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9525A - 터치 센서 어레이가 장착된 휴대용 정보 단말기 - Google Patents

터치 센서 어레이가 장착된 휴대용 정보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9525A
KR20030019525A KR1020030008063A KR20030008063A KR20030019525A KR 20030019525 A KR20030019525 A KR 20030019525A KR 1020030008063 A KR1020030008063 A KR 1020030008063A KR 20030008063 A KR20030008063 A KR 20030008063A KR 20030019525 A KR20030019525 A KR 20030019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touch sensor
cursor
folder
sensor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8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한
Original Assignee
김정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한 filed Critical 김정한
Priority to KR1020030008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9525A/ko
Publication of KR20030019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52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센서 어레이를 이용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커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식 터치 센서 어레이를 단말기의 키패드 위에 구성하여, 이를 이용하여 사람의 피부 접촉에 의해 스크린의 커서의 위치 이동 및 제어를 행할 수 있도록 설계한, 터치 센서 어레이가 키패드 위에 장착된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터치 센서 어레이가 장착된 휴대용 정보 단말기{Celluar Phone with Touch Sensor Array}
본 발명은 스크린의 커서 제어 수단을 포함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인체의 피부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 어레이를 키패드 위에 구성하여 단말기 스크린상의 커서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설계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핸드폰을 비롯한 휴대용 정보 기기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어 대한민국에서만도 2003년 현재 가입자가 3000만명이 넘을 정도로 광범위한 보급이 되고 있으며 단순한 음성 통화 서비스 뿐 아니라, 텔레메틱스, ITS, 지리 정보 시스템 및 무선 영상 전송 서비스 등등 생활 편의 정보 제공을 위한 각종 서비스가 활성화 되고 급속도로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효용이 증가 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 단말기의 부가기능의 발전에 따라,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편의성을 위한 입출력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더욱 더 중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도 가능한한 대형 화면을 사용하며, 일반 가정용 컴퓨터의 윈도우즈 OS의 인터페이스처럼 아이콘을 이용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중대시키는 방안도 검토되어 적용이 추진중이며, 일부 제한적인 서비스는 이미 실시중이다.
따라서 사용자 편의성의 증대를 위하여 키보드이외에 음성인식등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제품도 출시가 되어 있고, 별도의 키보드나 마우스를 접속하여 사용하는 아이디어 또한 각종 인쇄 매체에 기공지가 되었으나, 음성 인식은 아직 음성인 식율이 낮고, 기타 각종 장치를 덧붙여서 사용하는 방법은 휴대성을 크게 감소시키므로 매우 불편하므로 널리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단말기 키패드위에 인체 피부 접촉형 터치 스위치 어레이를 구성하여 별도의 장치를 단말기에 접촉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스크린의 커서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외형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서 조작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이용될 수 있는 터치 스위치의 예시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면>
1. 커서 3. 표시부
5. 마이크 7. 터치 센서가 장착된 키
9. 스피커 10. 사용자의 손
11. 힌지부 13. 힌지부
15. 본체부 17. 폴더부
19. 키패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과 같은 상세 예시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들 상세 예시에만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2003년 현재 가장 널리 보급된 휴대용 정보 단말기는 휴대폰이므로, 이하 본 발명의 예시에 폴더형 휴대폰을 대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폰의 열려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폰의 기본적인 구성은 본체부(15)와 폴더부(17)와, 본체부(15)와 폴더부(17)를 기계적으로 연결시켜 폴더부를 본체부로부터 개폐시키는 힌지부(11,13)로 구성된다. 본체부(15)에는 다수의 키가 배치된 키패드(19)가 장착되고, 키패드(19) 하측으로 마이크(5)가 설치된다. 폴더부(17)는 스피커(9)를 포함하며 그 밑으로 각종 표시정보 및 영상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3)로 구성된다. 상기의 키패드(19)는 각 버튼마다 개별적으로 상면에 터치 센서가 부착된 터치 센서가 장착된 키(7)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촉을 휴대폰 내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인지하여 표시부(3)상의 커서(1)의 움직임을 제어 및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터치 센서가 장착된 키(7)들은 전체적으로 터치 센서 어레이를 이루어, 사용자의 손가락(10)의 접촉을 인지하여 표시부(3)에서의 커서(1)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터치 센서가 장작된 키(7)의 상면은 도전성 도료를 이용하여 전극을 구성하여, 키패드(19) 상의 개별 버튼들에 손가락이 살짝 닿기만 해도 각각의 터치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표시부(3)의 커서(1) 위치를 움직여준다. 터치 센서에서 감지된 손가락의 움직임을 실제 커서(1)가 표시부의 위치로 추종하도록 맵핑(Mapping) 시키는 방법은 크게 나누어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애 의한 커서 조작 예시도이다.
첫 번째 방법은 단순히 하나의 터치 센서 셀을 표시부(3) 위의 하나의 지점으로 맵핑시켜 커서(1)를 순간적으로 옮기는 방법이다. 도 2에와 같이 D 점에서의 터치센서에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되면, 스크린상의 d점에 커서를 옮겨주는 방법이다. 다른 하나는 노트북의 터치 패드에서 사용하듯이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현재의 커서(1) 위치에서 일정량을 움직여 주는 방법이다. 어느 방법이든지 소프트웨어로 간단하게 구현하여 상호 기능을 전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사용환경에 따라 보다 편리한 것으로 셋팅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인체의 접촉에 의한 미세한 전류변화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의 회로도중 하나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인체 접촉 감지형 터치센서는 도 3에서 제시된 방식의 임피던스 감지형 이외에도 자계 검출 방식 및 정전 용량 감지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어 엘리베이터 버튼 등의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또한 각 단말기에 적절한 방식의 터치센서를 채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커서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터치 센서 어레이에 의하여 출력된 신호를 적절히 가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키패드(19)상의 하나의 키(7)위에 다수의 터치 센서를 배치하는 방법도 있으며, 손가락이 두개의 터치센서에 동시에 접촉했을때, 스크린위에 이에 해당하는 각 구역의 경계선상에 커서(1)를 위치하도록 하는 방법, 디지털 필터를 사용하여 손가락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방법등이 있다. 이러한 적절한 실시예의 변형 혹은 기능의 단순한 부가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단말기는 키패드위에 터치 센서 어레이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표시부의 커서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에 부가적으로 접속되는 별도의 장치 없이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각종 문자정보 및 영상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와, 다수의 키가 배열된 키패드와, 무선 정보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을 갖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상에 다수의 터치 센서 셀을 구비하여 이를 이용하여 표시부의 커서 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위에 터치 센서 어레이가 장착된 휴대용 정보 단말기.
KR1020030008063A 2003-02-08 2003-02-08 터치 센서 어레이가 장착된 휴대용 정보 단말기 KR20030019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063A KR20030019525A (ko) 2003-02-08 2003-02-08 터치 센서 어레이가 장착된 휴대용 정보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063A KR20030019525A (ko) 2003-02-08 2003-02-08 터치 센서 어레이가 장착된 휴대용 정보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525A true KR20030019525A (ko) 2003-03-06

Family

ID=27730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8063A KR20030019525A (ko) 2003-02-08 2003-02-08 터치 센서 어레이가 장착된 휴대용 정보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952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577B1 (ko) * 2003-06-27 2006-03-07 김숙영 이중센서로 구성된 키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WO2006025653A1 (en) * 2004-09-03 2006-03-09 Xce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cursor using numerical keys
KR100956822B1 (ko) * 2003-06-11 2010-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혼성형 키 입력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혼성형 키 입력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822B1 (ko) * 2003-06-11 2010-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혼성형 키 입력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혼성형 키 입력 방법
KR100556577B1 (ko) * 2003-06-27 2006-03-07 김숙영 이중센서로 구성된 키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WO2006025653A1 (en) * 2004-09-03 2006-03-09 Xce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cursor using numerical key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2258B1 (en)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in an electronic device
EP1595386B1 (en) Radiotelephone terminal with dual-sided keypad apparatus
US7006077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 sensitive slide
EP2035910B1 (en) Touch sensitive keypad with tactile feedback
EP1081922B1 (en) Electronic apparatus
KR101257964B1 (ko) 다기능 휴대용 장치
EP2062113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competing input devices
GB2339505A (en) Portable telephone device of small size
EP1332420A1 (en) Touchpad
CN108646948A (zh) 触控按键灵敏度的调节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US20120154182A1 (en) Keys with touch detection func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the keys
US7369119B2 (en) Handset device with dual side joystick
KR20030019525A (ko) 터치 센서 어레이가 장착된 휴대용 정보 단말기
GB2348075A (en) Mobile telephone incorporating a keyless input device system operable when phone is open or closed
US20110043476A1 (en) Scrollbar and Touchpad with Tactile and/or Audible Feedback
KR101229357B1 (ko) 방향입력용 터치패드와 터치패널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JP2002318640A (ja) 小型電子機器
CN111338488A (zh) 一种控制终端的电容笔装置、控制方法及系统
KR10069029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소프트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JP2005043983A (ja) キー入力装置
JP3926590B2 (ja) 座標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CN202661931U (zh) 配套电容笔的移动互联网设备
KR200244354Y1 (ko) 컴퓨터용 마우스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KR100883174B1 (ko) 압력센서식 입력패드를 구비한 단말기의 표시 제어방법
KR100807473B1 (ko) 휴대전화기의 오동작 방지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