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8520B1 - Rfid를 이용한 이동체로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Rfid를 이용한 이동체로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8520B1
KR100618520B1 KR1020050018944A KR20050018944A KR100618520B1 KR 100618520 B1 KR100618520 B1 KR 100618520B1 KR 1020050018944 A KR1020050018944 A KR 1020050018944A KR 20050018944 A KR20050018944 A KR 20050018944A KR 100618520 B1 KR100618520 B1 KR 100618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fid
rfid tag
passenger
wri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8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85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01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 G06K7/1007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spatial domain, e.g. temporary shields for blindfolding the interrogator in specific directions
    • G06K7/100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spatial domain, e.g. temporary shields for blindfolding the interrogator in specific direc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using at least one directional antenna or directional interrogation field to resolve the collision
    • G06K7/1009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spatial domain, e.g. temporary shields for blindfolding the interrogator in specific direc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using at least one directional antenna or directional interrogation field to resolve the collision the directional field being used for pinpointing the location of the record carrier, e.g. for finding or locating an RFID tag amongst a plurality of RFID tags, each RFID tag being associated with an object, e.g. for physically locating the RFID tagged object in a wareho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1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 G06K7/103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using a plurality of antennas, e.g. configurations including means to resolve inter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체(예; 철도 차량, 버스 등)에 탑승한 승객에게 특정 정보(예; 지하철역 정보, 뉴스 등)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철도 차량에 설치된 알에프 리더(RFID reader)에서 역 플랫폼에 설치된 알에프 태그(RFID tag)에 기록된 정보를 읽고, 중앙 제어 기능에 의해 각 객차에 설치된 알에프 라이터(RFID writer)에서 해당 객차에 설치된 알에프 태그에 상기 읽어 온 정보를 기록하여, 각 객차에 설치된 알에프 태그에서 승객이 소지한 단말기의 알에프 리더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RFID를 이용한 이동체로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며, 저렴한 비용과 간단한 장비 구현으로 이동체에 정보 제공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체에 탑승한 승객이 개인 소지한 단말기를 통하여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공받을 수 있음과 아울러 정보를 제대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음.
알에프 태그(RFID tag), 알에프 리더(RFID reader), 알에프 라이터(RFID writer), 철도 차량, 버스, 정보 제공

Description

RFID를 이용한 이동체로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vehicle using RFI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하여 철도 차량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하여 철도 차량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하여 버스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하여 버스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1 : 알에프 리더 22 : 정보 저장부
23 : 통신 모듈 24 : 제어부
31 : 알에프 라이터 32 : 능동형 알에프 태그
본 발명은, 이동체(예; 철도 차량, 버스 등)에 탑승한 승객에게 특정 정보(예; 지하철역 정보, 뉴스 등)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 차량에 설치된 알에프 리더(RFID reader)에서 역 플랫폼에 설치된 알에프 태그(RFID tag)에 기록된 정보를 읽고, 중앙 제어 기능에 의해 각 객차에 설치된 알에프 라이터(RFID writer)에서 해당 객차에 설치된 알에프 태그에 상기 읽어 온 정보를 기록하여, 각 객차에 설치된 알에프 태그에서 승객이 소지한 단말기의 알에프 리더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RFID를 이용한 이동체로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동체란 자동차, 버스, 선박, 철도 차량 및 비행기 등과 같이 사람, 화물 등을 운송하는 수단을 말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철도 차량이란 기차, 열차, 전동차, 지하철 및 고속철 등과 같이 철도에서 사람과 화물 등을 운송하는 차량을 말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철도 차량에 탑승한 승객에게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것과 버스에 탑승한 승객에게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각각 설명하기로 한다.
최근에 비접촉 방식으로 알에프 리더[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로 사물에 탑재된 알에프 태그[RFID tag]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서 사물의 정보를 확인하고 주변 상황을 감지할 수 있게 되었다.
알에프 태그는 구동 방식에 따라 수동형과 능동형으로 나뉜다. 수동형 알에프 태그는 알에프 리더로부터 수신된 전파에 의해 구동되어 반사파에 정보를 실어서 알에프 리더로 송신하며, 능동형 알에프 태그는 자체적인 전원으로 구동되어 전파에 정보를 실어서 외부, 즉 알에프 리더로 송신한다. 즉, 수동형 알에프 태그가 무선으로 전파를 송신하는 안테나, 특정 정보가 기록되는 메모리로 이루어지는 반면에 능동형 알에프 태그는 안테나, 메모리 및 배터리로 이루어진다.
특히, 기존의 바코드와는 다르게 알에프 라이터[RFID writer]라고 일컬어지는 기기로 알에프 태그에 10만 회 정도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고 영구적(대략 60년 정도)로 알에프 태그를 재사용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40846호(발명의 명칭: "능동형 비접촉 식별장치")에 능동형 알에프 태그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105284호(발명의 명칭: "무선 태그를 이용한 우편물 접수 방법 및 장치")에 알에프 리더/라이터를 사용하여 알에프 태그에 정보를 읽고/기록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능동형 알에프 태그, 수동형 알에프 태그, 알에프 리더 및 알에프 라이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동체(예; 철도 차량, 버스 등)에 탑승한 승객에게 특정 정보[예; 지하철역 정보, 경유지 정보, 환승 정보, 도착지 소요 시간, 주변 정보(상점 소개, 관광 안내 등), 뉴스, 날씨 등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위성방송 서비스와 연계한 철도 차량 이동방송 시스템은 철도 차량 내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방송 서버에서 하드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컨텐 츠 또는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각종 컨텐츠를 각 객차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하여 표시하며, 그에 따라 승객이 해당 정보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위성방송 수신, 콘텐츠 저장, 서버 기동, 다수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으로 구현되는 철도 차량 이동방송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장비가 필요할 뿐더러 시스템 유지/관리/보수가 용이하지 못하여 이동체에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대로 구축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다른 예로, 이동체에 전광판을 설치하여 승객이 해당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하거나 이동체에 스피커를 설치하여 승객이 해당 정보를 들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에서는 승객에게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공하거나 제대로 인지시킬 수 없는 형편이다.
즉, 전광판을 통한 정보 제공 방식에서는 지속적으로 정보를 전광판에 노출시키더라도 사용자가 전광판에 관심을 갖지 않을 때에는 사용자에게 정보가 전달되지 않을 수 있거나 한 번 표시되고 나서 사라지는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를 통한 정보 제공 방식에서는 1 ~ 2회 정도의 방송이 송출되었을 때 사용자가 방송 내용을 귀 담아 듣지 않았거나 주위가 시끄러운 경우에 그 내용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저렴한 비용과 간단한 장비 구현으로 이동체에 정보 제공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도록 하고, 이동체에 탑승한 승객에게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공함과 아울러 승객에게 정보를 제대로 인지시켜 줄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철도 차량에 설치된 알에프 리더(RFID reader)에서 역 플랫폼에 설치된 알에프 태그(RFID tag)에 기록된 정보를 읽고, 중앙 제어 기능에 의해 각 객차에 설치된 알에프 라이터(RFID writer)에서 해당 객차에 설치된 알에프 태그에 상기 읽어 온 정보를 기록하여, 각 객차에 설치된 알에프 태그에서 승객이 소지한 단말기의 알에프 리더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RFID를 이용한 이동체로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철도 차량에 설치된 관리 장치의 제어에 의해 각 객차에 설치된 정보 전달 장치로 승객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특정 역 플랫폼 또는/및 철도 노선의 특정 지점에 설치된 알에프 태그(RFID tag)에 기록된 정보를 읽는 알에프 리더(RFID reader); 상기 알에프 리더에서 읽은 정보가 저장되는 정보 저장부; 상기 각 정보 전달 장치와의 유선 또는/및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및 상기 각 정보 전달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기록 명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정보 전달 장치는, 상기 관리 장치와의 유선 또는/및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상기 관리 장치의 제어에 의해 명령받은 정보를 알에프 태그에 기록하는 알에프 라이터(RFID writer); 및 상기 알에프 라이터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되, 승객이 소지한 단말기의 알에프 리더로 기 기록된 정보를 전송하는 알에프 태그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철도 차량에 탑승한 승객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역 플랫폼 또는/및 철도 노선의 특정 지점에 설치된 알에프 태그(RFID tag)에 기록된 정보를 알에프 리더(RFID reader)로 읽는 제 1 단계; 각 객차에 설치되어 있는 알에프 라이터(RFID writer)에 상기 읽은 정보 기록을 명령하는 제 2 단계; 상기 각 알에프 라이터로 명령받은 정보를 각 객차에 설치되어 있는 알에프 태그에 기록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각 객차에 설치되어 있는 알에프 태그에 기록된 정보를 승객이 소지한 단말기의 알에프 리더로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버스에 설치된 정보 전달 장치로 승객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전달 장치는, 특정 정류장 또는/및 버스 노선의 특정 지점에 설치된 알에프 태그(RFID tag)에 기록된 정보를 읽는 알에프 리더(RFID reader); 상기 알에프 리더에서 읽은 정보가 저장되는 정보 저장부; 알에프 라이터(RFID writer)를 제어하여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기록 명령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명령받은 정보를 알에프 태그에 기록하는 상기 알에프 라이터; 및 상기 알에프 라이터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되, 승객이 소지한 단말기의 알에프 리더로 기 기록된 정보를 전송하는 알에프 태그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버스에 탑승한 승객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정류장 또는/및 버스 노선의 특정 지점에 설치된 알에프 태그(RFID tag)에 기록된 정보를 알에프 리더(RFID reader)로 읽는 제 1 단계; 알에프 라이터(RFID writer)로 상기 읽은 정보를 버스에 설치되어 있는 알에프 태그에 기록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버스에 설치되어 있는 알에프 태그에 기록된 정보를 승객이 소지한 단말기의 알에프 리더로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하여 철도 차량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 플랫폼, 바람직하게는 철도 차량이 정차되는 지점에 능동형 알에프 태그(10)가 설치된다. 상기 능동형 알에프 태그(10)는 무선 으로 전파를 송신하는 안테나(11), 특정 정보[예; 지하철역 정보, 경유지 정보, 환승 정보, 도착지 소요 시간, 주변 정보(상점 소개, 관광 안내 등), 뉴스, 날씨 등]이 기록되는 메모리(12) 및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13)로 이루어진다.
상기 능동형 알에프 태그(10)에 기록되는 정보는 관리자 등에 의해 알에프 라이터가 사용되어 정보가 기록/갱신되어 최신 정보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역 플랫폼에 설치되는 알에프 태그는 위와 같은 능동형 알에프 태그(10) 또는 수동형 알에프 태그 중 어느 것이라도 상관이 없다. 예컨대, 수동형 알에프 태그와 능동형 알에프 태그는 전원 구동 방식의 차이만 있을 뿐 알에프 리더로 기록된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이 동일하기 때문이다.
한편, 철도 차량의 운전석에는 역 플랫폼에 설치된 능동형 알에프 태그(10)에 기록된 정보를 읽는 알에프 리더(21), 상기 알에프 리더(21)에서 읽은 정보, 기타 정보(예; 비상 시 조치 요령 등)이 저장되는 정보 저장부(22), 각 객차에 설치된 정보 전달 장치(3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23) 및 각 객차에 설치된 정보 전달 장치(30), 특히 각 알에프 라이터(31)를 제어하여 각 능동형 알에프 태그(32)에 정보(바람직하게는 역 플랫폼에 설치된 능동형 알에프 태그(10)에 기록된 정보)가 기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4)로 이루어지는 관리 장치(20)가 구성된다.
그리고, 철도 차량의 각 객차에는 상기 관리 장치(20)의 제어에 의해 능동형 알에프 태그(32)에 정보를 기록하는 알에프 라이터(31), 안테나(32a), 메모리(32b) 및 배터리(32c)로 이루어진 능동형 알에프 태그(32) 및 관리 장치(2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33)로 이루어지는 정보 전달 장치(30)가 구성된다. 한편, 각 객차 에 구비되는 알에프 태그도 능동형 알에프 태그 또는 수동형 알에프 태그 중 어느 것이라도 상관이 없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40)에는 능동형 알에프 태그, 수동형 알에프 태그에 기록된 정보를 읽는 알에프 리더(41)가 구비되어 있으며, 알에프 리더(41)에서 읽은 정보를 표시/출력하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40)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나, 알에프 리딩 기능이 탑재된 어떠한 단말기(예; PDA, 노트북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관리 장치(20)가 철도 차량의 운전석에 설치되는 것은 외부인의 조작 등을 막기 위한 관리 용이성에 기인하며, 철도 차량의 특정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떠한 곳에 설치해도 상관이 없다. 다만, 알에프 리더(21)와 역 플랫폼에 설치된 능동형 알에프 태그(10)간에 무선 전파 송수신이 가능한 장소(RFID 전파 인식 거리 고려)에 관리 장치(2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정보 전달 장치(30) 역시 철도 차량의 각 객차의 특정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떠한 곳에 설치해도 상관이 없다. 다만, 각 객차에 탑승한 승객이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40)의 알에프 리더(41)간에 무선 전파 송수신이 가능한 장소(RFID 전파 인식 거리 고려)에 정보 전달 장치(3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철도 차량으로 정보를 송신하는 능동형 알에프 태그(10) 역시 역 플랫폼의 특정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역 플랫폼뿐만 아니라 역과 역간의 특정 구간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철도 차량의 고속 이동 중에 관리 장치(20)에서 외부에 설치된 능동형 알에프 태그(10)와 무선 전파 송수신이 가능한 장소(예; 철도 차 량 저속 이동 구간, 역이 아니지만 잠시 정차하는 지점 등)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알에프 태그 및 알에프 리더간의 설치 장소에 대해서는 태그 특성 및 리더 특성에 따라 융통성 있게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극초단파(433.92 MHz, 860~960 MHz)를 사용하는 알에프 태그 및 알에프 리더에서는 전파 인식 거리가 길기 때문에 철도 차량의 정차 시 두 기기간의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어도 되며, 마이크로파(2.45 GHz)를 사용하는 알에프 태그 및 알에프 리더에서는 전파 인식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철도 차량이 고속 주행하는 지점에 알에프 태그가 설치되어도 된다.
부가적으로, 관리 장치(20)와 정보 전달 장치(30)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나, 무선 통신 기능이 탑재된 통신 모듈을 통하여 무선으로도 상호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철도 차량에 탑승한 승객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하여 철도 차량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순서도이다.
역 플랫폼, 바람직하게는 철도 차량이 정차되는 지점에는 특정 정보[예; 지하철역 정보, 경유지 정보, 환승 정보, 도착지 소요 시간, 주변 정보(상점 소개, 관광 안내 등), 뉴스, 날씨 등]이 기록되어 있는 능동형 알에프 태그(10)가 설치되 어 있다. 여기서, 능동형 알에프 태그(10)에 기록되는 정보는 알에프 라이터 등을 통한 정보 갱신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능동형 알에프 태그(10) 대신에 수동형 알에프 태그가 사용될 수도 있다.
먼저, 역 플랫폼의 능동형 알에프 태그(10)에서 전파에 정보를 실어서 외부로 지속적으로 송신한다(200). 부가적으로, 배터리 전원 절약을 위해 능동형 알에프 태그(10)에서는 설정 사항(예; 철도 차량 도착 시각을 참조하여 전파 송신 시각 설정, 철도 차량간의 거리를 참조하여 전파 송신 범위 설정 등)에 따라 전파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후, 철도 차량이 역 플랫폼에 정차 또는 통과하기 위해 역 플랫폼에 진입하는 경우(바람직하게는 RFID 전파 인식 거리 범위 내에 들어온 경우)에 철도 차량 운전석에 설치된 관리 장치(20)의 알에프 리더(21)에서 역 플랫폼의 능동형 알에프 태그(10)로부터 전파를 수신받아 이 전파에 실어져 있는 정보를 읽는다(201). 여기서, 공지의 RFID에서의 송수신 전파에는 상호 식별을 위한 별도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서 인증되지 않은 기기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며, 다른 정보가 읽혀지거나 수신되는 경우에는 정보를 폐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역 플랫폼에 수동형 알에프 태그가 설치된 경우에는 철도 차량 운전석에 설치된 관리 장치(20)의 알에프 리더(21)에서 외부로 전파를 송신하고, 그에 따라 수동형 알에프 태그로부터 반사파를 수신받아 해당 정보를 읽으며, 기기 전원 절약 등을 위하여 알에프 리더(20)의 전파 송신 설정은 철도 차량의 역 도착 시각을 참조하여 전파 송신 시각이 설정되거나 역 플랫폼간의 거리를 참조하여 전파 송 신 범위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나서, 상기 관리 장치(20)의 제어부(24)에서 알에프 리더(21)로부터 읽어 온 정보를 정보 저장부(22)에 저장한다(202). 부가적으로, 정보 저장부(22)에는 각 역 플랫폼의 알에프 태그로부터 획득한 정보 및 사전에 등록된 기타 정보(예; 비상 시 조치 요령 등)이 저장된다.
그런후, 상기 관리 장치(20)의 제어부(24)에서 정보 저장부(22)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즉, 역 플랫폼의 알에프 태그로부터 획득한 정보 및 사전에 등록된 기타 정보)를 철도 차량의 각 객차에 설치된 정보 전달 장치(30)의 알에프 라이터(31)로 전송하면서 기록 명령한다(203).
그러면, 각 객차에 설치된 정보 전달 장치(30)의 알에프 라이터(31)에서 각각의 능동형 알에프 태그(32)에 정보(즉, 관리 장치(20)로부터 수신받은 역 플랫폼의 알에프 태그로부터 획득한 정보 및 사전에 등록된 기타 정보)를 기록한다(204). 그에 따라, 각 객차에 설치된 능동형 알에프 태그(32)에 정보[예; 지하철역 정보, 경유지 정보, 환승 정보, 도착지 소요 시간, 주변 정보(상점 소개, 관광 안내 등), 뉴스, 날씨, 기타 정보(비상 시 조치 요령) 등]가 실시간으로 갱신되어 저장된다. 한편, 각 객차에 설치되는 알에프 태그는 능동형 알에프 태그(32) 대신에 수동형 알에프 태그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런후, 각 객차에 설치된 정보 전달 장치(30)의 능동형 알에프 태그(32)에서 전파에 정보를 실어서 외부로 지속적으로 송신한다(205). 부가적으로, 배터리 전원 절약을 위해 능동형 알에프 태그(32)에서는 설정 사항(예; 철도 차량이 역에 서 출발하는 시각과 다음 역에 도착하는 시각을 참조하여 전파 송신 시각 설정, 객차 내부의 너비/폭을 참조하여 전파 송신 범위 설정 등)에 따라 전파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후, 각 객차에 탑승하고 있던 승객 및 새로이 탑승하는 승객이 소지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40)의 알에프 리더(41)에서 정보 전달 장치(30)의 능동형 알에프 태그(32)로부터 전파를 수신받아 이 전파에 실어져 있는 정보를 읽는다(206). 여기서도, 공지의 RFID에서의 송수신 전파에는 상호 식별을 위한 별도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서 인증되지 않은 기기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며, 다른 정보가 읽혀지거나 수신되는 경우에는 정보를 폐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각 객차에 설치된 정보 전달 장치(30)는 모든 대중에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설치된 기기이므로, 정보 전달 장치(30)의 능동형 알에프 태그(32)가 송신한 전파는 모든 알에프 리더에서 읽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나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40)에서 알에프 리더(41)로부터 읽어 온 정보를 자체 디스플레이에 표시 및 자체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한다(207).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인지하게 된다.
한편, 정보 전달 장치(30)에 수동형 알에프 태그가 구비된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40)의 알에프 리더(41)에서 외부로 전파를 송신하고, 그에 따라 수동형 알에프 태그로부터 반사파를 수신받아 해당 정보를 읽으며, 단말기 전원 절약 등을 위하여 알에프 리더(41)의 전파 송신은 사용자 등에 의한 설정(예; 전파 송신 시간 설정, 전파 송신 지역 설정, 전파 송신 온/오프 기능 설정 등)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하여 버스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장, 바람직하게는 버스가 정차되는 지점에 수동형 알에프 태그(50)가 설치된다. 상기 수동형 알에프 태그(50)는 무선으로 전파를 송신하는 안테나(51), 특정 정보[예; 정류장 정보, 환승 정보, 주변 정보(상점 소개, 관광 안내 등), 뉴스, 날씨 등]이 기록되는 메모리(52)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동형 알에프 태그(50)에 기록되는 정보는 관리자 등에 의해 알에프 라이터가 사용되어 정보가 기록/갱신되어 최신 정보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정류장에 설치되는 알에프 태그는 위와 같은 수동형 알에프 태그(50) 또는 배터리가 구비된 능동형 알에프 태그 중 어느 것이라도 상관이 없다. 전술한 도 1에서 역 플랫폼에 설치된 능동형 알에프를 설명하였기에 도 3에서는 정류장에 수동형 알에프 태그가 설치된 것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정류장에는 각 버스 노선에 대응되는 각각의 여러 알에프 태그가 설치되거나 모든 버스 노선에 대해 하나의 알에프 태그가 설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각 버스 노선별 알에프 태그와 모든 버스 노선에 공통된 알에프 태그에 기록되는 정보는 각각 다를 수 있다. 즉, 하나의 버스 노선에 대응되는 알에프 태그를 통하여 해당 버스 노선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다음 도착지 소요 시간 등을 제공할 수 있으나, 공통의 버스 노선에 대한 알에프 태그로는 개별적인 각 버스 노선에 관한 다음 도착지 소요 시간 등을 제공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버스에는 정류장에 설치된 수동형 알에프 태그(50)에 기록된 정보를 읽는 알에프 리더(61), 상기 알에프 리더(61)에서 읽은 정보, 기타 정보(예; 비상 시 조치 요령 등)이 저장되는 정보 저장부(62), 능동형 알에프 태그(64)에 정보(바람직하게는 정류장에 설치된 수동형 알에프 태그(50)에 기록된 정보)를 기록하는 알에프 라이터(63), 안테나, 메모리, 배터리로 이루어진 상기 능동형 알에프 태그(64) 및 알에프 라이터(63)를 제어하여 능동형 알에프 태그(64)에 정보가 기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5)로 이루어지는 정보 전달 장치(60)가 구성된다. 한편, 버스에 설치된 정보 전달 장치(60)의 알에프 태그도 능동형 알에프 태그 또는 수동형 알에프 태그 중 어느 것이라도 상관이 없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70)에는 능동형 알에프 태그, 수동형 알에프 태그에 기록된 정보를 읽는 알에프 리더(71)가 구비되어 있으며, 알에프 리더(71)에서 읽은 정보를 표시/출력하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70)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나, 알에프 리딩 기능이 탑재된 어떠한 단말기(예; PDA, 노트북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보 전달 장치(60)는 외부인의 조작을 막고 관리를 편의를 위하여 버스 운전석에 설치될 수 있는데, 버스의 특정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떠한 곳에 설치해도 상관이 없다. 다만, 알에프 리더(61)와 정류장에 설치된 수동형 알에프 태그(50)간에 무선 전파 송수신이 가능하고, 능동형 알에프 태그(64)와 버스에 탑승한 승객이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70)의 알에프 리더(71)간에 무선 전파 송수신이 가능한 장소(RFID 전파 인식 거리 고려)에 정보 전달 장치(6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버스로 정보를 송신하는 수동형 알에프 태그(50) 역시 정류장의 특정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정류장뿐만 아니라 버스 노선을 참조하여 도로의 특정 구간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버스의 고속 이동 중에 정보 전달 장치(60)에서 외부에 설치된 수동형 알에프 태그(50)와 무선 전파 송수신이 가능한 장소(예; 사거리, 횡단보도, 학교 앞 등과 같이 버스의 저속 이동 구간/정류장이 아니지만 잠시 정차하는 지점 등)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알에프 태그 및 알에프 리더간의 설치 장소에 대해서는 태그 특성 및 리더 특성에 따라 융통성 있게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극초단파(433.92 MHz, 860~960 MHz)를 사용하는 알에프 태그 및 알에프 리더에서는 전파 인식 거리가 길기 때문에 버스의 정차 시 두 기기간의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어도 되며, 마이크로파(2.45 GHz)를 사용하는 알에프 태그 및 알에프 리더에서는 전파 인식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버스가 고속 주행하는 지점에 알에프 태그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에서 버스에 탑승한 승객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하여 버스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순서도이다.
정류장, 바람직하게는 버스가 정차되는 지점에는 특정 정보[예; 정류장 정보, 환승 정보, 주변 정보(상점 소개, 관광 안내 등), 뉴스, 날씨 등]이 기록되어 있는 수동형 알에프 태그(5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수동형 알에프 태그(50)에 기록되는 정보는 알에프 라이터 등을 통한 정보 갱신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동형 알에프 태그(50) 대신에 능동형 알에프 태그가 사용될 수도 있다.
먼저, 버스에 설치된 정보 전달 장치(60)의 알에프 리더(61)가 외부로 전파를 지속적으로 송신하고 있다가(400), 버스가 정류장에 정차 또는 통과하기 위해 정류장에 진입하는 경우(바람직하게는 RFID 전파 인식 거리 범위 내에 들어온 경우)에 알에프 리더(61)에서 정류장의 수동형 알에프 태그(50)로부터 반사파를 수신받아(401), 이 반사파에 실어져 있는 정보를 읽는다(402). 부가적으로, 기기 전원 절약을 위해 정보 전달 장치(60)에서는 설정 사항(예; 버스 도착 시각을 참조하여 전파 송신 시각 설정, 정류장간의 거리를 참조하여 전파 송신 범위 설정 등)에 따라 전파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공지의 RFID에서의 송수신 전파에는 상호 식별을 위한 별도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서 인증되지 않은 기기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며, 다른 정보가 읽혀지거나 수신되는 경우에는 정보를 폐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정류장에 능동형 알에프 태그가 설치된 경우에는 정보 전달 장치(60)의 알에프 리더(61)에서는 외부로 전파를 송신할 필요가 없고, 정류장의 능동형 알에프 태그로부터 전파를 수신받아 해당 정보를 읽으면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정보 전달 장치(60)의 제어부(65)가 알에프 리더(61)로부터 읽어 온 정보를 정보 저장부(62)에 저장한다(403). 부가적으로, 정보 저장부(62)에는 각 정류장의 알에프 태그로부터 획득한 정보 및 사전에 등록된 기타 정보(예; 비상 시 조치 요령 등)이 저장된다.
그런후, 상기 제어부(65)가 알에프 라이터(63)를 제어, 즉 알에프 라이터(63)로 기록 명령을 내려 정보 저장부(62)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즉, 정류장의 알에프 태그로부터 획득한 정보 및 사전에 등록된 기타 정보)를 능동형 알에프 태그(64)에 기록하도록 명령한다(404).
그에 따라, 상기 알에프 라이터(63)에서 능동형 알에프 태그(64)에 정보(즉, 정류장의 알에프 태그로부터 획득한 정보 및 사전에 등록된 기타 정보)를 기록한다(405). 그리하여, 버스에 설치된 능동형 알에프 태그(64)에 정보[예; 정류장 정보, 환승 정보, 주변 정보(상점 소개, 관광 안내 등), 뉴스, 날씨, 기타 정보(비상 시 조치 요령) 등]이 실시간으로 갱신되어 저장된다. 한편, 버스에 설치되는 알에프 태그는 능동형 알에프 태그(64) 대신에 수동형 알에프 태그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런후, 버스에 설치된 정보 전달 장치(60)의 능동형 알에프 태그(64)에서 전파에 정보를 실어서 외부로 지속적으로 송신한다(406). 부가적으로, 기기 전원 절약을 위해 능동형 알에프 태그(64)에서는 설정 사항(예; 버스가 정류장에서 출발하는 시각과 다음 정류장에 도착하는 시각을 참조하여 전파 송신 시각 설정, 버스 내부의 너비/폭을 참조하여 전파 송신 범위 설정 등)에 따라 전파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후, 버스에 탑승하고 있던 승객 및 새로이 탑승하는 승객이 소지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70)의 알에프 리더(71)에서 정보 전달 장치(60)의 능동형 알에프 태그(64)로부터 전파를 수신받아 이 전파에 실어져 있는 정보를 읽는다(407). 여기서도, 공지의 RFID에서의 송수신 전파에는 상호 식별을 위한 별도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서 인증되지 않은 기기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며, 다른 정보가 읽혀지거나 수신되는 경우에는 정보를 폐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버스에 설치된 정보 전달 장치(60)는 모든 대중에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설치된 기기이므로, 정보 전달 장치(60)의 능동형 알에프 태그(64)가 송신한 전파는 모든 알에프 리더에서 읽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나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70)에서 알에프 리더(71)로부터 읽어 온 정보를 자체 디스플레이에 표시 및 자체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한다(408).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인지하게 된다.
한편, 정보 전달 장치(60)에 수동형 알에프 태그가 구비된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70)의 알에프 리더(71)에서 외부로 전파를 송신하고, 그에 따라 수동형 알에프 태그로부터 반사파를 수신받아 해당 정보를 읽으며, 단말기 전원 절약 등을 위하여 알에프 리더(71)의 전파 송신은 사용자 등에 의한 설정(예; 전파 송신 시간 설정, 전파 송신 지역 설정, 전파 송신 온/오프 기능 설정 등)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를 들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기술자는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원리 및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역 플랫폼(또는 정류장) 등에 최신 정보가 기록된 알에프 태그가 설치된 상태에서 철도 차량(또는 버스) 등에 구비된 알에프 리더, 알에프 라이터 및 알에프 태그로 역 플랫폼(또는 정류장) 등의 최신 정보를 승객에게 제공함으로써, 저렴한 비용과 간단한 장비 구현으로 이동체에 정보 제공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체에 탑승한 승객이 개인 소지한 단말기를 통하여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공받을 수 있음과 아울러 정보를 제대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철도 차량에 설치된 관리 장치의 제어에 의해 각 객차에 설치된 정보 전달 장치로 승객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특정 역 플랫폼 또는/및 철도 노선의 특정 지점에 설치된 알에프 태그(RFID tag)에 기록된 정보를 읽는 알에프 리더(RFID reader);
    상기 알에프 리더에서 읽은 정보가 저장되는 정보 저장부;
    상기 각 정보 전달 장치와의 유선 또는/및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및
    상기 각 정보 전달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기록 명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정보 전달 장치는,
    상기 관리 장치와의 유선 또는/및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상기 관리 장치의 제어에 의해 명령받은 정보를 알에프 태그에 기록하는 알에프 라이터(RFID writer); 및
    상기 알에프 라이터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되, 승객이 소지한 단말기의 알에프 리더로 기 기록된 정보를 전송하는 알에프 태그를 포함하는 RFID를 이용한 이동체로의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역 플랫폼 또는/및 철도 노선의 특정 지점에 설치된 알에프 태그에 기록된 정보는 역 정보, 경유지 정보, 환승 정보, 도착지 소요 시간, 주변 정보(상점 소개, 관광 안내), 뉴스, 날씨 등을 포함하되, 별도의 알에프 라이터에 의해 기록/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이동체로의 정보 제공 시스템.
  3. 버스에 설치된 정보 전달 장치로 승객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전달 장치는,
    특정 정류장 또는/및 버스 노선의 특정 지점에 설치된 알에프 태그(RFID tag)에 기록된 정보를 읽는 알에프 리더(RFID reader);
    상기 알에프 리더에서 읽은 정보가 저장되는 정보 저장부;
    알에프 라이터(RFID writer)를 제어하여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기록 명령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명령받은 정보를 알에프 태그에 기록하는 상기 알에프 라이터; 및
    상기 알에프 라이터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되, 승객이 소지한 단말기의 알에프 리더로 기 기록된 정보를 전송하는 알에프 태그를 포함하는 RFID를 이용한 이동체로의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류장 또는/및 버스 노선의 특정 지점에 설치된 알에프 태그에 기록된 정보는 정류장 정보, 환승 정보, 주변 정보(상점 소개, 관광 안내), 뉴스, 날씨 등을 포함하되, 별도의 알에프 라이터에 의해 기록/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이동체로의 정보 제공 시스템.
  5. 철도 차량에 탑승한 승객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역 플랫폼 또는/및 철도 노선의 특정 지점에 설치된 알에프 태그(RFID tag)에 기록된 정보를 알에프 리더(RFID reader)로 읽는 제 1 단계;
    각 객차에 설치되어 있는 알에프 라이터(RFID writer)에 상기 읽은 정보 기록을 명령하는 제 2 단계;
    상기 각 알에프 라이터로 명령받은 정보를 각 객차에 설치되어 있는 알에프 태그에 기록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각 객차에 설치되어 있는 알에프 태그에 기록된 정보를 승객이 소지한 단말기의 알에프 리더로 전송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RFID를 이용한 이동체로의 정보 제공 방법.
  6. 버스에 탑승한 승객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정류장 또는/및 버스 노선의 특정 지점에 설치된 알에프 태그(RFID tag)에 기록된 정보를 알에프 리더(RFID reader)로 읽는 제 1 단계;
    알에프 라이터(RFID writer)로 상기 읽은 정보를 버스에 설치되어 있는 알에프 태그에 기록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버스에 설치되어 있는 알에프 태그에 기록된 정보를 승객이 소지한 단말기의 알에프 리더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RFID를 이용한 이동체로의 정보 제공 방법.
KR1020050018944A 2005-03-08 2005-03-08 Rfid를 이용한 이동체로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18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944A KR100618520B1 (ko) 2005-03-08 2005-03-08 Rfid를 이용한 이동체로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944A KR100618520B1 (ko) 2005-03-08 2005-03-08 Rfid를 이용한 이동체로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8520B1 true KR100618520B1 (ko) 2006-08-31

Family

ID=37625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944A KR100618520B1 (ko) 2005-03-08 2005-03-08 Rfid를 이용한 이동체로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85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088B1 (ko) 2006-12-26 2008-03-05 한국해양연구원 선박 내 호출 시스템
KR100837246B1 (ko) 2007-02-12 2008-06-11 박인정 정보저장과 변경이 가능한 광고 프레임을 이용한광고/예약/구매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0864076B1 (ko) * 2007-10-30 2008-10-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편의 서비스 동적 발견 방법 및편의 서비스 운영 시스템
KR20150130583A (ko) * 2014-05-13 2015-11-24 (주)에이텍티앤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고속버스 대차 관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088B1 (ko) 2006-12-26 2008-03-05 한국해양연구원 선박 내 호출 시스템
KR100837246B1 (ko) 2007-02-12 2008-06-11 박인정 정보저장과 변경이 가능한 광고 프레임을 이용한광고/예약/구매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0864076B1 (ko) * 2007-10-30 2008-10-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편의 서비스 동적 발견 방법 및편의 서비스 운영 시스템
KR20150130583A (ko) * 2014-05-13 2015-11-24 (주)에이텍티앤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고속버스 대차 관리장치
KR101658922B1 (ko) 2014-05-13 2016-09-23 (주)에이텍티앤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고속버스 대차 관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41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n operator of an emergency response vehicle
US10171956B2 (en) Notificatio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vehicle
KR101167688B1 (ko) 버스 통합단말기 시스템
JP2013210713A (ja) 対話型車内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提供方法
KR100618520B1 (ko) Rfid를 이용한 이동체로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EP249984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passenger information in a vehicle to mobile terminals
US9725104B2 (en) Boarding and alighting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NZ292870A (en) Stationary transponders in traffic control system provide position data and messages to mobile traffic
US7307548B2 (en) Geographical information supply system and method using RFID, and traffic information supply system using RFID
JPH08136272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104392627A (zh) 一种智能交通监控系统
US20080111667A1 (en) System for simplified trailer driver communica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8463390B (zh) 用于向车辆中的信息系统提供信息的系统和方法
KR101566934B1 (ko)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
CN105741562A (zh) 一种基于uhf rfid的车辆管理系统
CN109478872B (zh) 用于控制至少一个声学输出设备的输出音量的方法和装置
CN103593632A (zh) 交通工具的载客识别系统及其实现方法
KR20050055892A (ko)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목적지 알림 정보 송/수신 장치
CN102314620A (zh) 道路信息提示方法、系统及装置
JP2011093432A (ja) 列車検知装置
CN202523105U (zh) 一种基于rfid的车载运输监测系统
KR20110021005A (ko) 하차지점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단말기 및 시스템
JP2004314734A (ja) 携帯端末装置と降車情報通知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降車情報通知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3530933B2 (ja) 交通制御器の制御システム
KR20080086592A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운송수단의 운행정보 안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