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480B1 -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480B1
KR101468480B1 KR1020130000572A KR20130000572A KR101468480B1 KR 101468480 B1 KR101468480 B1 KR 101468480B1 KR 1020130000572 A KR1020130000572 A KR 1020130000572A KR 20130000572 A KR20130000572 A KR 20130000572A KR 101468480 B1 KR101468480 B1 KR 101468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sis
smartphone
user
functio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8713A (ko
Inventor
이재훈
Original Assignee
(주)인지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지도 filed Critical (주)인지도
Priority to KR1020130000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480B1/ko
Publication of KR20140088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립(sleep) 모드 내지 잠금 모드 상태를 가장하여 스마트폰을 구동하면서 다양한 방식의 외부 위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활성 상태를 갖추어, 범죄자가 미처 눈치를 채지 못하도록 신속하고 기민하게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위기 상황 정보를 보호자나 지인에게 알릴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가상의 위장 화면을 제공하여 범죄자가 인식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전원 관리의 효율성 및 스마트폰의 다양한 인식 기능의 활성화를 추구함으로써 신속하고 안전한 위기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장치 및 시스템{APPARATUS AND SYSTEM FOR RECOGNIZING AND MANAGING EMERGENCY USING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장치 및 시스템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슬립(sleep) 모드 내지 잠금 모드 상태를 가장하여 스마트폰을 구동하면서 다양한 방식의 외부 위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활성 상태를 갖추어, 범죄자가 미처 눈치를 채지 못하도록 신속하고 기민하게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위기 상황 정보를 보호자나 지인에게 알릴 수 있는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통신기기는 이미 보편적으로 대개의 현대인이 소지하고 있는바, 가장 대표적인 것이 이동통신단말기(휴대폰)라 할 수 있고 현재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 중에서 스마트폰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기존 스마트폰은 개인정보 보호와 해킹방지를 위해 사용자가 일정시간 사용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잠기는 자동 잠금 기능과 배터리 소모를 방지하기 위한 자동 sleep 모드 전환의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자동 잠금 기능이나 자동 sleep 모드 전환은 보안 관리, 배터리 관리, 오작동 방지 측면에서 사용자에게 유익한 기능을 제공하나, 만일 스마트폰이 긴급 구조 요청, 자신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한 위기 상황 정보를 보호자나 지인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겸용할 때 즉각적인 SOS를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의 특허인 한국 특허 제 923121호, 제 995841호는 휴대용 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위기 상황 시에 휴대용 통신기기의 사용자가 보호자나 지인에게 위기 상황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바, 다시 말해 이러한 선행기술은 스마트폰을 포함한 휴대용 통신기기의 특정 스위치 등을 눌렀을 때 즉시 위치 정보를 포함한 위기 상황 정보를 기 등록된 보호자나 지인 등에 전송을 하여, 신속하게 위기 상황을 관리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하고 있다.
휴대용 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포함한 위기 상황 정보를 보호자 등에 전송하는 기술은 상기 언급한 기술 이외에도 다수 존재한다.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은 단거리 통신 기능, 즉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리더기를 탑재하고 있는바, 이러한 NFC는 디지털 거래를 위한 대금 지불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즉,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있는 NFC 칩(NFC 리더기)은 다른 NFC 지원 기기 또는 NFC 태그와 통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외부의 NFC 지원 기기와 양방향으로 작동해 정보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NFC 리더기는 스마트폰의 화면을 안테나로 사용(즉, 스마트폰의 화면이 켜져야 비로소 작동)하기 때문에 잠금 상태 또는 sleep 모드에서는 스마트폰의 NFC 리더기가 비활성화 되어 외부의 정보를 읽어들일 수 없기 때문에, 외부 NFC 리더기와 연동되는 스마트폰이 잠금 모드 내지 sleep 모드에 있을 때 일종의 위기상황 관리 장치로서 사용하는데 큰 문제가 따랐다.
더불어 이어폰, 블루투스 장치와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되는 스마트폰에서, 스마트폰의 이용자가 범죄 상황에 보다 기민하게 대응을 하기 위해 이어폰에 구비된 스위치를 누르는 방식과 같이 스마트폰과 연동된 외부 스위치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주로 GPS 정보)를 보호자에게 전송하는 경우 그 스위치가 연동되는 채널에 따라 스위치의 주도권 문제가 발생할 뿐 아니라, 역시 스마트폰의 sleep 모드 또는 자동 잠금 모드에서 이러한 스위치의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스위치의 주도권 문제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실제 이어폰에 구비된 스위치(볼륨 조절 버튼 등)를 위기상황 시 스마트폰을 통해 자신의 위치 정보를 지인 등에 전송할 수 있는 SOS 버튼으로 사용한다고 가정할 때, 음악관련 프로그램에서는 이러한 이어폰 스위치가 음악을 컨트롤하는 기능을 수행하나, 위기상황 시에서는 현재 위치를 보호자에게 전송하는 시그널로서 작용한다.
그런데, 만일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이어폰을 꽂아 스마트폰에 저장된 음악을 듣고 있는 상황에서 갑자기 위기 상황이 발생하여 이어폰의 스위치를 눌렀을 경우 우선권의 문제, 즉 음악을 컨트롤을 하는 신호를 스마트폰에 전송한 것인지, 아니면 위치 정보 송출을 위한 신호를 스마트폰에 전송한 것인지 신호 처리 방식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황에 따라 스마트폰의 신호 계통 체계를 제어할 수 있고 더불어 위기 상황 발생 시 위치 정보를 신속하게 원터치 방식으로 보호자에게 전송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이 자동 잠금 기능 내지 sleep 모드로 전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동 잠금 모드 내지 sleep 모드에서 스마트폰의 기능이 비활성 처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상의 위장 화면을 스마트폰 화면에 출력하면서 외부 신호 인식 대기 상태를 갖도록 하고, 다양한 외부 신호를 인식하여 이를 통해 위기 상황을 감지하고 보호자 내지 중앙관제센터에 위기 상황 정보를 송신하는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상의 위장 화면을 출력하는 조건을 사용자로 하여금 설정하여 배터리 관리를 추구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상의 위장 화면이 출력되는 동안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 인식 기능을 차단 처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가상의 위장 화면에 광고를 출력하여 수익성을 갖추되, 다양한 광고 노출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재미와 가상의 위장 화면 구동 상의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배터리 잔량 상태에 따라 가상 위장 화면의 사이즈를 감축 조절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배터리 관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장치는, 스마트폰에 구성되어 위기상황을 관리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장치로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거나 사용자가 휴대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와 연동되는 NFC 리더기; 외부 신호 인식 대기 상태를 인식하지 못하도록 위장하는 위장화면을 출력하는 구동 모듈; 상기 위장화면이 출력되었을 때 스마트폰의 GPS 기능과 NFC 리더기의 기능을 활성 처리하고, 상기 위장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NFC 태그가 스마트폰에 근접하였을 때 위기 발생 신호를 생성하는 외부 신호 인식 활성 모듈; 상기 위기 발생 신호에 따라 상기 GPS 기능을 통해 얻어지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기 상황 정보를 기 저장된 사용자의 보호자나 외부 중앙 관제 센터 중 하나에 전송하는 위기 상황 정보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시스템은 외부 신호 인식 대기 상태를 인식하지 못하도록 위장하는 위장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NFC 태그가 근접함에 따라 위치 정보와 위기상황을 알리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위기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스마트폰으로부터 위기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기 상황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위치를 지도상에 표기하여 기 설정된 보호자나 지인에게 위기상황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중앙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거나 사용자가 휴대하는 NFC 태그와; 외부 신호 인식 대기 상태를 인식하지 못하도록 위장하는 위장화면을 출력하면서 스마트폰의 GPS 기능과 NFC 리더기의 기능을 활성 처리하고, 상기 위장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NFC 태그가 스마트폰에 근접하였을 때 위치 정보와 위기상황을 알리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위기 상황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사용자 스마트폰에 구성된 위기상황 관리 장치와;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에 구성된 위기상황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위기 상황 정보를 수신하여 기 설정된 보호자나 지인에게 위기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중앙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1) 위장 화면을 구동하여 범죄자가 미처 인식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전원 관리의 효율성 및 스마트폰의 다양한 인식 기능의 활성화를 추구함으로 신속하고 안전한 위기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
2) 위장 화면이 출력되는 동안 선별적으로 스마트폰의 기능을 변환 내지 차단 처리함으로써 위기관리 상태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으며,
3) 위장 화면에 광고를 효율적으로 출력하여 범죄자에게 쉽사리 노출되지 않으면서 다양한 광고 출력을 도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배터리 잔량에 따라 위장 화면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배터리 관리의 효율성을 한층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기 상황 정보를 송신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상 스크린 세이버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창을 예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이 가상 스크린 세이버를 실행한 상태에서 다양한 신호 수신에 의하여 위기 상황 정보를 송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상 스크린 세이버를 통하여 광고 기능을 제공하는 상태를 예시한 개념도.
도 6은 배터리 잔량에 따라 가상 스크린 세이버의 사이즈를 감축 조절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기 상황 정보를 송신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스마트폰(10)에 앱(App) 또는 기본 프로그램 형태로 설치되어 스마트폰(10)의 화면 제어를 실행하고 외부 신호에 따라 위기 상황 정보를 보호자, 지인, 중앙 관제 서버(30) 등에 송신하는 위기 제어 플랫폼(20)과, 상기 위기 상황 정보를 송신하여 경로 추적, 등록된 보호자, 지인에게 위기 상황을 알리거나 경찰 출동을 요청하는 등의 위기관리를 수행하는 중앙 관제 서버(30)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스마트폰(10)의 화면 제어는 스마트폰(10)의 통신 기능 및 외부 신호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스마트폰(10)의 화면(디스플레이 패널)이 on 상태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전제를 가지고, 이를 위해 스마트폰(10)의 자동 잠금 모드, sleep 모드를 해제하고 화면을 on 상태(활성 상태)로 변환하는 기능이 필요한바,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가상 스크린 세이버(50)에 의하여 구현한다.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가상 스크린 세이버(50)는 현재 스마트폰(10)에 구비된 NFC 리더기, 모션 인식 센서 및 기타 다양한 구성에 의한 기능들이 자동 잠금 모드/sleep 모드에서는 비활성될 뿐 아니라 화면이 on 상태가 되어야 비로소 상술한 기능이 활성이 된다는 점을 인식하여, 스마트폰(10)의 화면을 on 상태로 활성 처리함과 동시에 이에 따라 위기 상황에서 스마트폰 사용자가 취할 수 있는 각종 외부 신호를 인식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가상 스크린 세이버(50)는 범죄자가 미처 눈치를 채지 못하도록 스마트폰(10)의 화면을 sleep 모드/잠금 모드에서와 같이 어두운 상태로 표시하되, 화면 구동 여부는 on 상태로 실행하면서 외부 자극을 인식할 수 있는 준비를 갖추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범죄자의 인식을 피하면서 위기 상황을 인식하여 위기 상황 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10)의 기능을 활성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가상 스크린 세이버(50)를 스마트폰(10)에 구동시킨 상태에서 자동 잠금 및 sleep 모드를 해제하여 외부 자극을 인식할 수 있는 준비를 갖추고, 실제 위기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사용자가 취하는 행동, 즉 외부 상황(이를 본 발명에서는 '외부 신호'라고도 한다)을 인식하여 위기 상황 정보를 보호자, 지인, 중앙 관제 센터(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기본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가상 스크린 세이버(50)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가상 스크린 세이버 관리 모듈(110), 스마트폰(10)의 화면에 가상 스크린 세이버(50)를 구동하는 가상 스크린 세이버 구동 모듈(120), 상기 가상 스크린 세이버(50)가 실행되었을 때 다양한 외부 신호를 인식할 수 있는 대기 상태를 갖도록 하는 외부 신호 인식 활성 모듈(130), 실제 위기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사용자가 입력한 외부 신호를 인식하여 위기 상황 정보를 중앙 관제 서버(30) 등에 송신하는 위기 상황 정보 송신모듈(140)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가상 스크린 세이버(50)를 통해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는 광고 실행 모듈(150)과 가상 스크린 세이버(50)가 구동됨으로 소모되는 배터리(전원)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전원 관리 모듈(160)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외부 신호의 종류에 따라 가상 스크린 세이버(50)를 구동한 스마트폰(10)에서 이러한 외부 신호를 인식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구비할 수 있는바, 이하 이러한 각각의 실시예에 따라 구비되는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상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스크린 세이버 관리 모듈(110)은 스마트폰(10)의 화면에 가상 스크린 세이버(50)를 구동하는 조건을 설정함과 아울러 해당 조건에 따라 구동 여부를 결정하고 가상 스크린 세이버(50)의 밝기, 색상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가상 스크린 세이버 관리 모듈(110)은 구동 조건 설정부(111), 위치정보 송신 조건 설정부(112), 스크린 제어부(11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가상 스크린 세이버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창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구동 조건 설정부(111)는 스마트폰(10)의 화면에 가상 스크린 세이버(50)를 구동하기 위한 조건을 제어 창(114)을 매개로 사용자에게 결정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는 가상 스크린 세이버(50)가 항시 on 상태에 있게 되면 불필요하게 배터리가 소모될 수 있기 때문에 가상 스크린 세이버(50)가 실행되는 조건, 즉 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구동 조건 설정부(111)는 가상 스크린 세이버(50)가 ON(활성)이 되는 시간대를 등록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퇴근 시간대, 저녁 8-10시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 시간대를 입력하면 이 입력된 시간대에서 자동으로 가상 스크린 세이버 구동 모듈(120)을 통하여 가상 스크린 세이버(50)를 구동하고 설정된 시간이 종료되면 가상 스크린 세이버(50)의 활성 상태를 비활성 상태로 변환한다.
이러한 구동 시간 설정 기능은 하루 기준 1회 뿐 아니라, 2회(예를 들어 오전 8-9시, 오후 8-10시)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러한 기능은 스마트폰(10)이 마치 항시 통신 기능이 on 상태로 설정된 것과 같이 자동 잠금 모드, sleep 모드에서도 실행될 수 있도록 스마트폰 제어를 수행한다는 전제가 따른다.
도 3에 도시된 제어 창(114)은 위기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자를 등록하고, 스마트폰(10)에 연결되는 장치(즉, 신호 발생 장치)를 등록하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이 중에서, 구동 조건 설정부(111)는 이어폰(71), 블루투스(72), NFC 태그(60)로 대별될 수 있는 외부 신호 발생 장치를 등록하여 스마트폰(10)에서 이러한 외부 신호 발생 장치를 인식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 정보 송신 조건 설정부(112)는 상기 가상 스크린 세이버(50)가 활성 처리되었을 때 주기적으로 후술할 번호 지정부(144)에 의해 스마트폰(10)에 등록이 된 보호자, 지인, 중앙 관제 센터(30)중 어느 하나 이상에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송신할지 여부, 송신 시 송신 주기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위기 상황이 발생하여 외부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위기 상황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기본 기능으로 하되, 위기 상황이 발생하지 않아도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보호자 등에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초등학생과 같은 어린이의 동선 내지 위치 이동 상황을 부모에게 알리거나, 성인 여성이 부모님 또는 애인에게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여 퇴근길, 하교 길과 같이 사용자의 위치가 변경/이동되는 시간에 보호자가 이를 관찰하거나 보호대기 상태를 갖추는 것이 가능하다.
스크린 제어부(113)는 가상 스크린 세이버(50)의 밝기, 채도, 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바, 기본적으로는 블랙 화면(black screen), 즉 최대한 어두운 상태로 가상 스크린 세이버(50)를 설정하여 범죄자가 스마트폰(10)이 마치 꺼져 있거나 sleep 모드인 것처럼 보이도록 하되, 상기 스크린 제어부(113)에 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가상 스크린 세이버(50)의 색상, 밝기 등을 개인 취향에 맞추어 조절하거나 동일한 블랙 색상이라도 채도 등을 디테일하게 조절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가상 스크린 세이버 관리 모듈(110)은 가상 스크린 세이버(50)의 구동 조건(시간대) 내지 밝기 등을 조절하여 기본적인 배터리 소모 관리를 실행하도록 하고, 추가적으로 가상 스크린 세이버(50)가 활성화되었을 때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보호자 등에게 전송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가상 스크린 세이버 구동 모듈(120)은 상기 가상 스크린 세이버 관리 모듈(110)의 제어 조건에 따라 스마트폰(10)의 화면에 가상 스크린 세이버(50)를 구동(활성화, on 상태 전환이 같은 의미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구동부(121)와 터치 기능 제어부(122)를 구비한다.
구동부(121)는 상기 가상 스크린 세이버 관리 모듈(110)에서 설정한 구동 조건에 따라 가상 스크린 세이버(50)를 스마트폰(10)의 화면에 출력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가상 스크린 세이버(50)가 화면에 출력되었다는 의미는 스마트폰(10)의 자동 잠금 모드 내지 sleep 모드를 해제하고 스마트폰(10)의 다른 인식 기능을 활성 처리할 수 있는 준비를 갖추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구비된 NFC 리더기의 경우 스마트폰의 화면 실행을 NFC 리더기의 안테나 기능의 ON 상태로 인식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바, 가상 스크린 세이버(50)가 ON이 되면서 비로소 NFC 리더기 역시 ON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상 스크린 세이버(50)를 스마트폰(10)의 화면에 출력하여 외부적으로는 스마트폰(10)이 잠금 상태에 있는 것처럼 위장을 하면서 실제 스마트폰(10)의 잠금 모드 내지 sleep 모드를 해제하여 외부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대기 상태를 갖추도록 하는 것이다.
터치 기능 제어부(122)는 가상 스크린 세이버(50)가 스마트폰(50)의 화면에 출력되었을 때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스마트폰(10)의 화면의 터치 인식 기능을 한정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서, 이는 주머니, 보호 케이스 내에 수용된 스마트폰(10)의 화면이 잘못 눌려짐으로 오작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터치 기능 제어부(122)는 가상 스크린 세이버(50)가 활성화되면서 자동으로 잠금 모드 내지 sleep 모드를 해제하되, 터치스크린 인식 기능은 비활성 처리하여 가상 스크린 세이버(50)가 화면에 출력되는 동안 가상 스크린 세이버(50)가 출력되는 화면을 터치해도 해당 터치를 인식하지 못하도록 강제적으로 터치스크린 구동을 비활성 제어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가상 스크린 세이버(50)가 활성이 되어도 터치스크린을 오작동 등에 의해 터치하여도 가상 스크린 세이버(50)의 출력이 중단되거나 다른 화면으로 넘어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가상 스크린 세이버(50)가 on 상태에 있는 동안 사용자가 스마트(10)폰을 활용할 때에는 스마트폰(10)의 조작 버튼(on/off 버튼 또는 홈 버튼)을 눌렀을 때에만 가상 스크린 세이버(50)의 출력이 중단되면서 터치스크린의 인식 기능이 활성 처리되도록 하고 일정 시간 스마트폰(10)의 조작이 없어 다시금 sleep 모드로 전환이 될 때 재차 가상 스크린 세이버(50)를 출력하여 터치 기능을 비활성 처리하도록 한다.
이러한 가상 스크린 세이버 구동 모듈(120)을 통하여, 가상 스크린 세이버(50)라는 위장 화면을 통해 범죄자가 스마트폰(10)의 외부 신호 인식 대기 상태를 인식하지 못하도록 하면서 외부 신호는 인식할 수 있는 대기 상태를 갖추도록 하고, 더불어 불필요한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외부 신호 인식 활성 모듈(130)은 상기 가상 스크린 세이버(50)가 구동된 상태에서 스마트폰(10)의 특정 기능을 활성 처리하여 외부 신호를 선별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대기 상태를 갖추도록 하는 것으로서, 외부 신호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대응 구성을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대응 구성의 종류와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이 가상 스크린 세이버를 실행한 상태에서 다양한 신호 수신에 의하여 위기 상황 정보를 송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외부 신호 인식 활성 모듈(130)은 후술할 모든 실시예에 공통적으로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GPS 활성부(131)를 구비한다.
GPS 활성부(131)는 가상 스크린 세이버(50)가 활성 처리되었을 때 스마트폰(10)의 GPS 기능(위치 인식 기능, 위치 정보 수집 기능)을 활성 처리하여, 위치 정보를 포함한 위기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준비를 갖추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위기상황을 인식하도록 하는 외부 신호는 크게 4가지에 의해 발생되고 이에 따른 스마트폰의 외부 신호 인식 구성 및 기능 역시 4가지로 구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외부 신호 인식 활성 모듈(130)에 대한 제 1 실시예는 NFC 활성부(132)를 구비하는바, NFC 활성부(132)는 NFC 칩 또는 NFC 리더기를 구비한 스마트폰(10)에서 가상 스크린 세이버(50)가 활성 처리되었을 때 NFC 기능을 활성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마트폰(10)의 NFC 리더기는 외부의 NFC 태그(60)의 근접에 의하여 외부 신호를 입력받는 기능을 하는바, 본 발명에서의 NFC 태그(60)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거나 특정 장소에 소지되는 것으로서, 반지, 목걸이, 팔찌, 벨트, 헤어핀, 시계, 단추, 기타 악세사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옷핀을 구비한 악세사리 형태로 NFC 태그(60)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의복 복부 부위에 장착하였을 때, 스마트폰(10)을 사용자의 복부 부위에 장착된 상기 NFC 태그(60)에 근접시키면 스마트폰(10)의 NFC 리더기는 NFC 태그(60)에서 전송한 신호를 인식하여 위기 상황임을 파악하게 된다.
즉, 외부 신호 인식 활성 모듈(130)의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장착될 수 있는 소형 사이즈로 이루어진 NFC 태그(60)와 스마트폰에 구비된 NFC 리더기의 상호 근접 통신에 의하여 NFC 활성부(132)에서 위기 상황임을 인식할 수 있고 위기 상황에 대한 인식과 동시에 위기 상황 발생 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외부 신호 인식 활성 모듈(130)에 대한 제 2 실시예는 신호 발생기(70)와 연동이 되어 위기 상황을 인식하는 것으로서, 장치 인식 활성부(133)와 스위치 기능 변환부(1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신호 발생기(70)라 함은 무선 통신 내지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스마트폰(10)과 연결이 될 수 있는 장치로서, 대표적으로 블루투스(72)와 이어폰(71)이 있다 할 것이다.
다시 말해, 블루투스(72) 내지 이어폰(71)의 조작에 의하여 외부 신호를 발생시키면 장치 인식 활성부(133)는 이러한 블루투스(72) 내지 이어폰(71)의 신호를 인식하여 위기 상황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불어, 스위치 기능 변환부(134)는 상기 신호 발생기(70)에 구비된 스위치의 조작에 대한 기능 변환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술한 가상 스크린 세이버 관리 모듈(110)에서 제공하는 제어 창(114)을 통하여 스위치의 기능을 변환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스위치 기능 변환부(134)는 상기 신호 발생기(70)에 구비된 특정 스위치(이어폰의 볼륨 조절 버튼, 블루투스의 기능 설정 버튼 등)의 조작을 설정한 다음, 해당 스위치의 설정된 조작이 있을 경우 해당 스위치의 기본 기능을 차단하고 우선적으로 위기 상황 발생 신호 생성으로 인식하도록 스마트폰(100)의 인식 기능 내지 스위치의 신호 계통 처리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10)에 이어폰(71)이 유선 연결되어 있을 때 제어 창(114)에서 이어폰(71)의 스위치 기능을 재설정한 다음 이어폰(71)의 볼륨 조절 스위치를 위기 상황 발생 신호 생성용 스위치로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 제어 창(114)에서는 이어폰(71)의 볼륨 조절 스위치를 누를 경우 스위치 기능 변환부(134)에 의하여 볼륨 조절 기능을 차단한 상태로서 위기 상황 발생 신호를 스마트폰(10)에서 인식하도록 하며, 더 나아가 볼륨 조절 스위치의 특수 조작(1초 간 스위치를 누를 때, 3번 연속으로 누를 때)이 있을 때 이를 위기 상황 발생으로 인식하도록 제어 창(114)을 통해 스위치의 특정 조작에 대해서 설정/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이어폰(71)의 이러한 스위치 조작이 있게 되면, 장치 인식 활성부(133)는 이 신호를 전달받아 위기 상황 발생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신체에 착용한 이어폰(71)과 블루투스(70) 같은 신호 발생기(70)의 조작을 제어하여 범죄자가 눈치를 채지 못하도록 신속하고 자연스럽게 위기 상황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스마트폰(10)에서 인식하도록 한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외부 신호 인식 활성 모듈(130)에 대한 제 3 실시예는 외부 신호 인식 활성 모듈(130)이 기준 음성 설정부(135)와 음성 인식 활성부(136)를 구비하는 것이다.
음성 인식 활성부(136)는 스마트폰(10)의 마이크(80) 및 음성 인식 센서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활성 처리하는 것이고, 기준 음성 설정부(135)는 위기 상황에 해당하는 특정 음성(기준 음성)을 사용자로 하여금 녹음을 통해 설정 및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특정 데시벨(db) 이상의 소리가 들렸을 때 이를 위기 상황 발생에 해당하는 음성으로 인식을 하거나 언어 인식/분석 프로그램을 추가로 구비하여 특정 음성(단어, 소리)이 들렸을 때 이를 분석하여 기준 음성 설정부(135)에서 설정한 기준 음성과의 비교를 통하여 기준 음성과 사용자에 의해 발생한 음성 내지 외부 음성이 일치하였을 때, 음성 활성 인식부(136)에서 위기 상황 발생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 3 실시예는 음성 인식 기능에 의하여 위기 상황을 판단하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위기 상황에서 납치를 당할 때 자연스럽게 외치는 음성을 매개로 위기 상황을 인식하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고 재빠르게 위기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위기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외부 신호 인식 활성 모듈(130)에 대한 제 4 실시예는 외부 상황 인식 모듈(130)이 기준 모션 설정부(137)와 모션 인식 활성부(138)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 4 실시예는 사용자의 특정 모션(motion)을 기준 모션 설정부(137)를 통해 기준 모션으로 설정 및 저장하여, 모션 인식 활성부(138)를 통해 모션 인식 센서(90)를 활성 처리한 다음 사용자로부터 특정 모션이 입력되었을 때 이를 기준 모션과 비교 처리하여 상호 일치할 경우 위기 상황 발생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스마트폰(10)에 구비된 모션 인식 센서(90)는 각속도 센서, 근접 센서, 카메라와 같은 것이 존재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기준 모션으로서 낙상 모션, 손을 3회 흔드는 모션, 손바닥과 같은 신체 부위를 스마트폰(10)에 근접시킨 모션과 같은 것이 존재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러한 기준 모션을 실행하여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 설정 및 저장한다.
이 경우, 모션 인식 활성부(138)는 사용자의 낙상 여부, 손을 3번 흔들었는지 여부, 손바닥을 스마트폰(10)에 근접시켰는지 여부를 이러한 모션 인식 센서(90)를 매개로 인식하여 이를 기준 모션과 비교한 다음 위기 상황 발생 신호를 생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 4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위기 상황에 처해 있을 때 미리 준비된 특정 모션, 즉 기준 모션을 취하여 스마트폰(10)에서 위기 상황임을 인식하도록 하여 범죄자가 인식을 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보다 자연스럽게 위기 상황임을 알리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기상황 정보 송신 모듈(140)은 상기 외부 신호 인식 활성 모듈(130)에서 생성한 위기 상황 발생 정보를 전송받았을 때, 스마트폰(10)의 통신부(141)를 통해 중앙관제서버(30)를 매개로 하거나 직접적으로 주변 사람(보호자, 지인)의 이동통신단말기에 구조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공되는 위기 상황 정보 송신모듈(140)은 구체적으로 통신부(141), 위기 상황 정보 생성부(142), 송신부(143) 및 번호 지정부(144)를 포함한다.
통신부(141)는 스마트폰(10)이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 때 사용되는 통신 수단은 와이파이, 3G 통신, LTE 통신과 같은 것이 존재한다.
위기 상황 정보 생성부(142)는 상기 외부 신호 인식 활성 모듈(130)에서 위기 상황 발생 정보가 전송되었을 때 상기 GPS 활성부(131)에서 생성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록한 일명 '위기 상황 정보'를 생성한다.
즉, 위기 상황 정보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위기 발생 정보(위기상황을 알리는 메시지 내지 신호)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미리 저장된 특정 메시지(SOS 요청)를 포함하도록 한다.
송신부(143)는 상기 통신부(141)를 통해 중앙 관제 서버(30)에 상기 구조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중앙 관제 서버(30)라 함은 위기 제어 플랫폼(20)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10)과 무선 통신을 매개로 연동되어 있는 것으로, 전반적인 위기 관리 관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관공서 서버 내지 사설 위기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와 같은 형태로 존재하여 경찰 출동, 구조요원 파견 등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중앙 관제 서버(30)는 상기 위기 상황 정보를 수신할 경우 경찰서 등과 연계하여 구조 요청 지역에 경찰관을 파견하거나 후술하겠지만 사용자의 지인의 이동통신단말기로 구조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관제 서버(30)는 수신된 위기 상황 정보의 사용자 위치를 지도 상에 표기하여 사용자의 보호자나 지인에게 전달할 수 있다.
번호 지정부(144)는 스마트폰(10)의 키패드, 조작키를 통하여 상기 제어 창(114)을 통해 사용자의 보호자 내지 지인(부모, 친구, 애인, 가족 등)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번호를 지정 및 저장하고 상기 통신부(141)를 통해 지인의 이동통신단말기 번호를 송신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위기 상황 정보 송신 모듈(140)은, 위기 상황 정보가 중앙 관제 서버(30)에 전송되었을 때 중앙 관제 서버가 사용자의 지인(보호자 등)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이 위기 상황 정보를 송신 처리하여 사용자의 지인이 위기 대처 행동을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거나, 아니면 중앙 관제 서버(30)를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지인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위기 상황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써, 사용자에게 위기 상황이 발생하여 위기 상황 정보를 지인, 보호자 등에게 송신함으로써 신속하게 지인 또는 관공 기관의 도움을 요청하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상 스크린 세이버를 통하여 광고 기능을 제공하는 상태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앞서 말하였듯이 본 발명의 가상 스크린 세이버(50)는 가급적 sleep 모드에서와 같이 스마트폰(10)의 화면을 어두운 상태(예를 들어, black color)로 설정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나 상기 스크린 제어부(113)에 의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색상, 밝기를 변경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러한 가상 스크린 세이버(50) 상에 컨텐츠를 표시할 수도 있다.
즉, 가상 스크린 세이버(50)가 출력되는 동안에 이 가상 스크린 세이버(50) 상에 위기 발생 시 대처해야 하는 사용자의 행동 강령과 같은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고, 컨텐츠의 밝기와 크기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범죄자에게 크게 눈에 띠지 않도록 하면서도 기타 다양한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광고 실행 모듈(150)은 이러한 가상 스크린 세이버(50)에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광고 실행 모듈(150)에서 광고 데이터베이스(151)를 구비하여 광고 데이터베이스(151) 상에 저장된 광고 컨텐츠를 가상 스크린 세이버(50)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광고 데이터베이스(151)는 통신 기능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것이 가능하고, 미리 사용자의 연령대, 취미, 특성을 설문 조사 방식 등에 의하여 미리 파악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타깃(target) 광고를 출력 및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광고 실행 모듈(150)은 가상 스크린 세이버(50) 상에 출력되는 광고 컨텐츠를 터치하였을 때 하이퍼링크 방식으로 해당 광고 사이트 내지 모바일 페이지로 이동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오작동으로 광고 컨텐츠가 출력되었을 경우에 가상 스크린 세이버(50)가 비활성되어 스마트폰(10)의 화면에 광고 사이트 내지 광고 페이지가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따른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광고 실행 모듈(150)은 기준 조도 설정부(152), 외부 조도 인식부(153), 터치스크린 활성부(154), 화면 변환부(155), 광고 페이지 출력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조도 설정부(152)는 가상 스크린 세이버(50)가 활성화되었을 때 특정 조도, 즉 외부 조명이 기준 조도에 미치는지 여부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활성 처리하는 기준을 설정하고, 외부 조도 인식부(153)는 카메라와 같은 조도 인식 센서를 통해 외부 조도를 측정하여 상기 기준 조도와 비교 처리를 하여 외부 조도가 기준 조도에 미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은 가상 스크린 세이버(50)가 활성화되었을 때 터치스크린의 기능을 차단한다는 기본 설정을 변경하는 기준을 제시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일반적으로 주머니나 보호 케이스에 의하여 스마트폰(10)이 사용자의 신체에 보관될 경우에는 조도가 어두운 상태이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스마트폰(10)의 화면을 사용자가 보고 있는 상태가 아니라는 전제를 둔 것이다.
즉, 기준 조도보다 낮은 조도인 경우에는 스마트폰(10)의 화면을 사용자가 보지 않는 상태로 전제를 둠으로써 터치스크린을 비활성 상태로 유지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기준 조도는 일반적으로 스마트폰(10)의 화면이 가려진 상태 내지 주머니 속에 스마트폰(10)이 들어간 상태에서의 조도 수준에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스크린 활성부(154)는 가상 스크린 세이버 상에 광고 컨텐츠가 출력되었을 때 터치스크린을 활성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조도 인식부(153)에서 측정한 외부 조도가 기준 조도보다 높을 경우 가상 스크린 세이버(50)가 화면에 출력되어도 상기 터치 기능 제어부(122)를 무시하고 터치스크린의 기능을 활성 처리하는 것으로, 이는 사용자가 스마트폰(10)의 화면을 보고 있거나 보려고 준비 상태에 있다는 전제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광고 컨텐츠가 포함되어 가상 스크린 세이버(50)가 출력되는 동안, 스마트폰(10)의 화면이 외부에 노출이 되었을 때 비로소 터치스크린이 활성 처리될 수 있다.
화면 변환부(155)는 가상 스크린 세이버(50)에 출력되는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가 눌렀을 때 누르는 회수에 따라 광고 컨텐츠의 밝기 또는 크기 또는 색상을 차등적으로 변환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사용자가 광고 컨텐츠를 누를 때마다 그 밝기가 세져 초기에 약간 흐릿했던 광고 컨텐츠가 한층 밝아지도록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사용자에게 광고 집중을 하도록 하는 효과와 재미를 부여할 수 있다.
광고 페이지 출력부(156)는 사용자가 특정 회수로 광고 컨텐츠를 눌렀을 경우 가상 스크린 세이버(50)의 출력을 해제하고 광고 컨텐츠에 링크된 광고 화면(광고 담당 모바일 페이지 등)으로 화면 이동을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3번을 연속으로 광고 컨텐츠를 클릭하는 경우를 예를 들면 1회 클릭 시 노란색으로 색상 전환을 하고, 2회 클릭 시 오랜지 색으로 색상 전환을 하며 3번째 클릭 시에는 가상 스크린 세이버(50)가 사라지고 해당 광고 컨텐츠에 링크된 광고 화면이 스마트폰(10)의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광고 실행 모듈(150)에 의하면 위기관리는 물론 기업의 광고를 출력할 수 있어, 위기관리 사업을 후원하는 기업의 상품을 노출하는 방식 등의 상업적인 이용성을 부가할 수 있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6은 배터리 잔량에 따라 가상 스크린 세이버의 사이즈를 감축 조절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가상 스크린 세이버(50)의 어두운 화면 처리를 위하여 최대한 스마트폰(10)의 배터리 소모를 방지하나, 가상 스크린 세이버 구동 시 완전하게 스마트폰 화면에 전류가 공급되도록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가상 스크린 세이버(50)를 구동하는 동안에도 배터리 소모가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전원 관리 모듈(160)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원 관리 모듈(160)은 배터리 잔량에 따라 가상 스크린 세이버(50)의 화면 출력 사이즈를 차등 처리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배터리 잔량 확인부(161), 사이즈 조절부(162)를 구비한다.
배터리 잔량 확인부(161)는 스마트폰(10)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스마트폰 화면의 우측 상단에 표시된 배터리 잔량 표시 기능과 연동이 될 수 있다.
사이즈 조절부(162)는 배터리 잔량 상태에 따라 가변적으로 상기 가상 스크린 세이버(50)의 사이즈를 축소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준 배터리 잔량 수치를 설정하여 이 기준 배터리 잔량 수치보다 배터리 잔량이 낮을 경우, 예를 들어 기준 배터리 잔량 수치가 50%이고 배터리 잔량이 30%일 경우 가상 스크린 세이버(50)의 사이즈를 전체 화면 크기 대비 60% 설정하고, 배터리 잔량이 20%일 경우 가상 스크린 세이버(50)의 사이즈를 전체 화면 크기 대비 40%로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스마트폰(10)의 화면은 전원 공급 및 표시를 화면을 구성하는 유닛 단위인 섹션(section) 별로 제어가 가능하거나 화면 부분 제어가 가능하다는 전제가 따른다.
이러한 전원 관리 모듈(160)을 통하여, 가상 스크린 세이버(50)의 화면 사이즈를 배터리 잔량 상태에 따라 조절하여 배터리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가상 스크린 세이버를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스마트폰 20: 위기 제어 플랫폼
30: 중앙 관제 서버 50: 가상 스크린 세이버
60: NFC 태그 70: 신호 발생기
71: 이어폰 72: 블루투스
80: 마이크 90: 모션 인식 센서
110: 가상 스크린 세이버 관리모듈 111: 구동 조건 설정부
112: 위치정보 송신 조건 설정부 113: 스크린 제어부
114: 제어 창 120: 가상 스크린 세이버 구동 모듈
121: 구동부 122: 터치 기능 제어부
130: 외부 신호 인식 활성 모듈 131: GPS 활성부
132: NFC 활성부 133: 장치 인식 활성부
134: 스위치 기능 변환부 135: 기준 음성 설정부
136: 음성 인식 활성부 137: 기준 모션 설정부
138: 모션 인식 활성부 140: 위기 상황 정보 송신모듈
141: 통신부 142: 위기 상황 정보 생성부
143: 송신부 144: 번호 지정부
150: 광고 실행 모듈 151: 광고 데이터베이스
152: 기준 조도 설정부 153: 외부 조도 인식부
154: 터치스크린 활성부 155: 화면 변환부
156: 광고 페이지 출력부 160: 전원 관리 모듈
161: 배터리 잔량 확인부 162: 사이즈 조절부

Claims (9)

  1. 일정 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자동잠금 기능이 동작하며, 잠금을 해제하고 사용 상태가 되어야만 내장된 NFC 리더기와 GPS가 활성화되는 스마트폰에 구성되어 위기상황을 관리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장치로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거나 사용자가 휴대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와 연동되는 NFC 리더기;
    자동 잠금 모드 또는 슬립 모드에서 상기 스마트폰의 GPS 기능과 NFC 리더기 기능이 비활성 처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 신호 인식 대기 상태를 인식하지 못하도록 위장하는 위장화면을 출력하는 구동 모듈;
    상기 위장화면이 출력되었을 때 스마트폰의 GPS 기능과 NFC 리더기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여 위기상황에 대비하고, 상기 위장화면이 출력된 이후 상기 사용자가 휴대한 NFC 태그가 상기 스마트폰에 근접하는 것을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상기 사용자가 휴대한 NFC 태그의 근접을 확인하면 실제 위기상황으로 판단하여 위기 발생 신호를 생성하는 외부 신호 인식 활성 모듈;
    상기 위기 발생 신호에 따라 상기 GPS 기능을 통해 얻어지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기 상황 정보를 기 저장된 사용자의 보호자나 외부 중앙 관제 센터 중 하나에 전송하는 위기 상황 정보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위장화면은 상기 스마트폰이 슬립이나 잠금 상태에 있는 것처럼 위장하는 화면 또는 가상 스크린 세이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FC 태그는 반지, 목걸이, 팔찌, 벨트, 헤어핀, 시계, 단추, 옷핀을 포함하는 악세사리 중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 화면의 출력 시간대에 대한 조건을 설정하는 구동조건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장치.
  6. 일정 시간 사용하지 않은 경우 자동잠금 기능이 동작하며, 잠금을 해제하고 사용 상태가 되어야만 내장된 NFC 리더기와 GPS가 활성화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시스템으로서,
    자동 잠금 모드 또는 슬립 모드에서 상기 스마트폰의 GPS 기능과 NFC 리더기 기능이 비활성 처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 신호 인식 대기 상태를 인식하지 못하도록 위장하는 위장화면이 출력되었을 때 상기 스마트폰의 GPS 기능과 NFC 리더기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여 위기상황에 대비하고, 상기 위장화면이 출력된 이후 사용자가 휴대한 NFC 태그가 상기 스마트폰에 근접하는 것을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상기 사용자가 휴대한 NFC 태그의 근접을 확인하면 실제 위기상황으로 판단하여 위치 정보와 위기상황을 알리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위기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스마트폰으로부터 위기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기 상황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위치를 지도상에 표기하여 기 설정된 보호자나 지인에게 위기상황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중앙 관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위장화면은 상기 스마트폰이 슬립이나 잠금 상태에 있는 것처럼 위장하는 화면 또는 가상 스크린 세이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시스템.
  7. 일정 시간 사용하지 않은 경우 자동잠금 기능이 동작하며, 잠금을 해제하고 사용 상태가 되어야만 내장된 NFC 리더기와 GPS가 활성화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거나 사용자가 휴대하는 NFC 태그와;
    자동 잠금 모드 또는 슬립 모드에서 상기 스마트폰의 GPS 기능과 NFC 리더기 기능이 비활성 처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 신호 인식 대기 상태를 인식하지 못하도록 위장하는 위장화면이 출력되었을 때 상기 스마트폰의 GPS 기능과 NFC 리더기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여 위기상황에 대비하고, 상기 위장화면이 출력된 이후 사용자가 휴대한 NFC 태그가 상기 스마트폰에 근접하는 것을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상기 사용자가 휴대한 NFC 태그의 근접을 확인하면 실제 위기상황으로 판단하여 위치 정보와 위기상황을 알리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위기 상황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사용자 스마트폰에 구성된 위기상황 관리 장치와;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에 구성된 위기상황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위기 상황 정보를 수신하여 기 설정된 보호자나 지인에게 위기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중앙 관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위장화면은 상기 스마트폰이 슬립이나 잠금 상태에 있는 것처럼 위장하는 화면 또는 가상 스크린 세이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위기상황 관리 장치는 상기 위기 상황 정보를 기 설정된 보호자나 지인에게 직접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시스템.
  9. 삭제
KR1020130000572A 2013-01-03 2013-01-03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장치 및 시스템 KR101468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572A KR101468480B1 (ko) 2013-01-03 2013-01-03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572A KR101468480B1 (ko) 2013-01-03 2013-01-03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장치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749A Division KR20140088846A (ko) 2014-01-16 2014-01-16 스마트폰의 가상 스크린 세이버를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713A KR20140088713A (ko) 2014-07-11
KR101468480B1 true KR101468480B1 (ko) 2014-12-10

Family

ID=51737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572A KR101468480B1 (ko) 2013-01-03 2013-01-03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4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47292A (zh) * 2022-03-31 2022-06-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的电源管理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3974A (ja) * 2005-04-21 2006-11-02 Nec Corp 携帯情報端末および緊急連絡方法
KR20120044747A (ko) * 2010-10-28 2012-05-08 이종훈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비상 알림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3974A (ja) * 2005-04-21 2006-11-02 Nec Corp 携帯情報端末および緊急連絡方法
KR20120044747A (ko) * 2010-10-28 2012-05-08 이종훈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비상 알림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713A (ko) 2014-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6142B2 (ja) 安全注意処理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2120258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of bad posture and property loss through computer-assisted appliance
US8977228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alerting user of theft or loss, or whereabouts, of objects, people or pets
KR101875377B1 (ko)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KR20060019715A (ko) 적외선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위험 알람 방법
US20180204445A1 (en) Method of signaling distress in an event of threat to personal safety and device for implementing same
US103340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abling alarm in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220086618A1 (en) Low-power mobile telephony alert system
US20190387106A1 (en) Lifi enabled guard security system
KR101404717B1 (ko) 유아 안전관리 시스템 및 유아 안전관리 방법
GB2518424A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KR101468480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장치 및 시스템
JP4819288B2 (ja) 発生電波制御システム、及び、無線端末装置
KR20140088846A (ko) 스마트폰의 가상 스크린 세이버를 이용한 위기상황 관리 시스템
CN109068308A (zh) 一种基于手环的自动报警方法及系统
RU2604858C1 (ru) Способ тревожного оповещения об угрозе лич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этого способа
KR102408762B1 (ko)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위험알림시스템
KR102000189B1 (ko) 스마트 반지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
KR102174506B1 (ko) 안전존에서의 사용자 단말 사용 제한 방법
KR101995030B1 (ko) 위치 및 도착시간에 의한 개인안전 지킴이 제공방법
JP5679030B2 (ja) 発生電波制御システム及び無線端末装置
KR20160016197A (ko) 긴급 통화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038330B1 (ko) 발신제한 기능과 비상통화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액세서리 장치
JP2012010350A (ja) 発生電波制御システム及び無線端末装置
TW201608534A (zh) 個人防身求救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