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189B1 - 스마트 반지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반지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189B1
KR102000189B1 KR1020180026949A KR20180026949A KR102000189B1 KR 102000189 B1 KR102000189 B1 KR 102000189B1 KR 1020180026949 A KR1020180026949 A KR 1020180026949A KR 20180026949 A KR20180026949 A KR 20180026949A KR 102000189 B1 KR102000189 B1 KR 102000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mart
information
morse code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우
Original Assignee
박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우 filed Critical 박상우
Priority to KR1020180026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053Finger-rings having special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04M1/725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스 신호를 이용하여 스마트 폰을 제어하여, 위기 상황을 외부로 알리거나 각종 사물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반지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모스 부호 발생부와 상기 모스 부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모스 부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부호 송신부를 가지며, 사용자가 착용하는 스마트 반지; 및, 상기 스마트 반지의 모스 부호를 수신하는 부호 수신부와, 상기 부호 수신부로 수신되는 모스 부호의 제어명령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와, 상기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정보에 따라 외부 기관에 긴급 구호를 요청하는 구호 요청부와, 상기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정보에 따라 IoT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IoT 제어부와, 상기 부호 수신부, 상기 정보 추출부, 상기 구호 요청부 및 상기 IoT 제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스마트 반지 연동 시스템;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마트 반지에서 입력되는 모스 부호가 상기 스마트 반지 연동 시스템이 탑재된 스마트 기기로 전송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반지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Smart device control system using smart ring}
본 발명은 스마트 반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스 신호를 이용하여 스마트 폰을 제어하여, 위기 상황을 외부로 알리거나 각종 사물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반지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은 대부분의 사람이 소지하고 있을 정도로 일반화된 개인 통신 장비중 하나이고, 사회적 분위기와 더불어 스마트 폰에서 동작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게임, 마케팅, 정보 제공 등과 같은 독자적 기능만으로도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발전하여 생활의 패러다임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으며, 외부 장치와 연동을 통하여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까지 그 범위가 제한 없이 확장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마트 폰외에도 스마트 워치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도 출시되고 있으며, 이들 스마트 기기들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시스템과 비상 호출 시스템이 탑재되어, 사용자가 긴급한 위기에 처했을 때 이를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함께 구난 정보를 외부 기관에 알려 신속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긴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기존의 스마트 기기들은 버튼을 눌러 경찰서, 지인, 사설 경비업체 등 스마트 기기 내부에 미리 설정된 구호 기관으로 긴급 신호를 발신하는 기능만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스마트 기기들은 사용자 휴대가 불편하며, 납치 등과 같은 긴급 상황에서는 사용자의 신체가 자유롭지 못하므로 스마트 기기를 다룰 수 없거나, 스마트 기기가 범죄자들에게 압류되면 실제로 사용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편, 모스 통신은 장점(-)과 단점 (·)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른바 모스 부호(morse code)를 사용해서 다양한 문자나 숫자를 표현하는 통신을 말한다. 모스 부호는 통상적으로 비상, 긴급, 조난시 여타(餘他)의 통신방법으로 교신이 불가능할 경우 가장 효율적인 통신 방법으로 사용되며, 혼신이나 잡음이 있는 불리한 조건에서도 다른 어떤 통신방법보다 훨씬 유리하다.
또한, 유비쿼터스 환경 구성을 위한 목적으로 새롭게 조명받고 있는 사물 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 기술은 인간의 간섭 없이 사물간 특정 정보의 교류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이를 가능하도록 하는 Bluetooth, RFID, NFC, Beacon등의 다양한 모듈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들을 응용 및 적용함으로서 인간에게 더욱 윤택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는 편리하면서도 경제적인 시스템이 실용화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7-0027476호(2017.03.10.공개, 긴급 호출 버튼이 구비된 스마트 폰) 한국공개특허 10-2006-0095804호(2006.09.04.공개, 모스 부호 발생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위급 상황 알림 방법)
본 발명은 모스 부호를 실생활 속에서 직접 이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 기기와 접목시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반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모스 부호를 이용하여 스마트 폰을 제어함으로써, 위기 상황을 외부로 신속히 알리거나 스마트 폰과 연동된 각종 IoT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반지를 이용한 스마트 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 반지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은, 모스 부호 발생부와 상기 모스 부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모스 부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부호 송신부를 가지며, 사용자가 착용하는 스마트 반지; 및, 상기 스마트 반지의 모스 부호를 수신하는 부호 수신부와, 상기 부호 수신부로 수신되는 모스 부호의 제어명령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와, 상기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정보에 따라 외부 기관에 긴급 구호를 요청하는 구호 요청부와, 상기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정보에 따라 IoT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IoT 제어부와, 상기 부호 수신부, 상기 정보 추출부, 상기 구호 요청부 및 상기 IoT 제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스마트 반지 연동 시스템;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마트 반지에서 입력되는 모스 부호가 상기 스마트 반지 연동 시스템이 탑재된 스마트 기기로 전송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 반지 연동 시스템이 탑재된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 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마트 반지 연동 시스템은 모스 부호의 제어명령을 설정하는 제어명령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마트 반지를 착용한 상태에서 스마트 폰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납치와 같은 긴급한 상황에서 납치범이 알 수 없는 상태에서 긴급 구호 신호를 외부로 보낼 수 있고, 스마트 폰이 압류된 상태에서도 스마트 폰을 제어하여 긴급 구호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스마트 반지의 간단한 조작으로 IoT 기능을 갖는 다양한 외부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 제어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인 스마트 반지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유사한 기능의 구성들을 구분하고자 표현한 것으로, 해당 구성에 대한 기술적인 의의가 사전적인 의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 제어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인 스마트 반지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지하여 스마트 폰 제어를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마트 반지(100)와, 상기 스마트 반지(1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해석하여 긴급 구호 기관(300)에 연락하거나 IoT 디바이스(400)를 구동시키는 스마트 폰(200)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반지(100)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반지로서 모스 부호를 발생시켜 스마트 폰으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한 스마트 반지(100)는 도 2와 같이, 모스 부호 발생부(110)와, 발생된 모스 부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부호 송신부(12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스마트 반지(100)는 손가락에 끼워 착용하는 통상의 반지 형상을 이루고, 장점(-)과 단점 (·)의 부호를 이용한 모스 통신모듈을 구비한다. 이를 위한 스마트 반지(100)는 모스 부호 발생부(110)와, 부호 송신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모스 부호 발생부(110)는 스마트 반지(100)의 외부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스마트 반지(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이용한 푸시 방식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는 버튼 구조로 구성된다. 일 예로, 사용자는 가운데 손가락에 스마트 반지를 착용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으로 버튼을 눌러 장점과 단점의 부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반지(100)는 사용자가 범죄자에게 납치 또는 감금되어 손발이 묶여 신체의 움직임이 억압된 상태에서도 손가락만으로 간단히 조작하여 모스 부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 반지(100)에 구비되는 모스 부호 발생부(110)는 손가락의 간단한 움직임만으로 부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범죄자가 함께 있는 경우에도 범죄자가 전혀 알 수 없는 상태에서 모스 부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부호 송신부(120)는 사용자에 의하여 발생된 모스 부호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통신 수단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블루투스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반지(100)는 진동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부호 송신부(120)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스마트 폰(200)과 통신이 이루어지므로, 스마트 폰이 통신 범위를 벗어나거나 전원이 오프 되는 경우 통신이 불가능해진다. 상기 진동부는 스마트 폰과 통신 가능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부호 송신부(120)의 감지에 따라 스마트 폰(200)이 통신 범위를 벗어나거나 전원이 오프 되는 경우 진동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스마트 반지(100)는 상기 모스 부호 발생부(110)와 부호 송신부(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전원부는 충전 가능한 소형 전지로 구성되거나, 빛 또는 신체의 열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여 저장하는 에너지 전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반지(100)에서 발생된 모스 부호가 사용자의 스마트 폰(200)으로 전송되고, 스마트 폰(200)은 모스 부호의 내용에 따라 긴급 구호 기관에 연락하거나, 각종 IoT 디바이스를 구동한다. 이때, 스마트 폰(200)에는 상기 스마트 반지(100)로부터 모스 부호를 수신 및 분석하며, 긴급 구호 기관에 연락하거나 IoT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스마트 반지 연동 시스템(200')이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스마트 폰(200)은 스마트 반지 연동 시스템(200')이 탑재되어 실행되는 스마트 기기의 한 종류이며, 스마트 폰 외에도 스마트 워치, 포터블 스마트 탭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반지 연동 시스템(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구호 기관(300)은 긴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를 구호하는 다양한 기관일 수 있으며, 경찰서, 학교, 소방서, 사설 경비업체, 지인 등 다양한 기관이나 사람을 포함한다. 구호 기관(300)은 스마트 폰(200)으로부터 긴급 구호 신호를 받은 경우 관련 기관들과 연계하여 구호 활동에 나서게 된다. 상기 스마트 폰(200)은 모스 부호에 따른 구호 정보와 함께 위치 정보를 함께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IoT 디바이스(400)는 IoT 기능이 내장된 각종 가정용 기기로 냉장고, 보일러, 난방기, 조명기 등을 포함하고, 이들은 서로 연동되어 홈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다수의 IoT 디바이스(400)들은 스마트 폰(200)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조명 장치, 난방 장치 등을 온오프시킨다. 스마트 폰(200)은 홈 네트워크에 연동되어 각 IoT 디바이스(400)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직접 IoT 디바이스(40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반지 연동 시스템(200')은 스마트 폰(200)과 같은 스마트 기기에 탑재되어 실행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반지(100)의 부호를 수신받는 부호 수신부(210), 수신된 부호를 분석하여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220), 긴급 구호를 요청하는 구호 요청부(230), 홈 네트워크를 통하여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제어부(240), 각종 모스 부호 정보, 제어 명령 정보, 구호 관련 정보, 홈 네트워크 정보, IoT 디바이스 정보 등이 저장 및 관리되는 DB부(270), 및 이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26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반지 연동 시스템(200')은 모스 부호에 대한 제어 명령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설정하는 제어명령 설정부(250)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부호 수신부(210)는 스마트 반지(100)로부터 전송되는 모스 부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스마트 반지(100)의 부호 송신부(120)에 대응하는 통신모듈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부호 수신부(210)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추출부(220)는 부호 수신부(210)로 수신되는 모스 부호를 분석하여 그 부호에 담긴 정보를 추출하는 구성이다. 상기 정보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긴급 구호 정보나 IoT 디바이스 구동 정보와 함께, 사용자에 의하여 임의로 설정된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에 의하여 임의로 설정되는 정보는 제어명령 설정부(250)에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구호 요청부(230)는 정보 추출부(220)에서 추출된 정보가 사용자의 긴급 구호를 요청하는 정보인 경우 구호 기관으로 구호 정보를 전송한다. 구호 요청부(230)는 정보 추출부(220)에서 추출된 정보에 따라, 경찰서, 소방서, 경비업체 등의 기관으로 구호를 요청한다. 구호 기관에 대한 정보는 DB부(270)에 저장되어 관리되고, 상기 구호 기관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임의로 설정된 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특정 모스 부호에 대해서는 임의로 설정한 가족, 친구, 선생님 등과 같은 지인(기관)에 구호를 요청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호 요청부(230)는 DB부(270)에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전화 걸기 기능이나 자동 SMS 전송 기능을 이용하여 구호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구호 요청부(230)는 스마트 폰에 탑재된 GPS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즉, 스마트 폰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상기 IoT 제어부(240)는 정보 추출부(220)에서 추출된 정보가 IoT 디바이스(400)의 구동을 요청하는 정보인 경우 해당 IoT 디바이스(400)의 온오프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IoT 디바이스 구동 정보는 홈 네트워트에서 일반적으로 제어되는 구동 정보와 함께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IoT 디바이스 구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어명령 설정부(250)를 통하여 임의의 모스 부호는 임의의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를 명령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명령 설정부(250)는 사용자의 전송하는 임의의 모스 부호에 대하여 특정 명령이 수행되도록 사용자가 직접 제어 명령을 설정하는 구성이다.
모스 부호는 신호의 장점(-)과 단점 (·)을 조합하여 다양한 전송하는 것이며, 일 예로, 세 개의 단점(…)은 알파벳 'S'를 의미하고, 세 개의 장점(---)은 알파벳 'O'를 의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모스 부호가 (…)(---)(…)와 같이 조합될 때, 'SOS'를 의미하여 긴급 구난 신호를 나타내므로, 이때, 스마트 반지로부터 모스 부호를 전송받은 스마트 폰(200)은 자동으로 112 또는 119 등으로 긴급 구호를 요청하게 된다.
한편, 모스 부호는 다양한 신호를 조합할 수 있으므로, 알파벳과 숫자 등을 조합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하기의 표와 같이 더욱 다양한 제어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구분 모스 부호 명령 설정 스마트 폰의 동작
1 A1 선생님에게 긴급구호 요청 입력된 선생님 전화번호로 전화(또는 SMS)를 걸어 긴급구호를 요청함
2 A2 친구에게 긴급구호 요청 입력된 친구 전화번호로 전화(또는 SMS)를 걸어 긴급구호를 요청함
3 A3 녹음(촬영) 및 전송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녹음(촬영)하여 특정인에게 전송
4 B1 안방 조명 오프 안방 조명 장치를 오프시킴
5 B2 거실 TV 온 거실 TV를 켬
6 B3 거실 난방 온 거실 난방 장치를 켬
상기 표 1과 같이 사용자는 모스 부호를 조합하여 특정 명령을 설정할 수 있고, 스마트 폰(200)은 스마트 반지(100)로부터 'A1'에 해당하는 모스 부호가 수신되는 경우, 선생님에게 자동으로 전화를 걸거나 SMS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긴급 상황에 처했음을 알린다. 또한, 스마트 폰(200)은 스마트 반지(100)로부터 'A3'에 해당하는 모스 부호가 수신되는 경우, 현장 상황을 자동으로 녹음(또는 촬영)하면서 실시간으로 특정인에게 녹음(또는 촬영)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여 긴급 상황을 외부에서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마트 폰(200)은 스마트 반지(100)로부터 'B2'에 해당하는 모스 부호가 수신되는 경우 거실에 있는 TV가 켜지도록 TV 디바이스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제어명령 설정부(250)를 통하여 긴급 상황에서 특정인에게 긴급 상황과 현장 정보를 알릴 수 있고, 특정 IoT 디바이스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자신에게 필요한 제어 명령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스마트 폰이나 별도의 컨트롤러를 직접 소지하지 않고서도 긴급 상황을 알리거나 IoT 디바이스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스마트 반지가 모스 부호로 정보를 생성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간단한 버튼 동작으로 부호를 조합할 수 있는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DB부(270)는 긴급 구호 기관의 정보, IoT 디바이스의 정보, 모스 부호에 따른 명령 정보 등의 정보를 저장하여, 요청에 따라 메인 컨트롤 유닛(260)에 제공한다.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260)은 부호 수신부(210), 정보 추출부(220), 구호 요청부(230), IoT 제어부(240), 제어명령 설정부(250) 및 DB부(270)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메인 컨트롤 유닛(260)은 스마트 반지(100)에서 수신되는 모스 부호에 따라 정보를 추출하여, 구호 요청부로 정보를 전송하여 긴급 구조를 요청하거나 IoT 제어부로 정보를 전송하여 IoT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스마트 반지
110 : 모스 부호 발생부 120 : 부호 송신부
200 : 스마트 폰 200' : 스마트 반지 연동 시스템
210 : 부호 수신부 220 : 정보 추출부
230 : 구호 요청부 240 : IoT 제어부
250 : 제어명령 설정부 260 : 메인 컨트롤 유닛
270 : DB부

Claims (4)

  1.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모스 부호를 발생하는 모스 부호 발생부와 상기 모스 부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모스 부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부호 송신부를 가지며, 사용자가 착용하는 스마트 반지; 및,
    상기 스마트 반지의 모스 부호를 수신하는 부호 수신부와, 상기 부호 수신부로 수신되는 모스 부호의 제어명령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와, 상기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정보에 따라 외부 기관에 긴급 구호를 요청하는 구호 요청부와, 상기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정보에 따라 IoT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IoT 제어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모스 부호의 제어명령을 설정하는 제어명령 설정부와, 상기 부호 수신부, 상기 정보 추출부, 상기 구호 요청부, 상기 IoT 제어부 및 상기 제어명령 설정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스마트 반지 연동 시스템;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마트 반지에서 입력되는 모스 부호가 상기 스마트 반지 연동 시스템이 탑재된 스마트 기기로 전송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반지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반지 연동 시스템이 탑재된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 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호 요청부는, 스마트 기기의 위치 정보를 외부 기관에 함께 전송하여 구호를 요청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
KR1020180026949A 2018-03-07 2018-03-07 스마트 반지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 KR102000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949A KR102000189B1 (ko) 2018-03-07 2018-03-07 스마트 반지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949A KR102000189B1 (ko) 2018-03-07 2018-03-07 스마트 반지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189B1 true KR102000189B1 (ko) 2019-07-17

Family

ID=6751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949A KR102000189B1 (ko) 2018-03-07 2018-03-07 스마트 반지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18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9425A (ko) * 2004-08-27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파송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60095804A (ko) 2005-02-28 2006-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스 부호 발생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위급 상황 알림 방법
KR20140122428A (ko) * 2013-04-10 2014-10-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광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70027476A (ko) 2015-09-02 2017-03-10 김한석 긴급 호출 버튼이 구비된 스마트폰
JP2017134818A (ja) * 2016-01-28 2017-08-03 中興保全股▲分▼有限公司 Sos機能付き入退室管理用スマートリストバンド及びそれを応用したスマート電気錠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9425A (ko) * 2004-08-27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파송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60095804A (ko) 2005-02-28 2006-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스 부호 발생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위급 상황 알림 방법
KR20140122428A (ko) * 2013-04-10 2014-10-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광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70027476A (ko) 2015-09-02 2017-03-10 김한석 긴급 호출 버튼이 구비된 스마트폰
JP2017134818A (ja) * 2016-01-28 2017-08-03 中興保全股▲分▼有限公司 Sos機能付き入退室管理用スマートリストバンド及びそれを応用したスマート電気錠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33668B (zh) 移动终端、通信终端、使用这些终端的所处位置通知系统以及所处位置通知方法
AU2009100650A4 (en) A personal safety device, system and process
WO2017018908A1 (ru) Способ тревожного оповещения об угрозе лич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этого способа
CN107077774A (zh) 脱离监视区域的远程管理系统及其方法
US20190287383A1 (en) Multi-Functional Personal Security System
CN109857282B (zh) 一种触控装置、智能终端及单兵系统
KR20140039580A (ko) 긴급 구난 요청 장치 및 방법
EP2698972B1 (en) An emergency alert device with mobile phone
KR102000189B1 (ko) 스마트 반지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
GB2518424A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EP1924069A1 (en) Tele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message
WO2018060965A1 (en) Low-power mobile telephony alert system
JP4819288B2 (ja) 発生電波制御システム、及び、無線端末装置
KR102571549B1 (ko) 대화형 고령자 방치 예방장치
KR101170733B1 (ko) 가청 주파수 대역 조절을 통한 위기상황 구조 요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 요청 제어 시스템
RU2604858C1 (ru) Способ тревожного оповещения об угрозе лич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этого способа
US20180082574A1 (en) Portable Wearable Primary Device which Communicates Data to Secondary Device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Multiple Networks and Related Communication Systems
CN201699789U (zh) 一种自动发出定位信息的手机装置
US9756454B1 (en) Portable wearable primary device which communciates data to secondary device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multiple networks and related communication systems
KR101468480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장치 및 시스템
CN110768691B (zh) 一种听障人士使用的智能腰佩终端及实现方法
EP1428192B1 (en) Security alarm
CN210804658U (zh) 一种听障人士使用的智能腰佩终端
KR101995127B1 (ko) 치매환자용 발찌를 이용한 외출판단 방법
US20210127243A1 (en) Portable Wearable Primary Device which Communicates Data to Secondary Device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Multiple Networks and Related Communica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