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4102B1 -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헬리코박터 조성물 - Google Patents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헬리코박터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102B1
KR100624102B1 KR1020040007907A KR20040007907A KR100624102B1 KR 100624102 B1 KR100624102 B1 KR 100624102B1 KR 1020040007907 A KR1020040007907 A KR 1020040007907A KR 20040007907 A KR20040007907 A KR 20040007907A KR 100624102 B1 KR100624102 B1 KR 100624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extract
helicobacter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9791A (ko
Inventor
김동구
박천규
정재현
최원식
이범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시스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시스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시스바이오
Priority to KR1020040007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102B1/ko
Publication of KR20050079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1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헬리코박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천연식품 추출물이므로 인체에 독성 및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며, 식품으로 용이하게 복용가능 할 뿐만 아니라, 합성 항균제의 대체품으로 이용할 수 있는, 노루궁뎅이 버섯, 영지버섯 및 아가리쿠스 버섯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버섯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헬리코박터 조성물을 제공한다.
헬리코박터, 영지버섯, 노루궁뎅이 버섯, 아가리쿠스 버섯

Description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헬리코박터 조성물{ANTI-HELICOBACTER COMPOSITION CONTAINING MUSHROOM EXTRACT}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헬리코박터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에 독성 및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며, 식품으로 용이하게 복용가능 할 뿐만 아니라, 합성 항균제의 대체품으로 이용할 수 있는 항헬리코박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헬리코박터 필로리(Helicobacter pylori)는 그람음성 세균으로서 1983년 웨렌(Warren)과 마샬(Marshall)에 의하여 처음으로 사람의 위 점막조직에서 분리 및 동정되었다. 처음에는 캠필로박터 파이로리디스(Campylo bacter pyloridis)로 명명되었으나, 체내에서의 모양과 위내에서 주로 서식하는 유문부(pylorus)의 명칭을 인용하여 '헬리코박터 필로리'로 명명되었다.
헬리코박터 필로리는 식도나 십이지장 등의 점막에서도 발견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위의 내부, 특히 약 0.5 ㎜ 두께의 위 점액층에서 상피세포와 접촉한 상 태로 정착하여 증식한다. 헬리코박터 필로리는 위염, 위궤양, 소화성궤양, 십이지장궤양 및 위암의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일단 감염되면 감염이 수십 년간 지속되고, 자연적으로 제거되는 경우는 거의 없어 헬리코박터 필로리는 만성 위염의 주원인이다.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의 치료제로는 현재 위산분비를 억제하는 H2 차단제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제제들은 치료효과가 높은데 반하여 재발비율이 높다. 이는, 상기 제제들이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위산분비 억제에 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근래에는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의 원인인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제제에 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연구로,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항균활성을 가지는 다수의 유산균(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3-82509호, 제 2003-77895호, 제 2002-46168호, 제 2002-46167호, 제 2002-46166호)과 바실러스 속 균주(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3-75003호, 제 2003-75716호)들이 동정되었으며, 그 외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병독인자를 항원으로 하여 제조한 항체들이 개발되었으며, 비스머쓰(bismuth) 및 메트로니아졸(metronidazole)에 아목시실린(amixicillin) 또는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을 병용처리하는 3중 요법과, 비스머쓰, 오메프라졸, 테트라사이클린 및 네트로니아졸을 혼합 처리하는 4중 요법을 이용한 치료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항생제를 이용한 치료방법은 내성균주 출현과, 약물 치료후 다시 재발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치료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천연식물 추출물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며, 식품으로 복용가능한 항헬리코박터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노루궁뎅이 버섯, 영지버섯 및 아가리쿠스 버섯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버섯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헬리코박터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천연식품을 검색하던 중, 노루궁뎅이버섯, 영지버섯 및 아가리쿠스 버섯이 우수한 항헬리코박터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여,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노루궁뎅이 버섯, 영지버섯 및 아가리쿠스 버섯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버섯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헬리코박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노루궁뎅이 버섯, 영지버섯 및 아가리쿠스 버섯은 통상의 자연에서 채집되거나 인공적으로 배양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인공배양은 통상적인 배양방법에 의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실시가능하다.
일실시예로, 노루궁뎅이 버섯은 인진쑥에서 배양된 것일 수 있다. 인진쑥에서 배양한 노루궁뎅이 버섯은, 버섯 종균을 통상의 버섯 액체배지에서 배양한 후 이를 인진쑥에 접종 및 배양하여 수득한 것일 수 있으며, 이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2-72878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실시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구체적인 배양방법이나 배양조건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변경가능하다.
인진쑥에서 배양한 노루궁뎅이 버섯은
(a) 노루궁뎅이 버섯의 종균을 수득하는 단계;
(b) 인진쑥을 포함하는 고체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고체 배지에 상기 노루궁뎅이 버섯 종균을 접종 및 배양하여 균사체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균사체를 더욱 배양하여 자실체를 수득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 노루궁뎅이 버섯의 종균은 노루궁뎅이 버섯을 종균용 액체배양배지에 접종하고, 이를 23 내지 26 ℃, pH 5 내지 6, 교반속도 100 내지 140 rpm으로 5 내지 8일간 진탕배양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에서 설정된 배양온도, 배지의 pH, 교반속도 및 배양기간은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최대로 수득하기 위한 범위이며, 상기 종균용 액체배양배지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액체배지인 YMPG, MCM, PDA 또는 대두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고체배지는 인진쑥에 물을 가한 후 멸균하여 제조한다. 물은 인진쑥에 대하여 1: 1 내지 10 중량비로 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멸균법은 공지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로는 고온멸균방법이다.
상기 (c) 단계에서는, (a) 단계에서 수득한 종균을 고체배지에 0.1 내지 30 중량%로 접종하고, 이를 배양온도 23 내지 26 ℃, 배양기간 40 내지 50일간 배양한다. 상기한 1차 생육으로 균사체를 수득할 수 있으며, 균사체를 배양온도 15 내지 20 ℃, 배양기간 10-15일 동안 2차 생육하여 자실체를 더욱 배양할 수 있다.
상기한 인진쑥에서 노루궁뎅이 버섯 배양방법은, 일예에 불과하며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영지버섯 및 아가리쿠스 버섯 역시 상기한 방법으로 인진쑥에서 배양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추출물은, 버섯의 균사체, 자실체, 액체배양물 및 이들의 혼합물중 어느 하나를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버섯 추출물은 1종 이상의 추출용매에 버섯을 침지하여 상청액을 수득 또는 분획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후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를 통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로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콜, 헥산, 클로로포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알콜로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또는 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알콜은 100 % 원액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90 내지 50 % 알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추출용매는 상기 기술한 용매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모든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추출방법은 버섯 에 추출용매를 1: 1 내지 20 중량비로 가하여 침지한 다음 이를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고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추출물 각각은, 식용가능한 버섯으로부터 추출한 것이므로 인체에 무독할 뿐만 아니라, 식품으로 용이하게 복용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추출물은 헬리코박터 필로리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메트로니다졸 및 테트라사이클린에 비하여 현저히 월등한 항균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항헬리코박터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버섯 추출물을 1종이상 포함하며, 이외에 제형 및 사용방법에 따라 약리학적으로 사용가능한 담체나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항헬리코박터 조성물내 유효성분의 함량은 0.001 내지 99 중량% 일 수 있다. 조성물내 유효성분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 효과적인 효능을 위해선 다량의 투여가 필요할 수 있으며, 99 중량% 초과하는 경우 사용량에 비해 효능이 일정할 수 있어 비경제적일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기로는 항헬리코박터 조성물의 사용방법 및 제형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좋다.
상기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는 제형에 따라 통상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제화하는 경우 충진제, 증량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희석제 또는 부형제로는 물,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드, 락토스,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틴 및 생리식염수가 있다.
항헬리코박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이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하기 기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형의 예로는 경고제(PLASTERS), 과립제(GRANULES), 로션제(LOTIONS), 산제(POWDERS), 시럽제(SYRUPS),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연고제(OINTMENTS), 유동엑스제(FLUIDEXTRACTS), 유제(EMULSIONS), 현탁제(SUSPESIONS), 침제(INFUSIONS), 정제(TABLETS), 주사제(INJECTIONS), 캅셀제(CAPSULES) 및 환제(PILLS) 등이 있다.
항헬리코박터 조성물의 투여량 또는 사용량은 제공형태,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내에서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및 병용되는 약물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으며, 예컨대 1일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0.001 ㎎/㎏(체중) 내지 500 ㎎/㎏(체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헬리코박터 조성물은 식품, 식품첨가제, 음료 또는 약제로 사용가능하며, 기능성 식품 또는 음료로도 용이하게 활용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인진쑥에서 배양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추출물 제조
노루궁뎅이(Hericium erinaceus) 버섯균을 pH 5.5로 조절된 YMPG(KH2PO4 2.0 g/L, MgSO4·7H2O 1.0 g/L, 글루코스 10.0 g/L, 티아민-HCl 1.0 g/L, DL-아스파라진 1.0 g/L, 펩톤 2.0 g/L, 말트 추출물 10.0 g/L, 효모 추출물 2.0 g/L, 한천 20.0 g/L) 또는 MCM(K2HPO4 1.0 g/L, KH2PO4 0.46 g/L, MgSO4 ·7H2O 0.5 g/L, 글루코스 20.0 g/L, 펩톤 2.0 g/L, 효모 추출물 2.0 g/L, 한천 20.0 g/L) 배지에 접종하고, 배양온도 25 ℃, 교반속도 120 rpm으로 7일간 진탕 배양하여 접종원을 배양하였다.
인진쑥의 총 중량의 2배에 해당하는 물을 인진쑥에 첨가하고, 이를 120 ℃에서 2-4시간 멸균하여 고체배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고체배지의 중량에 대하여 상기 접종원을 10 중량%로 접종하고, 25 ℃에서 40 내지 50일 동안 균사체를 1차 생육시켰다. 이후, 배양온도 15 내지 20 ℃에서 10 내지 15일간 2차 생육을 수행하여 자실체를 생육시켰다.
상기에서 수득한 균사체는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건조시킨 후 건조물 145 g에 30 %의 에탄올 3 L을 넣고 2주간 상온 추출하였다. 에탄올 추출액은 여과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취하고, 이는 80 ℃에서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건조물 20.5 g을 수득하였다. 이하 상기 에탄올 추출물, 즉 동결건조물은 "애리나콜"이라 명명한다.
실시예 2: 노루궁뎅이 버섯 추출물
노루궁뎅이 버섯 건조물 75 g을 잘게 파쇄한 후, 30 % 에탄올 3 L를 가하여 2주간 상온추출하였다. 추출액은 여과하여 여액을 취하였으며, 이는 80 ℃에서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건조물 41.9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영지버섯 추출물
영지버섯 건조물 145 g을 잘게 파쇄한 후, 30 % 에탄올 3 L를 가하여 2주간 상온추출하였다. 추출액은 여과하여 여액을 취하였으며, 이는 80 ℃에서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건조물 4.3 g을 수득하였다. 상기한 과정을 반복실시하여 총 16.4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아가리쿠스 버섯 추출물
아가리쿠스 건조물 145 g을 잘게 파쇄한 후, 30 % 에탄올 3 L를 가하여 2주간 상온추출하였다. 추출액은 여과하여 여액을 취하였으며, 이는 80 ℃에서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건조물 78.3 g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2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 및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을 각각 Sigma사에서 구입하였으며, 이를 비교예 1 및 2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항헬리코박터 활성 측정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균활성 검색은 다음의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헬리코박터 필로리를 브루셀라(brucella) 한천배지에 48시간 배양한 후, 브루셀라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450 nm에서 흡광도가 1.2가 되도록 현탁 배양하였다. 현탁액 200 ㎖을 취하여, 브루셀라 한천배지에 도말한 다음, 여기에 멸균된 디스크(Bacto Concentration Disk)를 올려놓고, 디스크에 실시예 1 내지 4의 버섯 추출물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시료는 DMSO에 용해시킨 후 각각 0.05 ㎎으로 적정하였다. 이후 10 % CO2 조건하에서 37 ℃로 72시간 배양한 후 디스크 주위에 형성된 생육 저지환(clear zone)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 생육 저지환(mm)
실시예 1 20
실시예 2 <10
실시예 3 <10
실시예 4 <10
비교예 1 31
비교예 2 53
상기 표 1에서, 실시예 1 내지 4의 버섯 추출물은 비교예의 메트로니다졸 및 테트라사이클린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항헬리코박터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약제 제조
5-1. 산제
실시예 1의 인진쑥에서 배양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추출물 2 g에 유당 1 g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5-2. 정제
실시예 1의 인진쑥에서 배양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5-3. 캡슐제
실시예 1의 인진쑥에서 배양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을 혼합한 후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5-4. 주사제
실시예 1의 인진쑥에서 배양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추출물 100 ㎎에 주사용 증류수 적량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pH를 약 7.5로 조절한 다음 2 ㎖ 용량의 앰플에 충진 및 멸균시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기능성 식품 제조
6-1. 선식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의 분말로 준비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및 들깨 각각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후 배전 및 분쇄하여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준비하였다.
이후, 현미 30 중량%, 율무 15 중량%, 보리 20 중량%, 찹쌀 9 중량%, 들깨 7 중량%, 검정콩 8 중량%, 검정깨 7 중량%, 실시예 1의 인진쑥에서 배양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추출물 3 중량%, 영지 0.5 중량% 및 지황 0.5중량%을 혼합하여 선식을 제조하엿다.
6-2. 음료
꿀 0.26 중량%, 치옥토산아미드 0.0002 중량%, 니코틴산아미드 0.0004 중량%,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0.0001 중량%, 염산피리독신 0.0001 중량%, 이노시톨 0.001 중량%, 오르트산 0.002 중량%, 물 98.7362 중량% 및 실시예 1의 인진쑥에서 배양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추출물 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건강 음료를 제조하였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루궁뎅이 버섯, 영지버섯 및 아가리쿠 스 버섯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버섯의 추출물은, 현저한 항헬리코박터 필로리 활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천연식품 추출물이므로 인체에 독성 및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며, 식품으로 용이하게 복용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버섯 추출물은 기존의 합성 항균제의 대체물질로 이용가능하다.

Claims (8)

  1. 노루궁뎅이 버섯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헬리코박터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한 것인 항헬리코박터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의 추출물은 버섯 균사체를 에탄올로 추출한 것인 항헬리코박터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루궁뎅이 버섯은 인진쑥이 포함된 고체배지에서 배양된 것인 항헬리코박터 조성물.
  5. 제 4 에 있어서, 상기 노루궁뎅이 버섯은
    (a) 노루궁뎅이 버섯을 종균용 액체배양배지에 접종하고, 이를 23 내지 26 ℃, pH 5 내지 6, 교반속도 100 내지 140 rpm으로 5 내지 8일간 진탕배양하여 종균을 수득하는 단계;
    (b) 인진쑥에 대하여 물을 1: 1 내지 10 중량비로 가한 후 멸균하여 고체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단계에서 수득한 종균을 고체배지에 0.1 내지 30 중량%로 접종하고, 이를 배양온도 23 내지 26 ℃, 배양기간 40 내지 50일간 배양하여 균사체를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배양된 것인 항헬리코박터 조성물.
  6. 제 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인 것인 항헬리코박터 조성물.
  7. 제 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첨가제인 것인 항헬리코박터 조성물.
  8. 제 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음료인 것인 항헬리코박터 조성물.
KR1020040007907A 2004-02-06 2004-02-06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헬리코박터 조성물 KR100624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907A KR100624102B1 (ko) 2004-02-06 2004-02-06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헬리코박터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907A KR100624102B1 (ko) 2004-02-06 2004-02-06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헬리코박터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791A KR20050079791A (ko) 2005-08-11
KR100624102B1 true KR100624102B1 (ko) 2006-09-18

Family

ID=37266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907A KR100624102B1 (ko) 2004-02-06 2004-02-06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헬리코박터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41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970B1 (ko) * 2008-11-25 2011-11-22 정시남 쿠마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0812373A (zh) * 2019-12-13 2020-02-21 钟志强 一种具有抗幽门螺杆菌的益生菌组合物的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006B1 (ko) * 2007-10-10 2009-10-09 최승은 위염 및 위궤양 질환 치료용 버섯 추출물
KR20100111040A (ko) * 2009-04-06 2010-10-14 정시남 지방산 계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4739889B (zh) * 2015-02-13 2018-11-09 湖南新汇制药股份有限公司 一种生物双向转化菌丝体及其提取物在制备抗幽门螺杆菌药物中的应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970B1 (ko) * 2008-11-25 2011-11-22 정시남 쿠마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0812373A (zh) * 2019-12-13 2020-02-21 钟志强 一种具有抗幽门螺杆菌的益生菌组合物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791A (ko) 200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2311B1 (ko) 활성화된 당 관련 화합물을 함유하는 물질을 생성하는 차가버섯, 상황버섯, 영지버섯, 꽃송이버섯 및 동충하초의 복식 배양 방법
CN101805763B (zh) 一种具有增强免疫作用的桦褐孔菌胞内外混合粗多糖
CN104147383A (zh) 一种抗肿瘤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731365B (zh) 猴头菌抑制幽门螺杆菌的生物小分子及其在治疗消化道疾病中的应用
JP2001231545A (ja) アントロディアカンフォラータ(Antrodiacamphorata)の分離株、その培養物の生産方法、及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産生物
CN115838676A (zh) 利用新型植物乳植杆菌菌株中药发酵及应用
KR100624102B1 (ko)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헬리코박터 조성물
KR100340663B1 (ko) 이노노투스 오브리쿠우스의 인공배양물로부터 분리된 항암면역활성 다당류의 제조방법 및 그 용도
JP3911427B2 (ja) 新規セスキテルペン系化合物、その製造方法及び組成物
JP4109572B2 (ja) 冬虫夏草菌糸体の培養方法及び組成物
KR100572405B1 (ko) 무독화 옻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그 추출물의 용도
KR100814351B1 (ko) 담자균류 및 두릅나무과 추출물의 생리학적 활성 조성물
CN116042470A (zh) 利用新型鼠李糖乳酪杆菌株中药发酵及其应用
KR101721836B1 (ko)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액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항암, 각종 암 예방,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2615B1 (ko)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2-6-4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0706132B1 (ko)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사체 배양용 배지 조성물
KR101568823B1 (ko) 게르마늄이 함유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0553926B1 (ko) 무독화 옻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그 추출물의 용도
KR100573375B1 (ko) 으름덩굴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CN106511401A (zh) 戴氏虫草菌丝体多糖的制备方法及应用
KR100624100B1 (ko) 인진쑥에서 배양한 버섯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0599343B1 (ko) 항알레르기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239382B1 (ko) 신규 마실리아 속 균주 및 그의 용도
KR102636200B1 (ko) 보리 및 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충하초 배양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동충하초 배양방법
KR20180125354A (ko) 천연 복합 버섯 성분이 함유된 아토피 개선 연고 및 로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