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788B1 - 이동 단말의 통화수행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의 통화수행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788B1
KR101114788B1 KR1020080133912A KR20080133912A KR101114788B1 KR 101114788 B1 KR101114788 B1 KR 101114788B1 KR 1020080133912 A KR1020080133912 A KR 1020080133912A KR 20080133912 A KR20080133912 A KR 20080133912A KR 101114788 B1 KR101114788 B1 KR 101114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bile terminal
sensor
gripping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9531A (ko
Inventor
백재명
이동현
박경호
문기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638,50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00151916A1/en
Publication of KR20100069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수신 시 사용자는 단말의 양 측면에 각각 장착된 파지센서를 동시에 접촉하고, 상기 파지센서가 상기 동시 접촉을 감지하면 상기 단말은 매너모드로 변경되며, 상기 매너모드로 변경된 상기 단말을 사용자의 얼굴로 근접시키고, 상기 단말에 장착된 근접센서가 상기 근접을 감지하면 상기 단말의 통화가 시작되며, 상기 통화중인 단말이 얼굴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근접센서가 상기 멀어짐을 감지하면 상기 단말의 통화가 종료되는 단말의 조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복잡한 버튼 조작이나 메뉴 조작이 필요 없이 간편하고 자연스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에 장착된 압력 센서로 상기 단말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파지 압력을 인지하여 새로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파지 센서, 근접 센서, 파지 인지, 정전용량 센서, 압력 센서, 광 센서

Description

이동 단말의 통화수행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all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의 통화수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지센서 및 근접센서를 장착한 이동 단말의 파지(grip) 및 파지 압력(grip pressure) 인지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의 통화수행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셀룰러 폰(Cellular phone),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노트북, 태블릿 PC(Tablet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 통신을 비롯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한 핸드헬드 장치를 포함한다. 핸드헬드 장치는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가 손에 쥐어진 상태로 동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기술의 발달로 인해 핸드헬드 장치의 일례로, 셀룰러 폰은 주된 기능인 전화 걸기, 문자 메시지 기능 뿐 아니라 다른 전자 장치의 기능을 통합 및 융 합하는 쪽으로 발전되어 오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 셀룰러 폰에 MP3 플레이어의 MP3 음악파일 재생기능, 디지털 카메라의 영상녹화 기능 및 영상 재생 기능, 전자 사전의 기능 또는 디지털 TV 기능 등 매우 많은 기능들이 포함되고 있다.
다양한 기능들을 핸드헬드 장치에 통합하게 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쉽고 간편하게작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가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특히, 전화가 오면 벨소리 또는 진동이 울리게 되고 사용자가 처한상황에 따라 이와 같은 소리나 진동이곤란하기 때문에 빠른 매너모드, 예를 들어 무음 또는 진동 모드로의 변환을 위한 쉽고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있어서 이동 단말의 전화수신 시 빠른 매너 모드로의 전환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a)는 가속도센서 방식을 이용하여 빠른 매너모드로 전환하는 이동 단말을 나타낸다. 도 1의 (a)에서, 이동 단말을 뒤집으면 이동 단말에 장착된 가속도 센서가 이를 인지하여 전화소리, 예를 들어 벨소리를 진동 또는 무음으로 변환하거나 진동을 무음모드로 변환하는 매너모드로 전환하는 방식이다.
도 1의 (b)는 모션 센서 방식을 이용하여 빠른 매너모드로 전환하는 이동 단말을 나타낸다. 도 1의 (b)에서, 손을 흔들면 모션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전화소리, 예를 들어 벨소리 또는 진동을 매너모드로 전환하는 방식이다.
도 1에서와 같이, 가속도 센서와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매너 모드 예를 들어, 무음 모드 또는 진동 모드로 전환하는 방식은, 이동 단말을 바로 뒤집거나 손을 흔들면 매너 모드로 즉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누구로부터 걸려 온 전화인지, 즉 수신번호를 확인하는 동안에는 전화가 계속해서 울린다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이동 단말이 뒤집어져 있거나 주머니에 들어가 있는 경우에는 매너모드로의 전환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있어서 온도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파지를 감지하여 자동 으로 통화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를 도시하고 있다(출원번호 10-2003-0083143).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종래의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이동단말에 대한 사용자의 파지를 인식하여 자동 통화를 연결하는 방식은, 주위 환경의 변화나 이동단말 사용 시의 전력 소모로 인한 온도 변화등으로 사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파지 후에는 바로 통화가 연결되므로 수신된 번호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도면으로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인체신호를 감지하여 자동 통화로 연결하는 발명의 경우도(등록번호 10-0259041) 도 2의 발명과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도 3의 (a)는 일반적인 압력센서(300)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의 (b)에서는 압력센서(300)를 이동 단말기의 옆면에 장착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압력센서(300)는 지지 또는 전극의 역할을 하면서 압력소자(301))의 상측과 하측에 위치된 기구(302)와, 압력을 받을 때 변형되어 신호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압력소자(301)로 구성된다. 압력 소자(301)의 재료는 압력을 전기로변환 시키는 압전(Piezoelectric)소자나, 압력에 의해 아래, 위 금속을 통전시킬 수 있는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나, 또는 실리콘 같은 복원력을 갖는 dielectric 물질로 압력에 따라 아래, 위 금속 간의 거리 변화로 인한 정전용량 변화를 측정하는 소자 등이 될 수 있다.
도 3의 (b)와 같이 사용자의 파지 압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의 내부 양 측면에 압력센서(300)를 설치하는 경우, 압력에 가해질 때 압력센서의 기구가 움직이지 않도록 받쳐주는 고정 틀(310)이 추가로 필요하다. 또한 이동 단말기 옆면에 압력센서(300)를 길게 장착하여 파지를 감지하는 경우, 압력센서(300) 및 이를 받치는 고정 틀(310)의 두께로 인해 전체 이동 단말의 폭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파지 감지를 통하여 전화가 올 때 빠른 매너 모드로의 전환과,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가 얼굴 또는 귀에 근접되면 자동으로 통화를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매너 모드에서 수신 번호를 확인하면서 통화할 수 있으며, 또는 수신 번호의 확인 없이 이동 단말기를 얼굴 또는 귀에 근접시켜서 바로 통화할 수 있어서 이동 단말의 버튼을 누르거나 슬라이드 폰이나 폴더 폰을 여는 동작 없이 바로 편리하게 통화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을 파지한 상태에서 전화수신 시 손의 압력을 인지하여 매너모드로의 빠르게 전환 및 통화를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단말에서 통화를 수행하는 방법이,전화 수신 시 파지센서가 온 되면, 매너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매너모드에서 근접센서가 온 되면, 자동으로 통화를 연결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단말에서 통화를 수행하는 장치가, 상기 이동 단말의 양 측면에 각각 장착되어 파지를 감지하는 파지센서와; 상기 이동 단말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포함하며, 전화 수신 시 상기 파지센서가 온 되면 매너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매너모드에서 상기 근접센서가 온 되면 자동으로 통화를 연결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빠르고 편한 매너모드 전환할 수 있으며, 매너 모드에서 수신 번호를 확인한 후 통화를 할 수 있으며, 수신 번호 확인 없이 이동 단말을 바 로 얼굴 또는 귀에 근접시켜 바로 통화할 수 있어서 이동 단말의 버튼을 누르거나 슬라이드폰이나 폴더 폰을 여는 동작 없이 편리하게 통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 단말에서 파지 압력의 감지에 따라 사용자에게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 전화수신 시 파지 감지를 통한 빠른 매너 모드의 전환과 얼굴 근접 인식을 통한 자동 통화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에서 전화가 수신되어 이동 단말에서 벨소리 또는 진동이 발생될 때, 도 4의 (b)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 단말을 파지하면 이동단 말의 양 측면에 장착된 파지 센서(610)가 파지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은 매너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상기 이동 단말이 매너모드로 전환된 이후, 도 4의 (c)에서와 같이 이동 단말이 얼굴 또는 귀로 근접되면, 스피커 부위에 장착된 근접센서(620)가 근접을 감지하고 이동 단말은 통화가 연결된다.
상기 통화가 연결된 이후, 도 4의 (d)에서와 같이 근접센서(620)가 구비된 이동 단말이 얼굴 또는 귀로부터 멀어지는 것이 감지하고, 파지 센서(610)가 이동 단말의 파지가 감지되지 않으면 이동 단말의 통화 연결은 종료된다.
도 4에서 파지 센서(610)와 근접 센서(620)는 각각 정전용량 센서나, 압력센서 또는 광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동 단말 사용 시, 사용자는 벨소리나 진동의 울림을 통해 전화가 왔음을 인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극장, 연주회, 전람회 등에서 관람 중이거나회의 상담 중이거나 또는주변에 아기가 잠을 자는 상황에서는 벨소리 또는 진동을 빨리 멈추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빠르게 매너 모드로의 전환 기능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빠른 매너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이동 단말의 양 측면에 사용자의 파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각각 위치시키고 2개의 센서가 동시에 동작할 경우 파지로 판단한다.
파지 센서는 파지의 유무에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인지하는 방식일 수 있고 파지의 압력을 인지하는 압력센서 방식일 수 있으며, LD(Laser diode)와 PD(Photo diode)와 그 사이에 연결된 도파로를 이용하여 파지의 유무 또는 파지의 압력에 따라 PD에 입력되는 빛의양 변화를 인지하는 광센서 방식일 수 있다.
전화 수신 시 이동 단말이 주머니에 들어 있거나 테이블위에 있는 등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멀어져 있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 단말을 파지하면 빠르게 매너 모드로 전환된다. 또한 전화 수신 시 이동 단말이 사용자의 손에 있는 경우에는, 수신과 동시에 파지가 인지되고 이때에는 사용자가 전화가 왔음을인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매너모드로의 전환을 취소하고 파지하기 전의전화 수신할 때와 마찬가지로 벨소리 또는 진동을 발생시킨다. 수신과 동시에 파지가 인지될 경우 매너 모드로의 전환을 취소하는 것은 파지 인식의 오동작 방지 역할을 한다. 이때 이 동 단말의 양 측면에 위치한 두 개의 버튼을 동시에 눌렀을때 매너 모드로 전환할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 매너 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이동 단말의 양 측면에 장착된 일반 버튼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동단말의 양 측면에 설치된 버튼들(640) (예를 들어, 음량 조절 버튼, 카메라 버튼 등)을 이용하여 양 측면 두개의 버튼이 동시에 눌러졌을 때 빠른 매너 모드 전환할 수 있다.
매너 모드에서 사용자는 수신된 번호를 확인 할 수도 있다. 수신번호를 확인한 후 수신을 원하지 않을 경우에 이동 단말을 내려놓음으로써 파지 센싱오프(off)가 일정시간 유지되면 (예를 들어 2초 이상 오프 유지) 전화를 받을 수 없다는 안내 메시지가 발신자에게 전달된다.
매너 모드 후에 사용자가 이동 단말을 편하게 고쳐 쥐거나 다른 손으로 옮길 경우 짧은 시간 동안, 예를 들면 2초 이내, 파지가 오프(off)되어도 매너 모드를 유지한다.
매너 모드 상태에서 이동 단말의 스피커 부분에 위치한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이 얼굴 또는 귀에 근접될 때 자동으로 통화가 연결됨으로, 사용자가 이동 단말의 통화 버튼을 입력하거나 또는 슬라이드 방식의 단말기에서 슬라이드부를 업 하거나 또는 폴더형 단말기에서 폴더부를 여는 동작 없이 편안하게 통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매너 모드에서 이동단말기의 버튼을 입력하거나 또는 슬라이드 방식의 단말기에서 슬라이드부를 업 하거나 또는 폴더형 단말기에서 폴더부를 여는 동작을 통해 통화 연결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동 단말을 파지할 때 스피커 부분에있는 근접 센서의 감지와동시에 파지가 감지되는 경우, 즉 이동 단말의 양 측면의 파지 센서(610)와 스피커 부분에 있는 근접센서(620)가 동시 또는 매우 짧은시간 내에 인식된 경우에는 매너 모드로만 전환되고 통화연결은 되지 않도록 한다.
사용자가 통화를 위하여 이동 단말을 고쳐 쥐고 이동 단말을 얼굴 근처에서 멀리 이동시킴에 따라 근접센서의 인식이 사라졌다가(즉, 근접센서의 인식 오프) 다시 근접센서의 인지이 감지되면(즉, 근접센서의 인식 ON) 통화가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주머니나 가방에 있는 이동 단말을 매너 모드로 전환시키도록 사람 손이 이동 단말을 쥘 때 양 옆면을 파지할 수 있는데, 이 때 손가락이 이동 단말 스피커 근처에 있는 근접센서(얼굴 인식용)를 만지거나 가릴수도 있다. 이런 경우, 이동 단말은 매너 모드로 전환되고 바로얼굴 인식으로 판단하여 통화를 연결하게 됨으로, 사용자는 이동 단말이 매너 상태가 된 후 수신 번호를 확인할 수 없음으로 통화연결을 할지 말지 결정할 수 없이 바로 통화가 연결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파지 센서와 근접 센서가 동시 또는 매우 빠른 시간 내 예를 들면 0.2초 내에 감지되면, 근접 센서가 손가락에 의해 잘못 감지되었다고 판단하고 매너 모드만 전환하고 통화연결은 수행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통화를 위해 이동 단말을 얼굴에 근접시키거나 수신 번호를 확인할 때는 이동 단말의 스피커를 잘못 잡은 손가락을 빼서, 통화하기 편한 자세로 이동 단말을 고쳐 잡는다. 이때 근접 센서의 인식은 오프(OFF)로 판단되 고 이후 실제 얼굴이 근접되어 근접 센서의 인식이 온(ON)되었을 때 통화로 연결된다.
사용자의 통화가 끝났을 때는 이동 단말이 얼굴 또는 귀로부터 멀어지고 파지가 사라졌음이 인식됨에 따라 통화연결이 종료된다. 이동 단말의 통화 종료 버튼을 눌러서도 통화를 종료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통화 도중에 이동단말을 파지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동단말의 양 측면의 일반 버튼을 동시에눌러서 통화가 종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얼굴을 인식하는 근접센서도 정전용량 방식 또는 압력센서 방식 또는 광센서 방식이 될 수 있다.
이동 단말을 파지하였을 때 사용자의 파지뿐만 아니라 파지 후 의도적인 압력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통화의 경우 이동 단말을 파지하였을 때 매너모드로 변경하고 의도적인 압력이 들어왔을 때 통화로 자동 연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 파지 접촉을 감지하는 파지센서(610)와 눌렀을 때의 파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630)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 파지접촉을 감지하는 파지센서(610)는 이동 단말의 측면의 부피 증가를 최소화하기 위해 파지센서용 메탈 패턴을 이동 단말 케이스에 프린팅하거나 두께 0.1mm 내의 얇은 FPC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파지센서용 메탈 패턴은 정전용량 방식으로 파지를 측정하기 위한 메탈 패턴이다.
파지 압력 센서(630)는 작은 크기의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ge) 또는 압전(piezoelectric)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동 단말 내에 배치된다.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긴 특수 메탈 패턴이 꼬불 꼬불하게 폴리머 층 사이에 형성되어 있어 저항 값을 갖는다. 스트레인 게이지를 임의의 물질의 표면에 부착하면 표면이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것에 비례하여 스트레인 게이지가 늘어나거나 줄어들어 저항 값이 변하도록 되어 있다. 압력에 의해 스트레인 게이지가 줄어들면 저항이 감소하고 늘어나면 저항이 커진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센서(630)는 이동 단말 케이스의 상면 또는 하면의 중앙 또는 양 측면에 1개 또는 복수 개를 위치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에 장착된 압력센서(630)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서는, 작은 압력 센서로 압력의감지 능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압력 센서(630)의 배치를 이동 단말 케이스 내부의 옆면과 밑면 또는 옆면과 상면의 2면에 걸쳐 배치시킨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압력 센서(630)를 90도로 이동 단말 케이스 옆면과 케이스 하면에 각각 부착할 경우, 압력에 의해 케이스 옆면이 변형될 때 옆면과 하면의 움직임 차에 의해 스트레인 게이지가 더 많은 변형을 가지게 되어 저항 값이 더 많이 변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 내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801)를 이동 단말 내의 케이스의 하면의 중앙에 부착할 때 파지 압력이 발생한 경우에, 도 8의 (a)와 같이 스트레인 게이지(801)는 수 축하여 저항 값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도 8의 (b)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의 경우에 터치스크린을 누르거나, 파지 시 손가락 또는 손바닥이 스트레인 게이지(801)를 누르게 되면, 이동 단말 내에 부착된 스트레인 게이지(801)가 팽창하여 저항 값이 증가하게 된다. 이때 저항 감소의 경우만 파지 압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터치 동작 또는파지로 인한 압력 인식 오 동작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801)의 보정은 정전용량 파지 센서의 최초 감지 이후에 수행된다.
이동 단말을 파지하고 힘을 주었을 때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의 양 측면에 압력을 인지할 수 있는 소자를 길게 두어 압력을 인지할 수 있지만, 이런 형태는 압력 소자를 지지할 수 있는 기구가 필요하여 일정부분의 부피가 늘어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와 같은 작은 소자를 부착하여 늘어나는 부피를 최소화할 경우, 센서의 민감도가 매우 좋아야 하는데 이 때문에 센서가 장착되어있는 접착 상태, 온도 습도에 따른 드리프트(drift) 문제 등에 의해 사용 직전의 센서의 보정(calibration)은 필수적이다. 스트레인 게이지 사용 시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휘스톤 브리지 형태로 4개의 센서를 사용하여 온도, 습도에 대한 영향을 상쇄하고 추가의 온도 보상회로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동 단말이 슬립모드에서 깨어났을 때를 기준으로 압력센서의 동작을 시작하면 처음에 이동 단말을 손에 쥐었을 때의 압력에 의해 의도적으로 힘을 가하지 않은 경우에도 압력으로 잘못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책상 위에 이동 단말을 놓고 MP3을 감상하고 있을때 사용자가 이동 단말을 쥐게 되면 이때 압력센서가 압력의 변화를 인식하여 오동작할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초 파지를 정전용량(capacitive) 센서로 인식하고, 인식한 시점에 압력 센서를 보정하고 그 이후에 의도된 압력을,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단위 시간당 압력 변화가 큰 경우 압력으로 인식한다.
전화수신시의 파지 및 압력 인식이 각 각 가능한 경우, 전술한 양 측면에 구비된 버튼을 동시에 눌렀을 때 매너모드로의 전환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압력을 인지하였을 때 동작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압력을 인식하는 경우 사용자가 압력 인식의 감도를 대 중 소로 정할 수 있다.
손의 압력인식은 이동 단말의 전화 수신뿐만 아니라 송신 모드 또는 모션(motion) UI(User Interface) 모드에서도 새로운 입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범위 내에서 변형된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 전화수신 시 빠른 매너 모드로의 전환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도 1의 (a)는 가속도 센서 방식을 나타내고, 도 1의(b)는 모션 센서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온도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파지를 감지하여 자동으 로 통화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에 따른 압력 센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도 3의 (a)는 압력센서의 구조를 나타내고, 도 3의 (b)는 압력센서가 탑재된 이동 단말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 전화수신 시 파지 감지를 통해 빠른 매너 모드로의 전환 및 얼굴 근접 인식을 통한 자동 통화연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 매너 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이동단말의 양 측면에 장착된 버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 파지 중 접촉을 감지하는 파지센서와 눌렀을 때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 내에서 이동 단말의 옆면 및 하면 또는 상면의 두 면에 배치된 압력센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 내에 압력 센서인 스트레인 게이지가 이동 단말의 중앙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된 도면으로써, 도 8의 (a)는 양 옆면의 파지 압력이 들어왔을 때 스트레인 게이지 축소 및 저항 감소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의 (b)는 터치 입력이나 파지로 인하여 이동 단말의 상면에 누르는 압력이 들어왔을 때 스트레인 게이지의 팽창 및 저항 증가를 나타내는 도면.

Claims (25)

  1. 이동단말에서 통화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화 수신 시 파지센서가 온 되면, 매너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매너모드에서 근접센서가 온 되면, 자동으로 통화를 연결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통화 수행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센서는 상기 이동단말의 양측 면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이동 단말의 양측 면에 각각 장착된 파지센서가 접촉을 통해 동시에 온이 될 때, 상기 매너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통화 수행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수신의 알림은 벨소리 또는 진동모드를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매너모드는 무음모드로의 전환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통화 수행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는 사용자의 얼굴 또는 귀를 감지하여 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통화 수행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의 파지센서가 온인 상태에서 전화가 수신되면, 설정된 벨소리 또는 진동으로 전화수신을 알리는 과정과,
    상기 벨소리 또는 진동으로 전화 수신을 알리는 동안, 상기 이동단말의 양측 면 각각에 구비된 버튼이 동시에 입력되면, 상기 매너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통화 수행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수신 시, 상기 파지센서 및 상기 근접센서의 온이 동시에 감지되면, 상기 매너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매너모드에서 상기 근접센서가 오프 된 이후 온이 되면, 상기 자동으로 통화를 연결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통화 수행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매너모드에서 일정시간 이상 파지센서의 오프가 유지되면, 전화를 받을 수 없다는 음성메시지를 발신자에서 자동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매너모드에서 일정시간 이내 파지센서가 오프 되면, 상기 매너모드를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통화 수행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으로 통화가 연결되어 통화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파지센서 및 상기 근접센서가 오프 되면, 통화를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통화 수행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으로 통화가 연결되어 통화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파지센서가 오프 된 이후 상기 이동 단말의 양측 면에 각각 구비된 버튼이 동시에 입력되면, 상기 통화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통화 수행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센서 및 상기 근접센서는 정전용량 센서, 압력센서, 또는 광 센서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통화 수행방법.
  11. 이동단말에서 통화를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양 측면에 각각 장착되어 파지를 감지하는 파지센서와,
    상기 이동 단말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포함하며,
    전화 수신 시 상기 파지센서가 온 되면 매너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매너모드에서 상기 근접센서가 온 되면 자동으로 통화를 연결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통화 수행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양측 면에 각각 장착된 상기 파지센서가 접촉을 통해 동시에 온이 될 때, 상기 매너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통화 수행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수신의 알림은 벨소리 또는 진동모드를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매너모드는 무음모드로의 전환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통화 수행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는 사용자의 얼굴 또는 귀를 감지하여 온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통화 수행장치.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의 파지센서가 온인 상태에서 전화가 수신되면, 설정된 벨소리 또는 진동으로 전화수신을 알리고; 상기 벨소리 또는 진동으로 전화 수신을 알리는 동안, 상기 이동단말의 양측 면 각각에 구비된 버튼이 동시에 입력되면, 상기 매너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통화 수행장치.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수신 시, 상기 파지센서 및 상기 근접센서의 온이 동시에 감지되면, 상기 매너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매너모드에서 상기 근접센서가 오프 된 이후 온이 되면, 자동으로 통화를 연결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통화 수행장치.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매너모드에서 일정시간 이상 상기 파지센서의 오프가 유지되면, 전화를 받을 수 없다는 음성메시지를 발신자에서 자동으로 전달하고; 상기 매너모드에서 일정시간 이내 상기 파지센서가 오프 되면, 상기 매너모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통화 수행장치.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으로 통화가 연결되어 통화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파지센서 및 상기 근접센서가 오프 되면, 통화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통화 수행장치.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으로 통화가 연결되어 통화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파지센서가 오프 된 이후 상기 이동 단말의 양측 면에 각각 구비된 버튼이 동시에 입력되면, 상기 통화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의 통화 수행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센서 및 상기 근접센서는 정전용량 센서, 압력센서, 또는 광 센서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통화 수행장치.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센서가 정전용량 센서 및 압력센서를 포함할 때,
    상기 전화 수신 시, 상기 정전 용량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파지를 감지하고, 상기 정전용량을 통해 파지를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누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통화 수행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ge) 또는 압전(piezoelectric) 소자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통화 수행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동단말 내부에 옆면과 하면 또는 옆면과 상면의 두 면에 90도로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통화 수행장치.
  24.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동단말 내부에 하면의 중앙에 부착한 경우, 파지의 압력에 따라 스트레인 게이지의 저항이 감소하고, 터치 동작이나 파지 동작에서의 압력은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의 저항을 증가하여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의 저항 감소만을 파지 압력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통화 수행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의 보정은 정전용량 센서의 최초 감지 이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통화 수행장치.
KR1020080133912A 2008-12-15 2008-12-24 이동 단말의 통화수행 방법 및 장치 KR101114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38,507 US20100151916A1 (en) 2008-12-15 2009-12-15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grip on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251 2008-12-15
KR20080127251 2008-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531A KR20100069531A (ko) 2010-06-24
KR101114788B1 true KR101114788B1 (ko) 2012-03-05

Family

ID=4236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912A KR101114788B1 (ko) 2008-12-15 2008-12-24 이동 단말의 통화수행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7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991B1 (ko) 2010-07-28 2016-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스퀴징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277314B1 (ko) * 2011-08-03 2013-06-20 하이브모션 주식회사 근접센서
KR20130112626A (ko) * 2012-04-04 2013-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기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102044802B1 (ko) * 2017-12-01 2019-11-15 주식회사 하이딥 측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410B1 (ko) * 1998-12-10 2003-03-10 김태화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및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410B1 (ko) * 1998-12-10 2003-03-10 김태화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531A (ko)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519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grip on mobile terminal
EP1986404B1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key input error prevention function
US9467555B2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KR100809088B1 (ko) 터치 감지 슬라이드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US9336969B2 (en) Press detection sensor,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6257893B2 (ja)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端末装置の制御方法
US9332102B2 (en) Mobile terminal device, storage medium and sound output control method
JP4798218B2 (ja) 通話装置
WO2014104040A1 (ja) 携帯端末装置
US8165316B2 (en) Portable terminal
US10353567B2 (en) Electronic device
US983852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1114788B1 (ko) 이동 단말의 통화수행 방법 및 장치
JP5384698B2 (ja) 押圧検知センサ、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CN108646948B (zh) 触控按键灵敏度的调节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04683544A (zh) 便携式电子装置及其使用方法
JP2012034263A (ja) 携帯端末装置
JP7329150B2 (ja) タッチボタン、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0013478A (ja) 端末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WO2023284622A1 (zh) 按键模组及电子设备
JP6275948B2 (ja) 携帯端末装置
JP2008079019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CN212659462U (zh) 按键结构及电子设备
KR20030019525A (ko) 터치 센서 어레이가 장착된 휴대용 정보 단말기
KR101632575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키패드형 단말기 및 그 사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