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0551B1 - 수납용기 - Google Patents

수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0551B1
KR100620551B1 KR1020040024537A KR20040024537A KR100620551B1 KR 100620551 B1 KR100620551 B1 KR 100620551B1 KR 1020040024537 A KR1020040024537 A KR 1020040024537A KR 20040024537 A KR20040024537 A KR 20040024537A KR 100620551 B1 KR100620551 B1 KR 100620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opening
container body
shaft support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0881A (ko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타다시 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ublication of KR20040100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8Non-removable lids or covers pivoted for movement in plane of container mou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 B65D85/2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for needles, nails or like elongate small artic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고 한쪽 손으로 개폐하는 경우에도 조작성이 양호한 수납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개구부(12a)를 가진 용기본체(12)와 이 용기본체(12)의 개구부(12a)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한 뚜껑(14)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용기본체(12)에는 개구부(12a) 근방에서 뚜껑(14)이 개구부(12a)의 개구면과 직교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 축지지부가 갖춰져, 이 축지지부를 중심으로 이 축지지부에 축지지되는 피축지지부(14a)와 뚜껑부(14b)를 가진 뚜껑(14)이 회동함으로써, 뚜껑부(14b)가 개구부(12a)를 덮어주는 위치와 개구부(12a)를 노출시키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수납용기{RECEPTAC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납용기의 사시도로서, 용기본체의 개구부가 닫혀진 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납용기의 사시도로서, 용기본체의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납용기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4-4선 단면도,
도 5는 용기본체의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 4에 상당하는 도면,
도 6a는 용기본체의 측면도,
도 6b는 도 6c의 b-b선 단면도,
도 6c는 도 6a의 화살표 c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7a는 도 7b의 a-a선 단면도,
도 7b는 도 7a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납용기의 종단면도,
도 9는 도 8의 9-9선 단면도,
도 10은 용기본체의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 9에 상당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납용기의 종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12-12선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13-13선 단면도,
도 14는 용기본체의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 13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참조부호의 설명)
10, 20, 30 - - - - 수납용기
12, 22, 32 - - - - 용기본체
12a, 22a, 32a - - - - 개구부
12b, 22b, 32b - - - - 축지지부
12c, 22c, 32c - - - - 절결부(회동범위규제수단)
12e - - - - 기립벽부
14, 24, 34 - - - - 뚜껑
14a, 24a, 34a - - - - 피축지지부
14b, 24b, 34b - - - - 뚜껑부
14c - - - - 걸림편
14f, 24f, 34f - - - - 돌기(회동범위규제수단)
본 발명은 수납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샤프펜슬의 필심 같은 것을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한쪽 손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수납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와 같은 수납용기로는, 예컨대 내부에 필심을 수납하는 것으로, 개구부를 가진 용기본체와 이 용기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으로 구성되어, 뚜껑이 용기본체에서 착탈될 수 있도록 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납용기에서는 한쪽 손으로 쉽게 조작하기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런데, 한쪽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수납용기로는, 예컨대 일본국 특개평10-272885호 공개특허공보 및 일본국 실공소61-34156호 공고실용신안공보 등에 기재된 것이 있다.
그 중 전자인 일본국 특개평10-272885호 공개특허공보에 기재된 수납용기는, 용기본체와 용기커버 및 뚜껑을 갖고서, 용기커버에 직선상의 안내홈과 굴곡(屈曲)된 모양의 개폐안내홈이 형성되어, 용기본체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뚜껑의 돌출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거쳐 상기 직선안내홈에 이동할 수 있게 끼워지는 한편, 뚜껑의 돌출부에 형성된 개폐지지돌기가 상기 개폐안내홈에 이동할 수 있게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용기본체를 용기커버에 대해 직선으로 미끄럼이동시키면 용기본체의 걸림돌기가 직선안내홈을 따라 이동함과 더불어, 걸림돌기가 관통하는 뚜껑이 그 걸림돌기가 이동하게 됨으로써, 뚜껑의 개폐지지돌기가 개폐안내홈에 의해 유도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개폐안내홈이 굴곡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이 회전을 하게 됨으로써, 용기본체의 개구부가 개방될 수가 있게 된다.
또, 후자인 일본국 실공소61-34156호 공고실용신안공보에 기재된 필심수납용기는 필심수납통 및 이 필심수납통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동심적으로 장착된 뚜껑을 갖는 한편, 필심수납통의 내부에는 필심이 뽑아내어지는 위치로 분리위치를 결정하는 필심유도홈이 형성되고, 뚜껑에는 필심돌출구멍이 뚫려진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뚜껑을 필심수납통에 대해 회전시켜 필심돌출구멍과 필심유도홈을 동일직선상으로 정렬시켜, 필심유도홈에 의해 분리위치가 결정된 필심을 필심돌출구멍으로부터 뽑아낼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뚜껑을 필심수납통에 대해 회전시켜 필심돌출구멍과 필심유도구멍을 동일직선상에 있지 않도록 하면 필심을 필심수납통에서 뽑아낼 수가 없게 된다.
그러나, 상기 일본국 특개평10-272885호 공개특허공보에 기재된 수납용기에서는, 뚜껑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이 복잡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일본국 실공소61-34156호 공고실용신안공보에 기재된 필심수납용기에서는, 뚜껑을 필심수납통에 대해 동심적으로 회전시켜야 하므로 한쪽 손으로 그와 같은 조작을 하기가 거북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해서 발명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한쪽 손으로 조작함에 있어 조작성이 우수한 수납용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구부를 가진 용기본체와 이 용기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으로 구성된 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개구부 근방에서 상기 뚜껑을 이 개구부의 개구면에 직교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축지지부를 갖는 한편, 상기 뚜껑은 상기 축지지부에 축지지되는 피축지지부와 뚜껑부를 가져, 상기 뚜껑이 상기 축지지부를 중심으로 회동(回動)하게 됨으로써 상기 뚜껑이 개구부를 덮는 위치와 개구부를 노출시키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용기본체를 한쪽 손으로 잡고서 그 손의 손가락 하나를 뚜껑에 닿게 해서 뚜껑을 용기본체에 대해 회동하도록 할 수가 있기 때문에, 한쪽 손으로 간단히 조작해서 뚜껑을 개폐시킬 수가 있게 됨으로써 조작성이 양호해질 수 있게 된다. 또, 용기본체와 뚜껑으로만 구성할 수가 있어서 간단한 구조로 될 수가 있기 때문에 부품의 수도 줄어들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축지지부가 상기 개구부와 나란히 배치되도록 설치해서 뚜껑이 축지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뚜껑이 개구부를 덮는 위치와 개구부를 노출시키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뚜껑이 개구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비원형형상을 하고 있어서, 이 뚜껑의 비원형형상부 일부에 손가락을 닿게 해서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양호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비원형형상으로는 예컨대 앞이 가는 예리부(銳利部)를 가진 형상이나 타원형상 또는 계란형상과 같도 록 하고서, 상기 뚜껑부가 상기 예리부쪽 또는 타원이나 계란형의 단부(端部)쪽에 위치하도록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용기가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기립벽부(起立壁部)를 가져, 상기 뚜껑부가 개구부를 덮어주는 위치에 있게 되면, 상기 뚜껑의 일부가 기립벽부의 일부를 따라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뚜껑의 일부가 기립벽부의 일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이 폐쇄되어 있을 때는 뚜껑과 용기본체가 일체를 이룰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뚜껑이 상기 기립벽부와 걸려지도록 연결되어 있어서, 뚜껑이 폐쇄되어 있을 때는 그 폐쇄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뚜껑의 회동각도를 규제하는 회동범위규제수단이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동범위규제수단이 상기 축지지부 및 상기 피축지지부의 어느 한쪽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축지지부 및 상기 피축지지부의 다른 한쪽에 형성된 절결부(切缺部)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다음에는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용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1은 용기본체의 개구부가 덮여진 상태를, 도 2는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수납용기(10)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가진 용기본체(12)와 이 용기본 체(12)의 개구부(12a)를 개폐시킬 수 있는 뚜껑(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본체(12) 및 뚜껑(14)은 그 개구부(12a)의 개구면과 직교하는 수납용기(10)의 길이방향에서 보아 원형을 이루도록 되어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부와 그 앞이 가늘어지게 된 3각형의 예리부가 일체화된 혜성(彗星)모양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용기본체(12)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닥이 막혀져 있고, 이 바닥부와 반대쪽 정상부에 개구부(12a)와 이 개구부(12a)에 인접한 축지지부(12b)를 갖도록 되어 있는 바, 이 축지지부(12b)는 상기 개구부(12a)와 나란히 설치되고서 그 일부 측부에 절결부(12c)를 가진 원통형상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축지지부(12b)의 축은 개구부(12a)의 개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평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개구부(12a)는 예리부 쪽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축지지부(12b)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뻗은 볼록부(12d)가 형성되어 있다. 또, 용기본체(12)는 개구부(12a)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기립벽부(12e)를 갖도록 되어 있는 바, 이 기립벽부(12e)는 3각형의 예리부를 따라 절곡되고서 그 절곡부에 걸림돌기(12f)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뚜껑(14)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통형상의 피축지지부(14a)와 꼭대기를 막아주는 뚜껑부(14b), 피축지지부(14a) 또는 뚜껑부(14b)에서 피축지지부(14a)의 축선방향으로 뻗은 걸림편(14c)을 갖도록 되어 있다. 상기 뚜껑부(14b)는 상기 예리부 쪽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피축지지부(14a)의 내주면에는 상기 용기본체(12)의 축지지부(12b)의 볼록부(12d)에 끼워맞춰지는 환상의 오목부(14e)가 형성됨으로써, 피축지지부(14a)가 축지지부(12b)에 대해 회전 할 수 있게 끼워지게 된다. 또, 상기 피축지지부(14a)의 내주면에는 내경방향으로 돌출된 돌기(14f)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돌기(14f)는 축지지부(12b)의 절결부(12c) 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걸림편(14c)의 앞끝에는 상기 용기본체(12)의 걸림돌기(12f)에 걸려지는 피걸림부(14d)가 형성됨으로써, 걸림편(14c)이 기립벽부(12e)에 대해 걸려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뚜껑(14)의 피축지지부(14a)는 용기본체(12)의 축지지부(12b)에 의해 축지지되어, 뚜껑(14)이 축지지부(12b) 주위를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그 회동범위는 상기 돌기(14f)가 절결부(12c) 내를 이동할 수 있는 각도의 범위로 된다. 따라서, 이들 돌기(14f)와 절결부(12c)에 의해 회동범위규제수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용기본체(12)의 축지지부(12b) 쪽에 돌기를 형성하고, 뚜껑의 피축지지부(14a)쪽에 절결부를 형성함으로써 마찬가지로 회동범위규제수단이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수납용기(10)는 다음과 같이 작용하게 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뚜껑(14)이 용기본체(12)의 개구부(12a)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는 걸림편(14c)이 기립벽부(12e)의 일부를 따라 배치되게 됨으로써, 이 걸림편(14c)의 앞끝에 있는 피걸림부(14d)가 걸림돌기(12f)에 걸려져, 뚜껑(14)과 용기본체(12)가 일체를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뚜껑(14)의 뚜껑부(14b)가 개구부(12a)를 덮도록 되어 있어서, 용기본체(12)의 내용물이 안전하게 용기본체(12)의 내부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용기본체(12)를 한쪽 손으로 잡고 손가락 1개(예컨대 엄지)로 뚜껑(14)의 걸림편(14c)을 밀어 뚜껑(14)을 회동시키게 된다. 이 경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뚜껑(14)이 비원형형상을 하고 있어 그 예리부를 잡고 조작할 수가 있기 때문에, 축지지부(12b)를 회동중심으로 해서 간단히 뚜껑(14)을 회동시킬 수가 있게 된다.
상기 볼록부(12d)와 환상의 오목부(14e)와의 끼움은, 유격이 작게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뚜껑(14)과 용기본체(12)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뚜껑(14)을 회동시킨 다음 손을 떼면 그 위치에서 뚜껑(14)이 정지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어 뚜껑(14)을 회동시키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돌기(14f)가 절결부(12c)의 단부까지 이동해서 축지지부(12b)의 벽면에 닿기 때문에, 그 이상은 뚜껑(14)이 열려지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뚜껑(14)의 뚜껑부(14b)가 개구부(12a)로부터 이동하게 되어 개구부(12a)를 노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12a)를 통해 용기본체(12)로부터 또는 용기본체(12) 내로 내용물을 뽑아내거나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또, 걸림편(14c)에 손가락을 닿게 해서 원래의 위치로 뚜껑(14)을 회동시키면 다시 뚜껑(14)에 의해 용기본체(12)를 폐쇄할 수가 있게 된다.
도 8 ~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납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제2실시예에서는 수납용기가 내부에 수납공간을 가진 용기본체(22)와 이 용기본체(22)의 개구부(22a)를 개폐시킬 수 있는 뚜껑(2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본체(22) 및 뚜껑(24)은 그 개구부(22a)의 개구면과 직교하는 수납용기(20)의 길이방향에서 보아 원형이 아닌 비원형으로 되어 있는 바, 본 제2실시 예에서는 원형부와 3각형의 예리부가 일체화된 혜성모양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용기본체(22)는 바닥이 막혀 있고, 이 바닥부와 반대쪽 정상부에 개구부(22a)와 이 개구부(22a)에 인접한 축지지부(22b)를 갖도록 되어 있는 바, 이 축지지부(22b)는 상기 개구부(22a)와 나란히 설치되고서 리브(22e)에 의해 에워싸여진 원주형상의 오목부로 되어 있다. 그리고, 축지지부(22b)의 축은 개구부(22a)의 개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평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개구부(22a)는 상기 예리부 쪽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축지지부(22b)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뻗은 볼록부(22d)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용기본체(22)는 그 개구부(22a)의 가장자리에 걸림돌기(22f)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뚜껑(24)은 원통형상의 피축지지부(24a)와 개구부(22a)를 막아주는 뚜껑부(24b)를 갖도록 되어 있다. 이 뚜껑부(24b)는 상기 예리부 쪽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24)의 정상부를 폐쇄하는 마개(26)를 설치할 수도 있는 바, 이 마개(26)는 생략할 수도 있고, 이 마개(26)와 뚜껑(24)을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피축지지부(24a)의 외주면에는 상기 용기본체(22)의 축지지부(22b)의 볼록부(22d)에 끼워지는 환상의 오목부(24e)가 형성되어, 그에 의해 상기 피축지지부(24a)가 축지지부(22b)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끼워지게 된다. 또, 상기 피축지지부(24a)의 외주면에는 외경방향으로 돌출된 돌기(24f)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돌기(24f)는 축지지부(22b)의 절결부(22c) 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뚜껑부(24b)의 앞끝에는 상기 용기본체(22)의 걸림돌기(22f)에 걸려지는 피걸림부(24d)가 형성되어, 뚜껑부(24b)가 용기본체(22)에 걸려지도록 되어 있다.
뚜껑(24)의 피축지지부(24a)는 용기본체(22)의 축지지부(22b)에 의해 축지지되어, 뚜껑(24)이 축지지부(22b) 주위를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그 회동범위는 상기 돌기(24f)가 절결부(22c) 내를 이동할 수 있는 각도의 범위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이들 돌기(24f)와 절결부(22c)에 의해 회동범위규제수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수납용기(20)에서도 제1실시예와 같은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질 수 있게 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뚜껑(24)이 용기본체(22)의 개구부(22a)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는 피걸림부(24d)가 걸림돌기(22f)에 걸려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렇게 뚜껑(24)의 뚜껑부(24b)가 개구부(22a)를 덮도록 되어 있어서, 용기본체(22)의 내용물이 안전하게 용기본체(22)의 내부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용기본체(22)를 한쪽 손으로 잡고 손가락 1개(예컨대 엄지)로 뚜껑(24)의 예리부를 잡아 뚜껑(24)을 회동시키면, 축지지부(22b)를 회동중심으로 해서 간단히 뚜껑(24)을 회동시킬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볼록부(22d)와 환상의 오목부(24e)의 끼움은, 이들 사이에 흔들림이 작게 되도록 설정해놓음으로써, 뚜껑(24)과 용기본체(22)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뚜껑(24)을 회동시키고 나서 손을 떼면 그 위치에 뚜껑(24)이 정지할 수 있게 된다. 이어 뚜껑(24)을 회동시키면,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돌기(24f)가 절결부(22c)의 단부까지 이동해서 축지지부(22b)의 벽면에 닿기 때문에, 그 이상은 뚜껑(24)이 열리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뚜껑(24)의 뚜껑부(24b)가 개구부(22a)로부터 이동하게 되어 개구부(22a)를 노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개구부(22a)를 통해 용기본체(22)로부터 또는 용기본체(22) 내로 내용물을 뽑아내거나 삽입할 수가 있게 된다.
도 11 ~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납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제3실시예에서는, 수납용기(30)가 내부에 수납공간을 가진 용기본체(32)와 이 용기본체(32)의 개구부(32a)를 개폐시킬 수 있는 뚜껑(3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본체(32) 및 뚜껑(34)은 그 개구부(32a)의 개구면과 직교하는 수납용기(30)의 길이방향에서 보아 원형이 아닌 비원형으로 되어 있는 바, 본 제3실시예에서는 원형부와 3각형의 예리부가 일체화된 혜성모양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용기본체(32)는 바닥이 막혀져 있고, 이 바닥부와 반대쪽 꼭대기에 개구부(32a)와 이 개구부(32a)에 인접한 축지지부(32b)를 갖도록 되어 있는 바, 이 축지지부(32b)는 상기 개구부(22a)와 나란히 설치되고서 한쪽 측부에 절결부(32c)를 가진 원통형상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축지지부(32b)의 축은 개구부(32a)의 개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평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개구부(32a)는 상기 예리부 쪽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축지지부(32b)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뻗은 볼록부(32d)가 형성되어 있다. 또, 용기본체(32)는 그 개구부(32a)의 가장자리에 걸림돌기(32f)가 형성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뚜껑(34)은 원통형상의 피축지지부(34a)와 개구부(32a)를 덮어주는 뚜껑부(34b)를 갖도록 되어 있는 바, 이 뚜껑부(34b)는 상기 예리부 쪽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34)의 정상부를 폐쇄하는 마개(36)를 설치할 수도 있는 바, 이 마개(36)는 생략할 수도 있고, 이 마개(36)와 뚜껑(34)을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피축지지부(34a)의 내주면에는 상기 용기본체(32)의 축지지부(32b)의 볼록부(32d)에 끼워지는 환상의 오목부(34e)가 형성되어, 그에 의해 피축지지부(34a)가 축지지부(32b)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끼워지게 된다. 또, 상기 피축지지부(34a)의 내주면에는 내경방향으로 돌출된 돌기(34f)가 형성되어 있는 바(도 13 참조), 이 돌기(34f)는 축지지부(32b)의 절결부(32c) 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뚜껑부(34b)의 앞끝에는 상기 용기본체(32)의 걸림돌기(32f)에 걸려지는 피걸림부(34d)가 형성되어 있어서, 뚜껑부(34b)가 용기본체(32)에 대해 걸려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뚜껑(34)의 피축지지부(34a)는 용기본체(32)의 축지지부(32b)에 의해 축지지되어, 뚜껑(34)이 축지지부(32b) 주위를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회동범위는 상기 돌기(34f)가 절결부(32c) 내를 이동할 수 있는 각도의 범위를 이루게 된다. 이들 돌기(34f)와 절결부(32c)에 의해 회동범위규제수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수납용기(30)에서도 제2실시예와 같은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뚜껑(34)이 용기본체(32)의 개구부(32a)를 막고 있는 상태에서 피걸림부(34d)가 걸림돌기(32f)에 걸려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뚜껑(34)의 뚜껑부(34b)가 개구부(32a)를 덮도록 되어 있어서, 용기본체(32)의 내용물이 안전하게 용기본체(32)의 내부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용기본체(32)를 한쪽 손으로 잡고 손가락 1개(예컨대 엄지)를 뚜껑(34)의 예리부에 닿게 해서 뚜껑(34)을 회동시키면 축지지부(32b)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간단히 뚜껑(34)을 회동시킬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볼록부(32d)와 환상의 오목부(34e)의 끼움은, 이들 사이의 유격이 적게 되도록 설정해놓음으로써, 뚜껑(34)과 용기본체(32)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뚜껑(34)을 회동시키고 나서 손을 떼면 그 위치에 뚜껑(34)이 정지하도록 할 수 있게 한다. 이어 뚜껑(34)을 회동시키면,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돌기(34f)가 절결부(32c)의 단부까지 이동해서 축지지부(32b)의 벽면에 닿기 때문에, 그 이상은 뚜껑(34)이 열리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뚜껑(34)의 뚜껑부(34b)가 개구부(32a)로부터 이동해서 개구부(32a)를 노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개구부(32a)를 통해 용기본체(32)로부터 또는 용기본체(32) 내로 내용물을 뽑아내거나 삽입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의 각 실시예에서는 한쪽 손으로 간단히 조작할 수가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양호해지게 된다. 또, 용기본체 및 뚜껑을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되도록 하여도 좋음은 물론으로서, 최저 2개의 부품으로 구성할 수가 있기 때문에 부품수를 줄 일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본체를 한쪽 손으로 잡고서 그 손의 손가락을 뚜껑에 닿게 해서 뚜껑을 용기본체에 대해 회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한쪽 손의 조작으로 간단히 개폐할 수가 있어 조작성이 양호해지게 된다. 또한, 용기본체와 뚜껑으로 구성할 수가 있어 구성이 간단해지기 때문에, 부품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개구부와 이 개구부 근방에서 뚜껑을 개구부의 개구면에 직교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축지지부를 갖춘 용기본체와, 상기 축지지부에 축지지되는 피축지지부와 뚜껑부를 갖춘 뚜껑을 구비하여서, 이 뚜껑이 상기 축지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함으로써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도록 된 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축지지부가 개구부에 나란히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용기본체가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기립벽부를 구비하여, 상기 뚜껑이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기 뚜껑의 일부가 기립벽부의 일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이 개구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비원형형상을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기.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이 상기 기립벽부와 걸려질 수 있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기.
  6. 제1항, 제3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회동각도를 규제하는 회동범위규제수단이 더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범위규제수단이 상기 축지지부 및 상기 피축지지부의 어느 한쪽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축지지부 및 상기 피축지지부의 다른 한쪽에 형성된 절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기.
KR1020040024537A 2003-05-22 2004-04-09 수납용기 KR1006205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45477A JP4454962B2 (ja) 2003-05-22 2003-05-22 収納容器
JPJP-P-2003-00145477 2003-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881A KR20040100881A (ko) 2004-12-02
KR100620551B1 true KR100620551B1 (ko) 2006-09-13

Family

ID=33447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537A KR100620551B1 (ko) 2003-05-22 2004-04-09 수납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37527B2 (ko)
JP (1) JP4454962B2 (ko)
KR (1) KR100620551B1 (ko)
CN (1) CN100343135C (ko)
TW (1) TWI3220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5546A (ja) * 2005-03-28 2006-10-12 Orugo Kk おかゆ調理用の計量カップ
FR2890383B1 (fr) * 2005-09-05 2007-11-23 Bic Soc Boite a mines
WO2014020100A2 (en) * 2012-08-03 2014-02-06 Becton Dickinson France Closing system for a container
AT516166B1 (de) * 2014-10-13 2016-03-15 Erwin Hanazeder Rohrpostbüchse
US20170023343A1 (en) * 2015-07-21 2017-01-26 Nicholas John Birch Paintball container lid
TWI636899B (zh) * 2017-01-16 2018-10-01 飛龍文具股份有限公司 Automatic pencil lead container
US20220257472A1 (en) * 2021-02-12 2022-08-18 Brian Alldridge Medication dispenser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425A (en) * 1910-10-24 1911-10-31 John F Bowditch Powder holder and distributer.
US1254222A (en) * 1916-09-09 1918-01-22 Tin Decorating Company Container.
US2488120A (en) * 1947-11-26 1949-11-15 Metal Ind Inc Valved cap for picnic jugs or the like
US3140020A (en) * 1961-08-23 1964-07-07 Beacon Plastic & Metal Prod Container closure assembly
US3889847A (en) * 1973-11-01 1975-06-17 Afa Corp Child-resistant pill dispenser
US4183443A (en) * 1978-08-25 1980-01-15 Billitzer Edward P Reusable cup cover
US4377245A (en) * 1980-10-06 1983-03-22 Patty Blyde L Closure for container
US4412625A (en) * 1982-02-16 1983-11-01 Zander Patricia J Child-proof pill container for handicapped
US4657139A (en) * 1985-09-30 1987-04-14 Sage Products, Inc. Closure for a syringe collection and disposal container
US5167338A (en) * 1991-04-22 1992-12-01 James Kick Shake and pour end closure with stay open lid
CN1222475A (zh) * 1998-01-05 1999-07-14 乐博美有限公司 饮料容器的盖子
US6082575A (en) * 1998-03-09 2000-07-04 Pepsico, Inc. Hybrid beverage container
US6024217A (en) * 1998-08-25 2000-02-15 Ponsi; Lawrence G. Disposal container having multiple position closure
US6332551B1 (en) * 1998-11-10 2001-12-25 Stephan Copeland Self-sealing container
US6382410B1 (en) * 2000-08-21 2002-05-07 Kenneth M. Magid Pill container
CN2488120Y (zh) * 2001-01-04 2002-04-24 叶玲 家用燃气泄漏保护器
US6547102B2 (en) * 2001-04-11 2003-04-15 Courtesy Corporation Swivel top closure
US6651833B2 (en) * 2001-06-04 2003-11-25 Impact Confections, Inc. Self sealing cap with spring and po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54962B2 (ja) 2010-04-21
US7137527B2 (en) 2006-11-21
TWI322090B (en) 2010-03-21
CN100343135C (zh) 2007-10-17
JP2004345692A (ja) 2004-12-09
CN1572668A (zh) 2005-02-02
US20040232160A1 (en) 2004-11-25
KR20040100881A (ko) 2004-12-02
TW200500223A (en) 2005-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0551B1 (ko) 수납용기
US4669617A (en) Pen holder device
KR20190060340A (ko) 노크식 펜
WO2013085044A1 (ja) 弁装置
JPH11349015A (ja) 携帯用容器
JP7207066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用替芯ケース
WO2021085595A1 (ja) ロックレバーおよび開閉装置
KR100516117B1 (ko) 안전노크식 필기구
US6730842B2 (en) Self-extraction panel hinge
KR102648195B1 (ko) 개폐형 캡
JP2007045052A (ja) 替芯ケース
KR890003644Y1 (ko) 캡없는 필기구
JP4425077B2 (ja) カップホルダ
WO2022163797A1 (ja) シャープペンシル用替芯ケース
KR200363764Y1 (ko) 커버 개폐용 힌지장치
KR100462670B1 (ko) 자동 개폐식 연료 주입구
JP6498898B2 (ja) 開閉容器の開閉機構
JP3282399B2 (ja) 小蓋を有するキャップ
KR940004520Y1 (ko) 필심수납용기
JP4083476B2 (ja) エアクリーナ
JP5932076B1 (ja) 容器の蓋構造
JP5557776B2 (ja) 吐出容器
JP6267921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容器
KR940004280Y1 (ko) 배터리 커버 자동 개폐장치
JP2712576B2 (ja) Icカードスロットフ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