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4786A - 긴급구조 호출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긴급구조 호출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4786A
KR20160064786A KR1020140168885A KR20140168885A KR20160064786A KR 20160064786 A KR20160064786 A KR 20160064786A KR 1020140168885 A KR1020140168885 A KR 1020140168885A KR 20140168885 A KR20140168885 A KR 20140168885A KR 20160064786 A KR20160064786 A KR 20160064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case
smartphone
signal
call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정
Original Assignee
이화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정 filed Critical 이화정
Priority to KR1020140168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4786A/ko
Publication of KR20160064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7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1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audio devices, e.g. headphones or MP3-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긴급한 상황에 처했을 때 스마트폰 케이스에 설치한 스위치를 조작하여 사용자 자신이 처한 긴급상황을 특정 단체, 경찰청 및 소방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에 모두에 긴급한 상황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긴급구조 호출버튼, 동영상 전송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스마트폰이 안착되는 안착홈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설치되어 스마트폰으로 긴급신호를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중 어느 한 통신 방식으로 긴급신호를 송출하는 호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을 긴급신호로 활성화시켜 스마트폰의 카메라와 마이크를 통해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습득하여 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한 호출버튼을 일정 시간 내에 복수로 터치하여 이를 통해 긴급신호를 발생시키므로 오작동에 의한 긴급신호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스마트폰으로 인가하는 신호 및 화면을 터치하는 정전용량을 통해 긴급한 상황에서 복수의 신호를 통해 보호자, 기관 등에 알리므로 더욱 정확하게 긴급신호를 송출할 수 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긴급구조 호출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Smartphone case with a call button for emergency rescue}
본 발명은 긴급구조 호출버튼, 동영상 전송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긴급한 상황에 처했을 때 스마트폰 케이스에 설치한 스위치를 조작하여 사용자 자신이 처한 긴급상황을 특정 단체, 경찰청 및 소방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에 모두에 긴급한 상황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긴급구조 호출버튼, 동영상 전송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가입자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는 요즘 가장 흔하게 주변에서 볼 수 있는 필수품으로써 인식하게 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들은 보다 좋은 성능을 가지며 다기능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출시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춰 통신 서비스업체에서는 보다 높은 수준의 통신 서비스 및 여러 부가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근래에 출시되는 통신서비스 중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지 추적을 통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사용자에 응급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이를 사용자가 휴대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자동 발신되어 응급기관 또는 경찰서 등의 사법기관에 구조를 요청하는 구조요청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서비스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내용이 대중에게 공개됨에 따라 실제 상황에서는 사용자의 비상신호를 발신 전 또는 후에 범죄자가 사용자의 단말기를 뺏고 파손해버려 구조신호가 더 이상 발생되지 않는 문제점과 경찰관이 사용자의 위험사항을 실제로 인지했다 하더라도 상황이 종료된 이후에나 현장에 도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산업계에서는 다양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7709호(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외 다수개의 문헌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사용자의 긴급 상황을 위한 긴급 구조키가 형성된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구조요청자 단말기로부터 긴급 상황 정보를 입력받아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구조자 단말기 간의 통화연결을 수행하고, 구조자단말기로부터 긴급상황 정보가 보안서버에 전달되며,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보안서버와 통화로 전환되도록 하고, 구조요청자 전화번호 및 단문메시지 정보를 구조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통신사 서버와; 통신사 서버를 통해 입력된 구조요청자 단말기의 구조 요청자 전화번호 및 단문메시지 정보를 입력받아 긴급 상황을 알리도록 하는 구조자단말기; 및 통신사 서버를 통해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일방향 수신 상태로 2차 비상연락처(경찰, 소방서)와 접속되어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통화할 수 있도록 한 보안서버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러나, 이동통신 가입자가 직접 음성통화를 진행할 수 없거나 하는 경우, 버튼 조작만을 통해 비상 연락처로 비상정보를 송출하여 사고 상황의 현장 상황을 알리도록 하는 비상 호출 처리방법이 시행되고 있지만, 이동통신 단말기의 잘못된 조작에 의해 자신도 모르게 원치 않는 상황에서 위급 상황이 잘못 전달되는 문제점이 많았다.
또한, 이동통신 가입자가 위급한 상황이 되었을 때 상대방으로부터 송신된 위급 신호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면, 구조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전혀 도움을 줄 수 없기 때문에 서비스의 신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새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사용자가 복수개의 버튼을 감압하는 경우에 구조요청 신호를 송출하기 때문에 긴급 상황 발생시 대다수의 사용자들이 당황하여 호출버튼을 정상적으로 작동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8364호 (2014.02.06. 공고)에서는 휴대폰에 결합하는 별도의 케이스를 구성하고, 케이스의 후면에 감압식 호출버튼을 설치하며, 상기 호출버튼의 조작에 의해 보호자 스마트폰, 기관서버로 긴급구조 신호를 전송하는 긴급호출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호출버튼의 터치감지부는 감압방식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를 감지하되,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생성한 터치신호를 긴급호출 전송부로 인가하고, 상기 터치 신호에 따른 감지는 감압감지부를 통해 터치를 감지한다.
상기 긴급호출 전송부는 호출버튼으로부터 터치신호 및 감압신호를 인가받은 경우, 기 설정된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보호자 스마트폰 및 기관서버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등록특허공보 제138364호는 케이스에 설치한 호출버튼의 경우, 사용자가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긴급신홀르 호출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호출버튼의 경우 감압식에 의한 신호를 인가받으므로 인하여 핸드백 또는 기타 가방 및 주머니 등에 담긴 물건들에 의해 호출버튼이 눌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호출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터치감지부에서는 이를 인식하여 긴급호출이 발생되도록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8364호 (2014.02.06. 공고)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인체에 흐르는 미세전류를 이용하여 호출버튼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호출버튼을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조작 신호가 인가되었을 때만 긴급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긴급구조 호출버튼, 동영상 전송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설치한 통신모듈(CDMA 모듈) 또는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긴급신호를 호출하고, 긴급신호의 호출시 사용자가 처한 상황에 따른 음성 및 영상을 같이 전송함은 물론 단문메시지 및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함께 송출하여 보호자 스마트폰, 웹 서버, 경찰 및 소방서를 포함하는 기관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구조 호출버튼, 동영상 전송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긴급상황이 발생하여 호출버튼을 눌렀을 때 스마트폰에 설치한 카메라 및 마이크를 통해 현재 상황에 따른 영상 및 음성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추후 이를 통해 사용자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개인용 블랙박스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긴급구조 호출버튼, 동영상 전송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긴급구조 호출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는 일측에 스마트폰이 안착되는 안착홈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설치되어 스마트폰으로 긴급신호를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중 어느 한 통신 방식으로 긴급신호를 송출하는 호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을 긴급신호로 활성화시켜 스마트폰의 카메라와 마이크를 통해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습득하여 이동통신사의 이동통신망을 통해 보호자 스마트폰, 경찰서 및 소방서를 포함하는 기관서버,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웹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호출부는 케이스의 일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긴급상황이 발생하였을 시에 일정 시간 내에 복수로 터치하는 호출버튼; 상기 호출버튼과 전기 연결되어 케이스의 일측 면에 설치되며, 상기 호출버튼의 신호를 인가받아 긴급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케이스이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인가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켜 긴급신호에 따른 영상 및 음성을 습득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스마트폰, 기관서버 및 웹서버로 인가되도록 긴급신호를 발신하는 신호발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호출부는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설치되어 절첩 가능하게 투명창을 갖는 덮개; 상기 덮개에 은폐시켜 설치하여 스마트폰으로 긴급신호를 송출하는 호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호출부는 덮개에 은폐시켜 설치되며 사용자가 긴급상황이 발생하였을 시에 일정 시간 내에 복수로 터치하는 호출버튼; 상기 호출버튼과 전기 연결되어 덮개에 설치되며 상기 호출버튼의 신호를 인가받아 긴급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덮개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인가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켜 긴급신호에 따른 영상 및 음성을 습득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스마트폰, 기관서버 및 웹서버로 인가되도록 긴급신호를 발신하는 신호발신부; 및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덮개에 설치되며 스마트폰의 화면에 정전용량을 가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긴급신호를 인가하는 정전용량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인체에 흐르는 미세전류를 이용하여 호출버튼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호출버튼을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조작 신호가 인가되었을 때만 긴급신호를 발생시키므로 긴급상황에 맞는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긴급상황이 발생하여 호출버튼을 눌렀을 때 스마트폰에 설치한 카메라 및 마이크를 통해 현재 상황에 따른 영상 및 음성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추후 이를 통해 사용자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개인용 블랙박스로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한 호출버튼을 일정 시간 내에 복수로 터치하여 이를 통해 긴급신호를 발생시키므로 오작동에 의한 긴급신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으로 인가하는 신호 및 화면을 터치하는 정전용량을 통해 긴급한 상황에서 복수의 신호를 통해 보호자, 기관 등에 알리므로 더욱 정확하게 긴급신호를 송출할 수 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긴급구조 호출버튼, 동영상 전송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4a는 도 3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4b는 도 4a의 정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한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긴급구조 호출버튼, 동영상 전송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긴급구조 호출버튼, 동영상 전송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 안착되는 안착홈(110)을 갖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0)의 일측에 설치되어 긴급신호를 발생하는 호출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스마트폰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버튼, 음량조절버튼, 카메라 및 충전어댑터를 사용자가 조작하거나 또는 촬영하거나 또는 충전을 행할 수 있도록 복수의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구멍은 통상의 스마트폰 케이스에서는 형성되는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호출부(200)는 케이스(100)의 후면에 긴급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호출버튼을 형성하고, 상기 호출버튼(210)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인가받아 스마트폰으로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220)를 구성하며, 상기 컨트롤러(220)에서 발생한 긴급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인가하는 신호발신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호출부(200)는 상기 케이스(100)의 뒷면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은 먼저, 스마트폰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케이스(100)의 일측에 설치한 호출부(200)의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지정하는 보호자의 스마트폰, 경찰서 및 소방서 등을 기관서버의 전화번호 및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웹서버로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상기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도록 설정한 상태에서 호출부(200)의 긴급신호가 인가되면,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스마트폰에 설치한 카메라 및 마이크를 통해 영상 및 음성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스마트폰에 먼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케이스 일측에 설치한 호출버튼(210)을 일정 시간 내에 복수로 터치하면, 상기 호출버튼(200)의 신호가 컨트롤러(220)로 인가되고, 상기 컨트롤러(220)로 인가된 신호에 의해 컨트롤러(220)에서는 신호발신부(230)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긴급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신호발신부(230)를 통해 송출하는 신호는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있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Wi-Fi) 중 어느 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긴급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통해 인가된 신호에 의해 스마트폰에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및 마이크를 활성화하여 사용자가 처한 상황에 대한 영상 및 음성(주변의 소리)을 습득하고, 이를 사용자가 설정한 보호자 스마트폰, 경찰 및 소방서를 포함하는 기관서버, 및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웹서버로 상기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스마트폰에서 전송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에도 저장한다.
상기 스마트폰에서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만 전송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위치한 위치정보, 즉 GPS 정보를 보호자 스마트폰, 경찰 및 소방서를 포함하는 기관서버, 웹서버로 인가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설치한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다른 스마트폰에서 긴급신호를 수신하였을 시에는 수신한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서 사용자에게 긴급신호에 따른 음성을 송출하여 긴급상황에 맞게 행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국한되어 구성되는 것은 아니며 도 3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결합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마트폰으로 긴급신호를 송출하는 호출부(2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스마트폰이 설치될 수 있도록 안착홈(110)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110)이 형성된 케이스의 반대 측에는 상기 호출부(200)가 착,탈 될 수 있도록 결합홈(121)을 가지며 결합돌기(120)를 형성한다.
상기 호출부(200)는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한 결합돌기(120)의 결합홈(12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호출부(200)는 긴급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일정 시간 내에 복수로 터치하는 호출버튼(210)과, 상기 호출버튼(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호출버튼(21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스마트폰으로 긴급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신호를 발진하는 컨트롤러(220)와, 상기 컨트롤러(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폰으로 긴급신호를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중 어느 한 통신방식을 통해 긴급신호를 송출하는 신호발신부(23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먼저,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긴급신호에 의해 활성화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지정한 보호자 스마트폰의 전화번호, 경찰서 또는 소방서를 포함하는 기관서버의 전화번호 또는 긴급전화번호,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웹서버의 전화번호 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설정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환경설정을 통해 지정전화번호 또는 URL을 설정한 후 케이스(100) 일측에 설치한 호출부(200)의 호출버튼(210)을 일정 시간 내에 복수로 터치하면, 상기 호출버튼(210)의 터치 신호가 컨트롤러(220)로 인가되고, 상기 컨트롤러(220)에서는 호출버튼(210)의 신호에 의해 사용자가 긴급한 상황에 처했다는 것으로 인식하여 긴급신호를 발진하여 상기 신호발신부(230)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긴급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긴급신호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중 어느 한 통신방식을 통해 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송출하고, 상기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중 어느 한 통신방식을 통해 신호를 인가받은 스마트폰은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한다.
상기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스마트폰에 설치된 카메라와 마이크가 활성화되어 카메라를 통해서는 사용자의 주변을 촬영하고, 마이크를 통해서는 사용자의 주변 음성(주변의 소리)을 습득한다.
상기 카메라와 마이크를 통해 습득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는 스마트폰의 CDMA모듈을 통해 이동통신망을 거쳐 보호자 스마트폰, 경찰서 및 소방서를 포함하는 기관서버 및 웹사이트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습득하거나 인가시에는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있는 영상전화 기능을 이용하여 영상과 음성에 대한 데이터를 습득하고,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관서버 또는 웹사이트로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송출할 시에는 URL에 접속하여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에서는 영상 및 음성에 대한 데이터만을 전송하는 것은 아니며,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있는 GPS모듈 또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활성화되어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GPS상의 좌표값을 송출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보호자, 경찰서 및 소방서에서는 기관에서는 사용자가 처한 긴급상황에 따른 영상 및 음성을 확인 및 사용자의 GPS 좌표값에 따른 위치를 파악하여 현장으로 바로 출동하여 긴급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3에 도시한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도 4a는 도 3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정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 일측에 안착되는 안착홈(110)을 갖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일면에 부착되어 절첩 가능하세 설치되는 덮개(130)와, 상기 덮개(130)에 설치되어 스마트폰으로 긴급신호를 인가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호출부(2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 키, 볼륨 키, 충전어댑터, 카메라가 위치한 부분에 대응되게 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구멍은 스마트폰이 설치되는 케이스에는 일반적으로 형성하는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덮개(130)는 케이스(100) 일면에 부착되어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덮개(130)를 덮은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화면 일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131)을 형성한다.
상기 호출부(200)는 상기 덮개(130)에 은폐시켜 설치되며 사용자가 긴급상황이 발생하였을 시에 일정 시간 내에 복수로 터치하는 호출버튼(210)과, 상기 호출버튼(210)과 전기 연결되어 덮개(130)에 설치되며 상기 호출버튼(210)의 신호를 인가받아 긴급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220)와, 상기 컨트롤러(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덮개(130)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220)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인가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켜 긴급신호에 따른 영상 및 음성을 습득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스마트폰, 기관서버 및 웹서버로 인가되도록 긴급신호를 발신하는 신호발신부(230)와, 상기 컨트롤러(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덮개(130)에 설치되며 스마트폰의 화면에 정전용량을 가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긴급신호를 인가하는 정전용량패드(240)를 포함한다.
상기 호출부(200)의 정전용량패드(240)를 통해 스마트폰의 화면에 정전용량이 용이하게 인가될 수 있도록 케이스에는 사용자의 손바닥에 밀착되어 접지되는 접지부(250)를 더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먼저, 스마트폰에 긴급신호에 활성화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시 사용자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전화번호 및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설정한다.
상기 전화번호는 보호자 스마트폰, 경찰서 및 소방서를 포함하는 기관서버의 전화번호를 설정한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웹서버의 전화번호는 또는 URL을 설정한다.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하는 애플리케이션의 환경을 설정한 후 사용자가 덮개(1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호출부(200)의 호출버튼(210)을 일정 시간 내에 복수로 터치하면, 상기 호출버튼(210)에서는 복수의 터치에 따른 신호를 컨트롤러(220)로 인가한다.
상기 컨트롤러(220)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컨트롤러(220)에서는 호출버튼(210)에 따른 긴급신호를 발신시켜 신호발신부(230)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긴급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스마트폰으로 송출되는 긴급신호에 의해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와 마이크를 활성화시켜 카메라를 통해서는 사용자의 주변상황을 촬영(사용자가 비추는 방향에 따라 영상촬영)하고, 마이크를 통해서는 음성(주변의 소리)을 습득한다.
상기 카메라와 마이크를 통해 습득한 영상과 음성을 스마트폰의 CDMA모듈을 통해 이동통신사의 이동통신망을 통해 보호자 스마트폰, 경찰서 및 소방서를 포함하는 기관서버, 웹서버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인가한다.
상기 보호자 스마트폰, 경찰서 및 소방서를 포함하는 기관서버, 웹서버로 인가하는 것은 영상 및 음성 데이터만을 인가하는 것은 아니며, 애플리케이션이 스마트폰의 GPS를 활성화시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GPS 좌표값을 송출한다.
상기 GPS 좌표값이 웹서버로 인가되면, 상기 웹서버에서는 사용자의 위치를 지도상으로 표시하여 이를 사용자를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인가되는 GPS 좌표값,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위치가 파악된 상태에서 영상 및 음성을 통해 주변의 상황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긴급상황에 처했는지를 파악한다,
상기 사용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보호자, 경찰 및 소방사는 긴급 상황에 맞게 대응할 수 있어 사용자가 처한 긴급상황을 빠르게 해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과 통신 가능하도록 케이스(100)에 호출부(200)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긴급한 상황에 처했을 때 호출버튼(210)을 터치하여 자신의 주변으로 긴급한 상황을 알려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므로 쉽게 긴급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케이스 110: 안착홈
120: 결합돌기 121: 결합홈
130: 덮개 131; 투명창
200: 호출부 210: 호출버튼
220: 컨트롤러 230: 신호발신부
240: 정전용량패드

Claims (5)

  1. 긴급구조 호출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있어서,
    일측에 스마트폰이 안착되는 안착홈(110)을 갖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일면에 설치되어 스마트폰으로 긴급신호를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중 어느 한 통신 방식으로 긴급신호를 송출하는 호출부(200);
    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을 긴급신호로 활성화시켜 스마트폰의 카메라와 마이크를 통해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습득하여 이동통신사의 이동통신망을 통해 보호자 스마트폰과, 경찰서 및 소방서를 포함하는 기관서버 및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웹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조 호출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부(200)는
    케이스(100)의 일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긴급상황이 발생하였을 시에 일정 시간 내에 복수로 터치하는 호출버튼(210);
    상기 호출버튼(210)과 전기 연결되어 케이스(100)의 일측 면에 설치되며, 상기 호출버튼(210)의 신호를 인가받아 긴급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220);
    상기 컨트롤러(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케이스(100)이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220)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인가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켜 긴급신호에 따른 영상 및 음성을 습득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보호자 스마트폰, 기관서버 및 웹서버로 인가되도록 긴급신호를 발신하는 신호발신부(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조 호출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부(200)는,
    상기 케이스(100)의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조 호출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케이스(100)의 일면에 설치되어 절첩 가능하게 투명창(131)을 갖는 덮개(130);
    상기 덮개(130)에 은폐시켜 설치하고 스마트폰으로 긴급신호를 송출하는 호출부(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조 호출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부(200)는,
    덮개(130)에 은폐시켜 설치되며 사용자가 긴급상황이 발생하였을 시에 일정 시간 내에 복수로 터치하는 호출버튼(210);
    상기 호출버튼(210)과 전기 연결되어 덮개(130)에 설치되며 상기 호출버튼(210)의 신호를 인가받아 긴급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220);
    상기 컨트롤러(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덮개(130)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220)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인가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켜 긴급신호에 따른 영상 및 음성을 습득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보호지 스마트폰, 기관서버 및 웹서버로 인가되도록 긴급신호를 발신하는 신호발신부(230);
    상기 컨트롤러(220)와 전기적으로 덮개(130)에 설치되며 스마트폰의 화면에 정전용량을 가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긴급신호를 인가하는 정전용량패드(2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조 호출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KR1020140168885A 2014-11-28 2014-11-28 긴급구조 호출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KR201600647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885A KR20160064786A (ko) 2014-11-28 2014-11-28 긴급구조 호출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885A KR20160064786A (ko) 2014-11-28 2014-11-28 긴급구조 호출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786A true KR20160064786A (ko) 2016-06-08

Family

ID=56193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885A KR20160064786A (ko) 2014-11-28 2014-11-28 긴급구조 호출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478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879A (ko) * 2017-09-22 2019-04-01 홍서준 Nfc모듈이 내장된 안전관리 장치
KR102491615B1 (ko) * 2022-09-08 2023-01-27 (주)패스넷 스마트폰 사용자의 긴급구조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364B1 (ko) 2008-06-26 2014-02-05 듀폰-미츠이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태양전지용 적층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태양전지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364B1 (ko) 2008-06-26 2014-02-05 듀폰-미츠이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태양전지용 적층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태양전지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879A (ko) * 2017-09-22 2019-04-01 홍서준 Nfc모듈이 내장된 안전관리 장치
KR102491615B1 (ko) * 2022-09-08 2023-01-27 (주)패스넷 스마트폰 사용자의 긴급구조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179B1 (ko)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US20160364197A1 (en) Method of sharing black box imag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nd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402960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긴급호출 오남용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243568B2 (en) Maintaining privacy with mobile computing devices
US20180192266A1 (en)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316007B1 (ko) 스마트폰의 이어폰잭 버튼을 이용한 긴급 호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472123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JP2006229884A (ja) 電話機
KR101792047B1 (ko) 스마트폰과 이어폰을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기능 제공 방법
CN106612370B (zh) 移动设备及其控制方法
US10404846B1 (en) Communication system
KR20160064786A (ko) 긴급구조 호출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EP3934217B1 (en) Reminding task processing method,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1650898B1 (ko) 스마트폰과 그 기능을 이용한 휴대 개인용 블랙박스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30032515A (ko) 스마트폰 인증을 이용한 긴급콜 서비스와 온오프라인뱅킹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567588B2 (en) Intelligent agent system including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226322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emergency call unit and method of making emergency call using the same
KR20160040939A (ko) 긴급 호출 버튼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818719B1 (ko) 안전대화 시스템
KR101703028B1 (ko) 긴급 호출 버튼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10586441B2 (en) Arrangement for triggering at least one alarm
KR101844244B1 (ko) 긴급 호출 버튼을 구비한 휴대 단말용 커버
JP6621144B2 (ja) 緊急通報受付システム、装置、ユーザ端末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116492A (ko) 긴급상황 알림 스마트폰 및 이를 이용한 택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US10742791B1 (en)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