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046B1 - 정착롤러 및 이를 적용한 정착장치 - Google Patents

정착롤러 및 이를 적용한 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046B1
KR100619046B1 KR1020040067088A KR20040067088A KR100619046B1 KR 100619046 B1 KR100619046 B1 KR 100619046B1 KR 1020040067088 A KR1020040067088 A KR 1020040067088A KR 20040067088 A KR20040067088 A KR 20040067088A KR 100619046 B1 KR100619046 B1 KR 100619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heating
magnetic flux
fixing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8616A (ko
Inventor
조덕현
한상용
권중기
김환겸
채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7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046B1/ko
Priority to US11/178,296 priority patent/US7369802B2/en
Priority to CNB2005100977366A priority patent/CN100555112C/zh
Publication of KR20060018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53Structural details of heat elements, e.g. structure of roller or belt, eddy current, induction hea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5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with special means for lubricating and/or cleaning the fixing unit, e.g. applying offset preventing flui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8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with means for handling the copy material in the fixing nip, e.g. introduction guides, stripp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4Tools, e.g. nozzles, rollers, calenders
    • H05B6/145Heated roll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정착롤러 및 이를 적용한 정착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정착롤러는 입력된 소정의 교류전류에 상응하여 변화하는 교번자속을 발생하는 유도코일부와, 교번자속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도전류에 의하여 발열되는 가열롤러부와, 상기 가열롤러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교번자속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가열롤러부의 소정부위에서 상쇄시키는 상쇄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정착롤러 및 이를 적용한 정착장치{Fusing roller and fu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할로겐램프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정착장치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Ⅰ-Ⅰ'를 따라 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착롤러가 적용된 정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착롤러의 전원공급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착장치에서 가열롤러부에 발생되는 유도전류가 상쇄부에 의하여 상쇄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착롤러에서 열을 발생하는 발열원으로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착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정착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정착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정착롤러 111...코팅층
112...가열롤러부 113...절연층
114...유도코일부 115...접착제
116...리드부 117...내부공간
120...엔드캡 121...동력전달용엔드캡
122...숨구멍 123...전극
130,230,330,430...상쇄부 131,231,331,431...보빈
132,232,332,432...코일 140...가압롤러
본 발명은 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폭 좁은 기록매체에 대응하여 발열부위를 조정하여 기록매체에만 열을 가할 수 있는 정착롤러를 구비하는 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프린터 및 디지털복사기 등과 같은 전자사진방식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일정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현상기를 이용하여 정전잠상을 소정 색상의 토너(toner)로 현상한 후 이를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단색화상 또는 칼라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사용되는 현상제에 따라 습식과 건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로 대별된다.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액상의 캐리어에 분말상의 토너가 분산된 현상제를 사용한다. 건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분말상의 캐리어와 토너가 혼합된 이성분 현상제 또는 캐리어가 없는 일성분 현상제를 사용한다. 이하에서는 건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관하여 설명하며, 편의상 현상제는 토너로 칭한다.
도 1은 종래의 할로겐램프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정착장치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Ⅰ-Ⅰ'를 따라 본 종단면도이다.
정착장치(10)는 그 양단이 각각 베어링(14)에 의하여 지지되어 서로 대향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접촉하도록 설치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원통형 정착롤러(11)(12)를 구비한다. 정착롤러(11)(12)의 표면에는 화상으로의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닙(NIP)을 형성하기 위할 뿐만 아니라 화상과의 이형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코팅층(13)이 형성되어 있다.
정착롤러(11)(12)의 내부에는 외부전원(미도시)에 연결되어 열을 발생하는 열원으로서 할로겐램프를 사용하는 발열부(1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발열부(15)와 정착롤러(11)(12)사이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공기로 채워져 있다.
외부전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된 전류가 발열부(15)의 양단에 인가되면 발열부(15)에서 복사에너지를 발생한다. 발생된 복사에너지는 공기를 통하여 정착롤러(11)(12)의 내벽에 전달되고, 흑체로 이루어진 광열변환층에서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전도에 의하여 정착롤러(11)(12)와 코팅층(13)을 거쳐 정착롤러(11)(12)의 접촉부인 닙(NIP)을 통과하는 기록매체(20)위의 화상(21)에 전달된다. 따라서, 화상(21)은 열에너지에 의하여 용융되어 기록매체(20)위에 융착된다.
위와 같이 할로겐램프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정착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할로겐램프는 열효율이 낮기 때문에, 인쇄작업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였을 때 상온으로부터 정착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당한 웜-업시간(Warm-up Time)이 필요하다. 사용자는 정착롤러의 온도가 정착목표온도까지 올라가 인쇄가능해 질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둘째, 할로겐램프와 정착롤러는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기가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할로겐램프로부터 발생된 열은 복사에 의하여 정착롤러를 가열하고, 전도에 의하여 정착롤러를 통과하기 때문에 열 전달속도가 느리며, 기록매체에 접촉되어 열이 기록매체에 전달되면서 화상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사이에 발생되는 온도편차의 보상이 늦으므로 인하여 온도산포의 조절이 어렵다.
셋째, 인쇄작업이 잠시 중단된 상태에서 다음 인쇄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발열부에 전류를 지속적인 공급하여 정착롤러를 일정온도로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많다.
넷째, 다양한 크기의 기록매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기록매체를 사용하여 인쇄하더라도 기록매체가 지나가지 않는 부분에도 열이 발생됨으로써 이 부분의 온도가 높게 올라감으로 인하여 부품의 열화 및 파괴유발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저항발열과 유도발열을 발열원으로 같이 사용함으로써 정착온도까지 빠른 시간에 도달하여 웜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록매체의 크기에 대응하여 발열부위를 조정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정착롤러는 입력된 소정의 교류전류에 상응하여 변화하는 교번자속을 발생하는 유도코일부와, 상기 교번자속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도전류에 의하여 발열되는 가열롤러부와, 상기 가열롤러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교번자속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상기 가열롤러부의 소정부위에서 상쇄시키는 상쇄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도코일부는 절연층으로 감싸여, 소정 교류전류에 의하여 변화하는 교번자속을 발생하며, 상기 가열롤러부의 내면에 접착제에 의하여 밀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열롤러부는 상기 유도가열부 자체의 저항발열에 의한 열과 상기 교번자속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도전류의 유도발열에 의한 열에 의하여 가열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쇄부는 상기 가열롤러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유도가열부의 양측의 소정부위와 대향되어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쇄부는 상기 가열롤러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유도가열부의 일측의 소정부위와 대향되어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쇄부는 상기 가열롤러부와 같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고주파 교류전류를 생성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기록매체에 화상을 융착시키기 위한 열을 발생하는 정착롤러와, 상기 정착롤러에 대향되어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정착롤러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구비하는 정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착롤러는 입력된 소정의 교류전류에 상응하여 변화하는 교번자속을 발생하는 유도코일부와, 상기 교번자속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도전류에 의하여 발열되는 가열롤러부와, 상기 가열롤러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교번자속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상기 가열롤러부의 소정부위에서 상쇄시키는 상쇄부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착롤러가 적용된 정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착롤러의 전원공급부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착장치에서 가열롤러부에 발생되는 유도전류가 상쇄부에 의하여 상쇄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 른 정착롤러에서 열을 발생하는 발열원으로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정착장치(100)는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융착시키는 열을 발생하는 정착롤러(110)와 상기 정착롤러(110)에 대향되어 길이방향으로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접촉부(NIP)를 통과하는 기록매체를 상기 정착롤러(110)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140)를 구비한다.
상기 가압롤러(140)는 관상의 몸체(141)가 축(14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41)의 외주면에는 토너화상과의 이형성이 좋게 하기 위하여 코팅층(142)이 형성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가압롤러 대신에 정착롤러을 사용하여 가압과 동시에 열을 발생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정착롤러(110)는 가열롤러부(112), 유도코일부(114), 상쇄부(130) 및 전원공급부(1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열롤러부(112)는 속이 빈 관상으로 저항체로 이루어져 있다. 그 표면에는 테프론(Teflon)등으로 코팅되어 토너화상과의 이형성을 좋게 하는 코팅층(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열롤러부(112)는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는 성질을 가지며 또한 소정의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는 도체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철 합금, 구리 합금, 알루미늄 합금, 니켈 합금, 크롬 합금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도코일부(114)는 상기 가열롤러부(112)의 내측면에 나선형으로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부(150)로부터 입력된 전류에 상응하여 변화하는 교번자속(alternating magnetic flux)을 발생한다. 상기 유도코일부(114)는 구리재 질의 리번(ribbon)코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도코일부(114)는 절연층(113)으로 감싸여 있으며, 내열성 접착제(115)를 이용하여 상기 가열롤러부(112)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있다.
상기 절연층(113)은 상기 유도코일부(114)에 교류전류 입력 시 절연파괴가 일어나지 않으며 누설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절연시킨다. 상기 절연층(113)은 소정의 내전압 특성과 내절연 파괴특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내전압 특성은 소정 외부전원이 걸려도 이를 견뎌낼 수 있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고, 내절연 파괴특성은 최대 내전압 하에서 1분 동안 누설전류가 10㎃이상이 발생하지 않고 절연파괴가 되지 않는 특성을 나타낸다. 상기 절연층(113)은 마이카(mica), 폴리이미드(polyimide), 세라믹(ceramic), 실리콘(silicon),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유리(glass), PTFE(polytetrafluoruethylene)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유도코일부(114)의 양단은 상기 전원공급부(150)와 도통하기 위하여 리이드부(115)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유도코일부(114)에 소정 교류전류가 입력되면, 상기 유도코일부(114)에서는 교번자속이 발생되며, 상기 교번자속은 상기 가열롤러부(112)에 소정의 유도전류(eddy current)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가열롤러부(112)는 자체고유저항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유도전류에 상응하여 저항발열한다.
상기 상쇄부(130)는 상기 가열롤러부(112)의 내측에 상기 유도가열부(114)의 양측의 소정부위에 각각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된 교류전류에 상응하여 유도전류를 발생하여 상기 유도코일부(114)에 의하여 상기 가열롤러부(112)에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상쇄시킨다. 따라서, 상기 상쇄부(130)와 대면하고 있고 있는 상기 가열롤러부(112)는 유도전류가 발생되지 않아 저항발열되지 않는다.
상기 상쇄부(130)는 원통형의 보빈(131)의 외주면에 코일(132)을 나선형으로 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쇄부(130)는 상기 가열롤러부(112)와 같이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상쇄부(130)가 외부전원에 연결되는 구성은 도식하지 않았다.
위와 같이 상기 상쇄부(130)를 설치하는 이유는 봉투와 같이 크기가 작은 기록매체(미도시)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 기록매체(미도시)가 지나가는 부분만을 가열하는 경우에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상기 정착롤러(1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가열롤러부(112)의 양단에는 각각 엔드캡(120)과 동력전달용 엔드캡(12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 엔드캡(121)은 상기 엔드캡(120)과 구성은 유사하며 다만 전동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상기 정착롤러(11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기어 등 동력전달수단(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엔드캡(120)에는 숨구멍(air vent, 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숨구멍(122)은 상기 엔드캡(120)이 상기 가열롤러부(112)에 설치된 후 상기 가열롤러부(112)의 내부공간(117)과 외부를 공기가 통하도록 하여 상기 내부공간(117)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유도코일부(114)로부터 전달된 열에 의하여 상기 가열롤러부(112)가 가열되더라도 상기 내부공간(117)은 상기 숨구멍(122)을 통하여 외부공기 가 통하므로 대기압이 유지된다. 상기 숨구멍(122)은 상기 동력전달 엔드캡(121)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숨구멍(122)은 상기 엔드캡(120)과 동력전달 엔드캡(121)에 모두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엔드캡(120)과 동력전달 엔드캡(121)에는 전극(123)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전극(123)은 상기 리드부(1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외부전원으로부터 입력된 전류는 상기 전원공급장치(150)→ 전극(123)→ 리드부(115)를 거쳐 상기 유도코일부(114)에 공급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151), 라인 필터부(152), 정류부(153), 고주파 전류 생성부(154)를 구비한다.
상기 전원부(151)는 소정 크기와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전류를 제공한다.
상기 라인 필터부(152)는 인덕터(L)와 커패시터(C)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원부()로부터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교류 전류에서 포함되어 있는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다. 즉, 상기 전원부(151)에서 제공되는 교류전류를 스무딩(smoothing)한다.
상기 정류부(153)는 상기 라인 필터부(152)에서 제공된 교류 전류를 정류하여 직류 성분의 전류를 생성한다. 상기 정류부(153)는 4개의 다이오드(D1, D2, D3, D4)로 구성된 브리지 정류기이며, 4개의 다이오드 극성에 따라 교류 전류를 직류 성분의 전류로 정류한다.
상기 고주파 전류 생성부(154)는 상기 정류부(153)에서 제공된 직류 성분의 전류를 입력받아 고주파의 교류 전류를 생성한다. 상기 고주파 전류 생성부(154)는 2개의 커패시터(C2, C3)와 2개의 스위치(SW1, SW2)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위치 의 개폐에 의해 상기 정류부(153)에서 정류된 직류 전류를 고주파의 교류 전류로 변환시켜 준다. 상기 고주파 전류생성부(154)대신에 저주파 전류생성부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150)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이며, 다양한 변형예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착롤러에서 열이 발생하거나 상쇄부에 의하여 열이 상쇄되는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력공급부(150)로부터 상기 유도코일부(114)에 교류전류가 입력되면, 상기 유도코일부(114)는 그 주변에 실선으로 도시된 교번자속(A)을 발생한다. 상기 유도코일부(114)에서 발생한 상기 교번자속(A)은 상기 가열롤러부(112)를 쇄교하며, 상기 가열롤러부(112)를 쇄교하는 상기 교번자속(A)의 변화에 의해 상기 가열롤러부(112)에서는 실선으로 도시된 서로 다른 방향의 유도전류(B)(C)가 발생한다.
이때, 상기 가열롤러부(112)는 자체 고유저항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유도전류(B)(C)는 상기 가열롤러부(112)에 줄열(Jule heat, 이하 유도줄열이라 한다, G)을 발생한다. 상기 유도줄열(G)은 상기 가열롤러부(112)에 의하여 전도되어 상기 보호층(111)을 거쳐 토너화상에 전달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유도코일부(112)도 자체 저항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입력되는 교류전류에 의하여 저항발열되어 줄열(이하 저항줄열이라 한다, H)을 발생한다. 상기 저항줄열(H)은 상기 절열층(113)→접착제(115)→유도코일부(112)→보호층(111)을 거쳐 토너화상(미도시)에 전달된다.
그러므로, 상기 유도코일부(114)에 교류전류가 입력되면, 상기 유도코일부(114)자체에서 발생되는 저항줄열(H)과 상기 유도코일부(112)의 주위에 발생되는 상기 교번자속(A)에 의하여 상기 가열롤러부(112)에 발생되는 상기 유도전류(B)(C)에 의한 유도줄열(G)에 의하여 기록매체(미도시)에 전사된 토너화상(미도시)이 융착된다.
한편, 상기 상쇄부(130)에 상기 유도코일부(114)에 입력되는 전류와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를 입력하면, 도 5에 점선으로 도시된 방향이 반대인 교번자속(D)이 발생되며, 상기 교번자속(D)에 의하여 상기 가열롤러부(112)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도전류(E)(F)가 발생된다. 상기 유도전류(E)(F)는 상기 유도코일부(114)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유도전류(B)(C)와는 서로 다른 방향이다. 따라서, 상기 유도전류(B)와 유도전류(E), 유도전류(C)와 유도전류(F)는 서로 상쇄되어, 상기 상쇄부(130)에 대향하고 있는 상기 가열롤러부(112)에는 유도줄열(G)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롤러부(112)가 상기 상쇄부(130)와 대향하고 있는 부분(L1)(L3)은 상기 저항줄열(H)은 발생하지만 상기 유도줄열(G)은 발생되지 않으므로, 상기 가열롤러부(112)가 상기 상쇄부(130)와 대향하고 있지 않은 부분(L2)보다 상기 유도줄열(G)에 해당하는 만큼 열이 발생되지 않아 낮은 온도상태가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착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착롤러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착롤러와 그 구성이 유사하며, 단지 상쇄부(130)가 가열롤러부(112)의 내측에 상기 유도가열부(114)의 일측 소정부위에만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롤러부(112)는 상기 상쇄부(130)와 대향하고 있는 부분은 유도줄열(G)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상쇄부(130)와 대향하고 있는 부분보다는 온도가 낮은 상태를 유지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정착롤러가 적용된 정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정착롤러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착롤러와 그 구성이 유사하며, 단지 상쇄부(130)가 가열롤러부(112)의 외측에 상기 유도가열부(114)의 양측의 소정부위에 각각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롤러부(112)는 상기 상쇄부(130)와 대향하고 있는 부분은 유도줄열(G)이 발생하기 않기 때문에 상기 상쇄부(130)와 대향하고 있는 부분보다는 온도가 낮은 상태를 유지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정착롤러가 적용된 정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정착롤러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착롤러와 그 구성이 유사하며, 단지 상쇄부(430)가 가열롤러부(112)의 외측에 일측 소정부위에만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롤러부(112)는 상기 상쇄부(430)와 대향하고 있는 부분은 유도줄열이 발생하기 않기 때문에 상기 상쇄부(430)와 대향하고 있는 부분보다는 온도가 낮은 상태를 유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착롤러 및 이를 적용한 정착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정착롤러의 내부에 상쇄부를 설치하여 폭이 좁은 기록매체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에는 유도전류를 상쇄함으로써 과다한 온도상승을 방지할 수 있으며,
둘째, 유도코일부를 절연성이 높은 재료을 이용하고, 고온용 접착제를 이용하여 가열롤러부의 내측에 밀착시킴으로써 열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셋째, 유도코일부에 의한 저항발열과 유도발열을 함께 이용하여 가열롤러부를 가열함으로써 정착목표온도까지의 웜-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입력된 소정의 교류전류에 상응하여 변화하는 교번자속을 발생하는 유도코일부와;
    상기 교번자속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도전류에 의하여 발열되는 가열롤러부와;
    상기 가열롤러부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교번자속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상기 가열롤러부의 소정부위에서 상쇄시키는 상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롤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코일부는
    절연층으로 감싸여, 소정 교류전류에 의하여 변화하는 교번자속을 발생하며, 상기 가열롤러부의 내면에 접착제에 의하여 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롤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롤러부는
    상기 유도가열부 자체의 저항발열에 의한 열과 상기 교번자속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도전류의 유도발열에 의한 열에 의하여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롤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쇄부는
    상기 유도가열부의 양측의 소정부위와 대향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롤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쇄부는
    상기 유도가열부의 일측의 소정부위와 대향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롤러.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쇄부는
    상기 가열롤러부와 같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롤러.
  10. 제 1항에 있어서,
    소정 고주파 교류전류를 생성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롤러.
  11. 기록매체에 화상을 융착시키기 위한 열을 발생하는 정착롤러와, 상기 정착롤러에 대향되어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정착롤러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구비하는 정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착롤러는
    입력된 소정의 교류전류에 상응하여 변화하는 교번자속을 발생하는 유도코일부와,
    상기 교번자속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도전류에 의하여 발열되는 가열롤러부와,
    상기 가열롤러부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교번자속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상기 가열롤러부의 소정부위에서 상쇄시키는 상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코일부는
    절연층으로 감싸여, 소정 교류전류에 의하여 변화하는 교번자속을 발생하며, 상기 가열롤러부의 내면에 접착제에 의하여 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롤러부는
    상기 유도가열부 자체의 저항발열에 의한 열과 상기 교번자속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도전류의 유도발열에 의한 열에 의하여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쇄부는
    상기 유도가열부의 양측의 소정부위와 대향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쇄부는
    상기 유도가열부의 일측의 소정부위와 대향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19. 제 17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상쇄부는
    상기 가열롤러부와 같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20. 제 11항에 있어서,
    소정 고주파 교류전류를 생성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KR1020040067088A 2004-08-25 2004-08-25 정착롤러 및 이를 적용한 정착장치 KR100619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088A KR100619046B1 (ko) 2004-08-25 2004-08-25 정착롤러 및 이를 적용한 정착장치
US11/178,296 US7369802B2 (en) 2004-08-25 2005-07-12 Fusing roller with adjustable heating area and fu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B2005100977366A CN100555112C (zh) 2004-08-25 2005-08-24 定影辊及使用该定影辊的定影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088A KR100619046B1 (ko) 2004-08-25 2004-08-25 정착롤러 및 이를 적용한 정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616A KR20060018616A (ko) 2006-03-02
KR100619046B1 true KR100619046B1 (ko) 2006-08-31

Family

ID=36093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088A KR100619046B1 (ko) 2004-08-25 2004-08-25 정착롤러 및 이를 적용한 정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369802B2 (ko)
KR (1) KR100619046B1 (ko)
CN (1) CN100555112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729B1 (ko) * 2011-07-04 2013-09-27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유도 가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5038534A1 (ja) * 2003-10-21 2007-11-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定着装置
US8213849B2 (en) 2009-07-20 2012-07-03 Xerox Corporation Inductively heated carbon nanotube fuser
JP2013148616A (ja) * 2012-01-17 2013-08-01 Fuji Xerox Co Ltd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362491B2 (ja) * 2014-09-17 2018-07-25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JP6667694B2 (ja) * 2019-03-01 2020-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JP6667695B2 (ja) * 2019-03-01 2020-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2576A (en) 1981-06-08 1982-12-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eat fixing device
US6246843B1 (en) 1999-04-27 2001-06-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heating apparatus
JP2004206920A (ja) 2002-12-24 2004-07-22 Canon Inc 加熱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729B1 (ko) * 2011-07-04 2013-09-27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유도 가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45587A1 (en) 2006-03-02
US7369802B2 (en) 2008-05-06
CN100555112C (zh) 2009-10-28
CN1740924A (zh) 2006-03-01
KR20060018616A (ko) 200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12968B2 (ja) 像加熱装置
KR100476975B1 (ko) 화상형성기기의 정착롤러
US7369802B2 (en) Fusing roller with adjustable heating area and fu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6292647B1 (en) Heating mechanism for use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2056960A (ja) 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376228B2 (ja) 画像加熱定着装置
KR100565078B1 (ko) 정착롤러 및 이를 적용한 정착장치
US7349661B2 (en) Fusing roller and fu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619047B1 (ko) 정착롤러 및 이를 적용한 정착장치
US7340207B2 (en) Fusing roller and fus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KR100538246B1 (ko)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
KR20060018617A (ko) 정착롤러
JP2000223252A (ja) 加熱装置
JP4355392B2 (ja) 定着装置
JP2002123113A (ja) 定着装置及びこの定着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3342246B2 (ja) 像加熱装置
JP2006018290A (ja) 定着器,定着装置および定着器加熱方法
KR100560716B1 (ko)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
JPH11190953A (ja) 像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1258932A (ja) 加熱装置、像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266880A (ja) 電源装置
JP2018092037A (ja) 画像形成装置
KR20060018157A (ko) 화상형성기기에서의 정착장치
KR20060017707A (ko) 토너를 인쇄 용지에 정착시키기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