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5195A -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5195A
KR20140115195A KR1020130029976A KR20130029976A KR20140115195A KR 20140115195 A KR20140115195 A KR 20140115195A KR 1020130029976 A KR1020130029976 A KR 1020130029976A KR 20130029976 A KR20130029976 A KR 20130029976A KR 20140115195 A KR20140115195 A KR 20140115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unit
lid
button
touc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재
김무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9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5195A/ko
Publication of KR20140115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1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는, 몸체와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입력 신호를 입력하는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로서,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는, 터치 패널 위에 위치 가능한 덮개부; 덮개부의 제 1 측에 형성되어 터치 패널에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버튼부 및 덮개부의 제 2 측에 결합되어 덮개부를 휴대 단말기의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INPUT DEVICE FOR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에는 디스플레이 상단에 구비된 터치 패널 방식의 입력장치를 통해 문자 또는 숫자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즉,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한 문자나 전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를 휴대용 단말기에 입력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 제조되고 있는 터치 방식의 휴대 단말기는 화면의 크기가 한정되어 휴대 단말기에 표시되는 입력 장치, 예를 들어 숫자 전용 또는 문자 전용 키는 그 크기가 작게 표시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시력이 좋지 않은 노약자나 장애인들이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에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키를 정확하게 터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인식 오류도 빈번히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치 패널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에 숫자 또는 특정 명령 신호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상기 입력 신호를 입력하는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는, 상기 터치 패널 위에 위치 가능한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제 1 측에 형성되어 상기 터치 패널에 상기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버튼부 및 상기 덮개부의 제 2 측에 결합되어 상기 덮개부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버튼부가 가압되면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터치 패널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튼부는 상기 덮개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튼부에는 상기 터치 패널과 접촉 가능한 접촉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튼부는 탄성 복원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튼부는 복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덮개부는 상기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의 배면을 수용하도록 상기 몸체의 상기 배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상기 덮개부가 상기 몸체에 고정되도록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를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덮개부의 제 3 측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상을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윈도우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덮개부의 제 4 측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의 종류를 인식하는 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식부는 무선 주파수 인식(RFID) 태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튼부에는 시각 장애인용 점자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터치 패널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별도의 전용 버튼부를 구비하여, 시력이 좋지 않은 노약자나 장애인들이 용이하게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와 휴대 단말기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에 구비된(도 1에 도시된) 버튼부의 예시이다.
도 3은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에 구비된 덮개부의 예시이다.
도 4는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에 구비된 버튼부의 동작 과정이다.
도 5는 버튼부에 구비된 접촉 돌기의 예시이다.
도 6는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의 버튼부와 이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의 예시이다.
도 7은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에 구비된 인식부의 예시이다.
도 8은 윈도우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가 휴대 단말기에 결합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하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는, 휴대 단말기(10) 전면에 설치되어 휴대 단말기에 입력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별도의 버튼이 구비된 외부 입력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100)는 덮개부(110), 버튼부(130) 및 고정부(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부(110)는 휴대 단말기(10)의 터치 패널(11)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덮개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널(11)의 전면을 덮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덮개부(110)는 터치 패널(11)의 전면 전부 또는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덮개부(110)는 휴대 단말기(10)의 터치 패널(11)을 보호하는 커버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덮개부(110)는 경질 또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버튼부(130) 이외의 영역에 위치하는 덮개부(110)를 접촉하는 경우 터치 패널(11)으로 입력 신호가 전달되지 않도록, 덮개부(110)는 부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덮개부(110)의 제 1 측에 버튼부(130)가 형성된다. 이때, 제 1 측은 상기 덮개부(110)의 전면 일측을 나타낸다. 한편, 후술할 고정부(150)는 덮개부(110)의 제 2 측에 형성되는데, 여기에서 제 2 측은 덮개부(110)의 전면 타측을 나타낸다.
버튼부(130)는 휴대 단말기(10)의 터치 패널(11)에 입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버튼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형성된 버튼 형상일 수 있다. 사용자가 돌출된 버튼부(130)를 누르면, 버튼부(130)에 형성된 접촉 돌기(131)가 터치 패널(11)과 접촉하여 입력 신호를 휴대 단말기(1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버튼부(13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버튼부(130)는 돌출되지 않은 평면 타입의 키(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버튼부(130)는 가압되어 터치 패널(11)에 입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버튼부(130)가 가압되어 하측 방향으로 눌러지면, 버튼부(130)의 하측면에 결합된 접촉 돌기(131)가 터치 패널(11)과 접촉되어 입력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버튼부(130)는 탄성 복원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버튼부(130)가 가압된 후, 버튼부(130)는 제자리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부(130)는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버튼부(130)는 도전성을 갖는 금속이나 도체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의 터치 패널(11)이 정전 방식의 터치 패널인 경우, 전계의 변화를 발생시키기 위해, 버튼부(130)은 상기 도전성 물질을 포함해야 한다.
즉, 버튼부(130)는 도전성 고무 또는 도전성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버튼부(130)는 정전 방식뿐만 아니라 정압 방식의 터치 패널(11)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버튼부(130)는 복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버튼부(130)는 복수의 숫자 키(key)과 복수의 기능 키(F)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숫자 키는 숫자 이외에 휴대 단말기(10)에 한글 또는 영문 등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 키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버튼부(130)에 구비된 복수의 기능 키(F)는 휴대 단말기(10)의 여러 가지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키는 SMS, 통화 기능, 사전에 정의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기능 키(F)에 의해 활성화되는 휴대 단말기(10)의 어플리케이션은 사전에 제조자나 사용자에 의해 휴대 단말기(10)에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a)의 2개의 기능 키 중, 상측에 위치하는 기능 키(F)는 휴대 단말기(10)의 통화 기능, 하측에 위치하는 기능 키(F)는 휴대 단말기(10)의 SMS를 활성화하도록 할당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기능 키(F)는 도 2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 키의 개수가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능 키에는 통화를 시작하거나 종료할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버튼부(130)는 덮개부(110) 전면에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의 (a) 내지 (c)와 같이 덮개부(110)의 전면의 위, 아래, 가운데 등 임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버튼부(130)는 복수의 키(key)의 배치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의 (d)와 같이 덮개부(110)의 전체가 복수의 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버튼부(130)의 뒷면에는 접촉 돌기(1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접촉 돌기(131)는 휴대 단말기(10)의 터치 패널(11)과 접촉하여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접촉 돌기(131)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정확하게 터치 패널(11)로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키(key)를 이루는 접촉 돌기(131)가 복수 개로 이루어지면, 사용자가 각각의 키를 누르는 방향에 따라 입력 신호가 전달되지 않은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접촉 돌기(131)의 형상에 따라, 접촉 돌기(131)가 부착된 각각의 키(key)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돌기(131)가 사각 형상인 경우는 숫자 키, 접촉 돌기(131)가 원형인 경우는 기능 키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버튼부(130)와 버튼부(130)에 결합된 접촉 돌기(131)는 사출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버튼부(130)와 접촉 돌기(131)는 접착제 등으로 접착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덮개부(110)의 제 2 측에는 고정부(15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150)는 상기 덮개부(110)를 휴대 단말기(10)의 몸체(13)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150)는 덮개부(110)의 측면에 형성된다. 이때, 고정부(150)는 몸체(13)의 가장 자리, 보다 자세히 사각 형상의 상기 몸체(13)의 네 모퉁이를 가압하여 덮개부(110)를 상기 몸체(13)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부(150)는 덮개부(11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부(150)는 덮개부(110)와 다른 재질로서, 몸체(13)를 가압하여 덮개부(110)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덮개부(110)의 제 3 측에는 윈도우(170)가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170)는 휴대 단말기(10)의 화상을 외부에서 볼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윈도우(170)를 통해 송수신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 송수하는 문자 등의 화상을 볼 수 있다.
이때, 윈도우(170)는 덮개부(110)의 재질과 다른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170)는 투명한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윈도우(170)는 덮개부(110)의 일부가 일정한 크기로 천공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윈도우(170)의 크기는 휴대 단말기(10)의 전술한 화상 내용을 볼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100)는 덮개부(110)의 제 4 측에 형성되는 인식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식부(190)는 덮개부(110)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덮개부(110)의 전면에 형성된 버튼부(130)를 나타낸다.
이때, 휴대 단말기(10)는 인식부(190)에 의해 버튼부(130)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식부(190)에 의해, 휴대 단말기(10)는 버튼부(130)를 구성하는 키(key)의 개수와 키의 종류, 키의 배치 등을 인식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인식부(190)의 패턴, 즉 인식부(190)의 모양 및 배치에 따라, 휴대 단말기(10)는 버튼부(130)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인식부(190)는 무선 주파수 인식(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RFID) 태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식부(190)가 RFID 태그로 이루어지면, 휴대 단말기(10)는 휴대 단말기(10)에 설치되는 판독부(미도시)에 의해 버튼부(130)의 종류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는 인식부(190)를 통해 버튼부(130)의 종류를 인식한 뒤, 버튼부(130)의 종류(도 6의 (a))에 대응하여 터치 패널(11)의 화상을 구성할 수 있다(도 6의 (b)).
그러나,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100)에 인식부(190)가 존재하지 않거나, 휴대 단말기(10)에 판독부가 없는 경우, 사용자가 직접 휴대 단말기(10)에 버튼부(130)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부(130)에는 시각 장애인용 점자가 형성될 수 있다. 버튼부(130)의 상측면에 점자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시각 장애인이 터치 패널(11)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10)에 숫자나 문자 등을 쉽게 입력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10)는 인식부(190)를 통해 버튼부(130)에 점자가 형성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버튼부(130)에 점자가 형성된 경우, 휴대 단말기(10)는 버튼부(130)의 키가 선택됨과 동시에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자는 버튼부(130)의 상측면에 버튼부(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점자가 형성된 시트(sheet)를 버튼부(130) 상측면에 부착하여, 점자를 구성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350)는 휴대 단말기(10) 몸체(10)의 배면을 수용하여 덮개부(110)를 몸체(13)에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부(350)는 상기 몸체(13)의 배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13)가 고정부(350)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덮개부(310)는 고정부(35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310)의 일측면이 고정부(350)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덮개부(310)와 고정부(35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100)는 휴대 단말기(10)에 구비된 터치 패널(11)에 입력 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별도의 전용 버튼부(130)를 구비하여, 시력이 좋지 않은 노약자나 장애인들이 용이하게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휴대 단말기 11: 터치 패널
13: 몸체 100: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
110: 덮개부 130: 버튼부
150: 고정부 170: 윈도우
190: 인식부

Claims (13)

  1.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상기 입력 신호를 입력하는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는,
    상기 터치 패널 위에 위치 가능한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제 1 측에 형성되어 상기 터치 패널에 상기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버튼부 및
    상기 덮개부의 제 2 측에 결합되어 상기 덮개부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가 가압되면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터치 패널에 전달되는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덮개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에는 상기 터치 패널과 접촉 가능한 접촉 돌기가 형성된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탄성 복원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복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의 배면을 수용하도록 상기 몸체의 상기 배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덮개부가 상기 몸체에 고정되도록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는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제 3 측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상을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윈도우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제 4 측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의 종류를 인식하는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무선 주파수 인식(RFID) 태그로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에는 시각 장애인용 점자가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
KR1020130029976A 2013-03-20 2013-03-20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 KR20140115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976A KR20140115195A (ko) 2013-03-20 2013-03-20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976A KR20140115195A (ko) 2013-03-20 2013-03-20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195A true KR20140115195A (ko) 2014-09-30

Family

ID=51758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976A KR20140115195A (ko) 2013-03-20 2013-03-20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51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393Y1 (ko) * 2014-09-16 2015-02-27 양은재 스마트폰용 플립커버
KR101639805B1 (ko) * 2015-05-07 2016-07-14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하이브리드 모바일 키보드 및 그의 스크린 맵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393Y1 (ko) * 2014-09-16 2015-02-27 양은재 스마트폰용 플립커버
KR101639805B1 (ko) * 2015-05-07 2016-07-14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하이브리드 모바일 키보드 및 그의 스크린 맵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33346B (zh) 合并有生物测定传感器的输入设备
AU733239B2 (en) Touch screen overlay apparatus
TW523703B (en) Input device
US6667738B2 (en) Touch screen overlay apparatus
JP5584775B2 (ja) 電子機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携帯端末
CN117270637A (zh) 具有键盘的计算机
KR100904887B1 (ko) 휴대 단말기
JP2008242558A (ja) 入力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2012018478A (ja) 外付けキーパッド
JP2007207107A (ja) 携帯端末装置
JP2013050903A (ja) 平面入力キーボード
JP2018160025A (ja) カバー
KR20160088491A (ko) 가변 디스플레이 장치
US20110260980A1 (en) System for enhancing the utilization of touch screen devices
US20140146445A1 (en) Portable input device
JP4393280B2 (ja) キー入力装置
KR20140115195A (ko) 휴대 단말기용 입력 장치
KR20140110607A (ko) 키버튼 어셈블리 및 그 운용 방법
JP2014238760A (ja) 入力補助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KR101548738B1 (ko) 휴대용 키보드
CN106298327B (zh) 按键及其键盘
TWI760581B (zh) 翻譯機
KR101140623B1 (ko) 휴대통신기기용 스킨
KR101534855B1 (ko) 버튼 입력 장치
CN110945460B (zh) 具有键盘的计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