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354B1 -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 Google Patents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354B1
KR101358354B1 KR1020120094841A KR20120094841A KR101358354B1 KR 101358354 B1 KR101358354 B1 KR 101358354B1 KR 1020120094841 A KR1020120094841 A KR 1020120094841A KR 20120094841 A KR20120094841 A KR 20120094841A KR 101358354 B1 KR101358354 B1 KR 101358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button
user
touch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김한석
Original Assignee
김한석
김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석, 김성수 filed Critical 김한석
Priority to KR1020120094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3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04M1/724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with manual activation of emergency-service fun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의 배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를 감지하는 터치감지부(111)와, 터치감지부(111) 하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감압신호를 감지하는 감압감지부(112)로 구성되며, 스마트폰의 배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음각으로 형성된 긴급버튼(110); 및 긴급버튼(110)으로부터 터치신호 및 감압신호를 인가받은 경우, 기 설정된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보호자 단말기(10) 및 기관서버(20)로 전송하는 긴급호출 전송부(12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 사용자가 비상상황 발생시, 복수개의 버튼 감압이 아니라 스마트폰 배면에 구비된 단일 긴급버튼의 터치 및 감압에 의해 비상정보를 기 설정된 보호자 단말기 및 기관서버로 전송함으로써, 긴급 상황시 사용자가 당황하지 않고 긴급버튼의 터치 및 감압을 도모하고, 스마트폰 배면에 긴급버튼을 케이스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음각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생활사용에 따른 마찰과 간섭을 최소화하며, 사용자가 스마트폰 배면에 구비된 버튼형태의 카메라를 감압함과 동시에 기 설정된 보호자 단말기 및 기관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별도의 버튼을 구성하지 않고 긴급 상황을 전송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SMART PHONE FOR CONTAINING ABUSE URGENT CALL BUTTON}
본 발명은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비상상황 발생시, 스마트폰의 배면에 구비된 긴급버튼의 터치 및 감압에 의해 비상정보를 기 설정된 보호자 단말기 및 기관서버로 전송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가입자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는 요즘 가정 흔하게 주변에서 볼 수 있는 필수품으로써 인식하게 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들은 보다 좋은 성능을 가지며 다기능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출시하고 있으며, 이에 발 맞춰 통신 서비스 업체에서는 보다 높은 수준의 통신 서비스 및 여러 부가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근래에 출시되는 통신서비스 중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지 추적을 통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사용자에 응급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이를 사용자가 휴대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자동 발신되어 응급기관 또는 경찰서등의 사법기관에 구조를 요청하는 구조요청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서비스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내용이 대중에게 공개됨에 따라 실제 상황에서는 사용자의 비상신호를 발신 전 또는 후에 범죄자가 사용자의 단말기를 뺏고 파손해버려 구조신호가 더 이상 발생되지 않는 문제점과, 경찰관이 사용자의 위험상황을 실제 인지했다 하더라도 정확한 위치추적이 이루어질 수 없고, 또한, 실제 위치추적이 되어 있다하더라도 상황이 종료된 이후에나 현장에 도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산업계에서 다양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7709호(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외 다수개의 문헌이 공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선행특허를 살피면, 사용자의 긴급 상황을 위한 긴급 구조키가 형성된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구조요청자 단말기로부터 긴급 상황 정보를 입력받아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구조자단말기간의 통화연결을 수행하고, 구조자단말기로부터 긴급 상황 정보가 보안 서버에 전달되면,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보안 서버와의 통화로 전환되도록 하고, 구조요청자 전화번호 및 단문메시지 정보를 구조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하는 통신사 서버와; 통신사 서버를 통해 입력된 구조요청자 단말기의 구조요청자 전화번호 및 단문메시지 정보를 입력받아 긴급 상황을 알리도록 하는 구조자단말기; 및 통신사 서버를 통해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일방향 수신 상태로 2차 비상연락처(경찰, 소방서)와 접속되어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보안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동통신 가입자가 직접 음성통화를 진행할 수 없거나 하는 경우, 버튼조작만을 통해 비상 연락처로 비상정보를 송출하여 사고 상황의 현장 상황을 알리도록 하는 비상호출 처리 방법이 시행되고 있지만, 이동통신 단말기의 잘못된 조작에 의하여 자신도 모르게 원치 않은 상황에서 위급 상황이 잘못 전달되어 지는 문제점이 많았다.
또한, 이동통신 가입자가 위급한 상황이 되었을 때 상대방으로부터 송신된 위급 신호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면, 구조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전혀 도움을 줄 수가 없기 때문에 서비스의 신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사용자가 복수개의 버튼을 감압하는 경우에 구조요청신호를 송출하기 때문에 긴급 상황 발생시, 대다수의 사용자들이 당황하여 긴급버튼을 정상적으로 작동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스마트폰 사용자가 비상상황 발생시, 복수개의 버튼 감압이 아니라 스마트폰 배면에 구비된 단일 긴급버튼의 터치 및 감압에 의해 비상정보를 기 설정된 보호자 단말기 및 기관서버로 전송함으로써, 긴급 상황시 사용자가 당황하지 않고 긴급버튼의 터치 및 감압을 도모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배면에 긴급버튼을 케이스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음각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생활사용에 따른 마찰과 간섭을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마트폰 배면에 구비된 버튼형태의 카메라를 감압함과 동시에 기 설정된 보호자 단말기 및 기관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별도의 버튼을 구성하지 않고 긴급 상황을 전송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은, 스마트폰의 배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를 감지하는 터치감지부(111)와, 터치감지부(111) 하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감압신호를 감지하는 감압감지부(112)로 구성되며, 스마트폰의 배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음각으로 형성된 긴급버튼(110); 및 긴급버튼(110)으로부터 터치신호 및 감압신호를 인가받은 경우, 기 설정된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보호자 단말기(10) 및 기관서버(20)로 전송하는 긴급호출 전송부(12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 사용자가 비상상황 발생시, 복수개의 버튼 감압이 아니라 스마트폰 배면에 구비된 단일 긴급버튼의 터치 및 감압에 의해 비상정보를 기 설정된 보호자 단말기 및 기관서버로 전송함으로써, 긴급 상황시 사용자가 당황하지 않고 긴급버튼의 터치 및 감압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 배면에 긴급버튼을 케이스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음각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생활사용에 따른 마찰과 간섭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스마트폰 배면에 구비된 버튼형태의 카메라를 감압함과 동시에 기 설정된 보호자 단말기 및 기관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별도의 버튼을 구성하지 않고 긴급 상황을 전송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을 도시한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이 인체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100)은 긴급버튼(110) 및 긴급호출 전송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언급을 생략하겠으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100)은 전화통화 및 인터넷접속이 가능한 인터넷폰 또는 태블릿PC(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100)의 세부구성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긴급버튼(11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100)의 배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를 감지하는 터치감지부(111)와, 터치감지부(111) 하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감압신호를 감지하는 감압감지부(112)로 구성되며, 스마트폰(100)의 배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음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긴급버튼(110)의 터치감지부(111)는 정전방식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를 감지하되, 기 설정된 시간동안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생성한 터치신호를 긴급호출 전송부(120)로 인가한다.
또한, 긴급버튼(110)의 감압감지부(112)는 터치감지부(111)의 터치신호 생성 이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감압을 감지하되, 기 설정된 시간동안 감압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생성한 감압신호를 긴급호출 전송부(120)로 인가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2초 내지 4초인 것으로 상정하겠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긴급버튼(11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감지센서(1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인체감지센서(113)는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경우 터치감지부(111)를 활성화시켜 터치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긴급호출 전송부(120)는 긴급버튼(110)으로부터 터치신호 및 감압신호를 인가받은 경우, 기 설정된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보호자 단말기(10) 및 기관서버(20)로 전송한다.
이때, 긴급구조 요청정보에는 스마트폰 식별번호 및 보호자단말기 식별번호를 포함하며, 스마트폰의 저장소(내부 메모리 또는 외부 메모리)에 기 저장된 계좌번호 및 신용카드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금융서비스 정지요청정보를 포함한다.
이는 긴급 상황시 금융서비스 정지요청정보를 보호자 단말기(10) 또는 기관서버(20)로 전송하여 보호자 또는 기관 담당자가 사용자의 금융서비스를 정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금융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100)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버튼(110)은, 스마트폰(100)의 배면에 구비된 버튼형태의 카메라(C)와 일체화되도록 구비되되, 카메라(C)를 에두르도록 형성된 터치감지부(111)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를 감지하고, 카메라(C)의 저면부에 구비된 감압감지부(112)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카메라(C)의 전면부로부터 저면부로 인가되는 감압신호를 감지한다.
그리고, 긴급호출 전송부(120)는 긴급버튼(110)으로부터 터치신호 및 감압신호를 인가받은 경우, 기 설정된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보호자 단말기(10) 및 기관서버(20)로 전송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100)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버튼(110)은,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버튼형태의 홈키(K)와 일체화되도록 구비되되, 홈키(K) 상부에 형성된 터치감지부(111)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를 감지하고, 홈키(K)의 저면부에 구비된 감압감지부(112)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홈키(K)의 전면부로부터 저면부로 인가되는 감압신호를 감지한다.
그리고, 긴급호출 전송부(120)는 긴급버튼(110)으로부터 터치신호 및 감압신호를 인가받은 경우, 기 설정된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보호자 단말기(10) 및 기관서버(20)로 전송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110: 긴급버튼 111: 터치감지부
112: 감압감지부 113: 인체감지센서
120: 긴급호출 전송부 10: 보호자 단말기
20: 기관서버 C: 카메라
K: 홈키

Claims (6)

  1.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에 있어서,
    스마트폰의 배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를 감지하는 터치감지부(111)와, 터치감지부(111) 하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감압신호를 감지하는 감압감지부(112)로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폰의 배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음각으로 형성된 긴급버튼(110); 및
    상기 긴급버튼(110)으로부터 터치신호 및 감압신호를 인가받은 경우, 기 설정된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보호자 단말기(10) 및 기관서버(20)로 전송하는 긴급호출 전송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버튼(110)은,
    정전방식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를 감지하되, 기 설정된 시간동안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생성한 터치신호를 상기 긴급호출 전송부(120)로 인가하는 터치감지부(111); 및
    상기 터치감지부(111)의 터치신호 생성 이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감압을 감지하되, 기 설정된 시간동안 감압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생성한 감압신호를 상기 긴급호출 전송부(120)로 인가하는 감압감지부(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버튼(110)은,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터치감지부(111)를 활성화시켜 터치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인체감지센서(1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구조 요청정보는,
    스마트폰 식별번호, 보호자단말기 식별번호 및 스마트폰의 저장소(내부 메모리 또는 외부 메모리)에 기 저장된 계좌번호 및 신용카드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금융서비스 정지요청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버튼(110)은,
    상기 스마트폰의 배면에 구비된 버튼형태의 카메라(C)와 일체화되도록 구비되되, 카메라(C)를 에두르도록 형성된 터치감지부(111)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를 감지하고, 카메라(C)의 저면부에 구비된 감압감지부(112)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카메라(C)의 전면부로부터 저면부로 인가되는 감압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버튼(110)은,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버튼형태의 홈키(K)와 일체화되도록 구비되되, 홈키(K) 상부에 형성된 터치감지부(111)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를 감지하고, 홈키(K)의 저면부에 구비된 감압감지부(112)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홈키(K)의 전면부로부터 저면부로 인가되는 감압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KR1020120094841A 2012-08-29 2012-08-29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KR101358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841A KR101358354B1 (ko) 2012-08-29 2012-08-29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841A KR101358354B1 (ko) 2012-08-29 2012-08-29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8354B1 true KR101358354B1 (ko) 2014-02-06

Family

ID=50269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841A KR101358354B1 (ko) 2012-08-29 2012-08-29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3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5303A (ko) 2014-01-15 2015-07-23 전대연 성폭력, 성추행 방지 방법
EP2899893A4 (en) * 2012-09-20 2016-06-22 Byung Chang Moon INTELLIGENT PHONE WITH EMERGENCY CALL BUTTON
KR20160085554A (ko) * 2015-01-08 2016-07-18 이철우 비상버튼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20170027476A (ko) 2015-09-02 2017-03-10 김한석 긴급 호출 버튼이 구비된 스마트폰
CN116935605A (zh) * 2023-09-15 2023-10-24 湖南尚医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医院护理智能呼叫装置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823A (ko) * 2003-04-01 2003-06-02 문성옥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구조요청시스템 및 방법
KR20040033536A (ko) * 2002-10-15 2004-04-28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통보 장치
KR20060030665A (ko) * 2004-10-06 2006-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100063837A (ko) * 2008-11-27 2010-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536A (ko) * 2002-10-15 2004-04-28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통보 장치
KR20030043823A (ko) * 2003-04-01 2003-06-02 문성옥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구조요청시스템 및 방법
KR20060030665A (ko) * 2004-10-06 2006-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100063837A (ko) * 2008-11-27 2010-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99893A4 (en) * 2012-09-20 2016-06-22 Byung Chang Moon INTELLIGENT PHONE WITH EMERGENCY CALL BUTTON
US9531861B2 (en) 2012-09-20 2016-12-27 Byung Chang MOON Smart phone having emergency call button
KR20150085303A (ko) 2014-01-15 2015-07-23 전대연 성폭력, 성추행 방지 방법
KR20160085554A (ko) * 2015-01-08 2016-07-18 이철우 비상버튼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101685155B1 (ko) * 2015-01-08 2016-12-12 이철우 비상버튼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20170027476A (ko) 2015-09-02 2017-03-10 김한석 긴급 호출 버튼이 구비된 스마트폰
KR101808101B1 (ko) * 2015-09-02 2017-12-14 김한석 긴급 호출 버튼이 구비된 스마트폰
CN116935605A (zh) * 2023-09-15 2023-10-24 湖南尚医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医院护理智能呼叫装置及系统
CN116935605B (zh) * 2023-09-15 2023-11-28 湖南尚医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医院护理智能呼叫装置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179B1 (ko)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KR101358354B1 (ko)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KR101402960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긴급호출 오남용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US9904812B2 (en) Method of protecting power receiver and related wireless charging device
KR101316007B1 (ko)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
EP3951628A1 (en) User identity recognition-based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3412719A (zh) 触摸屏终端防止误操作的方法及装置
KR20160032157A (ko) 모바일 장치 보안
EP3422317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eking help and smart footwear
KR20130032515A (ko) 스마트폰 인증을 이용한 긴급콜 서비스와 온오프라인뱅킹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03028B1 (ko) 긴급 호출 버튼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5198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통보 장치
KR101844244B1 (ko) 긴급 호출 버튼을 구비한 휴대 단말용 커버
KR20160064786A (ko) 긴급구조 호출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WO2016056833A1 (ko) 긴급 호출 버튼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9226322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emergency call unit and method of making emergency call using the same
KR20160116492A (ko) 긴급상황 알림 스마트폰 및 이를 이용한 택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KR101650898B1 (ko) 스마트폰과 그 기능을 이용한 휴대 개인용 블랙박스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060030665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050021089A (ko) 이동 단말기의 통화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9139269A3 (ko) 인공지능 장치
CN105516914A (zh) 定位处理方法及装置
KR101547994B1 (ko) 인증 콘텐츠 기반의 발신자 인증이 가능한 인증 시스템
JP2010147846A (ja) 携帯電話の通話抑制を行う無線icタグ
KR20050029888A (ko) 휴대폰을 이용한 신변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