02-06 김한석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WO2021101089A1 (ko) * 2019-11-20 2021-05-27 주식회사 아모센스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639B1 (ko) 2011-06-22 2012-06-12 팅크웨어(주) 세이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043092A1 (en) * 2011-08-17 2013-02-21 Thomas W. Clardy Integrated highly reliable person overboard self-rescue system
US9125178B2 (en) * 2011-10-21 2015-09-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center modul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method and program for relaying wireless communication
KR102091003B1 (ko) * 2012-12-10 2020-03-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한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9561460B2 (en) * 2015-01-22 2017-02-07 Nikolas Dicke Rescue terminal and system
CN107968669A (zh) * 2016-10-19 2018-04-2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求救方法、系统及电子装置
US11094327B2 (en) * 2018-09-28 2021-08-17 Lenovo (Singapore) Pte. Ltd. Audible input transcription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3114A (en) * 1968-07-22 1972-08-08 Edward J Egan Automatic dialing and message reporting system
US4715062A (en) * 1985-03-22 1987-12-22 Tie/Communications, Inc. Speakerphone control circuit having low gain stat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in of speakerphone
US4804954A (en) * 1987-04-30 1989-02-14 Motorola, Inc. Battery saving method for portable communications receivers
US5195126A (en) * 1991-05-09 1993-03-16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Emergency alert and security apparatus and method
US5343509A (en) * 1991-08-30 1994-08-30 Dounies Gregory F Emergency information facsimile transmitter
US5305370A (en) * 1991-09-04 1994-04-19 Lloyd Kearns Personal emergency response communications system
US5684452A (en) * 1995-06-12 1997-11-04 Wang; Shiunn-Terny Multi-purposes warning device
JP2968705B2 (ja) * 1995-07-13 1999-11-02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選択呼出受信機
US5694452A (en) 1996-03-14 1997-12-02 Bertolet; Eric E. Emergency telecommunication device
EP0844775A1 (fr) * 1996-11-22 1998-05-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éléphone sans fil avec une fonction d'appel d'urgence
US6636732B1 (en) * 1998-03-19 2003-10-21 Securealert, Inc. Emergency phone with single-button activation
US7092695B1 (en) * 1998-03-19 2006-08-15 Securealert, Inc. Emergency phone with alternate number calling capability
US6285867B1 (en) * 1998-10-16 2001-09-04 American Secure Care, Llc Combination emergency phone and personal audio device
US6751446B1 (en) * 1999-06-30 2004-06-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lephony station with speaker phone function
US6445937B1 (en) * 1999-12-02 2002-09-03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e phone power management
KR100362147B1 (ko) 1999-12-20 2002-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화기를 이용한 자동 방범 신고 방법
JP3389916B2 (ja) 2000-03-15 2003-03-24 日本電気株式会社 おやすみモード付き携帯電話端末および方法
FR2806561B1 (fr) * 2000-03-16 2002-08-09 France Telecom Systeme de tele-assistance a domicile
US6879819B2 (en) * 2001-06-25 2005-04-12 Denso Corporation Control and messaging during emergency calls
US6970724B2 (en) * 2001-08-10 2005-11-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isabling cell phone ringing
US7120488B2 (en) * 2002-05-07 2006-10-10 Medtronic Physio-Control Manufacturing Corp. Therapy-delivering portable medical device capable of triggering and communicating with an alarm system
JP4075473B2 (ja) * 2002-06-10 2008-04-16 松下電工株式会社 携帯無線端末および通報センタ装置
JP2004056188A (ja) * 2002-07-16 2004-02-19 Bosu & K Consulting Kk 折り畳み式携帯電話
US7567174B2 (en) * 2002-10-08 2009-07-28 Woodard Jon A Combination alarm device with enhanced wireless notification and position location features
US7289029B2 (en) * 2002-12-31 2007-10-30 Medtronic Physio-Control Corp. Communication between emergency medical device and safety agency
US20050040954A1 (en) * 2003-08-19 2005-02-24 Mcnally Terry C. Pressure sensitive doorbell mat
JP2005184102A (ja) 2003-12-16 2005-07-07 Nec Mobiling Ltd 緊急連絡機能付き携帯電話装置および緊急連絡システム
US7873646B2 (en) 2004-02-25 2011-01-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for modifying notifications in an electronic device
US7890085B2 (en) * 2004-07-12 2011-02-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Delayed user notification of events in a mobile device
US8437729B2 (en) * 2005-05-10 2013-05-07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Llc Apparatus for and system for enabling a mobile communicator
US7751534B2 (en) * 2005-08-19 2010-07-06 Nicholas Sun System and method for the emergency voice and image e-mail transmitter device
US7616738B2 (en) * 2006-02-17 2009-11-10 Telemergency Systems Llc Telephone line dialer and emergency call system
US20080037718A1 (en) * 2006-06-28 2008-02-14 Logan James D Methods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ncillary information to the user of a portable audio device
CA2665340C (en) * 2008-05-09 2013-10-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power management of a mobile device
US8364113B2 (en) * 2008-07-03 2013-01-29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Data message service controller and method for handling emergency text messaging
US8315589B2 (en) * 2009-09-30 2012-11-2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Emergency calls for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IMS) over packet switche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networks
KR20110066404A (ko) * 2009-12-11 2011-06-17 주식회사 에스원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자가 호출 및 긴급 신고 방법, 그 시스템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354B1 (ko) * 2012-08-29 2014-02-06 김한석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WO2021101089A1 (ko) * 2019-11-20 2021-05-27 주식회사 아모센스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
KR20210061713A (ko) * 2019-11-20 2021-05-28 주식회사 아모센스 휴대용 긴급알람신호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75539B2 (en) 2016-03-01
EP2196969A2 (en) 2010-06-16
EP2196969B1 (en) 2015-01-14
US20100127863A1 (en) 2010-05-27
EP2196969A3 (en)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3837A (ko) 휴대단말에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8150475B2 (en) Method for information signal distribu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based on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depletable power supply used by one of the devices
EP1959655B1 (en) Radio accessory for a mobile device
CA2573480C (en) Method of call routing in a public/private communication system
KR101029463B1 (ko) 휴대단말에서 긴급문자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2012147400A (ja) 携帯電子機器、切替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200701473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a multi-mode wireless device
JP2010103918A (ja) 緊急通報システム
JP2006054623A (ja) 防犯機能付き携帯電話機
JP3925430B2 (ja) 電話装置
KR100960656B1 (ko)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용 외부제어장치
JPH10215303A (ja) 無線通信機
JP4207057B2 (ja) 電話装置
JP2001196997A (ja) 携帯電話機
KR20060039229A (ko) 휴대단말기에서 운전 중 통화차단 방법
KR100776305B1 (ko) 휴대 단말기의 취침 모드 제어 방법
JP4226189B2 (ja) 携帯電話機
KR100713474B1 (ko) 휴대단말기와 헤드셋간에 정보 송수신 방법
JP2004274130A (ja) エマージェンシー機能を有する携帯無線機
JP2005236790A (ja) 移動通信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無線装置
KR20050043294A (ko)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3148598B2 (ja) 携帯無線電話機の呼び出し装置
JPH11112622A (ja) 携帯電話機
KR20100045089A (ko) 역정보 발신기, 이동전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40028173A (ko) 시간 설정이 가능한 자동응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