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9845B1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통보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통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845B1
KR100519845B1 KR10-2002-0062666A KR20020062666A KR100519845B1 KR 100519845 B1 KR100519845 B1 KR 100519845B1 KR 20020062666 A KR20020062666 A KR 20020062666A KR 100519845 B1 KR100519845 B1 KR 100519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shock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2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3536A (ko
Inventor
신승철
김경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2-0062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9845B1/ko
Publication of KR20040033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8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1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 H04M3/5116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for emergency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긴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단말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그 단말기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조작없이도 긴급신고센터에 긴급상황을 통보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통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더라도 버튼 조작이나 긴급상황 설명 자체가 불가능한 긴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긴급신고센터에 자신에게 발생된 긴급상황을 정상적으로 통보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충격 감지부를 내장하여 긴급상황 발생으로 인한 외부 충격을 감지하고, 해당되는 긴급구난 메시지를 긴급신고센터 측에 자동으로 전송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조작없이도 그 단말기 사용자에게 발생된 긴급상황을 긴급신고센터에 통보할 수 있게 되고, 결국 단말기 사용자가 정상적인 의식을 갖지 못한 경우나 타의에 의해 긴급상황 통보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긴급상황을 통보할 수 있게 되며, 또한 긴급구난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긴급상황에 처한 단말기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신속한 긴급구난 처리가 가능해 진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통보 장치{Apparatus For Reporting Emergency Stat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통보 기능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 사용자에게 긴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그 단말기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조작없이도 긴급신고센터에 긴급상황을 통보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통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그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셀룰러폰, PCS 단말기, PDA 단말기, IMT2000 단말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고유한 통신 기능뿐 아니라 전자수첩기능, 게임기능, 스케쥴 관리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각종 금융결제나 위치추적 기능을 이용한 교통안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또한 단말기 사용자는 화재나 추락, 교통사고 등과 같은 긴급상황 발생시 의식을 잃지 않았다면 주변에 사람이 없더라도 스스로 긴급구조대나 경찰서 등과 같은 긴급신고센터(119, 112 등)로 전화를 걸어서 긴급상황을 설명할 수 있었다.
또한, 일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긴급상황 신고를 위한 다이얼링의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해 간단한 단축버튼 조작만으로도 긴급신고센터로 자신에 발생한 긴급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긴급상황은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고 발생될 수 있고, 특히 추락이나 교통사고 등과 같은 긴급상황 발생시에는 육체적인 충격을 받아 의식을 잃거나 혼미해져 정상적인 의식을 갖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더라도 버튼 조작이나 긴급상황 설명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긴급신고센터에 자신에게 발생된 긴급상황을 정상적으로 통보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충격 감지부를 내장하여 긴급상황 발생으로 인한 외부 충격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외부 충격 감지를 통해 해당되는 긴급구난 메시지를 긴급신고센터 측에 자동으로 전송하여 단말기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조작없이도 긴급신고센터에 긴급상황을 통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조작없이도 긴급신고센터에 긴급상황을 통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긴급상황 발생으로 인해 단말기 사용자가 정상적인 의식을 갖지 못한 경우 뿐 아니라 타의(도둑, 강도, 폭력배 등)에 의해 버튼 조작이나 긴급상황 설명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단말기 사용자에게 발생된 긴급상황을 긴급신고센터에 통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긴급상황에 처한 단말기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긴급구난 메시지에 단말기 위치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함으로써, 신속한 긴급구난 처리가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되어, 단말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부와; 상기 충격 감지부에 의해 충격이 감지된 경우 단말기에 가해진 충격이 긴급상황 발생으로 인한 외부 충격인지를 판단한 후, 긴급상황 발생으로 인한 외부 충격으로 판단되는 경우 대응하는 긴급구난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고, 단말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에서 진동모터를 구동시킨 경우나 폴더 덮개가 닫히는 것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충격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충격을 내부 충격으로 판단하여 긴급상황 통보 기능을 종료하는 주변환경 판단부와; 상기 주변환경 판단부로부터 긴급구난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긴급상황을 알리는 내용과 단말기 위치정보 및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긴급구난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달하되, 상기 긴급구난 메시지를 전달하기에 앞서 긴급신고센터로 긴급상황을 통보하겠다는 내용을 단말기에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경고음을 출력한 후, 특정시간 이내에 해제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긴급상황을 통보하지 않고 해당되는 긴급상황 통보 기능을 종료하는 긴급구난 처리부와; 상기 긴급구난 처리부로부터 긴급구난 메시지가 전달되는 경우 긴급신고센터의 전화번호를 착신번으로 하여 긴급구난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기지국 시스템 및 이동통신 교환기를 통해 상기 긴급신고센터에 단말기 사용자에게 긴급상황이 발생되었음을 통보해 주는 메시지 송신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통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추락이나 교통사고 등과 같은 긴급상황 발생으로 인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충격을 감지하여 해당되는 긴급구난 메시지를 자동으로 송신함으로써 긴급신고센터에 긴급상황을 통보하고자 하는데,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통보 장치는 첨부한 도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 감지부(10)와, 주변환경 판단부(20)와, 긴급구난 처리부(30) 및 메시지 송신부(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충격 감지부(10)는 단말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도록 내장되어, 해당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가해진 직접적인 충격이나 단말기 사용자에게 가해진 충격으로 인한 간접적인 충격을 감지하여 대응하는 충격신호를 주변환경 판단부(20)로 전달한다.
주변환경 판단부(20)는 충격 감지부(10)로부터 충격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내부 충격인지, 외부 충격인지를 판단하고, 외부 충격으로 판단되는 경우 긴급구난신호를 생성하여 긴급구난 처리부(30)로 전달하는데, 이때 단말기 내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 처리하는 중앙처리부(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연동하여 현재 전달된 충격신호가 내부 충격으로 인한 충격신호인지, 외부 충격으로 인한 충격신호인지를 판단하되, 중앙처리부가 진동모터를 구동시킨 경우이거나 폴더형 단말기에서 폴더 덮개가 닫히는 것을 인식하였을 경우에는 내부 충격으로 인한 충격신호로 판단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긴급상황 발생에 따른 외부 충격으로 인한 충격신호로 판단한다.
긴급구난 처리부(30)는 주변환경 판단부(20)로부터 긴급구난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긴급상황을 알리는 내용과 단말기 위치정보 및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긴급구난 메시지를 생성하여 메시지 송신부(40)로 전달하는데, 이때 긴급구난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달하기에 앞서 긴급신고센터로 긴급상황을 통보하겠다는 내용을 단말기 화면 및/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통해 표시하거나 경고음을 출력하여 소정시간 이내에 긴급상황 통보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긴급상황을 통보하겠다는 내용을 표시 또는 출력한 상태에서 소정시간 이내에 해제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긴급상황 통보 기능을 종료한다.
메시지 송신부(40)는 긴급구난 처리부(30)로부터 긴급구난 메시지가 전달되는 경우 긴급신고센터의 전화번호를 착신번으로 하여 해당되는 긴급구난 메시지를 기지국 시스템 측으로 송신함으로써 긴급신고센터에 긴급상황을 통보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통보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 내의 충격 감지부(10)에서는 단말기의 내부적인 충격이나 단말기에 가해진 직접적인 충격 또는 단말기 사용자에게 가해진 충격으로 인한 간접적인 충격 등이 감지되는지를 확인하게 되고(스텝 S21),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에 가해진 충격이 감지되는 경우 대응하는 충격신호를 생성하여 주변환경 판단부(20)로 전달하게 된다(스텝 S22).
그러면, 주변환경 판단부(20)에서는 충격 감지부(10)로부터 충격신호가 전달됨에 따라 현재 단말기에 가해진 내부 충격인지, 외부 충격인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이는 단말기 내부의 진동모터 구동으로 인한 충격이나 폴더형 단말기에서의 폴더 덮개를 닫는 경우에 감지될 수 있는 내부 충격을 그 이외의 긴급상황 발생시에 감지될 수 있는 외부 충격과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주변환경 판단부(20)에서는 단말기 내의 중앙처리부와 연동하여 진동모터를 구동시켰는지, 폴더 덮개가 닫히는 것을 인식하였는지를 확인하게 되고, 이때 중앙처리부가 진동모터를 구동시켰거나 폴더 덮개가 닫히는 것을 인식하였을 경우에는 충격 감지부(10)로부터 전달된 충격신호가 내부 충격으로 인한 충격신호로 판단하게 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외부 충격으로 인한 충격신호로 판단하게 된다.
즉, 주변환경 판단부(20)에서는 중앙처리부와 연동하여 단말기에 가해진 충격이 내부 충격인지, 외부 충격인지를 판단하게 되고(스텝 S23), 이때 내부 충격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긴급상황 통보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정상 종료하게 되지만, 외부 충격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긴급구난신호를 긴급구난 처리부(30)로 전달하게 된다.
이에, 주변환경 판단부(20)로부터 긴급구난신호를 전달받은 긴급구난 처리부(30)에서는 단말기에 가해진 외부 충격이 긴급상황 발생으로 인한 외부 충격인지를 확인하게 되는데, 이는 단말기에 가해진 충격이 외부 충격이라 하더라도 긴급상황 발생으로 인한 외부 충격이 아닌 경우(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를 실수로 인해 바닥에 떨어뜨리거나 심하게 부딪친 경우 등)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긴급구난 처리부(30)는 단말기에 가해진 충격이 긴급상황 발생으로 인한 외부 충격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우선 긴급신고센터로 긴급상황을 통보하겠다는 내용을 단말기 화면 및/또는 LED를 통해 표시하거나 소정의 경고음을 출력한 후(스텝 S24), 소정시간 이내에 긴급상황 통보에 대한 해제 요청이 입력되는지를 확인하게 된다(스텝 S25).
만약, 소정시간 이내에 긴급상황 통보에 대한 해제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긴급상황 발생으로 인한 외부 충격이 아님을 의미하므로 긴급상황 통보 기능을 더 이상 수행하지 않고 정상 종료하게 되는데, 이때 해제 요청은 소정의 암호 입력이나 기능 종료 버튼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소정시간 이내에 긴급상황 통보에 대한 해제 요청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기에 가해진 충격이 긴급상황 발생으로 인한 외부 충격으로 인식하게 되고, 따라서 긴급상황을 알리는 내용과 단말기 위치정보 및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긴급구난 메시지를 생성하여 메시지 송신부(40)로 전달하게 되는데(스텝 S26), 이때 단말기 위치 정보는 긴급상황이 발생된 장소를 알리기 위한 정보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위치추적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내부 위치추적장치와 연동하여 단말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위치추적장치가 내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기지국 시스템과 연동하여 단말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긴급구난 처리부(30)로부터 긴급구난 메시지를 전달받은 메시지 송신부(40)에서는 긴급신고센터의 전화번호를 착신번으로 하여 해당되는 긴급구난 메시지를 기지국 시스템 측으로 송신함으로써 긴급신고센터에 단말기 사용자에게 긴급상황이 발생되었음을 통보하게 되는데(스텝 S27), 이때 메시지 송신부(40)에서 송신한 긴급구난 메시지는 기지국 시스템 및 이동통신 교환기를 통해 긴급신고센터로 전송되며, 긴급구난 메시지가 긴급신고센터에 정상적으로 도착되지 않은 경우 즉, 긴급신고센터로부터 응답신호를 받지 못한 경우에는 해당되는 긴급구난 메시지를 재송신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추락이나 교통사고 등과 같은 긴급상황 발생시를 설명하고 있으나, 단말기 사용자가 도둑이나 강도 또는 폭력배 등과 마주쳐 정상적인 의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직접 통화할 수 없는 경우에도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떨어뜨림으로써 위와 같은 방법으로 긴급상황을 통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충격을 감지할 수 있는 충격 감지부를 내장하여 긴급상황 발생으로 인한 외부 충격을 감지하고, 이러한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경우 해당되는 긴급구난 메시지를 긴급신고센터 측에 자동으로 전송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조작없이도 긴급신고센터에 긴급상황을 통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단말기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조작없이도 긴급신고센터에 긴급상황을 통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긴급상황 발생으로 인해 단말기 사용자가 정상적인 의식을 갖지 못한 경우 뿐 아니라 타의(도둑, 강도, 폭력배 등)에 의해 버튼 조작이나 긴급상황 설명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단말기 사용자에게 발생된 긴급상황을 긴급신고센터에 통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긴급상황 통보시에 긴급구난 메시지에 단말기 위치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함으로써, 긴급상황에 처한 단말기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신속한 긴급구난 처리가 가능해 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통보 장치를 도시한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통보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충격 감지부 20 : 주변환경 판단부
30 : 긴급구난 처리부 40 : 메시지 송신부

Claims (3)

  1.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되어, 단말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부와;
    상기 충격 감지부에 의해 충격이 감지된 경우 단말기에 가해진 충격이 긴급상황 발생으로 인한 외부 충격인지를 판단한 후, 긴급상황 발생으로 인한 외부 충격으로 판단되는 경우 대응하는 긴급구난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고, 단말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에서 진동모터를 구동시킨 경우나 폴더 덮개가 닫히는 것을 인식하였을 경우 상기 충격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충격을 내부 충격으로 판단하여 긴급상황 통보 기능을 종료하는 주변환경 판단부와;
    상기 주변환경 판단부로부터 긴급구난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긴급상황을 알리는 내용과 단말기 위치정보 및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긴급구난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달하되, 상기 긴급구난 메시지를 전달하기에 앞서 긴급신고센터로 긴급상황을 통보하겠다는 내용을 단말기에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경고음을 출력한 후, 특정시간 이내에 해제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긴급상황을 통보하지 않고 해당되는 긴급상황 통보 기능을 종료하는 긴급구난 처리부와;
    상기 긴급구난 처리부로부터 긴급구난 메시지가 전달되는 경우 긴급신고센터의 전화번호를 착신번으로 하여 긴급구난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기지국 시스템 및 이동통신 교환기를 통해 상기 긴급신고센터에 단말기 사용자에게 긴급상황이 발생되었음을 통보해 주는 메시지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통보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2-0062666A 2002-10-15 2002-10-15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통보 장치 KR100519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666A KR100519845B1 (ko) 2002-10-15 2002-10-15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통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666A KR100519845B1 (ko) 2002-10-15 2002-10-15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통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536A KR20040033536A (ko) 2004-04-28
KR100519845B1 true KR100519845B1 (ko) 2005-10-06

Family

ID=37332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666A KR100519845B1 (ko) 2002-10-15 2002-10-15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통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98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554A (ko) 2015-01-08 2016-07-18 이철우 비상버튼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530B1 (ko) * 2004-08-30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UWB(Ultra-Wideband) 신호를 이용한 긴급구조 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WO2006052102A1 (en) * 2004-11-11 2006-05-18 Sun-Tae Kwon A wireless terminal having information exchange facility, information exchag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wireless terminal
KR100712845B1 (ko) * 2004-12-01 200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 발신방법
KR101358354B1 (ko) * 2012-08-29 2014-02-06 김한석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KR101670018B1 (ko) * 2015-02-15 2016-10-27 주식회사 픽셀아이 차량 사고 감지 및 사고 처리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5326A (ko) * 1997-03-31 1998-11-16 박제혁 위급상황시 p.c.s 및 g.p.s를 이용하여 구난신호 발생 및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장치
KR20000030888A (ko) * 2000-03-24 2000-06-05 안명수 무선 구동 신호 발생 장치, 이를 이용한 자동 전화 발신기능이 있는 무선 단말 장치 및 자동 전화 걸기 방법
JP2000295370A (ja) * 1999-04-01 2000-10-20 Takayuki Miyaji 携帯電話及びphsを利用した振動検知型異常発令装置
JP2001308976A (ja) * 2000-04-17 2001-11-02 Kenwood Corp 通信端末および位置情報通知システム
JP2002152337A (ja) * 2000-11-15 2002-05-24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通信端末における緊急動作方法および携帯通信端末
KR20030005765A (ko) * 2001-07-10 2003-0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동다이얼링 기능이 있는 휴대단말기 및 그 휴대단말기를이용한 보안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5326A (ko) * 1997-03-31 1998-11-16 박제혁 위급상황시 p.c.s 및 g.p.s를 이용하여 구난신호 발생 및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장치
JP2000295370A (ja) * 1999-04-01 2000-10-20 Takayuki Miyaji 携帯電話及びphsを利用した振動検知型異常発令装置
KR20000030888A (ko) * 2000-03-24 2000-06-05 안명수 무선 구동 신호 발생 장치, 이를 이용한 자동 전화 발신기능이 있는 무선 단말 장치 및 자동 전화 걸기 방법
JP2001308976A (ja) * 2000-04-17 2001-11-02 Kenwood Corp 通信端末および位置情報通知システム
JP2002152337A (ja) * 2000-11-15 2002-05-24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通信端末における緊急動作方法および携帯通信端末
KR20030005765A (ko) * 2001-07-10 2003-0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동다이얼링 기능이 있는 휴대단말기 및 그 휴대단말기를이용한 보안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554A (ko) 2015-01-08 2016-07-18 이철우 비상버튼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536A (ko)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0799B2 (en) Enabling a person in distress to covertly communicate with an emergency response center
US20170085718A1 (en) Emergency communications system
US8175572B2 (en) Urgent call misappropriation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EP2518710A1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notifying of vehicle accidents
AU2007229260B2 (en) Method and appliance for communication between a large number of mobile stations and a fixed network underground
WO2006080967A2 (en) Triggering an emergency mode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thereof
KR20070077695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긴급상황 알림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US7715820B2 (en) Method for connecting a call in a mobile station during an emergency situation
JP2004153306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150011684A (ko) 모바일 단말의 긴급 호출 장치 및 긴급 호출 방법
KR1005198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통보 장치
US20110275343A1 (en) Wireless emergency breaker beacon for use with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s
JP4155374B2 (ja) 移動者安全確認装置
KR101358354B1 (ko)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JP2002152337A (ja) 携帯通信端末における緊急動作方法および携帯通信端末
US20090215426A1 (en) Personal security system and method
KR101251753B1 (ko) 휴대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0941655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화재감지 시스템
CN210377780U (zh) 紧急照护装置
KR20060030665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장치 및 방법
JP2007243571A (ja) 携帯電話端末装置および防犯連絡方法
KR20160116492A (ko) 긴급상황 알림 스마트폰 및 이를 이용한 택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KR19990081431A (ko) 차량사고 자동 전송장치
KR20040031836A (ko) 자동차용 화상 안전 시스템
JPH0360540A (ja) 構内呼出し情報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