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792B1 -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792B1
KR100623792B1 KR1020047016849A KR20047016849A KR100623792B1 KR 100623792 B1 KR100623792 B1 KR 100623792B1 KR 1020047016849 A KR1020047016849 A KR 1020047016849A KR 20047016849 A KR20047016849 A KR 20047016849A KR 100623792 B1 KR100623792 B1 KR 100623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ongated housing
opening
container
piston
viscous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7462A (ko
Inventor
게리 자우어
Original Assignee
게리 자우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리 자우어 filed Critical 게리 자우어
Publication of KR20050007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61J1/067Flexible ampoules, the contents of which are expelled by squeez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78Urinary tract
    • A61M2210/1085Blad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78Urinary tract
    • A61M2210/1089Urethra
    • A61M2210/1096Ma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11Aseptic inser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One-way gripping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8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 A61M5/281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using emptying means to expel or eject media, e.g. pistons, deformation of the ampoule, or telescoping of the ampoule
    • A61M5/282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using emptying means to expel or eject media, e.g. pistons, deformation of the ampoule, or telescoping of the ampoule by compression of deformable ampoule or carpul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ackage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성 물질용 용기로서, 기다란 하우징(1)과, 하나 이상의 피스톤(2)과 하나 이상의 개구(3)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피스톤은 기다란 하우징내에 미끄럼이동할 수 있어 점성 물질을 추출시킨다.

Description

용기{Container}
본 발명은 점성 물질 저장용으로 쉽게 운송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내에 수용된 점성 물질은 어떠한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와 접촉하지 않고 용이하게 완전히 추출할 수 있다.
저장해서 운송되어질 점성 물질을 감싸는 용기는 종종 사용하기 불편하고 대부분 점성 물질을 추출하는데 적용기(applicator) 또는 다른 기구를 필요로 한다. 한 종래 디자인은 일반적으로 나사진 캡으로 밀봉되어져 있는 개구를 통해서 내용물을 짜서 추출할 수 있는 연성 용기를 이용한다. 이런 디자인은 사용자가 먼저 캡의 나사를 풀고 개구를 노출한 다음에 압력을 용기의 바디에 가해서 개구를 통해 내용물을 밀어내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 디자인은 압력이 용기의 바디에 가해질 때, 내용물이 옆으로 펴져서 약간은 용기가 거의 비워져도 항상 용기내에 남아 있다는 사실에 의해서, 용기의 내용물을 완전히 추출해 낼 수 없다.
다른 디자인이 펌프 기구와 연관해서 작동하는 개구를 통해서 점성 물질을 물리적으로 펌프하는 펌프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펌프 기구가 작동될 때, 개구는 열려서 내용물의 추출을 허용한다. 이 디자인은 제조 비용이 비싸고 소형 부품을 많이 조립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점성 물질을 밀봉 상태로 저장하고 쉽게 운송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의 내용물은 어떠한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와 접촉하지 않고 용이하게 완전히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다란 용기로서, 단부 가까이에 하나 이상의 개구와, 기다란 하우징의 내부의 단면 프로화일과 거의 동일한 프로화일과 치수를 가지며, 가압시에 상기 기다란 용기의 길이를 따라서 미끄러지고 상기 용기의 내용물을 완전히 수출하는 상기 용기내에 들어 있는 하나 이상의 피스톤을 가진다.
도 1은 각각이 기다란 하우징의 각 단부 가까이에 있는 두 개의 개구와 점성 물질을 감싸는 두 개의 피스톤을 갖는 용기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각각이 기다란 하우징의 각 단부 가까이에 있는, 커버로 밀봉되어 있는 두 개의 개구와 점성 물질을 감싸는 두 개의 피스톤을 갖는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기다란 하우징의 단부 가까이에 있는 하나의 개구와 기다란 하우징의 폐쇄 단부에 대항해 점성 물질을 감싸고 상기 폐쇄 단부 가까이에 있는 스코링(scoring)을 갖는 하나의 피스톤을 갖는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기다란 하우징의 단부 가까이에 커버되어 있는 하나의 개구와 기다란 하우징의 폐쇄 단부에 대항해 점성 물질을 감싸고 상기 폐쇄 단부 가까이에 있는 스코링(scoring)을 갖는 하나의 피스톤을 갖는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각각이 기다란 하우징의 각 단부 가까이에 있는, 두 개의 개구와 점성 물질을 감싸는, 상기 개구와 동일한 위치에 놓이고 상기 개구를 밀봉하는 두 개의 피스톤을 갖는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피스톤들이 개구로부터 멀어지게 가압되어 기다란 하우징의 내용물을 추출한 후의 피스톤들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7은 각각이 기다란 하우징의 각 단부 가까이에 있는 두 개의 개구와 제한부에 의해서 유지 위치에 유지되고 점성 물질을 감싸는 두 개의 피스톤을 갖는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피스톤들이 이들 유지 위치로부터 멀어지게 가압되어 기다란 하우징의 내용물을 추출한 후의 피스톤들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9는 각각이 기다란 하우징의 각 단부 가까이에 커버되어지는 두 개의 개구와 제한부에 의해서 유지 위치에 유지되고 점성 물질을 감싸는 두 개의 피스톤을 갖는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피스톤들이 이들 유지 위치로부터 멀어지게 가압되어 기다란 하우징의 내용물을 추출한 후의 피스톤들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1은 용기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용기는 두 개의 단부를 갖는 기다란 하우징(1)을 가진다. 개구(3)는 두 개의 단부 각각에 가까이에 놓여 있다. 두 개의 피스톤(2)은 기다란 하우징(1)내에 들어 있으며 기다란 하우징(1)의 내부 프 로화일과 치수와 거의 동일한 프로화일과 치수를 가지며 두 개구(3) 사이에 놓여 있다. 두 피스톤(2)은 기다란 하우징(1)내에서 피스톤 사이에 점성 물질(4)을 감싸서 밀봉한다. 점성 물질(4)은 피스톤(2)이 공기압이든지 또는 물리력에 의해서 가압되어 이들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될 때까지 기다란 하우징(1)내에 밀봉되어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개구(3)중 하나를 간단하게 커버하고 한쪽 단부의 개구(3) 아래에 있는, 기다란 하우징(1)내의 공기챔버로 압력을 가하면, 공기압이 발생하여 피스톤(2)을 가압하여 기다란 하우징(1)의 반대쪽 단부의 다른 개구(3)를 향해서 미끄럼이동시킬 것이다. 유체가 압축될 수 없기 때문에, 점성 물질(4)은 피스톤(2)과 동일한 속도와 거리로 기다란 하우징(1)을 따라서 미끄러진다. 기다란 하우징(1)의 반대쪽 단부에 있는 피스톤(2)이 기다란 하우징(1)의 반대쪽 단부의 개구(3)를 통과해서 미끄러지면, 점성 물질(4)은 사용을 위해서 기다란 하우징(1)의 반대쪽 단부에 있는 개구(3)를 통해서 나올 것이다. 피스톤(2)은 또한 기다란 하우징(1)의 내면을 스크랩해서 기다란 하우징(1)을 따라서 미끄럼하면서 모든 점성 물질(4)을 완전히 추출할 것이다. 사용자는 또한 기다란 하우징(1)의 한 단부를 짜서 물리적 힘을 가할 수 있고 피스톤(2)을 물리적으로 밀어서 기다란 하우징(1)의 다른 단부쪽을 향해서 미끄러지게 해서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용기의 다른 실시예로, 양호한 실시예의 두 개구(3)의 각각이 커버로 덮여 있다. 커버(5)는 개구(3) 아래의 공기 챔버를 밀봉해서 기다란 하우징(1)으로의 오염물의 침입을 방지해서 완전히 밀봉된 기다란 하우징(1)을 만든다.
도 3은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용기는 두 단부를 갖은 기다란 하우 징(1)을 가진다. 개구(3)는 기다란 하우징(1)의 한 단부 가까이에 놓여 있다. 피스톤(2)은 기다란 하우징(1)의 내부 프로화일과 치수와 거의 동일한 프로화일과 치수로 기다란 하우징(1)내에 들어 있고 개구(3)와 동일한 단부 가까이에 놓여 있다. 피스톤(2)은 어떠한 개구는 없지만 스코닝(6)을 가지고 기다란 하우징(1)의 다른 단부와 피스톤(2)사이의 점성 물질(4)을 감싸고 밀봉하므로, 기다란 하우징(1)은 굽힘시 스코닝(6)에서 파괴되어 개방될 수 있다. 점성 물질(4)은 기다란 하우징(1)이 스코닝(6)에서 피괴되어 개방될 때까지 밀봉되어 있으며 피스톤(2)은 공기압 또는 물리적 힘에 의해 가압되어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기다란 하우징(1)으로부터 점성 물질(4)을 밀어낸다.
도 3에 도시한 다른 변경 실시예는 스코닝(6) 대신에 압력 감지 개구를 이용하므로, 피스톤(2)이 공기압이든지 또는 물리적 힘에 의해서 가압되어 압력 감지 개구를 밀봉하고 있는 기다란 하우징(1)의 다른 단부에 대항해 점성 물질(4)을 밀때, 압력 감지 개구는 여기서 생긴 압력에 의해서 개방되어 용기로부터 점성 물질(4)의 추출을 허용한다. 압력 감지 개구는 점성 물질(4)을 기다란 하우징(1)으로부터 누설하지 않지만, 예정된 압력이 압력 감지 밀봉체에 가해진 경우에 밀봉체를 파괴하는데 충분한 힘으로만 기다란 하우징(1)의 단부를 밀봉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개구(3)는 커버(5)로 덮여 있다. 커버(5)는 추가로 개구(3) 아래의 공기 챔버를 밀봉하여 기다란 하우징(1)으로의 오염물의 침입을 방지하며 이로써 완전히 밀봉된 기다란 하우징(1)을 만든다.
도 5는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용기는 두 단부를 갖은 기다란 하우징(1)을 가진다. 개구(3)는 두 단부 가까이에 놓여 있다. 두 피스톤(2)은 기다란 하우징(1)의 내부 프로화일과 치수와 거의 동일한 프로화일과 치수로 기다란 하우징(1)내에 들어 있고 피스톤(2)은 개구(3) 아래에 위치되어 있음으로써 개구(3)를 밀봉한다. 두 피스톤(2)은 기다란 하우징(1) 내의 피스톤(2)사이에서 점성 물질(4)을 감싸고 밀봉한다. 점성 물질(4)은 피스톤(2)이 공기압 또는 물리적 힘에 의해 가압되어 도 6에 도시한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할 때까지 기다란 하우징(1)내에 밀봉되어 있다. 사용자가 기다란 하우징(1)중 어느 한 단부를 짜면, 여기서 생긴 압력은 피스톤(2)을 가압해서 기다란 하우징(1)의 다른 단부를 향해서 초기 위치로부터 미끄럼시킨다. 유체가 압축될 수 없으므로, 점성 물질(4)은 피스톤(2)과 동일한 속도와 거리로 기다란 하우징(1)을 따라서 미끄럼이동한다. 기다란 하우징(1)의 반대쪽의 피스톤(2)이 반대쪽의 개구(3)로부터 멀리 미끄러지면, 점성 물질(4)은 사용을 위해서 기다란 하우징(1)의 반대쪽 단부에 있는 개구(3)를 통해서 나올 것이다. 피스톤(2)은 또한 기다란 하우징(1)의 내면을 스크랩하므로, 기다란 하우징(1)을 따라서 미끄럼할 때에 모든 점성 물질(4)을 완전히 추출할 것이다.
도 7은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용기는 두 단부를 갖은 기다란 하우징(1)을 가진다. 개구(3)는 두 단부 각각에 가깝게 놓여 있다. 두 피스톤(2)은 기다란 하우징(1)의 내부 치수보다 작은 치수로 기다란 하우징(1)내에 들어 있으며 제한부(7)에 의해서 예정 장소에서 유지되어 있으며 두 개구(3)사이에 놓여 있다. 두 피스톤(2)은 기다란 하우징(1) 내에서 이들 사이에 점성 물질(4)을 감싸고 밀봉 한다. 점성 물질(4)은 피스톤(2)이 공기압이든지 또는 물리적 힘에 의해서 가압되어 제한부(7)에 있는 예정 위치로부터 이동할 때까지 기다란 하우징(1)내에 밀봉되어 있다. 피스톤(2)이 제한부(7)로부터 분리되면, 피스톤들은 기다란 하우징(1)내에서 점성 물질(4)의 자유로운 이동을 허용할 것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의 방위에 따라서, 점성 물질(4)은 어느 개구(3)로부터도 나올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두 개구(3) 각각은 커버(5)로 덮여 있다. 커버(5)는 추가로 개구(3) 아래의 공기 챔버를 밀봉해서 기다란 하우징(1)으로의 오염물의 침입을 방지하여 완전히 밀봉된 기다란 하우징(1)을 만든다. 더욱이, 이런 밀봉된 공기 챔버는 양력 또는 부력(negative pressure)으로 가압될 수 있어서, 한 커버(5)가 제거되면, 밀봉된 공기 챔버에 남아 있는, 양력이든지 또는 부력이든지 공기압은 피스톤(2)을 가압하여 제한부(7)에 있는 초기 위치로부터 멀리 미끄럼시키고 기다란 하우징(1)내의 점성 물질(4)의 이동을 자유롭게 허용하여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개구(3)를 통해 빠져나온다.

Claims (11)

  1. 용기로서,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갖은 기다란 하우징과,
    상기 기다란 하우징의 내부의 단면 프로화일과 거의 동일한 프로화일과 치수로 상기 기다란 하우징내에 들어 있으며, 가압시에 상기 기다란 하우징의 길이를 따라서 미끄러지고 상기 기다란 하우징의 내부를 챔버들로 분리하는 하나 이상의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피스톤은 상기 기다란 하우징내의 점성 물질을 개구 아래의 하나 이상의 공기 챔버로부터 분리하여 유지하며, 상기 피스톤이 가압되어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되면, 점성 물질은 상기 공기 챔버로 들어가서 상기 기다란 하우징내의 개구를 통해서 나오는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하우징상의 개구는 커버로 덮여 있는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하우징은 한 단부 가까이에 있는 개구와 다른 단부 가까이에 있는 스코닝을 가지며, 상기 용기는 상기 스코닝에서 파괴되어 개방될 수 있어 상기 기다란 하우징내에 함유된 점성 물질을 상기 기다란 하우징내에 들어 있는 피스톤에 의해서 상기 피스톤이 가압되어 위치를 이동 한 후에 추출시키는 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하우징상의 개구는 커버로 덮여 있는 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하우징은 한 단부 가까이에 있는 개구와 다른 단부 가까이에 있는 압력 감지 개구를 가지며, 용기는 상기 압력 감지 개구에서 밀려서 개방될 수 있어, 상기 기다란 하우징내에 함유된 점성 물질을 상기 기다란 하우징내에 들어 있는 피스톤에 의해서 상기 피스톤이 가압되어 위치를 이동 한 후에 추출시키는 용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하우징상의 개구는 커버로 덮여 있는 용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하우징상의 개구는 상기 기다란 하우징내에 들어 있는 피스톤에 의해 차단되며, 상기 피스톤이 가압되어 이들 위치로부터 이동하면 점성 물질은 상기 기다란 하우징상의 개구를 통해서 나오는 용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기다란 하우징의 길이를 따라서 예정 장소에서 상기 기다란 하우징의 내부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제한부에 의해서, 유지 위치에 유지되며, 상기 피스톤이 가압되어 이들 유지 위치로부터 이동하면, 상기 점성 물질은 상기 기다란 하우징상의 개구를 통해 나오는 용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하우징상의 개구는 커버로 덮여 있는 용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하우징내의 챔버는 공기압에 의해서 양력으로 가압되며, 상기 커버중 하나가 제거된 후, 남은 챔버내의 공기압은 피스톤을 가압하여 이들 유지 위치로부터 상기 남은 챔버로부터 멀리 이동하여, 커버가 제거됨과 같이, 상기 점성 물질을 상기 개구를 통해서 빠져나오게 하는 용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하우징내의 챔버는 부분 진공에 의해서 부력으로 가압되며, 상기 커버중 하나가 제거된 후, 남은 챔버내의 진공은 피스톤을 가압하여 이들 유지 위치로부터 상기 남은 챔버로 이동하여, 커버가 제거됨과 같이, 상기 점성 물질을 상기 개구를 통해서 빠져나오게 하는 용기.
KR1020047016849A 2002-04-20 2002-04-20 용기 KR1006237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2/012694 WO2003089029A1 (en) 2002-04-20 2002-04-20 Patent application of garry tsaur for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462A KR20050007462A (ko) 2005-01-18
KR100623792B1 true KR100623792B1 (ko) 2006-09-14

Family

ID=29247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849A KR100623792B1 (ko) 2002-04-20 2002-04-20 용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496959A4 (ko)
JP (1) JP3893129B2 (ko)
KR (1) KR100623792B1 (ko)
CN (1) CN100358591C (ko)
AU (1) AU2002258929A1 (ko)
BR (1) BRPI0215708A2 (ko)
CA (1) CA2484386C (ko)
HK (1) HK1078037A1 (ko)
WO (1) WO20030890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98002A1 (en) * 2003-12-05 2005-08-12 Garry Tsaur Enclosed opening means
US8167846B2 (en) 2009-07-08 2012-05-01 Medtronic Minimed, Inc. Reservoir filling systems and methods
US8393357B2 (en) 2009-07-08 2013-03-12 Medtronic Minimed, Inc. Reservoir filling systems and methods
CH710351B1 (de) 2014-11-10 2021-06-30 Chemspeed Tech Ag Behälter zur Aufnahme und Abgabe einer Substanz.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220940U (de) * 1972-11-02 Simmelt L Kunststoffröhrchen zum Aufbewahren und Verabreichen von tierischem Sperma
US4439184A (en) * 1982-05-03 1984-03-27 Concord Laboratories, Inc. Two-dose syringe
DE3217044C2 (de) * 1982-05-06 1994-03-03 Hilti Ag Behälter für plastische Massen
US5007903A (en) * 1988-11-22 1991-04-16 Real World Design & Development Company Syringe adapted to prevent needle sticks
FR2672868B1 (fr) * 1991-02-15 1993-06-04 Pasteur Merieux Serums Vacc Procede de conditionnement de vaccins lyophilises en seringue et bouchon pour sa mise en óoeuvre.
CN2193331Y (zh) * 1994-04-16 1995-03-29 郑志宏 活塞式膏状物包装软管
DE4420594C2 (de) * 1994-06-14 1997-04-24 Bernd Hansen Behältnis für fließfähige, insbesondere pasteuse Stoffe
CN2231669Y (zh) * 1995-10-10 1996-07-24 刘建华 一种新型包装瓶
DE19730424A1 (de) * 1997-07-16 1999-01-21 Henkel Teroson Gmbh Vorrichtung zum Lagern und Auspressen von fließfähigen Zusammensetz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89029A1 (en) 2003-10-30
CN100358591C (zh) 2008-01-02
JP3893129B2 (ja) 2007-03-14
JP2005523206A (ja) 2005-08-04
EP1496959A4 (en) 2009-03-18
CA2484386C (en) 2009-04-07
KR20050007462A (ko) 2005-01-18
CN1625419A (zh) 2005-06-08
AU2002258929A1 (en) 2003-11-03
CA2484386A1 (en) 2003-10-30
HK1078037A1 (en) 2006-03-03
BRPI0215708A2 (pt) 2016-11-08
EP1496959A1 (en) 2005-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7090B2 (en) Apparatus, devices, and methods for manipulating deformable fluid vessels
JPH0769360A (ja) テストエレメントの保管のための装置
US20100038267A1 (en) Vacuum packaging container
KR100623792B1 (ko) 용기
KR20120120884A (ko) 에어리스 펌프 및 그 에어리스 펌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KR101146213B1 (ko) 압출식 화장품 용기
US6290105B1 (en) Variable volume storage device
US6802437B2 (en) Container
KR100942488B1 (ko)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WO2016089001A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의 씰링구조
JP2019018917A (ja) ポンプ式液体密閉容器
JP2005538005A (ja) 自己真空貯蔵容器
KR200413420Y1 (ko) 토출구 차단이 가능한 배출펌프
KR20080023974A (ko) 주름유도관이 적용된 배출용기
KR200393943Y1 (ko) 다용도 용기
TWI252205B (en) Container
KR102673101B1 (ko) 공기 배출장치가 장착된 화장품 용기
JP2000079959A (ja) ディスペンサー容器のピストン構造
KR200394527Y1 (ko) 진공펌프를 가지는 튜브용기
KR200259635Y1 (ko) 진공 납골함
KR200376574Y1 (ko) 푸쉬 타입 배출용기
JP2003211296A (ja) 容器の減容圧縮装置
KR200188284Y1 (ko) 화장품용기의 배출장치용 볼 지지구
SU473516A1 (ru) Емкость дл хранени жидкостей
KR200376731Y1 (ko) 오픈 타입 배출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