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에서는 유동층 또는 고속 유동층 공정에 적합한 형상, 입자 크기 및 입자 분포를 갖는 유동화가 가능한 고체 흡수제 입자(free flow solid sorbent particles) 특성과 이산화탄소와 효율적으로 반응하는 고체 흡수제를 제조하기 위해 분무건조기술을 사용하여 흡수제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상세하게 본 발명에서는 이산화탄소 흡수제 제조함에 있어 분무건조기로 흡수제를 성형하기 위해 고체 흡수제 원료의 조성(composition), 이러한 고체 흡수제 원료의 배합비(formulation) 및 균질화(homogenizing)를 통하여 물에 고체 원료, 입자 분산 및 유동성 제어에 필요한 분산제, 거품 제거제(소포제), 유기결합제 등 유기 첨가제를 첨가하여 슬러리를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슬러리를 분무건조 성형하는 과정과 성형된 흡수제를 소성하는 과정으로 구성된 흡수제제조과정을 특징으로 이산화탄소 흡수제를 제조하는 방법과 그 과정에 관한 것이다.
고체 흡수제 원료는 활성성분, 지지체, 무기 결합제로 구성된다.
활성성분은 이산화탄소와 선택적으로 반응하여 가스기류에서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회수 분리할 수 있는 물질로 주기율표 1과 2족에 속하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탄산염 또는 중산탄산염 또는 이러한 탄산염으로 전환될 수 있는 활성성분으로 총 고체 원료 중 5 ∼ 70 wt%(무게 중량 백분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10 ∼ 50 wt%이다. 활성성분은 가스기류 중에서 이산화탄소와 물과 반응하여 금속 중탄산염(MHCO3) 또는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탄산염(carbonate)을 생성할 수 있는 금속탄산염(metal carbonates), 금속 중탄산염(metal bicarbonates), 금속 산화물(metal oxides)로 본 발명은 합성원료 또는 자 연산 원료에 대한 제한은 없으나,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활성성분은 98%이상의 순도이다.
활성성분을 흡수제 입자 내에 잘 분포되게 하여 반응성을 높이고, 반응에 필요한 수분을 흡착 또는 흡수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비표면적이 큰 지지체로서 자체적으로 친수성을 갖거나, 흡수제에 친수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루미나와 실리카를 포함하는 세라믹 류(ceramics), 천연 또는 합성 제올라이트(natural or synthesized zeolite), 규조토(Celite or diatomaceous earth) 또는 탄소체(carbon molecular sieve or carbon nano tubes)를 총 고체 원료 중 5 ~ 70 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15 - 40 wt%를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체 대상 중 본 발명에서 사용한 지지체는 규조토(Celite), 제올라이트인 분자체 13X(molecular sieve 13X, Tricat Zeolites GmbH Zeosorb 13X powder), 또는 alumina(Versal G Alumina powder)를 사용하였다. 이 Zeosorb 13X는 SiO2 함량이 45.4 wt%이며, SiO2/Al2
O3 몰 비율(mol ratio)이 2.5%로 비표면적이 733 m2/g이다. Alumina는 Al2O3 함량이 99.8%로 비표면적은 150 m2/g (VGL-15) 또는 250 m2/g (VGL-25)이다.
흡수제에 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무기결합제로는 칼슘 실리케이트와 칼슘 알루미네이트와 같은 시멘트류 무기 결합제, 벤토나이트와 카올린과 같은 점토류 무기 결합제, 알루미나 졸, 실리카졸, 보에마이트(boehmite) 등과 같 은 세라믹류 무기결합제 등이 있으며, 총 고체 원료 중 5∼70 wt%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10-50 wt%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시멘트류 무기결합제에 대한 특별한 제한 없으며,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시멘트류 무기결합제로는 수화시멘트(hydraulic cement) 중에서 포틀랜드시멘트(Portland cement)(또는 무수 칼슘 실리케이트, anhydrous calcium silicate)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clay-like binder(점토류 결합제)는 천연, 가공 또는 합성 점토류 결합제에 대한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있는 점토류 결합제는 스멕타이트(smectites)와 칸다이트(kandites)에 속하는 것으로 수용액에서 가소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디움 벤토나이트(sodium bentonite) 또는 카올린(kaolin) 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ceramic-like binder(세라믹류 결합제)는 주로 나노 입자크기, 또는 물에 분산되어 나노입자 크기로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alumina, silica, zirconia, titania, magnesia 등의 ceramic powder 또는 ceramic sol과 유사 보에마이트(pseudo-boehmite)가 있다.
본 발명에서 고체 원료들을 균질화함에 있어 사용하는 유기첨가제로는 분산제 또는 분산제의 일종인 슬러리 유동성 개량제, 소포제와 유기 결합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체 원료 자체만을 물에 섞은 경우 가소성이 적고 분산시키기가 어려워 혼합 및 콜로이드 슬러리를 제조하기 어렵다.
또 미세 분말로 더 분쇄할 경우에도 미세입자들이 서로 엉겨 붙는 응집현상 이 일어나므로 분쇄효율이 저하된다. 고체 입자 분포가 나노영역(약 10 nm - 5000 nm)에서는 분산제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분산제로는 음이온계(anionic), 비이온계(nonionic), 양이온계(cationic)와 양쪽성(amphoteric or zwitterion) 분산제(dispersant)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15-60 wt%의 고농도 슬러리 제조에 적합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비이온계와 음이온계 분산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서로 상용성이 좋아야 한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당한 비이온계 분산제로는 듀퐁(DuPont) 또는 3M의 불소계 계면활성제(fluorosurfactant)이다. 본 발명에서 비이온계 분산제의 사용량은 총 고체원료 100을 기준으로 0.01-0.3 %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한 음이온계 분산제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폴리카르복실산, 폴리카르복실산 아민, 폴리카르복실산 아민염, 또는 폴리카르복실산 소다염이다. 본 발명에서 음이온 분산제는 총 고체원료 100을 기준으로 0.1 ∼ 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한 소포제로는 비이온계와 음이온계 분산제 및 유기결합제를 적용한 슬러리의 기포를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금속비누계와 폴리에스테르계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소포제는 총 고체원료 100을 기준으로 0.001 ∼ 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유기결합제를 슬러리 제조 단계에서 첨가하여 슬러리의 가소성(plasticity)과 유동성을 부여하고 궁극적으로는 분무건조 성형으로 제립된 흡수제 입자(green body)에 강도를 부여함으로서 예비건조 및 소성 전에 제립체의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기 결합제로는 포리비닐알코올계(PVA), 폴리글라이콜계(PEG) 또는 메틸셀룰로즈(methyl celluloses)계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혼합 유기결합제이다.
본 발명에서는 유기결합제를 총 고체원료 100을 기준으로 0.5 ∼ 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고체원료를 조성에 따라 물에 첨가하여 잘 혼합하고, 필요에 따라 유기첨가제를 첨가하여 잘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혼합과정과 물에 혼합된 슬러리의 입자들을 습식분쇄하여 미세화(comminution)하고, 슬러리의 분산과 균질화를 이루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한 원료입자의 크기가 수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크기라면 분쇄 과정을 생략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조된 잘 분산되어 안정하고 유동성이 있는 슬러리에 포함된 이물질(먼지, 건조된 슬러리 덩어리, 입자가 큰 원료 등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는 체거름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조성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회수용 흡수제의 제조과정은 각각의 원료를 정확하게 계량한 후, 먼저 슬러리 농도 즉, 고체대 액체 비율(중량비를 기준)을 감안하여 액체 비율에 해당되는 만큼의 증류수를 적당한 크기의 용기에 넣고, 분산제와 소포제를 첨가하여 잘 혼합한다.
소다회 등의 활성물질을 완전 용해시킨 후, 지지체인 분자체 13X, 무기결합 제인 칼슘실리케이트, 유사 보헤마이트(pseudo-boehmite), 벤토나이트 등을 첨가하였다. 중소다회와 같이 용해도가 낮은 활성성분은 지지체와 무기결합제 등을 우선 혼합한 수용액에 마지막으로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이때 슬러리의 유동성을 부여하여 슬러리를 구성하는 원료들의 원만한 혼합을 위해 필요한 분산제 또는 유동성 개량제(flow control agent)를 소포제와 함께 첨가하여 혼합한다.
과량의 분산제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슬러리의 농도를 물로 조정할 수 있으며 이 때 혼합된 슬러리의 농도는 15 ∼ 60 wt%이다. 원료를 물에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할 때 원료들을 잘 혼합하기 위해 혼합기를 사용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일반 교반기(mechanical stirrer), 균질기(homogenizer), 초음파 균질기(ultrasonic homogenizer), 혼합기(high shear blender), 이중나선교반기(double helix mixer) 등을 원료의 량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되어 제조된 슬러리 중에 있는 고체 원료들을 1 ㎛이하로, 즉 나노크기로 분쇄하고 이렇게 분쇄된 입자를 포함한 모든 원료 입자를 균질하게 분산시키며, 이렇게 분산된 슬러리 중의 입자들은 이미 첨가한 분산제 또는 유동성 개량제 등 계면활성제에 의해 응집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한 슬러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습식분쇄기술(wet milling technique)로 고체원료를 기계적으로 분쇄(comminution)하는 데에는 공기제트밀(air-jet mill), 롤러 밀(roller mill), 볼밀(ball mill), 마모밀(attrition mill), 진동 밀(vibratory mill), 프래너터리 밀(planetary mill), 또는 비드 밀(bead mill) 등 다양한 기구 또는 장비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고에너지 비드밀(high energy bead mill)을 선호한다.
이러한 고 에너지 비드밀은 회전자(rotor)와 고정자(stator)사이의 간극이 있으며 여기에 분쇄미디어를 부피의 60-80% 충진하여 입자 분쇄 및 슬러리 균질화를 이룰 수 있다. 분쇄 매질(media)로는 마모에 의한 원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이트리움 안정화된 지르코니아 볼(yttrium stabilized zirconia bead)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한 볼의 크기는 0.3 mm ∼ 1.25 mm 크기사이의 단일 크기 볼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1㎛ 이하의 입자를 얻기 위해 2번 이상 슬러리를 밀링(milling) 또는 습식분쇄(wet comminution)한다. 첫 번째 밀링한 슬러리는 두 번째 밀링을 위해 농도 또는 유동성 개량제(또는 분산제)와 소포제를 첨가하여 펌프로 이송하여 밀링할 수 있도록 슬러리의 유동성을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모든 슬러리는 유기결합제를 첨가하고, 필요에 따라 분산제와 소포제를 첨가하거나 슬러리의 농도를 조정하기 위해 물을 참가하여 슬러리의 특성을 조정한 다음 노화(aging) 과정을 거쳐 체로 걸려서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펌프로 이송하여 분무건조기로 수송된다. 본 발명에서는 여러 유기결합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주로 변성 폴리에틸렌글라이콜(polyethylene glycol, PEG)을 0.5-5%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최종 슬러리의 유동성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펌프로 이송 가능한 어떠한 점도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슬러리의 점도는 300 cP 이상으로 펌프를 사용하여 분무건조기로 이송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안정하고, 균질하며, 잘 분산된 유동성 슬러리를 분무건조기로 성형하여 구형의 흡수제 제립체(green body)를 제조하였다. 분무건조기의 운전조건은 흡수제의 입도 분포가 30~500㎛가 되도록 선정하였다. 흡수제 입자의 형상, 입자크기와 분포, 흡수제의 조직(morphology or texture)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슬러리의 농도와 점도, 분산정도, 슬러리의 주입 압력과 양, 분무건조기의 건조용량 및 온도 등이 있다. 이러한 변수들은 분무건조기의 구조와 어토마이저(atomizer) 형태에 따라 다르다.
본 발명에 사용한 분무건조기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본 발명에서는 자체적으로 설계 제작한 것으로, 건조통(drying chamber)의 크기는 높이 2m과 지름 1m이며, 원뿔통을 포함한 길이는 2.94 m인 전열기로 건조하는 분무건조기이다. 이 분무건조기는 상부에 로터리 휠 아토마이저(Rotary Wheel Atomizer) 또는 가압 노즐(a centrifugal pressure nozzle)을 사용하여 병류식(co-current)으로 분무건조할 수 있으며, 또 하부에 설치된 가압노즐을 사용하여 향류식(counter-current fountain configuration)으로 분무건조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분무건조기에서 평균입자가 약 40-180 ㎛ 크기로 제조하기 위해서 건조기 내부에서 분사된 입자들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분무건조기 하부에 가압노즐(Centrifugal Pressure Nozzle)을 사용하여 향류식(Counter-Current Fountain Configuration) 분무방식을 사용하였다. 대표적으로 분무건조기의 운전조건은 주입 압력범위 6-30 kg/cm2(10 kg/cm2), 가압노즐의 내경 0.51 mm, 분무건조기 입구온도 260-300℃, 분무건조기 출구 온도 90-150℃이다.
분무건조 성형제조된 흡수제의 제립체는 110~150℃ 공기분위기의 환류 건조기에서 2시간 이상 건조하였다. 건조된 제립체는 공기분위기에서 승온속도 2℃/min으로 350-1000℃사이의 온도에서 두 시간 이상 소성하여 최종 흡수제를 제조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350-850℃사이의 온도에서 두 시간 이상 소성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소성과정으로 용매와 유기첨가제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200℃ 와 500℃ 온도에서 각각 1~2시간 정도 유지한 후에 350-850℃ 까지 승온하였다.
다음은 본 발명에 대한 여러 특징들을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며,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총 2 kg 고체원료 중 활성성분으로 soda ash(Na2CO3) 20-50%, 지지체로 규조토(Celite or Diatomaceous earth) 0-20%, 무기결합제로 50-60%를 조성비로 하는 흡수제 제조에 관한 예이다. 슬러리 농도가 약 35% 되도록 물에 원료를 순차적으로 또는 일시에 첨가하고, dispersant, defoamer를 첨가하여 10000-25000 rpm으로 조정하여 교반할 수 있는 유화교반기(homogenizer)로 혼합하였다. 혼합 슬러리(mixed slurry)는 2차에 걸쳐 high energy bead mill을 사용하여 colloidal slurry(콜로이드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콜로이드 슬러리에 polyethylene glycol(PEG) organic binder(Sannopco Korea, HS-BD-20A)를 약 1.25 wt%를 첨가하여 잘 교반한 다음 2시간 이상 노화시키고 체로 걸러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최종 슬러리의 농도는 약 28∼32 wt% 범위에서 조정하여 분무 건조하였다. 이렇게 성형 제조된 흡수제 제립체(green body)를 건조기에서 120℃로 2시간 이상 예비건조한 후 소성로(furnace)에서 650℃로 2시간 이상 소성시켜 흡수제를 제조하였다. 소성 온도에 도달하기 전 200℃, 400℃와 500℃에서 1시간 정도 체류하였고, 승온 속도는 약 5℃/min이었다. 이렇게 제조된 흡수제는 활성성분의 양에 따라 흡수제 A, B와 C로 표기하였다.
(표 1)은 Celite를 support로 사용한 흡수제의 조성과 slurry 특성을 요약한 것이다.
(표 1)규조토를 이용한 흡수제의 조성과 slurry 특성
Sorbents |
A
|
B
|
C
|
Na2CO3, wt% |
50 |
30 |
20 |
Celite, wt% |
|
20 |
20 |
calcium silicate, wt% |
35 |
35 |
45 |
Na bentonite, wt% |
5 |
5 |
5 |
P-boehmite, wt% |
10 |
10 |
10 |
Total solid, wt% |
100 |
100 |
100 |
Dispersant, wt% |
2.3 |
1.6 |
1.9 |
Defoamer, wt% |
0.1 |
0.05 |
0.05 |
Organic binder, wt% |
1.25 |
1.25 |
1.25 |
Slurry concentration, wt% |
32 |
32 |
28 |
Slurry pH |
10.7 |
10.6 |
10.7 |
Slurry viscosity, cP |
380 |
700 |
1180 |
(실시예 2)
건식 재생 고비표면적 흡수제 제조를 위해 상기 (실시예 1)의 흡수제 B와 유 사한 조성을 사용하였다. 다만 지지체로 molecular sieve 13X(733 m2/g)를 사용하여 총 고체원료 15kg를 계량하여 흡수제를 제조하였다.
증류수 24.5ℓ에 비이온계 분산제(3M Florad Fluorosurfactant FC 4430) 5g와 소포제(Sannopco Korea, NOPCO NXZ) 2 ml를 첨가하여 double helix mixer(이중나선 교반기)로 2분 동안 잘 교반하였다. 이 수용액을 교반하면서 소다회(Na2CO3) 4.5 kg를 서서히 첨가하였다(pH = 11.04 at 27℃). 이 혼합물(mixture)에 molecular sieve 13X 3 kg, p-boehmite 1.5 kg, sodium bentonite 1.5 kg과 calcium silicate(Celite Korea, Microcel C) 5.25 kg를 순차적으로 서서히 가하였다.
모든 고체 원료를 물에 첨가한 후 약 1시간동안 혼합용액을 교반하였다(pH = 10.8 at 24℃). 이 혼합 슬러리(mixed slurry)를 peristaltic pump를 사용 high energy bead mill로 이송하여 고체원료를 분쇄(comminution)함과 동시에 분산시켰다. 1차 밀링한 슬러리에 물 7.5ℓ을 추가하여 이중나선교반기로 잘 교반한 다음 2차로 밀링하였다.
2차 밀링한 슬러리에 PEG 420 g, 물 6 ℓ, 소포제 1 ㎖를 추가하여 double helix mixer로 잘 교반한 다음 sieve로 걸러서 other materials(이물질, or impurities)를 제거하였다. 이 슬러리를 24시간 이상 노화(aging)시켰다. 최종 슬러리 농도와 점도를 각각 약26%와 1100 cP로 조정한 다음 moyno cavity pump를 사용 슬러리를 이송하여 노즐을 통해 분무건조 성형하였다. 성형된 흡수제 제립체는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예비건조와 소성하여 흡수제 D를 제조하였다. 단 최종 소성은 500℃에서 실시하였다.
(실시예 3)
건식 재생 고비표면적 흡수제 제조를 위해 상기 (실시예 2)와 유사한 조성을 사용하였다. 다만 활성성분으로 sodium bicarbonate(NaHCO3)를 사용하여 총 고체원료 15kg를 계량하여 흡수제를 제조하였다.
증류수 29ℓ에 nonionic dispersant(3M, FC 4430) 4 g와 defoamer(Sannopco Korea, NOPCO NXZ) 2 ml를 첨가하여 double helix mixer로 2분 동안 잘 교반하였다. 이 혼합액에 calcium silicate(Celite Korea, Microcel C) 5.25 kg, sodium bentonite 1.5 kg, p-boehmite 1.5 kg과 Molecular sieve 13X 3 kg를 순차적으로 서서히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mixture)을 교반하면서 sodium bicarbonate(NaHCO3) 4.5 kg를 서서히 첨가하였다. 모든 고체 원료를 물에 첨가한 후 약 10분 동안 혼합용액을 교반하였다(pH = 8.2 at 17℃).
이 혼합 슬러리를 peristaltic pump를 사용 high energy bead mill로 이송하여 고체원료를 1회 통과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1차 밀링한 슬러리를 15시간 이상 노화시킨 다음 2차 밀링하였다. 1차와 2차 밀링과정에서 물 약 7 ℓ를 추가로 첨가하였다.
2차 밀링한 슬러리에 PEG organic binder(Sannopco Korea, HS-BD-20A) 420 g, 물 3 ℓ , defoamer 1 ㎖를 추가하여 double helix mixer로 잘 교반한 다음 체로 걸러서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이 슬러리를 24시간 이상 노화시켰다. 슬러리에 음이온 분산제(Sannopco Dispersant SN-5468)와 소포제(Sannopco Korea HS-Defoamer 551) 2 ml를 첨가하여 슬러리 점도를 약 1200 cP로 조정하였다. 15시간 이상 노화(aging)시켰다. Moyno cavity pump(or eccentrical pump)로 슬러리를 이송하여 노즐을 통해 분무건조 성형하였다. 성형된 흡수제 제립체(green body)는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예비건조와 소성하여 흡수제 E를 제조하였다. 단 최종 소성은 500℃에서 실시하였다.
(표 2)에는 Molecular sieve 13X를 이용한 흡수제의 조성과 slurry 특성을 요약하여 놓았다.
(표 2)Molecular sieve 13X를 이용한 흡수제의 조성과 slurry 특성
Sorbents |
D
|
E
|
Na2CO3, wt% |
30 |
|
NaHCO3, wt% |
|
30 |
Molecular sieve 13X, wt% |
20 |
20 |
Calcium silicate, wt% |
35 |
35 |
Na bentonite, wt% |
5 |
5 |
P-boehmite, wt% |
10 |
10 |
Total solid, wt% |
100 |
100 |
Nonionic dispersant, wt% |
0.033 |
0.027 |
Anionic dispersant, wt% |
|
0.7 |
Defoamer, wt% |
0.02 |
0.04 |
Organic binder, wt% |
1.26 |
1.26 |
Slurry concentration, wt% |
26.3 |
25.7 |
Slurry pH |
10.9 |
8.9 |
Slurry viscosity, cP |
1120-1400 |
1100 |
(실시예 4)
(실시예 3)의 molecular sieve 13X support 대신 high surface area alumina(고 표면적 알루미나)를 사용하고 활성성분으로 소다회(soda ash or sodium carbonate)를 사용하여 총 고체원료 20 kg를 계량하여 흡수제를 제조하였다.
증류수 40ℓ에 nonionic dispersant (3M, FC 4430) 4 g과 anionic dispersant (Sannopco Korea, HS-DISPERSANT 6067M) 750 ㎖, 3종 defaomer(Sannopco Korea, NOPCO NXZ, HS-Defoamer 551, and SN-Defoamer 485) 각각 10 ㎖, 20 ㎖와 10 ㎖를 첨가하여 이중나선교반기(double helix mixer)로 약 5분 동안 잘 혼합하였다.
이 수용액에 sodium carbonate(Na2CO3) 6 kg를 첨가하여 이중나선 교반기로 잘 저어 완전히 녹였다. 이 혼합물에 alumina powder 9.6 kg, sodium bentonite 1 kg, pseudo-boehmite 2 kg, calcium silicate(Celite Korea, Microcel C) 1.4 kg를 순차적으로 서서히 첨가하면서, 동시에 이중나선 교반기로 혼합 슬러리를 잘 교반하였다. 모든 고체 원료를 물에 첨가한 후 약 10분 동안 혼합물을 교반하였다(pH = 10.74 at 23.5℃).
펠리스탤틱 펌프(peristaltic pump)로 이 혼합 슬러리를 고에너지 비드밀로 이송하여 고체원료를 1차 밀링하였다. 1차 밀링한 슬러리에 물 5 ℓ와 분산제 6067M 400 ㎖를 추가하여 슬러리의 유동성을 증가시킨 후 high energy bead mill로 2차 밀링을 하였다. 2차 밀링한 슬러리에 PEG organic binder(Sannopco Korea, HS-BD-20A) 560 g, 증류수 1 ℓ와 dispersant 6067M 100 ml를 추가하여 double helix mixer로 혼합한 다음 3차 밀링을 하였다. 3차 밀링한 슬러리를 45㎛ sieve을 사용하여 진공 체거름(vacuum sieving)하여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이 슬러리를 10시간 정도 노화시켰다. 이 슬러리의 농도는 약 29 wt%이며, pH = 10.56(26.5℃)이고, viscosity는 230,000 cP(spindle #4, 0.6 rpm)이었다. moyno cavity pump(or eccentrical pump)로 상기 슬러리를 분무건조기로 이송하여 노즐을 통해 분무건조 성형하였다. 슬러리 주입압력은 18~21 kg/cm2이었다. 성형된 흡수제 제립체는 (실시예 10과 유사하게 예비건조와 소성하여 흡수제 F를 제조하였다. 단 최종 소성은 500∼650℃사이온도에서 실시하였다.
(표 3)에는 alumina를 지지체로 이용한 흡수제 F의 조성과 slurry특성을 요약하여 놓았다.
Sorbents |
F
|
G
|
Na2CO3, wt% |
30 |
|
K2CO3, wt% |
|
35 |
Alumina, wt% |
48 |
43 |
Calcium silicate, wt% |
7 |
7 |
Na bentonite, wt% |
5 |
5 |
P-boehmite, wt% |
10 |
10 |
Total solid, wt% |
100 |
100 |
Nonionic dispersant, wt% |
0.02 |
0.02 |
Anionic dispersant, wt% |
4.14 |
4.31 |
Defoamer, wt% |
0.19 |
0.25 |
Organic binder, wt% |
1.26 |
1.26 |
Slurry concentration, wt% |
29 |
30 |
Slurry pH |
10.9 |
11.3 |
Slurry viscosity, cP |
260,000 |
63,000 |
(실시예 5)
(실시예 4)와 유사하나 활성성분으로 potassium carbonate를 사용하였다.
증류수 42ℓ에 비이온계 분산제(nonionic dispersant)(3M, FC 4430) 4 g과 음이온계 분산제(anionic dispersant) 6067M(Sannopco Korea, HS-DISPERSANT 6067M) 1100 ㎖, Defaomer NOPCO NXZ, HS-Defoamer 551, and SN-Defaomer 485 (Sannopco Korea)을 각각 10 ㎖, 21 ㎖, 10 ㎖를 첨가하여 이중나선교반기(double helix mixer)로 약 5분 동안 잘 혼합하였다.
이 수용액에 potassium carbonate(Na2CO3) 7 kg을 첨가하여 이중나선 교반기로 잘 저어 완전히 녹였다. 이 혼합물에 alumina powder 8.6 kg, sodium bentonite 1 kg, pseudo-boehmite 2 kg, calcium silicate(Celite Korea, Microcel C) 1.4 kg를 순차적으로 서서히 첨가하면서, 동시에 이중나선 교반기로 혼합 슬러리를 잘 교반하였다. 모든 고체 원료를 물에 첨가한 후 약 10분 동안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펠리스탤틱 펌프(peristaltic pump)로 이 혼합 슬러리를 고에너지 비드밀로 이송하여 고체원료를 1차 밀링하였다. 1차 밀링한 슬러리에 분산제 6067M 200 ㎖를 추가하여 슬러리의 유동성을 증가시킨 후 high energy bead mill로 2차 밀링하였다.
2차 밀링한 슬러리에 PEG organic binder(Sannopco Korea, HS-BD-20A) 560 g, 증류수 2 ℓ, dispersant 6067M 200 ml와 defaomer HS-Defoamer 551 10 ml를 추가하여 double helix mixer로 혼합한 다음 3차 밀링하였다. 3차 밀링한 슬러리를 sieve(53 ㎛)로 진공 체거름하고 다시 45 ㎛ sieve로 진공 체거름(vacuum sieving)하여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이 슬러리를 10시간 정도 노화시켰다. 이 슬러리의 농도는 약 29.64 wt%이며, pH = 11.31(21.2 ℃)이고, viscosity는 44000~82000 cP(spindle #4, 1.5 rpm)이었다.
Moyno cavity pump(or eccentrical pump)로 이 슬러리를 분무건조기로 이송하여 노즐을 통해 분무건조 성형하였다. 슬러리의 주입압력은 12~15 kg/cm2이었다. 성형된 흡수제 제립체는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예비건조와 소성하여 흡수제 G를 제조하였다. 단 최종 소성은 500∼650℃에서 실시하였다. (표 3)에는 alumina를 지지체로 이용한 흡수제 G의 조성과 slurry특성을 요약하여 놓았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5에서 분무건조 기술에 의해 제조된 흡수제 A~G의 물성을 다음과 같은 분석 방법에 따라 특성화하였다. 구체적으로, 흡수제의 형상은 SEM을, 충진 밀도는 탭(tap) 밀도계(ASTM D 4164-88)를, 입도 및 입도 분포는 입도 분석기(또는 체)를, 비표면적 및 기공 부피는 표준 BET를, 기공 부피 및 기공율은 Hg 기공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유동층에서 흡수제의 내마모도는 ASTM D 5757-95에 따라 변형된 3-홀 에어-젯 마모 시험기로 측정하였다. 마모 지수(AI)는 상기 ASTM 방법에 기재된 바대로 5시간에 걸쳐 10 slpm (분당 표준 부피)에서 결정하였다. 마모 지수는 5시간에 걸쳐 발생된 fine의 비율로 나타낸다. 비교 대상으로서 Akzo 및 Davison 유동 접촉 분해(fluidized catalytic cracking, FCC) 촉매의 AI는 동일 조건하에서 각각 22.5 및 18.4%이었다.
고속 유동층 반응기에서 30% 미만, 나아가 버블링 유동층 반응기에서 60 미만의 AI를 갖는 물질은 대기압 배가스에서도 충분히 사용 가능하고, 이 물질은 유동층 CO2 회수 공정에서도 사용 가능할 것이다. 마모 지수(AI)가 낮을수록 벌크 입 자의 내마모도가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1-5에서 제조된 흡수제 A~G의 화학적 반응성을 열중량 분석법(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및 시차 주사 열량계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두 가지 기능을 가진 동시 열 분석기(simultaneous thermal analyzer, Rheometric Scientific STA 1500)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흡수제 A~F의 흡수 반응을 50~70℃에서 수행하였고, 흡수제 G에 대해서는 70~100℃에서 수행하였다. 재생 반응은 흡수제 A~F에 대해서는 120℃ 미만에서, 흡수제 G에 대해서는 100~160℃에서 수행하였다. 흡수제 A~F에 대한 모의 배가스 조성은 CO2 14.4 vol%, O2 5.4 vol%, H2O 10 vol% (언급되지 않는 한), 및 잔량의 N2이었다.
흡수제 G는 또한 H2O가 5~7 vol% 인 것을 제외하고는 흡수제 A~F와 동일한 모의 배가스 하에서 시험하였다. 상기 시험을 위한 샘플의 사용량은 10 mg 정도이었다. 전체 유속은 60 ml/min (표준)이었다. 재생 가스는 60 std ml/분의 유속을 가진 순수한 N2 가스이었다.
(표 4)각 흡수제의 물리적 특성과 CO2 반응특성
Sorbents |
A
|
B
|
C
|
D
|
E
|
F
|
G
|
Na2CO3
|
NaHCO3
|
Shapea
|
ss |
ss |
ss |
ss |
ss |
ss |
ss |
|
|
APSb, ㎛ |
125 |
121 |
100 |
128 |
122 |
102 |
98 |
|
|
SDc, ㎛ |
42-303 |
42-303 |
38-196 |
38-355 |
53-303 |
42-231 |
42-231 |
|
|
Bulk density, g/ml |
0.46 |
0.56 |
1.0 |
0.57 |
0.5 |
0.9 |
1.1 |
|
|
BETd, m2/g |
5.4 |
3.8 |
6.8 |
36.6 |
39.7 |
76 |
51 |
|
|
Hg porosity, %, |
78 |
76 |
63 |
81 |
83 |
69 |
63 |
|
|
AIe, % |
80 |
66 |
14 |
85 |
62 |
4.8 |
0.08 |
|
|
TGA CO2 sorption capacityf, wt% |
5.8 |
4 |
0.4 |
8.8 |
9.8 |
9.3 |
8.73 |
3.2 |
15.9 |
Sorbent utilization, % |
28 |
32.4 |
5.2 |
71 |
89 |
74 |
78 |
7.8 |
61 |
Regenerabilityg, % |
NC |
NC |
NC |
NC |
NC |
NC |
NC |
NC |
NC |
(ass: 반구형, bAPS: 평균 입도, cSD: 입도 분포, dBET: 비표면적,
eAI: 마모 지수, 총 CO2 흡수능은 TG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g재생율: 120℃에서 측정된 흡수제 A~F에 대한 재생율 및 N2 기체를 이용 120~150℃에서 측정한 흡수제 G에 대한 재생율, NC: 거의 100%)
본 발명에서 제조한 흡수제 A∼G에 관한 물리적 특성과 반응 특성을 (표 4)에 요약하였다. 여기서 내마모도는 마모지수(attrition index, AI)를 의미하며, 작을수록 내마모성이 우수한 것이다. 여기서 이용률은 각 흡수제의 이론적 CO2 흡수능에 대한 측정한 CO2 흡수능의 백분율로 각 흡수제에 포함된 활성성분의 이용률에 대한 지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