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101B1 - 긴급 호출 버튼이 구비된 스마트폰 - Google Patents

긴급 호출 버튼이 구비된 스마트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101B1
KR101808101B1 KR1020150124135A KR20150124135A KR101808101B1 KR 101808101 B1 KR101808101 B1 KR 101808101B1 KR 1020150124135 A KR1020150124135 A KR 1020150124135A KR 20150124135 A KR20150124135 A KR 20150124135A KR 101808101 B1 KR101808101 B1 KR 101808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utton
camera module
smart phone
emergency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7476A (ko
Inventor
김한석
김성수
Original Assignee
김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석 filed Critical 김한석
Priority to KR1020150124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101B1/ko
Publication of KR20170027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04W4/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비상상황 발생 시에 사전 설정된 단말기 또는 관련 기관서버로 긴급호출을 수행하거나 사고현장에서 발생되는 음성 녹음 등에 활용될 수 있는 긴급 호출 버튼이 구비된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 기 설정된 보호자 단말기 또는 기관서버로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호출하기 위한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에 있어서, 카메라모듈(10)이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모듈(10)의 주변으로 복수 개의 감압스위치(112)가 배치되는 PCB(110)와; 상기 카메라모듈(10)이 관통되어 위치하도록 제1개구부(121)가 형성되어 상기 PCB(110)에 고정되는 버튼 브라켓(120)과; 상기 카메라모듈(10)이 광학적으로 투명하게 노출될 수 있도록 윈도우가 마련되어 상기 버튼 브라켓(120)과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상기 감압스위치(112)를 조작하게 되는 렌즈 브라켓(13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긴급 호출 버튼이 구비된 스마트폰{Smart phone having urgent call button}
본 발명은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비상상황 발생 시에 사전 설정된 단말기 또는 관련 기관서버로 긴급호출을 수행하거나 사고현장에서 발생되는 음성 녹음 등에 활용될 수 있는 긴급 호출 버튼이 구비된 스마트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가입자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는 요즘 가정 흔하게 주변에서 볼 수 있는 필수품으로써 인식하게 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들은 보다 좋은 성능을 가지며 다기능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출시하고 있으며, 이에 발 맞춰 통신 서비스 업체에서는 보다 높은 수준의 통신 서비스 및 여러 부가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근래에 출시되는 통신서비스 중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112앱(App)을 다운받은 후, 위급시 앱(App)을 실행시켜 경찰서 등의 기관에 구조를 요청하는 구조요청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서비스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이 적용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구조를 요청하기 위해서는 단말기를 가방이나 주머니에서 꺼내어 아이콘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스크린 화면을 3 내지 4회 이상 터치해야만 하기 때문에, 범인과 대치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전혀 사용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산업계에서 다양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등록특허공보 제10-0827709호(공고일자: 2008.05.07)외 다수개의 문헌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자의 등록특허공보 제10-1358354호(공고일자 : 2014.01.27) 및 등록특허공보 제10-1433179호(공고일자: 2014.08.18)에서는 긴급상황 발생 시에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긴급호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제안한 바가 있으며, 본 출원은 이를 개량하여 얻은 결과물을 청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27709호(공고일자: 2008.05.07)
등록특허공보 제10-1358354호(공고일자 : 2014.01.27)
등록특허공보 제10-1433179호(공고일자: 2014.08.18)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비상상황 발생 시에 사전 설정된 단말기 또는 관련 기관서버로 긴급호출을 수행하거나 사고현장에서 발생되는 음성 녹음 등에 활용될 수 있는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전송할 있는 긴급 호출 버튼이 구비된 스마트폰을 제고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은, 기 설정된 보호자 단말기 또는 기관서버로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호출하기 위한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에 있어서, 카메라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모듈의 주변으로 복수 개의 감압스위치가 배치되는 PCB와; 상기 카메라모듈이 관통되어 위치하도록 제1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PCB에 고정되는 버튼 브라켓과; 상기 카메라모듈이 광학적으로 투명하게 노출될 수 있도록 윈도우가 마련되어 상기 버튼 브라켓과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상기 감압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는 렌즈 브라켓;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 브라켓은 상기 감압스위치와 대응되어 하면에서 돌출 형성된 가압돌기를 더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 브라켓 하면에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에 삽입되어 상기 버튼 브라켓과 상기 렌즈 브라켓을 탄성 지지하게 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버튼 브라켓에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돌기에 고정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 브라켓은 전도성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은, PCB에 마련된 카메라모듈과 바로 인접하여 긴급호출 버튼을 마련하여 조작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작동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긴급호출 버튼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긴급호출 버튼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긴급호출 버튼의 작동예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긴급호출 버튼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긴급호출 버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폰(1)은 배면에 카메라모듈(10)이 마련되며, 카메라모듈(10)과 바로 인접하여 긴급호출 버튼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을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모듈이 구비된 태블릿PC(tablet PC)와 무선 통신기기 등의 휴대용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카메라모듈(10)은 PCB(110)에 장착되며, 카메라모듈(10) 주변으로 PCB(110)에는 복수 개의 감압스위치(112)가 배치되고 복수의 조립홀(111)이 형성되어 버튼 브라켓(120)이 조립된다.
버튼 브라켓(120)은 장방 형상으로써, 중앙에 카메라모듈(10)이 관통하여 위치하도록 제1개구부(121)가 형성되며, 테두리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122)가 마련된다. 고정돌기(122)는 PCB(110)에 마련된 조립홀(111)에 삽입되어 조립이 이루어지며, 이때 고정돌기(122)와 PCB(110)는 접착제 또는 납땜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고정돌기(122)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조립홀(111)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렌즈 브라켓(130)은 카메라모듈(10)이 광학적으로 투명하게 노출될 수 있도록 윈도우가 마련되어 상기 버튼 브라켓(120)과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상하 위치에 따라서 감압스위치(112)의 온/오프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버튼 브라켓(120)과 렌즈 브라켓(130)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마련되며, 탄성부재는 렌즈 브라켓(130)의 조작 시에 원위치로 복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작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렌즈 브라켓(130)은 제2개구부(13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감압스위치(112)를 가압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복수의 가압돌기(132)와, 각 코너의 하부에서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133)를 포함한다. 가이드돌기(133) 하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조립공(133b)이 형성된다.
버튼 브라켓(120)은 각 가이드돌기(133)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홀(133a)이 형성되며, 가이드홀(133a)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133)는 스프링(141)이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142)가 조립되어 렌즈 브라켓(130)은 버튼 브라켓(120) 상단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개구부(131)에는 유리 또는 아크릴 소재의 렌즈커버(134)가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렌즈 브라켓(130)은 전도성 소재로써, 인체감지센서로 기능하여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신호의 활성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압스위치(112)는 스마트폰에 마련된 터치감지부(미도시)에 의해 신호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감압스위치(112)의 가압신호와 함께 전도성의 렌즈 브라켓(130)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신체에 의한 전기전도도(저항) 변화를 검출하여 신호의 활성화가 이루어짐으로써 호출 버튼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다른 변형예로서, 렌즈 브라켓은 지문 인식이 가능한 지문 인식 모듈이 추가되어 신체적인 접촉과 함께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긴급 호출 신호의 활성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긴급호출 버튼의 작동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a)는 작동 전(오프 상태)을 보여주고 있으며, (b)는 작동(온 상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4의 (a)를 참고하면, 버튼 브라켓(120)과 렌즈 브라켓(130)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서 스프링(141)에 의해 탄성적으로 유지되며, 렌즈 브라켓(130)의 가이드돌기(133) 하단에는 나사(142)가 조립된다. 이때, 나사(142)의 머리와 PCB(110) 사이에는 일정 단차(d)를 갖게 되며, 이 단차 길이는 렌즈 브라켓(130)의 상하 가동 범위가 된다.
다음으로 도 4의 (b)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렌즈 브라켓(130) 어느 일부를 가압하게 되면, 스프링(141)이 압축되면서 렌즈 브라켓(130)이 내려가게 되고 렌즈 브라켓(130)의 가압돌기(132)가 같이 내려가면서 감압스위치(112)를 누르게 된다. 한편, 감압스위치(112)의 신호를 처리하게 되는 터치감지부(미도시)는 감압스위치(112)의 '온' 신호와 함께 렌즈 브라켓(130)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신체에 의한 전기전도도(저항) 변화를 함께 검출하여 신호를 활성화하게 되어 신체가 아닌 대상에 의해 버튼의 오동작을 예방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카메라모듈 110 : PCB
111 : 조립홀 112 : 감압스위치
120 : 버튼 브라켓 121 : 제1개구부
122 : 고정돌기 130 : 렌즈 브라켓
131 : 제2개구부 132 : 가압돌기
133 : 가이드돌기 141 : 스프링
142 : 나사

Claims (4)

  1. 기 설정된 보호자 단말기 또는 기관서버로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호출하기 위한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에 있어서,
    카메라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모듈의 주변으로 복수 개의 감압스위치가 배치되는 PCB와;
    상기 카메라모듈이 관통되어 위치하도록 "+" 모양의 제1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PCB에 고정되는 버튼 브라켓과;
    상기 카메라모듈이 광학적으로 투명하게 노출될 수 있도록 윈도우가 마련되어 상기 버튼 브라켓과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상기 감압스위치와 대응되어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압돌기를 구비하는 렌즈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렌즈 브라켓은 하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에 삽입되어 상기 버튼 브라켓과 상기 렌즈 브라켓을 탄성 지지하게 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버튼 브라켓에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돌기에 고정되는 가이드홀(133a);를 포함하는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브라켓은 전도성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KR1020150124135A 2015-09-02 2015-09-02 긴급 호출 버튼이 구비된 스마트폰 KR101808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135A KR101808101B1 (ko) 2015-09-02 2015-09-02 긴급 호출 버튼이 구비된 스마트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135A KR101808101B1 (ko) 2015-09-02 2015-09-02 긴급 호출 버튼이 구비된 스마트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476A KR20170027476A (ko) 2017-03-10
KR101808101B1 true KR101808101B1 (ko) 2017-12-14

Family

ID=58410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135A KR101808101B1 (ko) 2015-09-02 2015-09-02 긴급 호출 버튼이 구비된 스마트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1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189B1 (ko) 2018-03-07 2019-07-17 박상우 스마트 반지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
DE102018116096B4 (de) * 2018-07-03 2020-06-18 Claus Wystemp Notrufvorrichtung zum Anbringen an einem Gerät sowie Geräteanordnung mit einem Smartphone und einer solchen Notrufvorricht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354B1 (ko) * 2012-08-29 2014-02-06 김한석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709B1 (ko) 2007-01-30 2008-05-07 서오텔레콤(주)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433179B1 (ko) 2012-09-20 2014-08-27 김성수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354B1 (ko) * 2012-08-29 2014-02-06 김한석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476A (ko) 2017-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12021B (zh) 移动终端
US8754342B2 (en) Top push switch
US10306030B1 (en) Electronic device with screen protector
EP3975529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sealed biometric input system
JP2018160025A (ja) カバー
KR101808101B1 (ko) 긴급 호출 버튼이 구비된 스마트폰
US8744535B2 (en) Navigation tool holder
US20130162541A1 (en) Control key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0719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US20100175974A1 (en) Low profile multi-directional key unit structure
KR20140110607A (ko) 키버튼 어셈블리 및 그 운용 방법
US10545543B2 (en) Assembly for mounting touch sensor within device case
US20070151838A1 (en) Electronic device keypad
KR101114788B1 (ko) 이동 단말의 통화수행 방법 및 장치
US6504595B2 (en) LCD connection
KR101491504B1 (ko) 긴급 호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
JP4512606B2 (ja) バッファを備える携帯端末機
US8228313B2 (en) Keypad assembl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20150031968A (ko) 단말기
KR101703028B1 (ko) 긴급 호출 버튼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CN111953836B (zh) 侧键组件及终端设备
KR20140115195A (ko)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
CA2755092C (en) Navigation tool holder
CN212659462U (zh) 按键结构及电子设备
KR101149798B1 (ko) 휴대단말기용 사이드 키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