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130U - 노크식 펜 - Google Patents

노크식 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130U
KR20160003130U KR2020160001825U KR20160001825U KR20160003130U KR 20160003130 U KR20160003130 U KR 20160003130U KR 2020160001825 U KR2020160001825 U KR 2020160001825U KR 20160001825 U KR20160001825 U KR 20160001825U KR 20160003130 U KR20160003130 U KR 201600031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locking member
pen
clip
pen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라시아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라시아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라시아코리아
Priority to KR2020160001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3130U/ko
Publication of KR201600031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13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with saw-like or analogous c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펜촉이 하우징 내부로 몰입된 상태에서만 호주머니 등 옷에 걸릴 수 있는 구조를 취하여 펜촉의 잉크가 사용자의 옷에 묻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노크식 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노크식 펜은 펜심이 수용된 하우징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버튼부의 눌림 동작에 의해 상기 펜심 끝단의 펜촉이 하우징의 하단에서 출몰하는 것으로,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우징에 결합되는 클립과, 클립에 하우징을 향해 돌출 구비되는 제 1 차단부재와,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클립을 향해 돌출되도록 클립과 마주하는 측면에 관통 형성된 슬릿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차단부재를 포함한다. 제 2 차단부재는 버튼부의 눌림 동작에 의해 펜심과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버튼부와 연결되어, 펜촉이 하우징 내부로 몰입될 때 제 1 차단부재로부터 이격되고, 펜촉이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될 때 제 1 차단부재와 접하여 하우징과 클립 사이의 틈새를 막는다.

Description

노크식 펜{Knock type pen}
본 고안은 노크식 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펜촉이 하우징 내부로 몰입된 상태에서만 호주머니 등 옷에 걸릴 수 있는 구조를 취하여 펜의 잉크가 사용자의 옷에 묻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노크식 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펜은 펜심이 고정되어 있고 개폐용 캡을 사용하여 펜촉을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은폐시키는 고정식 펜과, 축의 일부를 회전시킴으로써 펜심이 직선 운동하고 이로써 펜촉이 내외로 출몰하도록 된 회전식 펜과, 축의 일부를 누름으로써 스프링이 움직여 펜촉이 나오도록 하는 노크식 펜과, 펜심을 펜촉이 돌출 및 몰입되게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식 펜으로 구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노크식 펜은 하우징의 상단에 구비되는 버튼부를 누르는 동작을 통해 펜촉을 간단히 출몰시킬 수 있어 편리하다. 노크식 펜은 하우징의 상단에 구비되는 버튼부를 일회 누르면 펜촉이 돌출되어 필기 가능한 상태가 되고, 버튼부를 다시 일회 누르면 돌출되어 있던 펜촉이 하우징 내부로 후퇴하여 수납 및 보호 상태가 된다.
도 1은 종래의 노크식 펜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노크식 펜의 노크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종래의 노크식 펜(10)은 하우징(11) 내부에 잉크를 저장하는 펜심(12)이 수납되고, 하우징(11) 상부에는 하우징(11) 내측벽에 형성된 슬롯(미도시)에 승강 가능하게 조작되는 노크체(15)가 돌출되게 결합된다. 펜심(12)과 노크체(15) 사이에는 회전캠(16)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노크체(15)와 회전캠(16)은 펜심(12)의 출몰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노크기구(14)를 형성한다. 하우징(11)과 펜심(12)의 사이에는 스프링(21)이 배치되어 펜심(12)에 대해 그 펜촉(13)이 하우징(11) 속으로 후퇴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사용자가 노크체(15)의 하우징(11) 외부로 돌출된 버튼부(17)를 누르면 펜심(12)이 하강하여 그 단부에 돌출된 펜촉(13)이 하우징(11)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노크체(15) 하부의 톱니 돌기(18)와 접촉된 회전캠(16)의 가이드 돌기(20)가 하우징(11)의 슬롯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톱니 돌기(18)의 일측 경사면을 벗어나면서 타측 경사면을 타고 회전하고 이 회전한 회전캠(16)의 가이드 돌기(20)는 노크체(15)의 외주연에 돌출된 걸림턱(19)에 걸린다. 이 상태에서 펜촉(13)에 결합된 스프링(21)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펜심(12)이 승강하지 않아 펜촉(13)이 하우징(11)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펜촉(13)이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부(17)를 다시 누르게 되면,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회전캠(16)이 회전하여 회전캠(16)의 가이드 돌기(20)가 노크체(15)의 걸림턱(19)과 걸림턱(19) 사이에 위치되어 스프링(21)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여 펜촉(13)이 하우징(21) 속으로 들어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펜을 하우징(11)의 상단측에 구비된 클립(22)을 이용하여 호주머니 등 사용자의 옷에 꽂아 보관함에 있어서, 펜촉(13)이 하우징(12)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옷에 꽂으면 펜촉(13)에서 스며나오는 잉크가 사용자의 옷에 묻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것과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펜촉이 하우징 내부로 몰입된 상태에서만 호주머니 등 옷에 걸릴 수 있는 구조를 취하여 펜촉의 잉크가 사용자의 옷에 묻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노크식 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노크식 펜은 펜심이 수용된 하우징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버튼부의 눌림 동작에 의해 상기 펜심 끝단의 펜촉이 하우징의 하단에서 출몰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클립과, 상기 클립에 상기 하우징을 향해 돌출 구비되는 제 1 차단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클립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클립과 마주하는 측면에 관통 형성된 슬릿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차단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차단부재는 상기 버튼부의 눌림 동작에 의해 상기 펜심과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버튼부와 연결되어, 상기 펜촉이 상기 하우징 내부로 몰입될 때 상기 제 1 차단부재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펜촉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될 때 상기 제 1 차단부재와 접하여 상기 하우징과 상기 클립 사이의 틈새를 막는다.
상기 제 1 차단부재와 상기 제 2 차단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삽입홈이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 1 차단부재와 상기 제 2 차단부재가 서로 접할 때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차단부재와 상기 제 2 차단부재 중 상기 삽입홈이 마련된 것에는 상기 삽입홈과 연결되어 외부로 개방된 연결구멍이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를 지지하여 상기 제 1 차단부재와 상기 제 2 차단부재가 서로 접할 때 상기 연결구멍에 삽입되는 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돌기가 상기 연결구멍을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돌기의 폭은 상기 연결구멍의 폭보다 큰 것이 좋다.
본 고안에 의한 노크식 펜은 사용자가 펜촉을 돌출시켜 노크식 펜을 사용할 때는 클립에 결합된 제 1 차단부재와 하우징에 결합된 제 2 차단부재가 서로 접하여 하우징과 클립 사이의 틈새를 막고, 펜촉이 하우징 속으로 몰입된 상태에서는 제 1 차단부재와 제 2 차단부재 사이가 상호 이격되어 하우징과 클립 사이에 틈새가 생긴다. 따라서, 펜촉이 몰입된 상태에서만 클립을 이용하여 호주머니 등의 옷에 꽂을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펜촉의 잉크가 사용자의 옷에 묻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노크식 펜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노크식 펜의 노크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노크식 펜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노크식 펜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노크식 펜의 펜촉이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노크식 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노크식 펜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노크식 펜을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노크식 펜의 펜촉이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노크식 펜(100)은 하우징(110)과, 펜심(120)과, 노크기구(130)와, 클립(135)과, 제 1 차단부재(140) 및 제 2 차단부재(145)를 포함한다. 이러한 노크식 펜(100)은 통상의 노크식 펜과 같이 하우징(110)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버튼부(131)의 눌림 동작에 의해 펜심(120) 끝단의 펜촉(121)이 하우징(110)의 하단에서 출몰한다. 그리고 펜심(120) 끝단의 펜촉(121)이 하우징(110)으로부터 돌출되면, 제 1 차단부재(140) 및 제 2 차단부재(145)가 하우징(110)과 클립(135) 사이의 틈새를 막아 사용자가 클립(135)을 이용하여 호주머니 등의 옷에 꽂을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펜촉(121)의 잉크가 사용자의 옷에 묻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펜심(120)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펜심(120)은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125)에 의해 그 끝단의 펜촉(121)이 하우징(110) 내부로 몰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노크기구(130)는 하우징(110)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버튼부(131)를 갖는다. 이러한 노크기구(130)는 통상적인 노크식 펜에 구비되는 것과 같은 것으로, 버튼부(131)의 눌림 동작에 의해 펜심(120) 끝단의 펜촉(121)이 하우징(110)의 하단에서 출몰하게 된다. 즉, 펜촉(121)이 하우징(110) 속으로 몰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부(131)를 누르면 펜심(120)이 하강하여 그 단부에 돌출된 펜촉(121)이 하우징(110)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노크기구(130)가 펜심(120)에 지지력을 작용하여 스프링(125)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펜심(120)이 상승하지 못하고 펜촉(121)이 하우징(110)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펜촉(121)이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부(131)를 다시 누르면, 노크기구(130)가 펜심(120)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해제되어 펜심(120)이 스프링(125)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여 펜촉(121)이 하우징(110) 속으로 몰입된다.
노크기구(13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다양한 다른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노크기구는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버튼부(131)의 눌림 동작에 따라 펜촉(121)이 하우징(110)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펜심(120)을 지지하고, 버튼부(131)의 또 다른 눌림 동작에 따라 스프링(125)이 펜심(120)을 하우징(110) 속으로 몰입시키도록 펜심(120)에 대한 지지력을 해제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클립(135)은 하우징(110)의 측면에 구비되는 결합부(136)에 의해 하우징(11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우징(110)에 결합된다. 사용자는 클립(135)을 이용하여 노크식 펜(100)을 호주머니 등의 옷에 꽂아 둘 수 있다.
클립(135)에는 제 1 차단부재(140)가 결합된다. 제 1 차단부재(140)는 하우징(110)을 향해 돌출되도록 클립(135)의 하우징(110)과 마주하는 부분에 결합된다. 제 1 차단부재(140)의 돌출 길이는 하우징(110)과 클립(135) 사이의 간격보다 작아서 하우징(110)과 제 1 차단부재(140)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이 유지된다. 제 1 차단부재(140)는 클립(135)에 연결되는 연결부(141)와, 연결부(141)의 끝단에 구비되어 연결부(141)에 의해 지지되는 돌기(142)를 포함한다. 돌기(142)의 폭은 연결부(141)의 폭보다 크다. 여기에서, 폭은 펜심(120)의 슬라이딩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정한 것이다.
제 2 차단부재(145)는 하우징(110)의 측면으로부터 클립(135)을 향해 돌출되도록 하우징(110)의 클립(135)과 마주하는 측면에 관통 형성된 슬릿(11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2 차단부재(145)의 돌출 길이는 하우징(110)과 클립(135) 사이의 간격보다 작아서 클립(135)과 제 2 차단부재(145)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이 유지된다. 제 1 차단부재(140)의 돌출 길이와 제 2 차단부재(145)의 돌출 길이를 더한 값은 하우징(110)과 클립(135) 사이의 간격보다 크다. 제 2 차단부재(145)는 버튼부(131)의 눌림 동작에 의해 펜심(120)과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버튼부(131)와 연결된다. 즉, 제 2 차단부재(145)는 도시된 것과 같이 버튼부(131)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고, 버튼부(131)에 의해 펜심(120)과 함께 슬라이딩 되는 노크기구(130)의 다른 부분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 2 차단부재(145)에는 삽입홈(146)과, 삽입홈(146)과 연결되어 외부로 개방된 연결구멍(147)이 마련된다. 제 1 차단부재(140)와 제 2 차단부재(145)가 상호 접근하여 이들이 접촉할 때, 제 1 차단부재(140)의 연결부(141)는 제 2 차단부재(145)의 연결구멍(147)에 삽입되고, 제 1 차단부재(140)의 돌기(142)는 제 2 차단부재(145)의 삽입홈(146)에 삽입된다. 연결구멍(147)의 폭은 삽입홈(146)의 폭보다 작다. 또한 연결구멍(147)의 폭은 제 1 차단부재(140)의 돌기(142) 폭보다 작다. 따라서, 제 1 차단부재(140)의 돌기(142)가 삽입홈(146)에 삽입된 상태에서 클립(135)이 하우징(110)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제 1 차단부재(140)의 돌기(142)는 연결구멍(147)을 통해 삽입홈(146)에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버튼부(131)의 눌림 동작에 의해 제 2 차단부재(145)가 펜심(120)과 함께 하측으로 슬라이딩될 때, 제 2 차단부재(145)는 제 1 차단부재(140)와 접하게 된다. 이때, 제 1 차단부재(140)의 연결부(141)가 제 2 차단부재(145)의 연결구멍(147)에 삽입되고 제 1 차단부재(140)의 돌기(142)가 제 2 차단부재(145)의 삽입홈(146)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 1 차단부재(140)와 제 2 차단부재(145)는 서로 연결되며, 하우징(110)과 클립(135) 사이의 틈새가 차단된다.
제 1 차단부재(140)와 제 2 차단부재(145)는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차단부재에 삽입홈과 연결구멍이 마련되고, 제 2 차단부재에 돌기와 연결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변형예로, 제 1 차단부재와 제 2 차단부재는 상호 접할 때 어느 하나의 일부분이 다른 것의 속으로 삽입되지 않고, 하우징(110)과 클립(135) 사이의 틈새를 막으면서 상호 단단히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변형예로, 제 1 차단부재와 제 2 차단부재 중 어느 하나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삽입홈(146)과 연결구멍(147)으로 구분되지 않는 홈이 마련되고, 이들이 상호 접할 때 나머지 다른 하나가 그 홈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크식 펜(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펜심(120)이 하우징(110) 속에서 상승 위치에 위치하여 펜촉(121)이 하우징(110) 속으로 몰입될 때, 제 2 차단부재(145) 역시 상승 위치에 위치하여 제 1 차단부재(140)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때, 하우징(110)과 클립(135) 사이에는 틈새가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클립(135)을 이용하여 노크식 펜(100)을 호주머니 등의 옷에 꽂아둘 수 있다. 펜촉(121)이 하우징(110) 속에 몰입된 상태이므로, 노크식 펜(100)을 옷에 꽂아 두더라도 펜촉(121)의 잉크가 옷에 묻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반면,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버튼부(131)의 눌림 동작에 의해 펜심(120)이 하측으로 슬라이딩되고 노크기구(130)에 의해 펜촉(121)이 하우징(110)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때, 펜심(120)과 함께 움직이는 제 2 차단부재(145)도 하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때, 제 2 차단부재(145)는 제 1 차단부재(140)와 접하게 되고, 제 1 차단부재(140)의 연결부(141)가 제 2 차단부재(145)의 연결구멍(147)에 삽입됨과 동시에, 제 1 차단부재(140)의 돌기(142)가 제 2 차단부재(145)의 삽입홈(146)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 1 차단부재(140)와 제 2 차단부재(145)가 연결되어 하우징(110)과 클립(135) 사이의 틈새가 차단되어 사용자는 노크식 펜(100)을 클립(135)을 이용하여 호주머니 등의 옷에 꽂아둘 수가 없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노크식 펜(100)은 사용자가 펜촉(121)을 돌출시켜 노크식 펜(100)을 사용할 때는 제 1 차단부재(140)와 제 2 차단부재(145)가 서로 접하여 하우징(110)과 클립(135) 사이의 틈새를 막는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노크식 펜(100)을 사용한 후 펜촉(121)이 돌출된 상태 그대로 호주머니 등의 옷에 꽂을 수 없다. 즉, 사용자는 노크식 펜(100)을 사용한 후 무의식적으로 노크식 펜(100)을 자신의 호주머니 등 옷에 꽂으려 할 수 있으나, 하우징(110)과 클립(135) 사이에 틈새가 없어 펜촉(121)이 돌출된 상태 그대로는 옷에 꽂을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노크식 펜(100)을 호주머니 등의 옷에 꽂기 위해서는 펜촉(121)이 돌출된 상태에서 버튼부(131)를 다시 눌러야 한다. 버튼부(131)의 눌림 동작에 의해 펜촉(121)이 하우징(110) 속으로 몰입되면, 제 1 차단부재(140)와 제 2 차단부재(145)가 상호 이격되어 하우징(110)과 클립(135) 사이에 틈새가 생기므로,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클립(135)을 이용하여 노크식 펜(100)을 호주머니 등의 옷에 꽂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노크식 펜(100)은 제 1 차단부재(140)와 제 2 차단부재(145)의 작용으로 펜촉(121)이 몰입된 상태에서만 클립(135)을 이용하여 호주머니 등의 옷에 꽂을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펜촉(121)의 잉크가 사용자의 옷에 묻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노크식 펜 110 : 하우징
115 : 슬릿 120 : 펜심
121 : 펜촉 125 : 스프링
130 : 노크기구 131 : 버튼부
135 : 클립 136 : 결합부
140, 145 : 제 1, 2 차단부재 141 : 연결부
142 : 돌기 146 : 삽입홈
147 : 연결구멍

Claims (1)

  1. 펜심이 수용된 하우징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버튼부의 눌림 동작에 의해 상기 펜심 끝단의 펜촉이 하우징의 하단에서 출몰하는 노크식 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클립;
    상기 클립에 상기 하우징을 향해 돌출 구비되는 제 1 차단부재;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클립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클립과 마주하는 측면에 관통 형성된 슬릿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버튼부의 눌림 동작에 의해 상기 펜심과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버튼부와 연결되어 상기 펜촉이 상기 하우징 내부로 몰입될 때 상기 제 1 차단부재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펜촉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될 때 상기 제 1 차단부재와 접하여 상기 하우징과 상기 클립 사이의 틈새를 막는 제 2 차단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차단부재와 상기 제 2 차단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삽입홈이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 1 차단부재와 상기 제 2 차단부재가 서로 접할 때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차단부재와 상기 제 2 차단부재 중 상기 삽입홈이 마련된 것에는 상기 삽입홈과 연결되어 외부로 개방된 연결구멍이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를 지지하여 상기 제 1 차단부재와 상기 제 2 차단부재가 서로 접할 때 상기 연결구멍에 삽입되는 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돌기가 상기 연결구멍을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돌기의 폭은 상기 연결구멍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펜.
KR2020160001825U 2016-04-05 2016-04-05 노크식 펜 KR2016000313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825U KR20160003130U (ko) 2016-04-05 2016-04-05 노크식 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825U KR20160003130U (ko) 2016-04-05 2016-04-05 노크식 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476 Division 2015-03-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130U true KR20160003130U (ko) 2016-09-19

Family

ID=57048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825U KR20160003130U (ko) 2016-04-05 2016-04-05 노크식 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3130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293U (ko) 2017-11-24 2019-06-03 동아연필 주식회사 노크식 펜
KR20190060340A (ko) 2017-11-24 2019-06-03 동아연필 주식회사 노크식 펜
KR20190001292U (ko) 2017-11-24 2019-06-03 동아연필 주식회사 노크식 펜
US10377166B2 (en) 2017-11-24 2019-08-13 Dong-A Pencil Co., Ltd. Knock type pen
KR20190128324A (ko) * 2018-05-08 2019-11-18 동아연필 주식회사 노크식 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293U (ko) 2017-11-24 2019-06-03 동아연필 주식회사 노크식 펜
KR20190060340A (ko) 2017-11-24 2019-06-03 동아연필 주식회사 노크식 펜
KR20190001292U (ko) 2017-11-24 2019-06-03 동아연필 주식회사 노크식 펜
US10369836B2 (en) 2017-11-24 2019-08-06 Dong-A Pencil Co., Ltd. Knock type pen
US10377166B2 (en) 2017-11-24 2019-08-13 Dong-A Pencil Co., Ltd. Knock type pen
US10525761B2 (en) 2017-11-24 2020-01-07 Dong-A Pencil Co., Ltd. Knock type pen
KR20190128324A (ko) * 2018-05-08 2019-11-18 동아연필 주식회사 노크식 펜
US10639927B2 (en) 2018-05-08 2020-05-05 Dong-A Pencil Co., Ltd. Knock type p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3130U (ko) 노크식 펜
KR101538275B1 (ko) 출몰식 필기구의 푸쉬 로크장치
KR101455958B1 (ko)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KR102053705B1 (ko) 노크식 펜
KR102399598B1 (ko) 노크식 펜
US10434815B2 (en) Slide-type writing instrument having drying-prevention device
US6893179B2 (en) Rotary bar-projecting mechanism for push-button implement
CN104827805A (zh) 具备防干燥装置的滑动式书写工具
US10369836B2 (en) Knock type pen
KR200483197Y1 (ko) 오염 방지 기능이 구비된 노크식 필기도구
JP6366758B1 (ja) 自動密閉構造を備えた筆記具
KR101774425B1 (ko) 자동밀폐 구조를 구비한 필기구
KR900009507Y1 (ko) 샤아프펜슬
CN110450562B (zh) 按压式笔
KR200495581Y1 (ko) 노크식 펜
KR101188919B1 (ko)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JPS5837672Y2 (ja) ノツク式シヤ−プペンシル
KR200193016Y1 (ko) 녹크식 중성펜
KR200331308Y1 (ko) 캡이 내장된 필기구
JP3290587B2 (ja) ノック式水性ボールペン
JP2018192677A (ja) 誤動作防止機能付きノック式筆記具
JP2006264105A (ja) 繰出容器
KR930005088B1 (ko) 복합 필기구
JPS6232872Y2 (ko)
JP2009178870A (ja) 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