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598B1 - 노크식 펜 - Google Patents

노크식 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598B1
KR102399598B1 KR1020170158435A KR20170158435A KR102399598B1 KR 102399598 B1 KR102399598 B1 KR 102399598B1 KR 1020170158435 A KR1020170158435 A KR 1020170158435A KR 20170158435 A KR20170158435 A KR 20170158435A KR 102399598 B1 KR102399598 B1 KR 102399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ck
nib
pen
ink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0340A (ko
Inventor
김학재
안중걸
Original Assignee
동아연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연필(주) filed Critical 동아연필(주)
Priority to KR1020170158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598B1/ko
Priority to CN201721871704.1U priority patent/CN208682418U/zh
Priority to US15/857,130 priority patent/US10525761B2/en
Publication of KR20190060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means sliding in longitudinally-slotted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with saw-like or analogous c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with spreading sp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2Ball-point pens with retractable ball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turning mean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펜심 및 펜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수용된 몸체와 몸체의 후단에 결합되어 펜심이 몸체의 종단에 돌출되거나 내부로 수용시키는 노크체와 회전캠을 구비하는 노크부를 구비하는 노크식 펜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의 후단부에서 몸체의 외경두께에 대해 소정두께로 몸체의 축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절개홈; 절개홈의 상단에서 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릿홀; 절개홈의 상단에서 슬릿홀에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끼움홀; 및 슬릿홀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노크부의 락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노크부의 일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펜심이 몸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락킹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노크 눌림 등으로 인하여 펜촉이 외부로 돌출되어 돌출된 펜촉을 통해 잉크가 흘러나와 옷이나 가방 등에 잉크 얼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점성이 낮은 저점도 잉크(300 ~ 3,000 cps)에서부터 점성이 높은 고점도 잉크(10,000 ~ 25,000cps)를 사용하는 경우, 노크 눌림 등으로 인한 펜촉으로부터 잉크가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옷이나 가방 등에 잉크의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저점도 잉크 및 고점도 잉크를 채용하는 볼펜 등의 필기구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노크식 펜{Knock type pen}
본 발명은 노크식 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노크 눌림 등으로 인하여 펜촉이 외부로 돌출되어 돌출된 펜촉을 통해 잉크가 흘러나와 옷이나 가방 등에 잉크 얼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노크식 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펜은, 펜심이 고정되어 있고 개폐용 캡을 사용하여 펜촉을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은폐시키는 고정식 펜과, 축의 일부를 회전시킴으로써 펜심이 직선 운동하고 이로써 펜촉이 내외로 출몰하도록 된 회전식 펜과, 축의 일부를 누름으로써 스프링이 움직여 펜촉이 나오도록 하는 노크식 펜과, 펜심을 펜촉이 돌출 및 몰입되게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식 펜으로 구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노크식 펜은 하우징의 상단에 구비되는 버튼부를 누르는 동작을 통해 펜촉을 간단히 출몰시킬 수 있어 편리하다.
이러한 노크식 펜은 하우징의 상단에 구비되는 버튼부를 일회 누르면 펜촉이 돌출되어 필기 가능한 상태가 되고, 버튼부를 다시 일회 누르면 돌출되어 있던 펜촉이 하우징 내부로 후퇴하여 수납 및 보호 상태가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노크식 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노크식 펜에서 노크기구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노크식 펜(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 내부에 잉크를 저장하는 펜심(12)이 수납되고, 하우징(11) 상부에는 하우징(11) 내측벽에 형성된 슬롯(미도시)에 승강 가능하게 조작되는 버튼부(15)가 돌출되게 결합된다.
또한, 펜심(12)과 버튼부(15) 사이에는 회전캠(16)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버튼부(15)와 회전캠(16)은 펜심(12)의 출몰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노크기구(14)를 형성한다.
아울러, 하우징(11)과 펜심(12)의 사이에는 스프링(21)이 배치되어 펜심(12)에 대해 그 펜촉(13)이 하우징(11) 속으로 후퇴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사용자가 버튼부(15)의 하우징(11) 외부로 돌출된 버튼부(17)를 누르면 펜심(12)이 하강하여 그 단부에 돌출된 펜촉(13)이 하우징(11)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버튼부(15) 하부의 톱니 돌기(18)와 접촉된 회전캠(16)의 가이드 돌기(20)가 하우징(11)의 슬롯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톱니 돌기(18)의 일측 경사면을 벗어나면서 타측 경사면을 타고 회전하고 이 회전한 회전캠(16)의 가이드 돌기(20)는 버튼부(15)의 외주연에 돌출된 걸림턱(19)에 걸린다.
이 상태에서 펜촉(13)에 결합된 스프링(21)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펜심(12)이 승강하지 않아 펜촉(13)이 하우징(11)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펜촉(13)이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부(17)를 다시 누르게 되면,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회전캠(16)이 회전하여 회전캠(16)의 가이드 돌기(20)가 버튼부(15)의 걸림턱(19)과 걸림턱(19) 사이에 위치되어 스프링(21)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여 펜촉(13)이 하우징(21) 속으로 들어간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노크식 펜은, 하우징(11)의 상단측에 구비된 클립(22)을 이용하여 호주머니 등 사용자의 옷에 꽂아 보관하거나, 가방 등에 넣어 보관하는 경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노크 눌림 등으로 인하여 펜촉(13)이 외부로 돌출되어 돌출된 펜촉(13)을 통해 잉크가 흘러나와 옷이나 가방 등에 잉크 얼룩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근래에는 적은 힘(압력)으로도 쉽게 필기를 할 수 있도록 저점도 잉크가 수용된 노크식 펜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저점도 잉크는 점성이 낮기 때문에 고점도 잉크에 비해 펜촉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잉크의 양이 많으며, 흡수력이 좋아 상기한 바와 같이 의도하지 않은 노크 눌림 등으로 인하여 펜촉이 돌출되었을 경우, 옷이나 가방 등에 잉크의 얼룩이 더 크게 생기게 되므로 피해가 더욱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노크식 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상단측에 구비된 클립(22)을 이용하여 호주머니 등 사용자의 옷에 꽂아 보관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방 등에 넣어 보관하는 경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노크 눌림 등으로 인하여 펜촉(13)이 외부로 돌출되어 돌출된 펜촉(13)을 통해 잉크가 흘러나와 옷이나 가방 등에 잉크 얼룩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KR 20-2016-0003130 U (2016.09.19.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노크 눌림 등으로 인하여 펜촉이 외부로 돌출되어 돌출된 펜촉을 통해 잉크가 흘러나와 옷이나 가방 등에 잉크 얼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노크식 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고점도 잉크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오염노출이 쉬운 저점도 잉크를 사용하는 노크식 펜에서 조작실수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펜심 및 펜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수용된 몸체와 몸체의 후단에 결합되어 펜심이 몸체의 종단에 돌출되거나 내부로 수용시키는 노크체와 회전캠을 구비하는 노크부를 구비하는 노크식 펜에 있어서, 몸체의 후단부에서 몸체의 외경두께에 대해 소정두께로 몸체의 축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절개홈; 절개홈의 상단에서 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릿홀; 절개홈의 상단에서 슬릿홀에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끼움홀; 및 슬릿홀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노크부의 락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노크부의 일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펜심이 몸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락킹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락킹부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펜심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고, 상하 이동하는 이동판; 이동판의 외주면에서 슬릿홀 폭의 바깥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 및 내주면이 돌출부의 종단에 결합되고, 절개홈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개홈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가이드판;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절개홈 상단은 가이드판과 맞닿는 영역의 둘레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홀홈이 수직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고, 가이드판의 상단은 반홀홈과 맞닿는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반홀홈에 임시고정되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노크식 펜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노크 눌림 등으로 인하여 펜촉이 외부로 돌출되어 돌출된 펜촉을 통해 잉크가 흘러나와 옷이나 가방 등에 잉크 얼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점성이 낮은 저점도 잉크(300 ~ 3,000 cps)에서부터 점성이 높은 고점도 잉크(10,000 ~ 25,000cps)를 사용하는 경우, 노크 눌림 등으로 인한 펜촉으로부터 잉크가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옷이나 가방 등에 잉크의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저점도 잉크 및 고점도 잉크를 채용하는 볼펜 등의 필기구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노크식 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노크식 펜에서 노크기구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는 사용자가 노크식 펜을 상의 주머니에 꽂아 보관하는 경우 노크식 펜의 버튼부가 눌려져 잉크가 흘러나와 상의가 얼룩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a)에서 오염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사용자가 노크식 펜을 가방에 보관하는 경우 노크식 펜의 버튼부가 눌려져 잉크가 흘러나와 가방안이 오염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크식 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크식 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크식 펜의 작동상태에 따른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노크식 펜의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크식 펜의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펜심 및 펜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수용된 몸체(4)와 몸체(4)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펜심(5)이 몸체(110)의 선단에 돌출되거나 내부로 수용시키는 노크체(1)와 회전캠(2)을 구비하는 노크부(3)를 구비하는 노크식 펜에 관한 것이다. 전술된 구성 중, 펜심을 몸체의 선단에 돌출되거나 내부로 수용시키는 노크체(1)와 회전캠(2)을 구비하는 노크부(3)는 종래의 공지된 구조된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그 상세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크식 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크식 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크식 펜의 작동상태에 따른 절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노크식 펜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노크식 펜은 슬릿홀(120), 끼움홀(130) 및 락킹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몸체(4)의 형상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절개홈(110)은 몸체(4)의 후단부에서 몸체(4)의 외경두께에 대해 소정두께로 몸체(4)의 축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연장되어 형성된다. 절개홈(110)은 후술하는 락킹부(140)를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슬릿홀(120)은 절개홈(100)의 상단에서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슬릿홀(120)은 절개홈(110)의 길이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지만 그 길이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끼움홀(130)은 절개홈(110)의 상단에서 슬릿홀(120)에 직각방향으로 형성된다. 끼움홀(130)은 락킹부(140)를 결합시킬 때에 락킹부(140)의 이동판(141) 삽입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락킹부(140)는 슬릿홀(11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노크부(3)의 락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노크부(3)의 일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펜심이 몸체(4)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이동판(141), 돌출부(142) 및 가이드판(143)을 구비한다.
이동판(141)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펜심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홀(1411)이 형성된다. 이동판(141)은 락킹부(140)가 상측에 위치할 때에 노크부(3)가 하방향으로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이동판(141)은 홀(141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노크부(3)를 통해 펜심이 하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펜심의 상단의 이동을 안내함으로써 노크부(3)의 작동이 원활히 할 수 있다.
돌출부(142)는 이동판(141)의 외주면에서 슬릿홀(120) 폭(d)의 바깥 반경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된다. 즉, 돌출부(142)가 슬릿홀(120)에 끼워져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돌출부(142)를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배치된 이동판(141) 및 가이드판(143)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가이드판(143)은 내주면이 돌출부(142)의 종단에 결합되고, 절개홈(110)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개홈(110)을 따라 상하 이동한다. 본 발명에서 가이드판(143)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몸체(4)에 대응되도록 가이드판(143)이 절개된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몸체(4)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절개된 반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판(143)은 상하이동할 때에 절개홈(110)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절개홈(110)과의 마찰력에 의해서 몸체(4)의 상단에 위치하는 노트부(4)가 쉽게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마찰력을 증대시키 위하여 서로 맞닿는 면에 서로 이질적이 재료가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락킹부(140)는 절개홈(110)의 상단에 위치할 때에 하방향 움직임을 가고정할 수 있도록 절개홈(110) 상단은 가이드판(143)과 맞닿는 영역의 둘레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홀홈(111)이 수직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고, 가이드판(143)의 상단은 반홀홈(111)과 맞닿는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구(143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크식 펜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노크 눌림 등으로 인하여 펜촉이 외부로 돌출되어 돌출된 펜촉을 통해 잉크가 흘러나와 옷이나 가방 등에 잉크 얼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점성이 낮은 저점도 잉크(300 ~ 3,000 cps)에서부터 점성이 높은 고점도 잉크(10,000 ~ 25,000cps)를 사용하는 경우, 노크 눌림 등으로 인한 펜촉으로부터 잉크가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옷이나 가방 등에 잉크의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저점도 잉크 및 고점도 잉크를 채용하는 볼펜 등의 필기구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크식 펜의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크식 펜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크식 펜에서 전술한 몸체(4)에 형성된 절개홈(110), 슬릿홀(120), 끼움홀(130)은 그 구조가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중복되는 부분은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절개홈(110)은 전술한 실시예에 배해서 몸체(4)의 상단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존재한다. 이로 인해, 락킹부(140)도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노크체의 하단과 회전캠을 구비하는 노크부(3)는 락킹부(140)의 하단에 배치되어 작동된다.
이때, 락킹부(140)는 전술한 이동판(141), 돌출부(142) 및 가이드판(143)에 락킹스프링(144)을 더 구비하게 된다. 여기서, 이동판(141), 돌출부(142) 및 가이드판(143)은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락킹스프링(144)은 일단이 이동판(141)에 연결되고, 타단이 몸체(4)의 종단에 연결된다. 이때, 락킹스프링(144)은 노크부(3)의 작동이 해제된 상태에 있을 때, 일단이 몸체(4)의 종단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판(141)을 탄성력으로 고정하시킴으로써 쉽게 작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노크 눌림 등으로 인하여 펜촉이 외부로 돌출되어 돌출된 펜촉을 통해 잉크가 흘러나와 옷이나 가방 등에 잉크 얼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점성이 낮은 저점도 잉크를 사용하는 노크식 펜에 사용할 경우, 노크 눌림 등으로 인한 펜부로부터 잉크가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옷이나 가방 등에 잉크의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락킹스프링(144)은 노크부(3)의 작동을 통해서 작동하게 이동판(141)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신장하게 된다. 이때, 락킹스프링(144)의 탄성력은 펜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의 탄성력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락킹스프링(144)의 복원력이 펜심에 탄성력보다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펜심이 돌출된 상태에서도 락킹스프링(144)으로 인해서 펜심이 몸체(4)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 몸체 111 : 반홀홈
120 : 슬릿홀 130 : 끼움홀
140 : 락킹부 141 : 이동판
1411 : 홀 142 : 돌출부
143 : 가이드판 1431 : 돌출구
144 : 락킹스프링

Claims (3)

  1. 펜심 및 펜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수용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펜심이 상기 몸체의 선단에 돌출되거나 내부로 수용시키는 노크체와 회전캠을 구비하는 노크부를 구비하는 노크식 펜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후단부에서 상기 몸체의 외경두께에 대해 소정두께로 상기 몸체의 축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연장되어 형성되는 절개홈;
    상기 절개홈의 상단에서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릿홀;
    상기 절개홈의 상단에서 상기 슬릿홀에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끼움홀; 및
    상기 슬릿홀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노크부의 락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노크부의 일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펜심이 상기 몸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락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락킹부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펜심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고, 상하 이동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의 외주면에서 상기 슬릿홀 폭의 바깥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 및
    내주면이 상기 돌출부의 종단에 결합되고, 상기 절개홈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개홈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가이드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 상단은
    상기 가이드판과 맞닿는 영역의 둘레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홀홈이 수직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판의 상단은 상기 반홀홈과 맞닿는 영역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반홀홈에 임시고정되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펜.
KR1020170158435A 2017-11-24 2017-11-24 노크식 펜 KR102399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435A KR102399598B1 (ko) 2017-11-24 2017-11-24 노크식 펜
CN201721871704.1U CN208682418U (zh) 2017-11-24 2017-12-27 按动式笔
US15/857,130 US10525761B2 (en) 2017-11-24 2017-12-28 Knock type p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435A KR102399598B1 (ko) 2017-11-24 2017-11-24 노크식 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340A KR20190060340A (ko) 2019-06-03
KR102399598B1 true KR102399598B1 (ko) 2022-05-19

Family

ID=65875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435A KR102399598B1 (ko) 2017-11-24 2017-11-24 노크식 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25761B2 (ko)
KR (1) KR102399598B1 (ko)
CN (1) CN20868241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380B1 (ko) * 2019-06-21 2020-08-11 어명혁 펜심출몰을 단속하는 스토퍼가 구비된 필기구
CN110385930B (zh) * 2019-07-31 2020-08-28 杭州简弈科技有限公司 一种自锁旋转提拉笔
CN110481205B (zh) * 2019-09-11 2020-09-04 杭州简弈科技有限公司 一种自锁旋转防摔笔
CN110936755B (zh) * 2019-12-22 2020-10-09 杭州简弈科技有限公司 一种可拆滑动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94600A (ja) * 2015-11-24 2017-06-01 コクヨ株式会社 筆記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7302A (en) * 1957-03-26 1959-10-06 Laka Tool And Stamping Company Writing instrument
US6200050B1 (en) * 2000-02-24 2001-03-13 Casio Lin Automatic bounce device for a center stick in a pen
JP4522442B2 (ja) * 2007-08-20 2010-08-11 三菱鉛筆株式会社 衝撃緩和装置付きノック式筆記具
KR20160003130U (ko) 2016-04-05 2016-09-19 주식회사 그라시아코리아 노크식 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94600A (ja) * 2015-11-24 2017-06-01 コクヨ株式会社 筆記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25761B2 (en) 2020-01-07
US20190160851A1 (en) 2019-05-30
KR20190060340A (ko) 2019-06-03
CN208682418U (zh) 201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9598B1 (ko) 노크식 펜
JP4746129B2 (ja) 乾き防止装置を備えたスライド式筆記具
US20150224812A1 (en) Slide type writing tool having device for preventing dryness
KR102053705B1 (ko) 노크식 펜
KR101538275B1 (ko) 출몰식 필기구의 푸쉬 로크장치
JP2009545472A (ja) 乾き防止装置を備えたスライド式筆記具
KR20160003130U (ko) 노크식 펜
US10434815B2 (en) Slide-type writing instrument having drying-prevention device
JP5943343B2 (ja) ノック式筆記具
KR200495421Y1 (ko) 노크식 펜
KR200483197Y1 (ko) 오염 방지 기능이 구비된 노크식 필기도구
JP5255113B2 (ja) 筆記具
US3203403A (en) Fountain pen
US10639927B2 (en) Knock type pen
KR20170026325A (ko) 도포구
JP3793968B2 (ja) 筆記具
KR200495581Y1 (ko) 노크식 펜
KR101774425B1 (ko) 자동밀폐 구조를 구비한 필기구
JP4361810B2 (ja) 筆記具
KR101188919B1 (ko)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JP2016013653A (ja) 塗布具
KR100517486B1 (ko) 휘발성 잉크가 충진된 필기구
KR200331308Y1 (ko) 캡이 내장된 필기구
JP2016107518A (ja) 出没式筆記具
JP6415149B2 (ja) 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