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088B1 - 복합 필기구 - Google Patents

복합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088B1
KR930005088B1 KR1019900011642A KR900011642A KR930005088B1 KR 930005088 B1 KR930005088 B1 KR 930005088B1 KR 1019900011642 A KR1019900011642 A KR 1019900011642A KR 900011642 A KR900011642 A KR 900011642A KR 930005088 B1 KR930005088 B1 KR 930005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slider
guide
rotary r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1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2621A (ko
Inventor
사다오 사또
세게바르트 라이너
오 에스만 페터
Original Assignee
로트링-베르케피페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트링-베르케피페카게 filed Critical 로트링-베르케피페카게
Publication of KR910002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1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 B43K24/1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16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operated by push-buttons selection by gravity with a pendulum or the like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합 필기구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기구의 헤드부분을 나타내는 부분파단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Ⅱ-Ⅱ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3도는 심체(心體)와 유지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우측면도.
제5도는 슬라이더(slider)와 봉형태의 진자(振子)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우측면도.
제7도는 제5도의 정면도.
제8도는 미끄럼 돌부의 전체윤곽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9도는 제8도의 평면도.
제10도는 봉형태의 진자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11도는 동체의 헤드부분과 슬라이더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12도는 안내통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
제13도는 제12도의 선 ⅩⅢ-Ⅹ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4도는 안내통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동체 1b : 동체의 헤드부분
3,4 : 심체 5,13 : 스프링
6 : 안내통 6a : 안내개구부
6b : 안내홈 6c : 복귀방지용 단부
6d : 필기상태유지용 돌출부 6e : 제1안내부
6f : 제2안내부 6g : 제3안내부
8 : 슬라이더 8b : 뚜껑(푸시캡)
8d : 돌기부 8e : 미끄럼 돌부
8i : 핀 9 : 회전링
a1,a2: 휴대위치 c1,c2: 필기위치
d1,d2: 걸림해제위치
본 발명은 샤프펜슬 또는 볼펜 등의 기능을 한자루의 필기구로 보유하면서 조작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복합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한자루의 필기구로 샤프펜슬이나 볼펜등의 복수의 기능을 보유하는 복합 필기구가 존재하였다.
이것은 필기구의 헤드부분에 제공되는 뚜껑을 눌러서 샤프펜슬 또는 볼펜의 임의의 심체를 필기상태로 돌출시키는 동시에 체결 해제부를 압압하여 상기 심체를 휴대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형태의 필기구는 체결 해제부가 필기구 외통의 소정위치에 마련되기 때문에 상기 체결 해제부를 압압할 경우에 손가락이 항상 조작가능한 위치에 있지 않게되며, 이러한 경우에 필기구를 갈아 주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게되고, 이에 따라 필기구의 조작성이 불량하게 된다.
이와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필기구의 헤드부분에 있는 커다란 뚜껑 전체를 눌러서 필기상태로 하고 뚜껑 전체를 회전시켜서 심체를 휴대위치까지 복귀되도록하여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한 필기구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필기구의 경우에는 크기가 비교적 큰 뚜껑전체를 조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손이 작은 사람이 조작하기에는 불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필기구의 외형을 형성하는 원통형 동체의 헤드부분에 회전링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동체내에는 볼펜등의 심체가 이동가능하게 배설되고 안내통이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안내통내에는 슬라이더가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심체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중력에 의해 그 선단부가 하방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됨으로써 임의의 심체를 필기용으로 선택하게 되는 봉형태의 진자(棒狀振子)가 제공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헤드부분에는 상기 회전링으로부터 돌출되는 뚜껑이 제공되고, 상기 뚜껑을 누름으로써 임의의 선단부를 동체의 노출구멍으로 부터 노출시켜 필기상태를 제공하게 되며, 상기 회전링을 회전시킴으로써 심체 선단부를 필기구의 내부로 인입시켜 휴대상태를 제공하게 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회전링에 대응되는 위치에 핀이 돌설되며, 상기 회전링의 내면에는 상기 핀이 삽입되는 홈이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회전링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더가 회전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외면에는 상기 안내통의 내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면서 돌출위치(튀어나온 위치)와 수납위치(들어간 위치)사이에서 출입 이동가능하게 되는 미끄럼 돌부 및 상기 안내통에 형성되는 안내 개구부를 따라 이동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통의 내면에는 상기 뚜껑을 누를때에 상기 미끄럼 돌부를 휴대위치로 부터 필기위치로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에는 필기위치로부터 휴대위치로의 복귀를 방지하는 복귀방지용 단부(段部)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에는 또한 상기 회전링의 비조작시에 미끄럼 돌부가 안내통의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회전링의 조작시에 미끄럼 돌부가 그 상부로 미끄러져서 걸림해제위치(係止解除位置)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필기상태유지용 돌출부가 설치되며, 상기 안내 개구부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압압력)에 의한 슬라이더의 복귀시에 상기 돌기부를 걸림해제 위치에서 휴대위치까지 복귀시키는 안내부가 형성되게 되는 복합필기구를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복합필기구에 따라, 소정의 심체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복합 필기구를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경사시킨다. 상기와 같이 복합 필기구를 소정각도로 비스듬하게 경사시키면, 봉형태의 진자의 선단부가 중력에 의해 아래를 향하여 기울어짐으로써 그 하방에 있는 임의의 심체의 헤드부분(머리부분)에 근접하게 된다. 이때, 필기구의 뚜껑을 스프링의 압압력에 항거하여 누르면 상기 뚜껑과 일체적으로 되는 슬라이더의 미끄럼 돌부가 안내통의 안내홈에 의해 안내되면서 미끄럼 이동되어 휴대위치로 부터 필기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필기위치에서는 돌기부가 안내 개구부의 슬릿(slit)을 따라 안내되고 미끄럼 돌부는 체결위치까지 안내된다. 뚜껑을 누르던 힘을 해제시키면 스프링의 압압력에 의해 미끄럼 돌부는 체결위치에서 필기위치로 복귀된다. 이에 의해 소정의 심체 선단부가 동체의 심체노출구멍으로 부터 돌출되며, 이 위치로 부터 휴대위치로의 복귀는 복귀방지용 단부에 의해 방지되어 필기상태가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이 필기구의 뚜껑을 누르는 과정에서, 미끄럼 돌부가 복귀방지용 단부를 지나게 되면 다시 안내홈으로 급격하게 돌출됨으로써 특정의 소리가 들려진다. 이 소리에 의해 소정의 심체가 심체노출 구멍으로 부터 노출된 것을 청각 및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게되고, 이에 따라 시각적인 확인이 필요없게 되므로 조작의 간편함이 도모된다. 또한, 뚜껑을 누르면 휴대위치로 부터 필기위치까지는 미끄럼 돌부가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며, 상기 필기위치로부터 체결위치까지는 돌기부가 안내개구부의 슬릿을 따라 안내된다. 따라서, 휴대위치로 부터 체결위치까지 확실하게 안내되므로 미끄럼 돌부가 휴대위치에서 걸림해제위치(係止解除位置)로 직접 이동되어 체결되지 않고 복귀되는 경우가 없게 되고, 확실한 필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기위치와 걸림해제위치 사이에 필기상태유지용 돌출부가 형성되므로 회전링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필기도중에 미끄럼 돌부가 원주방향으로 걸림해제위치를 향하여 이동되는 일은 없게된다. 따라서 필기도중에 심체가 노출구멍을 통하여 필기구의 내부로 들어가는 현상이 방지되며 안정된 필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심체를 집어넣어 휴대위치로 복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회전을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회전링의 홈에 삽입되는 핀에 의하여 슬라이더가 회전됨으로써 미끄럼 돌부가 필기상태유지용 돌출부의 면을 통하여 미끄러져서 걸림해제위치로 이동된다. 이때에도, 미끄럼 돌부가 복귀방지용 단부를 넘어서는 경우와 같이, 특정의 소리를 들을수 있게 되므로 필기구의 조작성이 배가될 수 있게 된다.
걸림해제위치에 도달되면 슬라이더가 스프링의 압압력에 의해 휴대위치를 향하여 복귀되고 이때 돌기부가 안내부를 따라 안내됨으로써 미끄럼 돌부는 걸림해제위치에서 휴대위치로 복귀되며 심체 선단부가 필기구의 내부로 인입되어 휴대상태로 된다.
본 발명에 따라, 뚜껑과는 독립적으로 소형의 회전링만을 회전시킴으로써 필기구를 필기상태에서 휴대상태로 용이하게 복귀시킬 수 있으므로 예컨대 손이 작은 어린이와 같은 사람도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기구는 외형을 형성하는 동체(胴體)(1)을 가지며, 상기 동체(1)내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정위치에 유지부(14)가 배설되고, 상기 유지부(14)내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샤프펜슬 심체(3) 및 두개의 볼펜 심체(4, 4)가 도면의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설되며, 상기 각각의 심체(3, 4, 4)는 제1스프링(5)에 의해 우측방향으로 힘을 작용받게된다. 또한, 상기 동체(1)내에는 심체(3, 4, 4)의 우측방향에 합성수지로 제조되면서 단면이 원통형 형상으로 되는 안내통(6)이 고정되고, 동체(1)의 헤드부분에는 상기 안내통(6)내에서 미끄럼 이동되는 금속제 슬라이더(8)이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더(8)의 헤드부분에는 지우개(8a)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며, 뚜껑으로서의 푸시캡(push-cap)(8b)가 상기 지우개(8a)를 덮으면서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8)과 푸시캡(8b)는 일체적으로 미끄럼 이동되거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슬라이더(8)의 노출구멍쪽 오목부(8c)에는 봉형태의 진자(12)의 헤드(12a)가 수납됨으로써 상기 봉형태의 진자(12)는 요동가능하게 되고, 상기 봉형태의 진자(12)의 선단부(12b)는 각각의 심체(3, 4, 4)의 헤드(3a, 4a, 4a)를 압압하게 된다.
제5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슬라이더(8)에는 돌기부(8d) 및 미끄럼 돌부(8e)가 서로 반대쪽에 형성된다. 상기 미끄럼 돌부(8e)는 슬라이더(8)에 형성되는 오목부(8f)내에 수납되며 돌출방향으로 스프링의 압압력을 받게되어 외부를 향하여 출입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미끄럼 돌부(8e)는 제8도 및 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략 직방체 형상을 가지며, 제8도의 길이부(l)이 상기 오목부(8f)내로 삽입되고, 그 구멍(8h)내에 배설되는 스프링(도시안됨)에 의해 상기 미끄럼 돌부(8e)는 외측으로 압압된다. 미끄럼돌부(8e)에는 경사면(8g)가 형성된다.
제1도 및 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슬라이더(8)의 헤드부분에는 핀(8i)가 돌출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핀(8i)는 동체(1)의 헤드부분(1b)에 형성되는 소정의 개구부(1c)에 위치되면서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외부를 향하여 돌출된다.
상기 동체(1)의 헤드부분(1b)의 둘레에는 회전링(9)가 회전가능하게 정착된다. 상기 회전링(9)에는 필기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9a)가 형성되고, 이 홈(9a)에 상기 핀(8i)가 삽입되게 되며, 이에 따라 회전링(9)를 회전시킴으로써 슬라이더(8)이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동체(1)의 헤드부분(1b)의 개구부(1c)는 핀(8i)의 적당한 이동을 허용하기에 충분한 크기로 형성된다. 도면부호 10은 회전링(9)의 외부이탈을 방지하는 링모양의 부재이고, 이 부재(10)은 동체(1)의 헤드부분(1b)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한편,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안내통(6)에는 상기 돌기부(8d)를 안내하는 안내 개구부(6a)가 형성되며 미끄럼 돌부(8e)를 안내하는 안내홈(6b)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6b)는 상기 안내통(6)의 내면에 형성되어 필기구의 축(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돌부(8e)를 휴대위치(a1)으로 부터 필기위치(c1)으로 안내하고, 상기 안내홈(6b)에는 필기위치(c1)으로 부터 휴대위치(a1)으로의 복귀를 방지하는 복귀방지용 단부(段部)(6c)가 형성된다. 미끄럼 돌부(8e)는 경사면(X)를 따라 미끄럼 이동되어 복귀방지용 단부(6c)를 넘어 필기위치(c1)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필기위치(c1) 및 체결위치(b1)사이의 거리가 샤프펜슬 심체(3)의 심 인출 여유거리로 된다. 다시말하면, 상기 심인출 여유를 제공하기 위해 필기위치(c1)에서 체결위치(b1)까지의 거리가 확보된다. 상기 필기위치(c1)의 축방향에는 필기상태 유지용 돌출부(6d)가 형성된다. 상기 필기상태유지용 돌출부(6d)는, 회전링(9)가 조작되지 않을 때, 미끄럼 돌부(8e)가 안내통(6)의 원주방향을 따라 걸림해제위치(d1)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며, 회전링(9)가 조작될 때에는, 상기 미끄럼 돌부(8e)가 원주방향을 따라 걸림해제위치(d1)로 이동되도록 그 크기 및 형상이 결정된다. 그리고나서, 미끄럼 돌부(8e)는 상기 걸림해제위치(d1)로 부터 휴대위치(a1)까지 경사면(Y)를 통하여 이동된다.
또한, 제12도 및 14도 도시한 바와같이, 안내 개구부(6a)에는 필기위치(c2) 및 체결위치(b2)사이에서 돌기부(8d)를 안내하는 슬릿으로서의 제1안내부(6e), 필기위치(c2)로 부터 걸림해제위치(d2)까지 상기 돌기부(8d)를 안내하는 제2안내부(6f), 및 상기 걸림해제위치(d2)로 부터 휴대위치(a2)까지 상기 돌기부(8d)를 안내하는 제3안내부(6g)가 형성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슬라이더(8)과 유지부(14)의 사이에서 안내통(6)의 내부에는 제2스프링(13)이 배설되고, 상기 스프링(13)의 압압력에 의해 슬라이더(8)은 제1도의 우측방향으로 압압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필기구의 작동을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휴대상태에서 소정의 심체(3, 4, 4)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요구하는 심체(3, 4, 4)가 하부에 위치되도록 복합 필기구의 동체(1)을 경사시킨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8)에 장착되는 봉형태의 진자(12)의 선단부(12b)가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기울어지고 제10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소정 심체(3, 4, 4)의 헤드(3a, 4a, 4a)에 대응되게 된다. 이 상태에 푸시캡(뚜껑)을 누르면 슬라이더(8)이 제2스프링(13)의 압압력을 극복하면서 노출구멍을 향하여 안내통(6)의 내부로 이동된다. 이때, 슬라이더(8)의 핀(8i)는 회전링(9)의 홈(9a)내에서 이동된다.
따라서, 슬라이더(8)의 미끄럼 돌부(8e)는 안내통(6)의 안내홈(6b)를 따라 안내되며 슬라이더(8)의 돌기부(8d)는 안내통(6)의 안내개구부(6a)의 제1안내부(6e)를 따라 안내되어 제12도 내지 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위치(a1, a2)로 부터 체결위치(b1, b2)를 향하여 이동된다. 상기 슬라이더(8)의 이동에 따라 봉형태의 진자(12)도 노출구멍쪽으로 전진됨으로써 상기 봉형태의 진자(12)의 선단부(12b)에 의해 임의의 심체(3, 4, 4)의 헤드(3a, 4a, 4a)가 압압되어 결과적으로 심체(3, 4, 4)가 제1스프링(5)의 압압력을 극복하면서 동체(1)의 심체 노출구멍을 통하여 돌출된다. 이때, 미끄럼 돌부(8e)는 경사면(X)를 따라 미끄럼 이동되며, 복귀방지용 단부(6c)를 넘어섰을 때 미끄럼 돌부(8e)에 내장된 코일스프링의 압압력(탄성력)에 의해 상기 미끄럼 돌부(8e)는 다시 안내홈(6b)로 돌출되고 이때 특정의 소리가 발생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소리에 의해 심체(3, 4, 4)의 선단부가 돌출된 것을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되며 상기 복귀방지용 단부(6c)부분을 쥐고 있는 손가락 부분에 특정의 진동이 전파되어 선단부가 돌출된 것을 촉각에 의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미끄럼 돌부(8e)는 휴대위치(a1, a2)로 부터 필기위치(정확하게는 복귀방지용 단부(6c)의 바로 앞)(c1, c2)까지는 안내홈(6b)에 의해 안내되고, 필기위치(c1, c2)로 부터 체결위치(b1, b2)까지는 안내개구부(6a)의 제1안내부(6e)에 의해 안내된다. 슬라이더(8)이 휴대위치(a1, a2)로 부터 체결위치(b1, b2)까지 정확하게 안내됨으로써 미끄럼 돌부(8e)가 소정의 궤도를 따라 안내되게 되며 휴대위치(a1, a2)로 부터 걸림해제위치(d1, d2)로의 직접적인 이동이 방지되어 필기위치(c1, c2)가 확실히 제공되고 필기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이어서, 푸시캡(뚜껑)을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슬라이더(8)이 제1 및 제2스프링(5, 13)의 압압력에 의해 필기위치(c1, c2)까지 복귀되고, 상기 필기위치(c1, c2)에 복귀방지용 단부(6c)가 형성되기 때문에 슬라이더(8)이 휴대위치(a1)로 복귀되는 것이 방지되며 필기상태가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복귀방지용 단부(6c)에 접촉되는 미끄럼 돌부(8e)가 대체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 돌부(8e)의 단지 하나의 면만이 복귀방지용 단부(6c)에 접촉되므로, 복귀방지용 단부(6c)의 손상이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이 향상된 필기구를 제공할 수 있게된다. 또한, 필기위치(c1)의 측방향으로 필기상태 유지용 돌출부(6d)가 형성되므로 필기중 슬라이더(8)의 미끄럼 돌부(8e)이 안내통(6)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어 필기위치(c1)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샤프 심체(3)을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필기위치(c1)으로 부터 체결위치(b1)쪽을 향하여 심체 인출 여유가 제공되므로, 푸시캡(8b)를 다시 눌러서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샤프 심체(3)의 심을 노출구멍 밖으로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
심체(3, 4, 4)의 선단부를 휴대위치로 복귀시킬 경우에는 회전링(9)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따라, 핀(8i)를 경유하여 슬라이더(8)이 회전됨으로써 미끄럼 돌부(8e)가 필기상태유지용 돌부(6d)의 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어 걸림해제위치(d1)으로 이동 된다. 이때에도 특정의 소리가 발생되고 필기구의 동체(1)을 통하여 상기와 같은 미끄럼이동을 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된다. 상기 미끄럼 돌부(8e)에는 경사면(8g)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8g)가 필기상태유지용 돌출부(6d)의 면과 면접촉하는 상태로 상기 미끄럼 돌부(8e)가 미끄럼 이동되기 때문에, 필기상태유지용 돌출부(6d)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게된다.
미끄럼 돌부(8e)가 걸림해제위치(d1)에 도달되면 제1 및 제2스프링(5, 13)의 압압력에 의해 푸시캡(뚜껑)(8b)는 본래의 위치를 복귀되게 된다. 슬라이더(8)의 돌기부(8d)는 안내개구부(6a)의 제3안내부(6g)에 의해 안내되어 걸림해제 위치(d2)에서 지점(e2)를 거쳐 휴대위치(a2)로 이동된다. 미끄럼 돌부(8e)도 걸림해제위치(d1)에서 지점(e1)을 거쳐 휴대위치(a1)으로 이동된다. 이와같은 작용에 의해 심체(3, 4, 4)의 선단부가 노출구멍을 통하여 필기구의 내부로 인입됨으로써 필기구의 휴대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으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푸시캡(8b)와 회전링(9)가 독립적으로 조작되기 때문에, 푸시캡(8b)를 눌렀을 때 회전링(9)가 회전되지 않게되어 필기구의 정확하고 확실한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폭이 좁은 회전링(9)가 사용되므로 손이 작은 사람이라도 필기구를 바꿔쥐는 일이 없이 필기구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회전링(9)를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필기구가 구성되지만, 제14도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안내개구부(6a)를 형성하고 필기상태유지용 돌출부(6d)를 한 쌍 형성하면 회전링(9)를 양방향으로 회전시켜 필기구를 휴대상태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4도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안내개구부(6a)를 형성할 수 있다. 안내개구부(6a)를 이와같이 형성하여도, 푸시캡(8b)를 누를때 회전링(9)에 큰 힘이 작용하지는 않게되며, 통상적인 사용상태에서 필기위치(c1, c2)에서 정지되지 않고 휴대위치(a1, a2)로 다시 복귀될 가능성은 없게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샤프 심체(3) 및 볼펜 심체(4)를 제공하였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심체의 굵기가 상이한 샤프 심체를 복수로 제공해도 되고 색깔이 상이한 볼펜심체를 다수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필기구에 의해 작은 회전링과 푸시캡이 독립적으로 작용되기 때문에 회전링의 조작성이 양호하게 되고 손이 작은 사람이라도 필기구를 휴대상태로 용이하게 복귀시킬 수 있게된다.

Claims (1)

  1. 필기구의 외형을 형성하는 원통형 동체(1)의 헤드부분(1b)에 회전링(9)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동체(1)내에는 볼펜 심체등의 다수의 심체(3, 4)가 이동가능하게 배설되며 안내통(6)이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안내통(6)내에서 미끄럼 이동되는 슬라이더(8)이 제공되며, 상기 심체(3, 4)를 향하여 연장되어 중력에 의해 선단부(12b)가 경사됨으로써 임의의 심체를 선택하게되는 봉형태의 진자(12)가 상기 슬라이더(8)에 설치되고, 동체(1)의 헤드부분(1b)에 상기 회전링(9)로 부터 돌출되는 푸시캡(8b)가 설치되며, 상기 푸시캡(8b)를 누름으로써 임의의 심체의 선단부를 동체(1)의 노출구멍을 통하여 돌출시켜 필기상태로 하고, 상기 회전링(9)를 회전시켜 심체 선단부를 인입시킴으로써 휴대상태로 하게되는 복합필기구에 있어서, 회전링(9)에 대응되는 상기 슬라이더(8)상의 위치에 핀(8i)가 돌출적으로 형성되며 ; 상기 회전링(9)의 내면에는 상기 핀(8i)의 선단부가 삽입되게 되는 홈(9a)가 슬라이더(8)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회전링(9)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더(8)이 회전되게 되며 ; 상기 슬라이더(8)의 외면에는 상기 안내통(6)의 내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는 출입식 미끄럼 돌부(8e), 및 상기 안내통(6)에 형성되는 안내 개구부(6a)를 따라 이동되는 돌기부(8d)가 설치되고 ; 상기 안내통(6)의 내면에는 상기 푸시캡(8b)가 눌러졌을때 상기 미끄럼 돌부(8e)를 휴대위치(a1)으로 부터 필기위치(c1)으로 축방향을 따라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6b)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6b)에는 상기필기위치(c1)으로부터 휴대위치(a1)으로 미끄럼 돌부(8e)가 복귀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귀방지용 단부(6c)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링(9)의 비조작시에는 필기위치(c1)으로 부터 안내통(6)의 원주방향을 따른 미끄럼 돌부(8e)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링(9)의 조작시에는 미끄럼 돌부(8e)가 그 위를 넘어서 걸림해제위치(d1)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필기상태유지용 돌출부(6d)가 설치되고, 상기 안내개구부(6a)에는, 상기 돌기부(8d)를 필기위치(c2)와 체결위치(b2)의 사이에서 안내하게 되는 제1안내부(6e), 필기위치(c2)로 부터 걸림해제위치(d2)까지 안내하는 제2안내부(6f), 및 스프링(5, 13)의 압압력에 의한 슬라이더(8)의 복귀시에 상기 돌기부(8d)를 상기 걸림해제위치(d2)로 부터 휴대위치(a2)로 복귀시키게 되는 제3안내부(6g)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필기구.
KR1019900011642A 1989-07-31 1990-07-31 복합 필기구 KR930005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9090187U JPH065196Y2 (ja) 1989-07-31 1989-07-31 複合式筆記具
DE1-90187 1989-07-31
JP1-90187 1989-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621A KR910002621A (ko) 1991-02-25
KR930005088B1 true KR930005088B1 (ko) 1993-06-15

Family

ID=13991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1642A KR930005088B1 (ko) 1989-07-31 1990-07-31 복합 필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65196Y2 (ko)
KR (1) KR930005088B1 (ko)
DE (1) DE9010303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7007885U1 (de) * 2007-06-04 2007-08-30 Takata-Petri Ag Gassackbefestigung in einem Airbagmodu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31591U (ko) 1991-03-27
KR910002621A (ko) 1991-02-25
JPH065196Y2 (ja) 1994-02-09
DE9010303U1 (ko) 1990-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5088B1 (ko) 복합 필기구
JPH0525915Y2 (ko)
JPH01110199A (ja) シヤープペンシル
CN110450562B (zh) 按压式笔
JPH0649088U (ja) シャープペンシルとボールペンの多芯筆記具
JPH0345837Y2 (ko)
JP3095986B2 (ja) 2芯筆記具
JPH0133357Y2 (ko)
KR820002568Y1 (ko) 필 기 구
JP2537879Y2 (ja) 筆記具
JPH0514878Y2 (ko)
JP3095985B2 (ja) 2芯筆記具
JPH01234299A (ja) シャープペンシル体を含むノック式筆記具
JPH0415517Y2 (ko)
KR820002567Y1 (ko) 복식 필기구
JP2531090Y2 (ja) ノツク繰出式複式筆記具
JPH08267989A (ja) 複合式筆記具
JP3542868B2 (ja) 複式筆記具
JP2549135Y2 (ja) ノック式筆記具
JPH07237393A (ja) サイドスライド式筆記具
JP4611541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体を含むスライド式の複合筆記具
JP2021045915A (ja) 筆記具
JPH11334283A (ja) 後端ノック式筆記具
JPS6013676Y2 (ja) 繰出ボ−ルペン
JPS5845114Y2 (ja) ノツク式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5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