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0167B1 - 쉐도우링과의 정렬에 사용되는 웨이퍼 타입의 정렬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쉐도우링과의 정렬에 사용되는 웨이퍼 타입의 정렬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0167B1
KR100620167B1 KR1020020086370A KR20020086370A KR100620167B1 KR 100620167 B1 KR100620167 B1 KR 100620167B1 KR 1020020086370 A KR1020020086370 A KR 1020020086370A KR 20020086370 A KR20020086370 A KR 20020086370A KR 100620167 B1 KR100620167 B1 KR 100620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ow ring
wafer
alignment
shadow
process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6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9865A (ko
Inventor
이수용
Original Assignee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6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0167B1/ko
Publication of KR20040059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9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쉐도우링과의 정렬에 사용되는 웨이퍼 타입의 정렬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CVD 장치의 공정챔버(1; 도 1에 도시) 내측에 고정되는 쉐도우링(3)과 웨이퍼(W; 도 1에 도시)를 정렬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에 있어서, 원판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동일한 중심을 가짐과 아울러 쉐도우링(3)의 내측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가지는 원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색채(13,14,15)를 가짐으로써 이들 색채(13,14,15)의 경계를 이루는 정렬기준부(11,12)가 형성되며, 쉐도우링(3)의 하측에서 정렬기준부(11,12)를 쉐도우링(3)의 내측면(3a)에 일치시킴으로써 웨이퍼(W; 도 1에 도시)를 대신하여 쉐도우링(3)과 정렬되는 것으로서, CVD 장치의 공정챔버내에서 웨이퍼가 쉐도우링과 정렬시 웨이퍼를 대신하여 쉐도우링과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웨이퍼와 쉐도우링간의 정렬을 위한 시간과 작업자의 노고를 감소시킴과 아울러 웨이퍼의 증착공정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쉐도우링과의 정렬에 사용되는 웨이퍼 타입의 정렬플레이트{CALIBRATION PLATE OF A WAFER TYPE FOR SETTING A SHADOW RING}
도 1은 종래의 CVD 장치의 공정챔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CMP 장치의 공정챔버에서 쉐도우링과 웨이퍼가 정렬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CMP 장치의 공정챔버에서 쉐도우링과 웨이퍼가 정렬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쉐도우링과의 정렬에 사용되는 웨이퍼 타입의 정렬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쉐도우링과의 정렬에 사용되는 웨이퍼 타입의 정렬플레이트를 쉐도우링과 정렬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쉐도우링 3a ; 내측면
10 ; 정렬플레이트 11,12 ; 정렬기준부
본 발명은 쉐도우링과의 정렬에 사용되는 웨이퍼 타입의 정렬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CVD 장치의 공정챔버내에서 웨이퍼가 쉐도우링과 정렬시 웨이퍼를 대신하여 쉐도우링과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정렬되도록 하는 쉐도우링과의 정렬에 사용되는 웨이퍼 타입의 정렬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에서 웨이퍼 표면에 분자기체를 반응시켜서 필요한 재질의 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이하 "CVD"라 한다) 공정이라 하며, CVD 공정에서 텅스텐(tungsten) 증착공정은 웨이퍼 가장자리에 텅스텐이 증착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CVD 장치의 공정챔버에서 웨이퍼 상측에 쉐도우링(shadow ring)이 설치된다.
종래의 CVD 장치의 공정챔버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CVD 장치의 공정챔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상태인 공정챔버(1)의 내부 하측에 히터(2)가 설치되고, 히터(2) 상측에 웨이퍼(W)가 위치하며, 웨이퍼(W)의 상측에는 쉐도우링(3)이 고정된다.
웨이퍼(W)는 미도시된 웨이퍼 이송아암에 의해 공정챔버(1) 내부로 로딩/언로딩되며, 웨이퍼(W)가 공정챔버(1)내에서 텅스텐 증착공정시 가장자리에 증착되지 않도록 그 중심이 미리 쉐도우링(3)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정렬시킨다.
웨이퍼(W)가 공정챔버(1)내에서 쉐도우링(3)과 정렬되면 정렬된 웨이퍼(W)를 기준으로 삼아 웨이퍼 이송아암(미도시)이 다른 웨이퍼(W)를 공정챔버(1) 내부로 로딩시 정렬 위치로 로딩되도록 웨이퍼 이송아암(미도시)을 셋팅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CMP 장치의 공정챔버는, 내측에 위치하는 웨이퍼(W)를 쉐도우링(3)과 정렬시 육안으로 이들을 정렬하거나 더미(dummy) 증착을 실시하여 웨이퍼(W)상에 나타난 증착된 상태를 육안을 통해 파악하여 이들을 정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 등으로 웨이퍼(W)를 쉐도우링(3)에 정렬시 정렬의 기준없이 단순히 육안으로 대략적으로 정렬하기 때문에 웨이퍼(W)와 쉐도우링(3)의 정확한 정렬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정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웨이퍼(W)를 쉐도우링(3)과 육안으로 정렬시 웨이퍼(W)가 쉐도우링(3)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어 웨이퍼(W)와 쉐도우링(3)이 제대로 정렬이 되었는지를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CVD 장치의 공정챔버내에서 웨이퍼가 쉐도우링과 정렬시 웨이퍼를 대신하여 쉐도우링과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웨이퍼와 쉐도우링간의 정렬을 위한 시간과 작업자의 노고를 감소시킴과 아울러 웨이퍼의 증착공정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쉐도우링과의 정렬에 사용되는 웨이퍼 타입의 정렬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CVD 장치의 공정챔버 내측에 고정되는 쉐도우링과 웨이퍼를 정렬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에 있어서, 원판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원판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가짐과 아울러 쉐도우링의 내측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가지는 원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색채를 가짐으로써 이들 색채의 경계를 이루는 정렬기준부가 형성되며, 쉐도우링의 하측에서 정렬기준부를 쉐도우링의 내측면에 일치시킴으로써 웨이퍼를 대신하여 쉐도우링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쉐도우링과의 정렬에 사용되는 웨이퍼 타입의 정렬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쉐도우링과의 정렬에 사용되는 웨이퍼 타입의 정렬플레이트를 쉐도우링과 정렬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쉐도우링과의 정렬에 사용되는 웨이퍼 타입의 정렬플레이트(10)는 CVD 장치의 공정챔버(1; 도 1에 도시) 내측에 고정되는 쉐도우링(3)과 웨이퍼(W; 도 1에 도시)를 정렬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원판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쉐도우링(3)의 내측면(3a)과 일치시키는 정렬기준부(11,12)가 형성된다.
정렬플레이트(10)는 웨이퍼(W)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인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정렬기준부(11,12)는 도 4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플레이트(10)의 일측면에 정렬플레이트(10)의 중심, 즉 원판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가짐과 아울러 쉐도우링(3)의 내측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가지는 원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색채(13,14,15)를 가짐으로써 이들 색채(13,14,15)의 경계를 이룬다.
한편, 정렬기준부(11,12)는 크기가 서로 다른 쉐도우링(3)의 내측면과 정렬되도록 복수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개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처럼 지름이 d1,d2인 두 개의 정렬기준부(11,12)가 형성된 정렬플레이트(10)는 내측 지름이 d1과 d2인 쉐도우링(3) 각각의 정렬에 모두 사용될뿐만 아니라 정렬플레이트(10)의 지름인 d3와 동일한 내측 지름을 가지는 쉐도우링(3)의 정렬에도 사용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쉐도우링과의 정렬에 사용되는 웨이퍼 타입의 정렬플레이트의 작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5a 및 도 5b는 쉐도우링(3)의 지름이 d2인 것을 예를 들었으며, 도 5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정렬플레이트(10)를 공정챔버(1; 도 1에 도시)내의 쉐도우링(3) 하측에서 전후 및 좌우로 이동시켜서 도 5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쉐도우링(3)의 지름과 동일한 d2의 지름을 가지는 정렬기준부(12)를 쉐도우링(3)의 내측면(3a)과 정렬시킨다.
정렬플레이트(10)의 정렬기분부(12)는 서로 다른 색채(14,15)에 의해 그 경계가 명확하므로 쉐도우링(3)의 내측면(3a)과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정렬플레이트(10)의 정렬기준부(12)가 공정챔버(1)내에서 쉐도우링(3)의 내 측면(3a)에 정렬되면 정렬된 정렬플레이트(10)를 기준으로 삼아 웨이퍼 이송아암(미도시)이 다른 웨이퍼(W)를 공정챔버(1) 내부로 로딩시 정렬 위치로 로딩되도록 웨이퍼 이송아암(미도시)을 셋팅한다.
그러므로, 정렬플레이트(10)에 정렬기준부(12)가 형성됨으로써 웨이퍼(W; 도 1에 도시)를 대신하여 쉐도우링(3)과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정렬시킬 수 있어 웨이퍼(W; 도 1에 도시)와 쉐도우링(3)간의 정렬을 위한 시간과 작업자의 노고를 감소시킨다.
또한, 정렬플레이트(10)에 서로 크기가 다른 쉐도우링(3)의 내측면과 일치하는 정렬기준부(11,12)를 복수로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쉐도우링(3)과의 정렬시 하나의 정렬플레이트(10)만으로도 정렬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쉐도우링과의 정렬에 사용되는 웨이퍼 타입의 정렬플레이트는 CVD 장치의 공정챔버내에서 웨이퍼가 쉐도우링과 정렬시 웨이퍼를 대신하여 쉐도우링과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웨이퍼와 쉐도우링간의 정렬을 위한 시간과 작업자의 노고를 감소시킴과 아울러 웨이퍼의 증착공정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쉐도우링과의 정렬에 사용되는 웨이퍼 타입의 정렬플레이트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2)

  1. CVD 장치의 공정챔버 내측에 고정되는 쉐도우링과 웨이퍼를 정렬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에 있어서,
    원판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상기 원판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쉐도우링의 내측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가지는 원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색채를 가짐으로써 이들 색채의 경계를 이루는 정렬기준부가 형성되며, 상기 쉐도우링의 하측에서 상기 정렬기준부를 상기 쉐도우링의 내측면에 일치시킴으로써 상기 웨이퍼를 대신하여 상기 쉐도우링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쉐도우링과의 정렬에 사용되는 웨이퍼 타입의 정렬플레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기준부는,
    크기가 서로 다른 쉐도우링의 내측면과 정렬되도록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쉐도우링과의 정렬에 사용되는 웨이퍼 타입의 정렬플레이트.
KR1020020086370A 2002-12-30 2002-12-30 쉐도우링과의 정렬에 사용되는 웨이퍼 타입의 정렬플레이트 KR100620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370A KR100620167B1 (ko) 2002-12-30 2002-12-30 쉐도우링과의 정렬에 사용되는 웨이퍼 타입의 정렬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370A KR100620167B1 (ko) 2002-12-30 2002-12-30 쉐도우링과의 정렬에 사용되는 웨이퍼 타입의 정렬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9865A KR20040059865A (ko) 2004-07-06
KR100620167B1 true KR100620167B1 (ko) 2006-09-01

Family

ID=37351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6370A KR100620167B1 (ko) 2002-12-30 2002-12-30 쉐도우링과의 정렬에 사용되는 웨이퍼 타입의 정렬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01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17209A (zh) * 2019-06-21 2020-12-22 上海微电子装备(集团)股份有限公司 硅片吸附装置及激光退火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9865A (ko) 2004-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9606B2 (ja) 基板処理装置及び基板支持方法
US20190109036A1 (en) Spring-Loaded Pins For Susceptor Assembly And Processing Methods Using Same
US20030013315A1 (en) Process chamber used in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capable of reducing contamination by particulates
US11443975B2 (en) Planar substrate edge contact with open volume equalization pathways and side containment
US1053551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backside passivation
US62582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a wafer spacing mask on a substrate support chuck
JPH088198A (ja) 気相成長装置用サセプター
KR100620167B1 (ko) 쉐도우링과의 정렬에 사용되는 웨이퍼 타입의 정렬플레이트
US7381276B2 (en) Susceptor pocket with beveled projection sidewall
US20020195058A1 (en) Apparatus for holding a wafer for use in a process chamber for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KR20080034725A (ko) 로드락 챔버 및 로드락 챔버에서의 웨이퍼의 로딩, 언로딩방법
KR100754007B1 (ko) 성막장치
WO2001031700A1 (fr) Porte-plaquette et dispositif de croissance epitaxiale
CN114026273B (zh) 外延生长装置及外延晶片的制造方法
US5843237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wafer loading stage with an annular slope
US20160133781A1 (en) Reusable substrate carrier
KR20010035982A (ko) 반도체 제조 설비용 서셉터 시스템
CN109755101B (zh) 成膜方法
KR20040008894A (ko) 멀티 챔버를 구비한 반도체 제조 장비
KR20060136250A (ko) 반도체소자 제조설비의 기판 이송장치
KR20170099520A (ko) 기판 트레이
KR20070000280A (ko) 반도체소자 제조설비의 기판 이송장치
KR200298459Y1 (ko) 챔버의 웨이퍼 오염 방지구조
KR19990084603A (ko) 반도체 제조장치의 웨이퍼 지지대
JPH10107117A (ja) 基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