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8771B1 - 진동식 단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진동식 단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8771B1
KR100618771B1 KR1020040049603A KR20040049603A KR100618771B1 KR 100618771 B1 KR100618771 B1 KR 100618771B1 KR 1020040049603 A KR1020040049603 A KR 1020040049603A KR 20040049603 A KR20040049603 A KR 20040049603A KR 100618771 B1 KR100618771 B1 KR 100618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menu
vibrating
shortcut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0669A (ko
Inventor
민승재
이락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49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8771B1/ko
Publication of KR20060000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0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9Automatic dialling or redialling systems, e.g. on off-hook or redial on bus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진동식 단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진동 센서에 의해 계수되는 진동 횟수에 따라, 진동식 단축번호에 맵핑되어 기 등록된 전화번호로 호(call) 연결을 시도함으로써, 손쉽게 특정인에게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진동식 단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진동식 단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출력수단; 사용자로부터 전화번호 입력 데이터 및 진동식 단축번호 입력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 조건이 충족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 프로그램, 진동식 단축번호와 전화번호가 맵핑된 전화번호부, 및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 조건이 충족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 프로그램, 진동식 단축번호와 메뉴가 맵핑된 진동식 단축 메뉴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 감지되는 진동의 횟수를 계수하여 계수값을 산출하기 위한 감지수단; 및 상기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 프로그램 및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상기 입력수단을 통한 입력에 따라 일 전화번호와 일 진동식 단축번호를 맵핑시켜 상기 전화번호부에 저장하거나 일 메뉴에 일 진동식 단축번호를 맵핑시켜 상기 진동식 단축 메뉴 테이블에 저장하며, 상기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 조건이 충족됨에 따라 상기 감지수단을 활성화시켜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일 계수값을 전달받아 상기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여 해당 계수값(진동식 단축번호)에 맵핑되는 전화번호로 호(call) 연결을 시도하거나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 조건이 충족됨에 따라 상기 감지수단을 활성화시켜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일 계수값을 전달받아 상기 진동식 단축 메뉴 테이블을 검색하여 해당 계수값(진동식 단축번호)에 맵핑되는 메뉴를 활성화(실행)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 등에 이용됨.
무선통신 단말기, 진동 센서, 단축번호, 진동식 단축번호

Description

진동식 단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shortening function by shaking}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단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진동식 단축번호 등록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진동식 단축 기능 실행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무선송수신부 12 : 저장부
13 : 감지부 14 : 입력부(키패드)
15 : 표시부(LCD) 16 : 연산/제어부
17 : 코덱(CODEC) 18 : 음성출력부(스피커)
19 : 음성입력부(마이크)
본 발명은 진동식 단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진동 센서에 의해 계수되는 진동 횟수에 따라, 진동식 단축번호에 맵핑되어 기 등록된 전화번호로 호(call) 연결을 시도함으로써, 손쉽게 특정인에게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진동식 단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진동 센서에 의해 계수되는 진동 횟수에 따라, 진동식 단축번호에 맵핑되어 기 설정된 메뉴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사용자 대기 시간을 단축시키고 손쉽게 특정 메뉴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진동식 단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특정조건이 충족된 상태에서 무선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진동 센서에 의해 계수되는 진동 횟수에 따라, 진동식 단축번호에 맵핑되어 기 등록된 전화번호로 호(call) 연결을 시도함으로써, 손쉽게 특정인에게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고, 제2 특정조건이 충족된 상태에서 무선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진동 센서에 의해 계수되는 진동 횟수에 따라, 진동식 단축번호에 맵핑되어 기 설정된 메뉴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사용자 대기 시간을 단축시키고 손쉽게 특정 메뉴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진동식 단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란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휴대통신 단말기(PCS), 개인용디지털 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이동통신 단말기(IMT-2000),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말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진동 센서란 외부로부터 감지되는 진동(shaking)에 따라 진동 횟수를 계수(count)하여 그 계수값을 산출하기 위한 센서를 말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진동 센서를 내장한 무선통신 단말기를 5 차례 흔들 경우에(즉, 외부로부터 감지되는 진동이 5 차례인 경우에) 진동 센서는 그 계수값으로 5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진동식 단축번호"란 "1, 2, 3..." 등과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 전화번호의 인덱스로 사용될 수 있는 번호(숫자)를 말한다. 아울러, 상기 "진동식 단축번호"란 각 전화번호의 인덱스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메뉴의 기능키 또는 단축키로도 사용될 수 있는 번호(숫자)를 말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전화번호부에서의 "종래 단축번호"란 "000, 001, 002,...,100,..." 등과 같이 각 전화번호를 전화번호부에 등록 및 저장시킬 때 자동 부여되는 인덱스(주로, 3 자리의 숫자로 이루어짐)를 말하는 것임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 "진동식 단축번호"란 필수 사항이 아닌 사용자의 선택 사항으로서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감지가능한 각 진동 횟수(즉, 진동 횟수에 따른 계수값)에 진동식 단축번호를 일 대 일로 대응시키고(예를 들면, 1 차례의 진동 횟수엔 진동식 단축번호 1을, 2 차례의 진동 횟수엔 진동식 단축번호 2를 대응시킬 수 있음), 상기 진동식 단축번호와 사용자가 선택 또는 입력한 각 전화번호를 일 대 일 맵핑시킴으로써, 임의의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에 그 진동 횟수(즉, 계수값)가 특정 전화번호를 가리킬 수 있도록 하는 인덱스를 말한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식 단축번호 "5"가 전화번호 "012-345-6789"에 맵핑되도록 기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진동 센서를 내장한 무선통신 단말기를 5 차례 흔듦에 따라 진동 횟수에 따른 계수값은 5가 되고, 이 계수값 5는 진동식 단축번호 "5"에 대응되며, 상기 진동식 단축번호 "5"는 상기 전화번호 "012-345-6789"를 가리키도록 기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진동식 단축번호 "5"는 상기 전화번호 "012-345-6789"의 인덱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식 단축번호"는 사용자 대기 시간이 긴 무선 인터넷 또는 여러 차례의 키 입력을 거쳐야 실행시킬 수 있는 벨소리 메뉴 등과 같이, 메뉴가 실행되기까지 긴 시간이 소요되거나 또는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하는 메뉴의 기능키 또는 단축키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이란 상기 진동식 단축번호를 이용한 호(call) 연결 시도를 말하며,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 프로그램이란 제1 특정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진동 센서를 구동하고, 상기 진동 센서로부터 계수값(진동식 단축번호)을 전달받음에 따라 상기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란 상기 진동식 단축번호를 이용 한 메뉴의 활성화(메뉴 실행)를 말하고,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 프로그램이란 제2 특정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진동 센서를 구동하고, 상기 진동 센서로부터 계수값(진동식 단축번호)을 전달받음에 따라 상기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말한다.
오늘날, 무선통신 단말기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기술들이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폴더의 개폐없이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외부 LCD, 간편하게 각종 메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키 및 센서들, 여러 기능의 수행을 위해 다방면으로 사용되는 측면키(사이드키)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주로 단축키로서의 기능을 갖는 각종 단축번호의 경우 전화발신시 또는 메뉴 실행시에 요구되는 키 입력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발전하여 왔다.
전화발신시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무선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9 ~ 11 자리수로 구성되는 전화번호(예를 들면, 02-2253-9829는 10 자리수임)를 일일이 키 입력하지 않고도 주로 3 자리수의 숫자로 이루어진 단축번호를 입력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음성통화를 시도할 수 있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단축번호 방식에서는, 단축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전화번호로 호(call) 연결을 시도하기 위해서 단말기의 닫혀진 폴더를 열고 단축번호를 순서대로 하나씩 키 입력해야 한다.
이는 자유롭게 신체를 사용할 수 있는 사람에게는 간단한 동작이지만, 손이 나 몸이 불편한 환자, 장애인에게는 닫혀진 폴더를 열어서 조그만 버튼을 일일이 누르는 것이 힘겨운 동작일 수 있다.
또한, 바쁜 현대인들의 경우 길을 가는 중 또는 한 손을 사용하는 중 또는 업무에 매진하는 중에 필요에 따라 음성통화를 시도하거나 특정 메뉴를 실행시키려 할 수 있는데, 이 때 폴더를 열고 키를 입력하는 것이 동작 자체는 간단하지만 의외로 신경을 많이 빼앗는 동작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이 사용자 대기 시간이 길거나 또는 벨소리 변경, 스케쥴 확인 등과 같이 자주 사용하는 메뉴이지만 여러 차례의 키 입력을 거쳐 실행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원하는 메뉴를 실행시키기까지 폴더를 열어 놓은 상태로 긴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폴더를 열지 않고도 보다 간단하게 음성통화 또는 특정 메뉴의 실행을 시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무선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진동 센서에 의해 계수되는 진동 횟수에 따라, 진동식 단축번호에 맵핑되어 기 등록된 전화번호로 호(call) 연결을 시도함으로써, 손쉽게 특정인에게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진동식 단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진동 센서에 의해 계수되는 진 동 횟수에 따라, 진동식 단축번호에 맵핑되어 기 설정된 메뉴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사용자 대기 시간을 단축시키고 손쉽게 특정 메뉴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진동식 단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특정조건이 충족된 상태에서 무선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진동 센서에 의해 계수되는 진동 횟수에 따라, 진동식 단축번호에 맵핑되어 기 등록된 전화번호로 호(call) 연결을 시도함으로써, 손쉽게 특정인에게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고, 제2 특정조건이 충족된 상태에서 무선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진동 센서에 의해 계수되는 진동 횟수에 따라, 진동식 단축번호에 맵핑되어 기 설정된 메뉴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사용자 대기 시간을 단축시키고 손쉽게 특정 메뉴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진동식 단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진동식 단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출력수단; 사용자로부터 전화번호 입력 데이터 및 진동식 단축번호 입력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 조건이 충족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 프로그램, 진동식 단축번호와 전화번호가 맵핑된 전화번호부, 및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 조건이 충족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 프로그램, 진동식 단축번호와 메뉴가 맵핑된 진동식 단축 메뉴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 감지되는 진동의 횟수를 계수하여 계수값을 산출하기 위한 감지수단; 및 상기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 프로그램 및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상기 입력수단을 통한 입력에 따라 일 전화번호와 일 진동식 단축번호를 맵핑시켜 상기 전화번호부에 저장하거나 일 메뉴에 일 진동식 단축번호를 맵핑시켜 상기 진동식 단축 메뉴 테이블에 저장하며, 상기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 조건이 충족됨에 따라 상기 감지수단을 활성화시켜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일 계수값을 전달받아 상기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여 해당 계수값(진동식 단축번호)에 맵핑되는 전화번호로 호(call) 연결을 시도하거나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 조건이 충족됨에 따라 상기 감지수단을 활성화시켜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일 계수값을 전달받아 상기 진동식 단축 메뉴 테이블을 검색하여 해당 계수값(진동식 단축번호)에 맵핑되는 메뉴를 활성화(실행)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진동식 단축 기능 실행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일 전화번호에 일 진동식 단축번호를 맵핑시켜 전화번호부에 저장하거나 일 메뉴에 일 진동식 단축번호를 맵핑시켜 진동식 단축 메뉴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 조건 또는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 조건이 충족됨에 따라 감지수단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진동 횟수를 계수한 제1 계수값(제1 진동식 단축번호) 및 제2 계수값(제2 진동식 단축번호)을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계수값을 이용하여 상기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여 상기 제1 진동식 단축번호에 맵핑되는 전화번호로 호(call) 연결을 시도하거나 상기 제2 계수값을 이용하여 상기 진동식 단축 메뉴 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제2 진동식 단축번호에 맵핑되는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 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단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단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부(11),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제1 특정조건(진동식 단축 다이얼링 조건)이 충족되는지의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 프로그램, 진동식 단축번호와 전화번호가 맵핑된 전화번호부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2), 외부로부터의 진동에 따라(즉, 사용자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진동시킴(흔듦)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진동 횟수를 계수하여 그 계수값을 산출하기 위한 감지부(13), 사용자로부터 전화번호부 등록을 원하는 전화번호 또는 상기 전화번호부에 기 저장된 전화번호 선택신호,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을 위한 제1 특정키(제1 측면키를 포함함) 등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키패드)(14), 진동식 단축번호 및 해당 전화번호 그리고 호(call) 연결 상태정보 및 결과정보 등을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LCD)(15),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및 상기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 전화번호에 일 진동식 단축번호를 맵핑시켜 상기 전화번호부에 저장하며, 제1 특정조건이 충족된 상태에서 감지된 진동 횟수에 따른 계수값을 감지부(13)로부터 전달받음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여 상기 계수값(진동식 단축번호)에 맵핑되는 전화번호로 호(call) 연결을 시도하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연산/제어부(16), 연산/제어부(16)의 제어에 따라 무선송수신부(11)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음성출력부(스피커)(18)로 출력하고, 음성입력부(마이크)(19)로부터 입력받은 음성을 신호로 변환하여 연산/제어부(16)로 전달하여 무선송수신부(11)를 통하여 송출되도록 하기 위한 코덱(CODEC)(17), 코덱(CODEC)(17)으로부터 전달받은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스피커)(18), 음성을 입력받아 코덱(CODEC)(17)으로 전달하기 위한 음성입력부(마이크)(19)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입력부(키패드)(14)는 사용자로부터 메뉴에 맵핑시키길 원하는 번호(숫자) 또는 그에 상응하는 특정번호 선택신호,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를 위한 제2 특정키(제2 측면키를 포함함)를 입력받는 기능을 더 수행하고, 저장부(12)는 제2 특정조건(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 조건)이 충족되는지의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 프로그램, 진동식 단축번호와 메뉴가 맵핑된 진동식 단축 메뉴 테이블을 저장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며, 상기 연산/제어부(10)는 상기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 메뉴에 일 진동식 단축번호를 맵핑시켜 상기 진동식 단축 메뉴 테이블에 저장하며, 제2 특정조건이 충족된 상태에서 감지된 진동 횟수에 따른 계수값을 상기 감지부(13)로부터 전달받음에 따라 상기 진동식 단축 메뉴 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계수값(진동식 단축번호)에 맵핑되는 메뉴를 실행(즉, 활성화)시키는 기능을 더 수행한다. 물론, 이러한 진동식 단축 기능을 이용한 특정 메뉴 실행 기능을 단독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연산/제어부(16)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화발신 기능을,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를 통해 사용자에게 특정 메뉴 실행 기능을 각각 또는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에는 연산/제어부(16)의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동작 프로그램이나 시스템 프로그램은 통상의 롬(ROM) 영역에 저장되고 필요에 의해 소거가 가능하다.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롬으로는 이이피롬(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이 있다. 그리고, 저장부(12)는 여러 동작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특히, 저장부(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 프로그램 및 진동식 단축번호와 전화번호가 맵핑된 전화번호부,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 프로그램 및 진동식 단축번호와 메뉴가 맵핑된 진동식 단축 메뉴 테이블이 저장된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감지부(13)는 진동 센서를 포함하고 있고, 제1 특정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저장부(12)에 저장된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 프로그램 또는 제2 특정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되며, 외부로부터 감지되는 진동 횟수를 계수하여 그 계수값을 산출한 후 이를 연산/제어부(16)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14)는 다수의 숫자키(문자키)와 메뉴키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 등으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연산/제어부(16)로 키 데 이터를 출력한다. 특히, 입력부(14)는 사용자로부터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부에 기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선택하는 신호(이하, 상기 전화번호 및 전화번호 선택신호를 전화번호 입력 데이터라 함), 상기 메뉴에 진동식 단축번호로 맵핑시키길 원하는 번호(숫자) 또는 그에 상응하는 특정번호 선택신호(이하, 상기 번호 및 특정번호 선택신호를 진동식 단축번호 입력 데이터라 함) 등을 입력받는데 사용되고, 측면키(사이드키)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을 통한 전화발신(호 연결 시도) 또는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를 통한 특정 메뉴의 실행을 원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측면키(사이드키)는 제1 측면키 및 제2 측면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키 및 제2 측면키는 상기 제1 특정조건 또는 상기 제2 특정조건을 충족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특정조건 및 제2 특정조건의 만족 여부를 폴더 (닫힘) 상태와 제1 및 제2 측면키의 프레스-홀드(press-hold) 상태에 따라 판단하고 있으나, 그 외에 특정 외부키를 이용하여 다른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15)는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서, 연산/제어부(16)의 제어를 받아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 등을 표시한다. 즉,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및 입력받는 내용 등을 표시한다. 특히,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에 의한 호(call) 연결시도시 진동식 단축번호 및 해당 전화번호 그리고 호(call) 연결 상태정보 및 결과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또한,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시도시 진동식 단축번호 및 해당 메뉴 그리고 메뉴의 활성화 상태정보 및 결과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그리고, 표시부(15)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외부에 부착된 액정표시장치(LCD)를 포함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진동식 단축번호 등록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각 전화번호와 맵핑된 진동식 단축번호 등록 과정을 보다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종래 단축번호 등록 과정을 포함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로부터 입력부(키패드)(14)를 통하여 일 전화번호를 입력받는다(201). 여기서, 대부분의 전화번호는 9 ~ 11 자리의 숫자로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어 "02-268-7348"의 경우 9자리, "033-941-5508"의 경우 10자리, "016-8603-7954"의 경우 11자리의 숫자로 이루어진다.
그러면, 연산/제어부(16)는 입력받은 전화번호에 공지의 기술에 따라 종래 단축번호를 맵핑시킨다(202). 여기서, 종래 단축번호는 주로 3 자리수의 숫자로 이루어지는 고유 인덱스를 말하는 것으로, 공지의 기술에 따라 각 전화번호마다 하나씩 자동으로 맵핑된다.
이어서, 연산/제어부(16)는 입력받은 전화번호에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단축번호를 맵핑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203). 즉, 연산/제어부(16)는 입력받은 전화번호에 진동식 단축번호를 맵핑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부(LCD)(15)를 통하여 소정의 메시지를 출력한 후, 입력부(키패드)(14)를 통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다.
상기 판단 결과(203), 진동식 단축번호를 입력받은 전화번호와 함께 전화번호부에 등록시키지 않을 경우(즉, 입력받은 전화번호에 진동식 단축번호를 맵핑시 키지 않을 경우), 입력받은 전화번호 및 맵핑된 종래 단축번호를 전화번호부에 저장하고(205), 본 발명에 따른 각 전화번호와 맵핑된 진동식 단축번호 등록 과정을 종료한다.
상기 판단 결과(203), 진동식 단축번호를 입력받은 전화번호와 함께 전화번호부에 등록시키는 경우, 각 전화번호마다 하나의 진동식 단축번호를 맵핑시킨다(204).
여기서, 진동식 단축번호를 종래 단축번호와 동일하게 부여할 수 있다. 즉, "016-8603-7954"란 전화번호에 종래 단축번호 "005"가 맵핑되었을 경우, 상기 전화번호에 진동식 단축번호 "5"를 맵핑시킬 수 있다. 즉, 종래 단축번호와 동일한 숫자 나열을 갖도록 진동식 단축번호를 맵핑시킬 수 있다.
한편, 진동식 단축번호를 종래 단축번호와는 별도의 숫자 나열이 되도록 맵핑시킬 수도 있다. 즉, "016-8603-7954"란 전화번호에 종래 단축번호 "005"가 맵핑되었을지라도, 종래 단축번호의 숫자 나열과는 무관하게 상기 전화번호에 진동식 단축번호 "3"을 맵핑시킬 수 있다.
즉, 입력받은 전화번호에 진동식 단축번호를 맵핑시키는 방식은 여러 가지로 응용이 가능하며, 상기 두 가지의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 설명에서는 기 구성된 전화번호부가 아닌 현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전화번호에 종래 단축번호 및 진동식 단축번호를 맵핑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기 구성된 전화번호부의 각 전화번호에 새로이 진동식 단축번호를 맵핑시킬 수 있도록 응용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이후, 입력받은 전화번호로의 진동식 단축번호 맵핑에 따라, 입력받은 전화번호, 상기 전화번호에 맵핑된 종래 단축번호 및 진동식 단축번호를 전화번호부에 저장하고(206), 본 발명에 따른 각 전화번호와 맵핑된 진동식 단축번호 등록 과정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진동식 단축번호 등록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각 메뉴와 맵핑된 진동식 단축번호 등록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로부터 입력부(키패드)(14)를 통하여 일 메뉴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사용자는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이 메뉴를 실행하는데 긴 시간이 소요되는 메뉴 또는 벨소리, 스케쥴 확인 메뉴 등과 같이 자주 사용되는 메뉴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차례의 키 입력을 거쳐 실행시킬 수 있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연산/제어부(16)는 입력받은 메뉴에 하나의 진동식 단축번호를 맵핑시킨다. 여기서, 상기 연산/제어부(16)는 사용자로부터 진동식 단축번호로 사용하길 원하는 번호(숫자)를 입력받거나 또는 특정 번호의 선택신호를 입력받거나 또는 하나의 메뉴에 진동식 단축번호를 맵핑시킬 때마다 순차적으로 자동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연산/제어부(16)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진동식 단축번호로 사용하길 원하는 번호(숫자) "3"을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무선 인터넷" 메뉴의 진동식 단축번호로 "3"을 맵핑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 메뉴를 선택하였고 상기 메뉴가 진동식 단축 번호와 맵핑되는 메뉴로서는 5번째인 경우에, 연산/제어부(16)는 상기 "무선 인터넷" 메뉴에 "5"를 진동식 단축번호로서 자동 맵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받은 메뉴에 진동식 단축번호를 맵핑시키는 방식은 여러 가지로 응용이 가능하며, 상기 두 가지의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연산/제어부(16)는 입력받은 메뉴, 상기 메뉴에 맵핑된 진동식 단축번호를 진동식 단축 메뉴 테이블에 저장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진동식 단축 기능 실행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을 이용한 전화발신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을 수행하기 위한 제1 특정조건이 충족되는지의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한다(301, 302).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연산/제어부(16)는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301).
상기 판단 결과(301),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상태가 아니면 문자메시지 전송, 스케쥴 확인 등과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일반적인 동작을 수행한 후(309) 종료하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상태이면 다음 과정으로 진행한다.
이어서, 연산/제어부(16)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제1 특정키가 프레스-홀드(press-hold)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302). 여기서, 프레스-홀드(press- hold) 상태란 단말기의 특정키가 눌려진 상태로 계속 유지되는 상태를 말하고, 상기 제1 특정키는 예를 들어 제1 측면키(사이드키) 등과 같이 제1 특정조건을 충족시키는데 사용되도록 기 설정된 임의의 키를 말한다.
상기 판단 결과(302), 제1 특정키가 프레스-홀드(press-hold) 상태가 아니면 문자메시지 전송, 스케쥴 확인 등과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일반적인 동작을 수행한 후(309) 종료하고, 상기 제1 특정키가 프레스-홀드(press-hold) 상태이면 다음 과정으로 진행한다.
이후, 제1 특정조건이 충족됨에 따라(즉, 무선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닫혀 있고, 제1 특정키가 프레스-홀드(press-hold) 상태인 경우에), 연산/제어부(16)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로서 내장된 진동 센서를 구동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감지부(13)는 외부로부터의 진동 횟수를 계수하여 그 계수값을 산출한다(303). 즉,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닫혀져 있고 제1 특정키가 프레스-홀드(press-hold)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진동시킴(흔듦)에 따라 그 진동 횟수를 계수하여 그 계수값을 알아내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5번 진동시켰다면, 감지부(13)는 그에 따른 계수값으로 "5"를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연산/제어부(16)는 감지부(13)로부터 계수값, 즉 진동식 단축번호를 전달받음에 따라, 상기 전달받은 진동식 단축번호와 맵핑되는 기 등록된 전화번호로 호(call) 연결을 시도한다(304).
예를 들면, 감지부(13)로부터 진동식 단축번호 "5"를 전달받았고 진동식 단축번호 "5"와 맵핑되는 전화번호가 "016-8603-7954"인 경우에, 연산/제어부(16)는 자동으로 전화번호 "016-8603-7954"로 호(call)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연산/제어부(16)는 감지부(13)로부터 전달받은 진동식 단축번호가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었는지의 여부, 즉 각 전화번호와 진동식 단축번호가 맵핑된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여 상기 전달받은 진동식 단축번호와 맵핑되는 전화번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달받은 진동식 단축번호와 맵핑되는 전화번호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전화번호로 호(call) 연결을 시도한다.
그리고, 연산/제어부(16)는 표시부(LCD)(15)를 통하여 호(call) 연결 상태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305). 여기서, 표시부(LCD)(15)란 외부 LCD를 말하는 것으로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폴더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호(call) 연결 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감지부(13)로부터 전달받은 진동식 단축번호가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 즉 전달받은 진동식 단축번호와 맵핑되는 전화번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해당되는 전화번호가 없습니다" 등과 같은 소정의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달받은 진동식 단축번호가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 즉 진동식 단축번호와 맵핑되는 전화번호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진동식 단축번호, 해당 전화번호 등과 함께 "전화를 거는 중입니다" 등과 같은 소정의 메시 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연산/제어부(16)는 호(call) 연결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306). 즉, 일정 시간내에 상대방이 전화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306), 호(call) 연결이 이루어졌을 경우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통화 상태가 되고(307), 호(call)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 호(call) 연결 결과정보를 표시부(LCD)(15)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한다(308). 예를 들어, 호(call)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 "상대방이 전화를 받지 않습니다" 등과 같은 소정의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LCD)는 외부 LCD를 말하는 것으로서 폴더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자에게 호(call) 연결 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진동식 단축 기능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를 이용한 특정 메뉴 실행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산/제어부(16)는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를 수행하기 위한 제2 특정조건이 충족되는지의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연산/제어부(16)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폴더 상태 판단 결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상태가 아니면 문자메시지 전송, 스케쥴 확인 등과 같은 무 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일반적인 동작을 수행한 후 종료하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상태이면 다음 과정으로 진행한다.
이어서, 연산/제어부(16)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제2 특정키가 프레스-홀드(press-hold)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특정키는 예를 들어 제2 측면키(사이드키) 등과 같이 제2 특정조건을 충족시키는데 사용되도록 기 설정된 임의의 키를 말한다.
상기 제2 특정키 상태 판단 결과, 제2 특정키가 프레스 홀드(press-hold) 상태가 아니면 문자메시지 전송, 스케쥴 확인 등과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일반적인 동작을 수행한 후 종료하고, 상기 제2 특정키가 프레스-홀드(press-hold) 상태이면 다음 과정으로 진행한다.
이후, 제2 특정조건이 충족됨에 따라(즉, 무선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닫혀 있고, 제2 특정키가 프레스-홀드(press-hold) 상태인 경우에), 연산/제어부(16)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로서 내장된 진동 센서를 구동시켜 외부로부터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감지부(13)는 외부로부터의 진동 횟수를 계수하여 그 계수값을 산출한다. 즉,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닫혀져 있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제2 특정키가 프레스-홀드(press-hold) 상태인 경우에, 사용자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진동시킴(흔듦)에 따라 그 진동 횟수를 계수하여 그 계수값을 알아내는 것이다.
이후, 연산/제어부(16)는 감지부(13)로부터 계수값, 즉 진동식 단축번호를 전달받음에 따라, 상기 전달받은 진동식 단축번호에 맵핑되는 기 설정된 메뉴를 실행시킨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연산/제어부(16)는 감지부(13)로부터 전달받은 진동식 단축번호가 진동식 단축 메뉴 테이블에 등록되었는지의 여부, 즉 진동식 단축 메뉴 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전달받은 진동식 단축번호와 맵핑되는 메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달받은 진동식 단축번호와 맵핑되는 메뉴가 상기 진동식 단축 메뉴 테이블에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메뉴를 자동으로 실행시킨다. 예를 들면, 감지부(13)로부터 진동식 단축번호 "3"을 전달받았고 상기 진동식 단축 메뉴 테이블 검색 결과 진동식 단축번호 "3"과 맵핑되는 메뉴가 "무선 인터넷"인 경우에, 연산/제어부(16)는 자동으로 무선 인터넷으로의 연결을 시도한다.
그리고, 연산/제어부(16)는 표시부(LCD)(15)를 통하여 진동식 단축번호 및 해당 메뉴 그리고 메뉴의 활성화 상태정보 및 결과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여기서, 표시부(LCD)(15)는 외부 LCD를 말하는 것로서 폴더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각종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감지부(13)로부터 전달받은 진동식 단축번호가 진동식 단축 메뉴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 즉 전달받은 진동식 단축번호와 맵핑되는 메뉴가 상기 진동식 단축 메뉴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해당되는 메뉴가 없습니다" 등과 같은 소정의 메시지를 상기 메뉴의 활성화 결과정보로서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반면에, 진동식 단축번호가 진동식 단축 메뉴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 예를 들면 감지부(13)로부터 진동식 단축번호 "3"을 전달받았고 상기 진동식 단축번호 "3"에 맵핑되는 메뉴가 "무선 인터넷"인 경우에, "네트워크에 연결중입니다" 등과 같은 상기 메뉴의 활성화 상태정보 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지 않는 지역입니다" 등과 같은 상기 메뉴의 활성화 결과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진동식 단축 기능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을 이용한 전화발신 기능 또는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를 이용한 특정 메뉴 실행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산/제어부(16)는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 프로그램 및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 프로그램을 각각 구동시키고, 상기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을 수행하기 위한 제1 특정조건 또는 상기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를 수행하기 위한 제2 특정조건 중 어느 한 쪽의 특정조건이 충족되는지의 여부를 주기적으로 각각 체크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연산/제어부(16)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상태가 아니면 문자메시지 전송, 스케쥴 확인 등과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일반적인 동작을 수행한 후 종료하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상태이면 다음 과정으로 진행한다.
이어서, 연산/제어부(16)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제1 특정키 또는 제2 특정키 중 어느 하나의 특정키가 프레스-홀드(press-hold)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 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특정키는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측면키(사이드키) 등과 같이 제1 및 제2 특정조건을 충족시키는데 사용되도록 기 설정된 임의의 키를 말한다.
상기 특정키 상태 판단 결과, 제1 특정키가 프레스-홀드(press-hold) 상태임에 따라, 상기 일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을 이용한 전화발신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 즉, 연산/제어부(16)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로서 내장된 진동 센서를 구동시켜 외부로부터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으로 진행한다.
반면에, 상기 특정키 상태 판단 결과, 제2 특정키가 프레스-홀드(press-hold) 상태임에 따라,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를 이용한 특정 메뉴 실행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 즉, 연산/제어부(16)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로서 내장된 진동 센서를 구동시켜 외부로부터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으로 진행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닫혀진 폴더를 열고 9 ~ 11 자리의 숫자로 이루어진 전화번호 또는 종래 단축번호를 일일이 키 입력하지 않고도 특정 키를 누른 상태에서 가볍게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흔드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또는 벨소리 메뉴 등과 같이 사용자 대기 시간이 길거나 또는 여러 차례의 키 입력이 필요한 메뉴의 실행시, 무선통신 단말기의 폴더를 오랫동안 열고 기다리거나 또는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를 진동시켜야 하는 속성을 감안하여, 10개 내외의 전화번호 또는 메뉴에 진동식 단축번호를 맵핑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진동식 단축번호와 맵핑된 10개 내외의 전화번호 또는 메뉴를 암기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또다른 실시예로서, 진동식 단축번호들과 그에 맵핑된 각 전화번호 또는 각 메뉴를 표시부(LCD)(1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하나의 전화번호 또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산/제어부(16)는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을 수행하기 위한 제1 특정조건 또는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를 수행하기 위한 제2 특정조건이 충족되는지의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연산/제어부(16)는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 프로그램 및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 프로그램을 각각 구동시키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폴더 상태 판단 결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상태가 아니면 문자메시지 전송, 스케쥴 확인 등과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일반적인 동작을 수행한 후 종료하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상태이면 다음 과정으로 진행한다.
이어서, 연산/제어부(16)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제1 특정키 또는 제2 특 정키 중 어느 하나의 특정키가 프레스-홀드(press-hold)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특정키는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측면키(사이드키) 등과 같이 제1 및 제2 특정조건을 충족시키는데 사용되도록 기 설정된 임의의 키를 말한다.
상기 특정키 상태 판단 결과, 제1 특정키가 프레스-홀드(press-hold) 상태임에 따라, 연산/제어부(16)는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여 진동식 단축번호들과 그에 맵핑된 각 전화번호를 찾아낸 후 상기 진동식 단축번호들 및 해당 전화번호를 표시부(LCD)(15)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전화번호로 발신하기 위하여 무선통신 단말기를 몇 회 진동시켜야 하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LCD)(15)란 외부 LCD를 말하는 것으로, 무선통신 단말기의 폴더를 열지 않고도 사용자가 진동식 단축번호와 맵핑된 전화번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을 이용한 전화발신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 즉, 연산/제어부(16)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로서 내장된 진동 센서를 구동시켜 외부로부터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으로 진행한다.
상기 특정키 상태 판단 결과, 제2 특정키가 프레스-홀드(press-hold) 상태임에 따라, 연산/제어부(16)는 진동식 단축 메뉴 테이블을 검색하여 진동식 단축번호들과 그에 맵핑된 각 메뉴를 찾아낸 후 상기 진동식 단축번호들 및 해당 메뉴를 표시부(LCD)(15)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무선통신 단말기를 몇 회 진동시켜야 하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LCD)(15)란 외부 LCD를 말하는 것으로, 무선통신 단말기의 폴더를 열지 않고도 사용자가 진동식 단축번호와 맵핑된 메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를 이용한 특정 메뉴 실행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 즉, 연산/제어부(16)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로서 내장된 진동 센서를 구동시켜 외부로부터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으로 진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진동 센서에 의해 계수되는 진동 횟수에 따라 진동식 단축번호에 맵핑되는 기 등록된 전화번호로 호(call) 연결을 시도함으로써, 무선통신 단말기의 폴더를 열지 않고도 간단한 동작만으로 특정인에게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진동 센서에 의해 계수되는 진동 횟수에 따라 진동식 단축번호에 맵핑되는 기 설정된 메뉴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사용자 대기 시간을 단축시키고 손쉽게 특정 메뉴를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손이나 몸이 불편한 환자 또는 장애인과 바쁜 현대인들이 보다 편리하게 음성통화를 시도하거나 또는 특정 메뉴를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4)

  1. 삭제
  2. 진동식 단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출력수단;
    사용자로부터 전화번호 입력 데이터 및 진동식 단축번호 입력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 조건이 충족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 프로그램, 진동식 단축번호와 전화번호가 맵핑된 전화번호부, 및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 조건이 충족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 프로그램, 진동식 단축번호와 메뉴가 맵핑된 진동식 단축 메뉴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
    감지되는 진동의 횟수를 계수하여 계수값을 산출하기 위한 감지수단; 및
    상기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 프로그램 및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상기 입력수단을 통한 입력에 따라 일 전화번호와 일 진동식 단축번호를 맵핑시켜 상기 전화번호부에 저장하거나 일 메뉴에 일 진동식 단축번호를 맵핑시켜 상기 진동식 단축 메뉴 테이블에 저장하며, 상기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 조건이 충족됨에 따라 상기 감지수단을 활성화시켜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일 계수값을 전달받아 상기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여 해당 계수값(진동식 단축번호)에 맵핑되는 전화번호로 호(call) 연결을 시도하거나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 조건이 충족됨에 따라 상기 감지수단을 활성화시켜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일 계수값을 전달받아 상기 진동식 단축 메뉴 테이블을 검색하여 해당 계수값(진동식 단축번호)에 맵핑되는 메뉴를 활성화(실행)하기 위한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진동식 단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메뉴 활성화시도시,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해당하는 진동식 단축번호 및 해당 메뉴 그리고 메뉴의 활성화 상태정보 및 결과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단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 조건이 충족됨에 따라 진동식 단축번호들과 그에 맵핑된 각 메뉴를 출력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단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 조건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제1 특정키(제1 측면키를 포함함)가 프레스-홀드(press-hold) 상태인 경우이고,
    상기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 조건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제2 특정키(제2 측면키를 포함함)가 프레스-홀드(press-hold) 상태인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단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진동식 단축 기능 실행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일 전화번호에 일 진동식 단축번호를 맵핑시켜 전화번호부에 저장하거나 일 메뉴에 일 진동식 단축번호를 맵핑시켜 진동식 단축 메뉴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 조건 또는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 조건이 충족됨에 따라 감지수단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진동 횟수를 계수한 제1 계수값(제1 진동식 단축번호) 및 제2 계수값(제2 진동식 단축번호)을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계수값을 이용하여 상기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여 상기 제1 진동식 단축번호에 맵핑되는 전화번호로 호(call) 연결을 시도하거나 상기 제2 계수값을 이용하여 상기 진동식 단축 메뉴 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제2 진동식 단축번호에 맵핑되는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진동식 단축 기능 실행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활성화시도시 상기 제2 진동식 단축번호 및 해당 메뉴 그리고 메뉴의 활성화 상태정보 및 결과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진동식 단축 기 능 실행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 조건이 충족됨에 따라 제2 진동식 단축번호들과 그에 맵핑된 각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진동식 단축 기능 실행 방법.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식 단축 다이얼링 조건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제1 특정키(제1 측면키를 포함함)가 프레스-홀드(press-hold) 상태인 경우이고,
    상기 진동식 단축 메뉴 활성화 조건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제2 특정키(제2 측면키를 포함함)가 프레스-홀드(press-hold) 상태인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진동식 단축 기능 실행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040049603A 2004-06-29 2004-06-29 진동식 단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18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603A KR100618771B1 (ko) 2004-06-29 2004-06-29 진동식 단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603A KR100618771B1 (ko) 2004-06-29 2004-06-29 진동식 단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669A KR20060000669A (ko) 2006-01-06
KR100618771B1 true KR100618771B1 (ko) 2006-09-01

Family

ID=37103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603A KR100618771B1 (ko) 2004-06-29 2004-06-29 진동식 단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87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74253T3 (es) * 2015-11-13 2018-06-28 Siegwerk Druckfarben Ag & Co. Kgaa Composición de imprimació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669A (ko) 200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4526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al registration method and dial registration program therefor
EP1447959A1 (en) User programmable voice dialing for mobile handset
JP2001517890A (ja) 携帯電話用の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US20040052355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auto-completing telephone numbers that are being manually dialed
KR101609391B1 (ko) 휴대단말기의 통신 수행 방법
KR100618771B1 (ko) 진동식 단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US6084949A (en) Telephone system with automatic dialing using infrared transmission from electronic pocket book
KR100690719B1 (ko) 지문인식을 이용한 휴대폰의 기능 선택방법
JP3473751B2 (ja) 携帯通信端末の情報検索方法
JP2001036630A (ja) 携帯電話装置
KR20020038848A (ko)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을 위한 데이터입력 방법
KR19990031009A (ko) 전화기에서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방법
KR10060609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 저장방법
KR10080650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통한 기능별 메뉴 검색방법
JP2000092191A (ja) 複合情報装置、音声通話機能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KR1003934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인식을 통한 전화번호 검색방법
KR1007546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 거는 방법
JP2001111658A (ja) 通信端末
KR100712845B1 (ko)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 발신방법
JP2000216858A (ja) 携帯電話装置及びその遠隔個人デ―タ呼出し方法
KR10063821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방법
JP2000148363A (ja) 携帯電話機における宛先メールアドレスの簡易入力システム
KR10099502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통화자의 다수개 전화번호 검색방법
JP2000261539A (ja) 移動電話機
KR19980075005A (ko) 전화기의 전화번호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