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934B1 -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934B1
KR101566934B1 KR1020140038137A KR20140038137A KR101566934B1 KR 101566934 B1 KR101566934 B1 KR 101566934B1 KR 1020140038137 A KR1020140038137 A KR 1020140038137A KR 20140038137 A KR20140038137 A KR 20140038137A KR 101566934 B1 KR101566934 B1 KR 101566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bus
control unit
gett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4134A (ko
Inventor
임진욱
Original Assignee
임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진욱 filed Critical 임진욱
Priority to KR1020140038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934B1/ko
Publication of KR20150114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5Vehicular advertisement
    • G06Q30/0266Vehicular advertisemen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에 있어서, GPS 위성으로부터 버스의 위치 정보와 현재 시간에 대한 GPS 정보를 수신받는 GPS 수신기; 상기 버스 내부에 다수 구성되어 작동시 하차 신호를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하차 스위치와, 상기 하차 스위치 구동시 온/오프되는 하차 램프부와, 상기 하차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해 하차 대기 신호를 전송하는 하차 제어부를 포함하는 하차벨; 상기 광고 콘텐츠가 저장되며, 상기 광고 콘텐츠를 운행중인 버스의 지역별로 할당하고, 버스 노선별로 분류하는 광고 DB; 상기 하차 대기 신호와 GPS 정보와 대응하는 광고 콘텐츠를 광고 DB로부터 추출 및 제공하는 중앙 제어부; 상기 중앙 제어부와 하차 제어부와 연동하여 각각 광고 콘텐츠와 하차 대기 신호를 제공받으며, 하차 대기 신호에 대응하는 하차 안내 메세지 및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음성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 {System for Advertising on Bus}
본 발명은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의 하차를 위해 하차벨을 작동시킬 때, 광고 콘텐츠를 제공함에 따라 버스 내에 광고물을 산만하게 부착할 필요가 없어 버스의 실내 환경을 개선할 수 있고,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도 누구나 손쉽게 지역별 맞춤 광고를 하는 것이 가능하며, 버스의 위치, 진행 방향 및 시간에 상응하는 최적의 광고를 승객 및 보행자 등 광고 수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버스는 일정한 노선에 따라 운행하며, 노선상에는 승객들이 승차 또는 하차하기 위한 다수의 정류장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운송업체에서는 버스 정류장 안내 장치를 설치하여, 각 정류장마다 정류장 이름을 방송함으로써, 승객들이 자신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의 버스 정류장 안내 장치는 정류장 이름을 간략히 방송하므로, 승객들이 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여 듣지 않는 한, 정류장 이름을 듣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광고가 방송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버스를 이용한 광고는 버스 외부에 인쇄된 광고지를 비닐에 덮어 부착하거나, 버스 내부의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전광판에 문자를 표현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버스를 이용하여 광고하는 형태는 인쇄물을 탈부착해야 하는 번거로움, 버스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내용만을 반복하여 광고하는 문제점, 광고의 관리와 실시간의 광고내용 변경의 어려움, 효율적인 광고를 분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4-99030호에는 버스에 타고 있는 승객을 대상으로 위치뿐만 아니라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버스에 탑승하여 버스와 함께 위치를 이동하는 승객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서, 광고수용자가 버스안의 승객으로 한정되고 따라서 즉각적이고 직접적으로 구매 행위로 연결시키기 어려워 광고 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집행되는 광고를 수용하는 승객의 밀집도나, 광고에 대한 승객의 반응을 알기 어렵고 따라서, 시간이나 위치에 따른 광고비의 차별적 책정을 위한 데이터가 얻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4-99030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버스의 하차를 위해 하차벨을 작동시킬 때, 광고 콘텐츠를 제공함에 따라 버스 내에 광고물을 산만하게 부착할 필요가 없어 버스의 실내 환경을 개선할 수 있고,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도 누구나 손쉽게 지역별 맞춤 광고를 하는 것이 가능한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스의 위치, 진행 방향 및 시간에 상응하는 최적의 광고를 승객 뿐만 아니라, 버스의 운행 경로에 위치하는 보행자측으로 광고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차벨 또는 교통카드 단말기에 QR 코드부를 구성하여 하차하는 승객들이 하차벨의 작동에 의해 제공되는 광고 콘텐츠의 더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고 콘텐츠 정보를 지속적으로 하차하는 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기사가 안내방송기기 조작 등에 소요되는 불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운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안내방송 및 광고 콘텐츠의 출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시간대에는 공익광고, 자연의 소리, 라디오, 기타 일반 광고 등이 출력되도록 하여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에 있어서, GPS 위성으로부터 버스의 위치 정보와 현재 시간에 대한 GPS 정보를 수신받는 GPS 수신기; 상기 버스 내부에 다수 구성되어 작동시 하차 신호를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하차 스위치와, 상기 하차 스위치 구동시 온/오프되는 하차 램프부와, 상기 하차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해 하차 대기 신호를 전송하는 하차 제어부를 포함하는 하차벨; 상기 광고 콘텐츠가 저장되며, 상기 광고 콘텐츠를 운행중인 버스의 지역별로 할당하고, 버스 노선별로 분류하는 광고 DB; 상기 하차 대기 신호와 GPS 정보와 대응하는 광고 콘텐츠를 광고 DB로부터 추출 및 제공하는 중앙 제어부; 상기 중앙 제어부와 하차 제어부와 연동하여 각각 광고 콘텐츠와 하차 대기 신호를 제공받으며, 하차 대기 신호에 대응하는 하차 안내 메세지 및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음성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차벨에는 상기 하차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승객의 하차시 출력되는 광고 콘텐츠의 추가 정보가 내장된 QR 코드를 제공하는 하차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차벨에는 하차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광고 콘텐츠와 대응하는 QR 코드를 검색 및 추출하여 중앙 제어부로 전송하는 QR 코드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차벨에는 상기 QR 코드부에 의해 검색된 QR 코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중앙 제어부는 하차 제어부에서 전송하는 하차벨 구동 신호와 수집된 버스의 GPS 정보가 일치하면, 광고 DB에 저장된 지역별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고, 하차벨 구동 신호와 수집된 버스의 GPS 정보가 불일치하면, 상기 광고DB에 저장된 지역별 광고 콘텐츠 정보를 버스 노설별로 분류하여 추출 순서를 재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중앙 제어부는 수집된 GPS 정보를 통해 버스의 다음 정류장과 연결된 지하철 또는 다른 버스의 교통정보를 상기 음성정보 출력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음성정보 출력부는 승객의 승하차를 안내하는 안내 메세지 및 멀티미디어 방송의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안내방송 출력부와, 상기 중앙 제어부에서 전송되는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광고 콘텐츠 출력부와, 상기 중앙 제어부 및 광고 DB에 의해 할당이나 분류되지 않은 일반 광고나, 프로포즈와 같은 이벤트성 음성 정보들을 출력하는 이벤트 출력부와, 상기 중앙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광고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안내방송 출력부, 광고 콘텐츠 출력부, 이벤트 출력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음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음성정보 출력부는 음성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중앙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광고 콘텐츠와 안내방송 메세지를 합성하는 TTS 음성 변환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의 하차를 위해 하차벨을 작동시킬 때, 광고 콘텐츠를 제공함에 따라 버스 내에 광고물을 산만하게 부착할 필요가 없어 버스의 실내 환경을 개선할 수 있고,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도 누구나 손쉽게 지역별 맞춤 광고를 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의 위치, 진행 방향 및 시간에 상응하는 최적의 광고를 승객 뿐만 아니라, 버스의 운행 경로에 위치하는 보행자측으로 광고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차벨 또는 교통카드 단말기에 QR 코드부를 구성하여 하차하는 승객들이 하차벨의 작동에 의해 제공되는 광고 콘텐츠의 더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고 콘텐츠 정보를 지속적으로 하차하는 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기사가 안내방송기기 조작 등에 소요되는 불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운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안내방송 및 광고 콘텐츠의 출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시간대에는 공익광고, 자연의 소리, 라디오, 기타 일반 광고 등이 출력되도록 하여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의 하차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의 음성정보 출력부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의 하차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의 음성정보 출력부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은 GPS 수신기(110), 하차벨(120), 중앙 제어부(130), 광고 DB(140), 버스정보 DB(150), 음성정보 출력부(160), 디스플레이부(170), QR 코드부(180), 인터페이스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GPS 수신기(110)는 GPS 위성(102)으로부터 버스의 위치 정보와 현재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는 것으로, 이러한 GPS 수신기(110)는 별도 구성된 GPS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항법 데이터를 사용하여 버스의 위치를 계산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계산된 버스 위치정보를 중앙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하차벨(120)은 버스 내부에 다수 구성되어 버스 승객이 버스를 하차하기 위해 작동시키는 것으로, 작동시 하차 신호를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하차 스위치(122)와, 하차 스위치(122)의 작동에 따라 온/오프되는 하차 램프부(124), 하차 스위치(122) 및 하차 램프부(124)를 제어하며, 중앙 제어부(130)와 음성 제어부(168)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하차벨(120)을 제어하는 하차 제어부(126) 및 하차 제어부(126)의 제어에 따라 승객의 하차시 출력되는 광고 콘텐츠의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하차 메모리부(1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하차벨(120)에는 승객들에게 광고 콘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70)가 구성되며, 이 디스플레이부(170)는 승객들이 광고 콘텐츠 정보의 추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QR 코드부(180)의 구동에 따라 QR 코드를 출력한다.
여기서, 하차 메모리(128)는 하차 제어부(126)의 제어에 따라 광고 DB(140)에 저장된 광고 콘텐츠들의 추가 정보가 포함되는 QR코드가 저장되어 있어서, 중앙 제어부(130)에서 전송되는 광고 콘텐츠에 대한 QR코드를 디스플레이부(170)측으로 제공한다.
하차 제어부(126)는 하차 스위치(122)의 구동 여부에 따라 하차 램프부(124)의 온/오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다수의 하차벨(1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하차 스위치(122)가 구동하면, 하차 램프부(124)측으로 온 신호와 하차 대기 신호를 출력하여 하차벨(120)의 하차 램프부(124)를 온시킴과 동시에 하차벨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음성정보 출력부(160)측으로 전송한다.
이때, 하차벨 구동 신호는 유무선 통신부(106)를 통해 음성정보 출력부(160)로 전송되며, 바람직하게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Wibro(Wireless brodband internet)등의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음성정보 출력부(160)는 하차 제어부(126)로부터 전송된 하차벨 구동 신호에 따라 안내방송 출력부(162)를 구동하여 일정 시간 동안 비프(beep)가 출력되게 함으로써 버스 운전자에게 승객이 하차 대기 중임을 알린다.
그리고, 승객의 하차를 위해 버스 운전자가 승하차 문 스위치(104)를 작동시키면, 안내방송 출력부(162)를 통해 하차 안내 메세지를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하차 제어부(126)는 하차 스위치(122)의 구동시, 하차벨 구동 신호를 중앙 제어부(130)측으로 전송하고, 중앙 제어부(130)에서는 하차벨 구동 신호에 따라 음성정보 출력부(160)의 음성 제어부(168)와 연동하여 광고 콘텐츠 출력부(164)를 통해 광고 콘텐츠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하차 제어부(126)는 광고 콘텐츠 출력부(164)로부터 출력되는 광고 콘텐츠와 대응되는 QR코드가 하차벨(120)에 구성된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QR 코드부(180)를 구동하여 하차 메모리부(128)에 저장된 QR 코드를 검색 및 출력되도록 한다.
여기서, 승객의 하차시 안내방송 출력부(162)와 광고 콘텐츠 출력부(164)는 음성 제어부(168)의 제어에 따라 교차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다시말해, 광고 콘텐츠 출력부(164)에 의해 광고 콘텐츠가 출력되는 도중에 하차문이 개방되면, 광고 콘텐츠와 안내방송이 동시에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광고 콘텐츠와 안내방송이 순서대로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하차문이 열리면 광고 콘텐츠 진행 도중에, "안녕히가세요" 와 같은 안내 메세지가 안내방송 출력부(162)에 의해 출력되고, 안내 메세지 출력 이후, 버스 노선에 대응하는 지역별 음성 광고 메세지, 프로포즈와 같은 이벤트성 음성 광고 메세지, 광고주에 의해 분류된 일반 광고 메세지를 포함하는 광고 콘텐츠가 출력되고, 광고 콘텐츠의 출력이 완료되면, 안내방송 출력부(162)를 통해 "감사합니다"와 같은 안내 메세지가 재출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차벨(120)이 작동하면, 하차벨 구동 신호가 중앙 제어부(130)와 음성 제어부(168)로 전송되어 중앙 제어부(130)에서는 광고 DB(140)를 통해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고, 음성 제어부(168)에서는 안내방송 출력부(162)를 통해 안내방송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중앙 제어부(130)를 통해 제공되는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승객이 하차벨(120)을 작동시키면, 광고DB(140)에 저장된 광고 콘텐츠와 하차 메모리부(128)에 저장된 QR코드를 각각 음성정보 출력부(160)와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출력하고, 특히 하차 스위치(122)의 구동에 따라 통상적인 안내 메세지와 더불어 특정 광고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버스 내에 광고물을 산만하게 부착할 필요가 없어 버스의 실내 환경을 개선할 수 있고,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도 누구나 손쉽게 지역별 맞춤 광고가 가능할 것이다.
한편, 하차 제어부(126)는 중앙 제어부(130)에서 제공되는 광고 콘텐츠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하차벨(120)의 하차 메모리부(128)로부터 제공받아 교통카드 단말기(300)측으로 전송하여 광고 콘텐츠의 추가 정보를 하차벨(120) 뿐만 아니라, 교통카드 단말기(300)에서도 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교통카드 단말기(300)에는 QR코드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170) 및 광고 콘텐츠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식별하는 QR 코드부(180)가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중앙 제어부(130)는 하차 제어부(126)로부터 전송되는 하차벨 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광고 DB(140)에 저장된 광고 콘텐츠를 음성정보 출력부(160)로 전송하여 광고 콘텐츠 출력부(164)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중앙 제어부(130)는 GPS 수신기(110)로부터 버스의 위치 정보와 현재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버스의 위치를 파악하고, 버스의 현재 위치에 따른 광고 콘텐츠를 광고 DB(140)에서 색인하여 음성정보 출력부(160)의 음성 제어부(168)와 하차 제어부(126)로 전송하여 하차하는 승객에게 광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중앙 제어부(130)는 GPS 수신기(110)와 광고DB(140), 버스정보DB(150) 및 인터페이스부(190)에 연결되어 GPS 수신기(110)로부터 수집된 GPS 정보를 이용하여 시간과 버스의 실시간 위치를 판단하고, 시간 및 버스의 위치에 따라 기설정된 순서로 광고DB(140)에 저장된 광고 콘텐츠를 추출하며, 하차 제어부(126)에서 전송하는 하차벨 구동 신호와 수집된 버스의 GPS 정보가 일치하면, 지역별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고, 하차벨 구동 신호와 수집된 버스의 GPS 정보가 불일치하면, 광고DB(140)에 저장된 지역별 광고 콘텐츠 정보를 버스 노설별로 분류하여 추출 순서를 재배치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중앙 제어부(130)는 GPS 수신기(110)로부터 수신된 버스의 위치정보를 통해 버스정보 DB(150)를 검색하여 버스의 다음 정류장과 연결된 지하철 또는 다른 버스의 교통정보를 하차벨(120) 및 교통카드 단말기(300)로 전송하고, 승객에게 하차하는 정류장의 위치에서 가까운 지하철역의 위치와 구간별 유동 차량의 수, 사고 또는 공사와 같은 교통 장해상황 등을 포함하는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교통정보는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문자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QR코드를 통해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차벨(120)의 구동에 따라 다양한 광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GPS 수신기(110)와 중앙 제어부(130)를 통해 하차벨(120)의 구동시, 하차하는 정류장의 위치에 따른 지역별 광고가 가능하고, QR 코드를 제공하는 방법을 통해 광고 콘텐츠의 추가 정보를 승객에게 전달하여 광고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중앙 제어부(130)는 승객의 하사치, 광고 콘텐츠와 함께 노선에 따른 승하차 안내 방송 정보가 포함되어 출력되는 경우, GPS 수신기(110)에 의하여 파악한 버스의 현 위치가 정차역과 소정 거리 이하로 근접한 때부터 다음 정차역을 향해 소정 거리 이상으로 버스가 운행할 때까지 지역별 광고 콘텐츠와 함께 버스의 노선정보 및 승하차 정류장 정보를 음성정보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광고 DB(140)는 광고주의 정보, 광고주로부터 의뢰된 광고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물 및 해당 광고물의 광고 일정을 포함하는 광고 콘텐츠가 저장되며, 이 광고 콘텐츠를 운행중인 버스의 지역별로 할당하고, 버스 노선별로 광고 콘텐츠를 분류하여 저장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역별로 광고 콘텐츠를 할당하는 것은 광고주의 선택에 따라서 광고가 수행될 지역을 선택하여 분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예컨대, 광고 콘텐츠의 주요 고객층이 서울시에 집중되어 있다면 광고주는 서울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지역의 선택은 구, 군, 동 등으로 선택할 수 있다.
버스정보 DB(150)는 승하차 안내 방송 정보, 전자 노선 데이터, 버스 노선, 버스 정류장, 버스 업체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중앙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음성정보 출력부(160)의 안내방송 출력부(162)로 제공한다.
음성정보 출력부(160)는 안내방송 출력부(162), 광고 콘텐츠 출력부(164) 및 이벤트 출력부(166), 음성 제어부(168)를 포함하며, TTS 음성 변환부(262)와, 음성 인터페이스부(26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내방송 출력부(162)는 음성 제어부(168)의 제어에 따라 승객의 승하차를 안내하는 안내 메세지, 통상의 라디오와 같은 멀티미디어 방송의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다.
광고 콘텐츠 출력부(164)는 음성 제어부(168)의 제어에 따라 중앙 제어부(130)에서 전송되는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벤트 출력부(166)는 음성 제어부(168)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며, 중앙 제어부(130) 및 광고 DB(140)에 의해 할당이나 분류되지 않은 일반 광고나, 프로포즈와 같은 일반인들이 행하는 각종 이벤트성 음성 정보들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광고 콘텐츠 출력부(164) 및 이벤트 출력부(166)는 버스의 내부 뿐만 아니라, 버스 외부에도 설치되어 음성 제어부(168)의 제어에 따라 버스위 외부로 다양한 광고 콘텐츠를 출력함으로써, 버스실내 뿐만 아니라 버스실외의 광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음성 제어부(168)는 하차벨(120)의 작동 여부에 따라 각각의 출력부들(162, 164, 166)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고, 중앙 제어부(130)로부터 전송되는 광고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안내방송 출력부(162), 광고 콘텐츠 출력부(164), 이벤트 출력부(166)의 구동 시간을 제어한다.
TTS 음성 변환부(262)는 음성 제어부(168)의 제어에 따라 중앙 제어부(130)로부터 전송되는 광고 콘텐츠와 안내방송 메세지를 합성하거나, 안내방송 메세지, 광고 콘텐츠 및 이벤트 콘텐츠를 각각 합성하여 각각의 출력부들(162, 164, 166)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TTS라 함은 음성합성(Text-to-Speech)을 의미하는 것으로, 말소리의 음파를 기계가 자동으로 만들어 내는 기술로, 모델로 선정된 사람의 말소리를 녹음하여 일정한 음성 단위로 분할하고, 부호를 붙여 합성기에 입력하였다가 지시에 따라 필요한 음성단위만을 다시 합쳐 말소리를 인위로 만들어내는 기술로서, 언어의 모든 음소에 대한 발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연결시켜 연속된 음성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때 음성의 크기, 길이, 높낮이 등을 조절해 자연스러운 음성을 합성해 내는 것으로 이를 위해 자연어 처리기술을 일컫는다. 특히, 텍스트로 입력된 문서의 문법적 구조를 분석한 후 분석된 문서 구조에 의하여 사람이 읽는 것과 같은 운율을 생성하고, 생성된 운율에 따라서 저장된 발음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단위들을 모아서 합성음을 생성하는 파형합성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인터페이스부(190)는 USB 포트, 시리얼 입출력 포트와 같이 PC, 노트북, 넷북, 차량용 네비게이션 단말기, 스마트폰, 휴대전화기 등 단말기에 적용되는 공지의 각종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진 입력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은 버스의 하차를 위해 하차벨(120)을 작동시킬 때, 기저장된 광고 콘텐츠를 안내방송과 함께 제공함에 따라 버스 내에 광고물을 산만하게 부착할 필요가 없어 버스의 실내 환경을 개선할 수 있고, 버스의 위치, 진행 방향 및 시간에 상응하는 최적의 광고를 승객 뿐만 아니라, 버스의 운행 경로에 위치하는 보행자측으로 광고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하차벨(120) 또는 교통카드 단말기(300)에 QR 코드부(180)를 구성하여 하차하는 승객들이 하차벨(120)의 작동에 의해 제공되는 광고 콘텐츠의 더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고 콘텐츠 정보를 지속적으로 하차하는 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GPS 수신기 120: 하차벨
122: 하차 스위치 124: 하차 램프부
126: 하차 제어부 128: 하차 메모리부
130: 중앙 제어부 140: 광고 DB
150: 버스정보 DB 160: 음성정보 출력부
162: 안내방송 출력부 164: 광고 콘텐츠 출력부
166: 이벤트 출력부 168: 음성 제어부
170: 디스플레이부 180: QR 코드부

Claims (8)

  1.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에 있어서,
    GPS 위성으로부터 버스의 위치 정보와 현재 시간에 대한 GPS 정보를 수신받는 GPS 수신기;
    상기 버스 내부에 다수 구성되어 작동시 하차 신호를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하차 스위치와, 상기 하차 스위치 구동시 온/오프되는 하차 램프부와, 상기 하차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해 하차 대기 신호를 전송하는 하차 제어부와, 상기 하차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승객의 하차시 출력되는 광고 콘텐츠의 추가 정보가 내장된 QR 코드를 제공하는 하차 메모리부와, 상기 하차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광고 콘텐츠와 대응하는 QR 코드를 검색 및 추출하여 중앙 제어부로 전송하는 QR 코드부 및 상기 QR 코드부에 의해 검색된 QR 코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하차벨;
    상기 광고 콘텐츠가 저장되며, 상기 광고 콘텐츠를 운행중인 버스의 지역별로 할당하고, 버스 노선별로 분류하는 광고 DB;
    상기 하차 대기 신호 및 GPS 정보와 대응하는 상기 광고 콘텐츠를 광고 DB로부터 추출 및 제공하고, 상기 하차 제어부에서 전송하는 하차벨 구동 신호와 수집된 버스의 GPS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광고 DB에 저장된 지역별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하차벨 구동 신호와 수집된 버스의 GPS 정보가 불일치하면, 상기 광고DB에 저장된 지역별 광고 콘텐츠 정보를 버스 노설별로 분류하여 추출 순서를 재배치하며, 버스의 다음 정류장과 연결된 지하철 또는 다른 버스의 교통정보를 상기 하차벨 및 교통카드 단말기로 전송하여 승객에게 하차하는 정류장의 위치에서 가까운 지하철역의 위치와 구간별 유동 차량의 수, 사고 또는 공사와 같은 교통 장해상황을 포함하는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중앙 제어부;
    상기 중앙 제어부와 하차 제어부와 연동하여 각각 상기 광고 콘텐츠와 하차 대기 신호를 제공받으며, 하차 대기 신호에 대응하는 하차 안내 메세지 및 상기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해 승객의 승하차를 안내하는 안내 메세지 및 멀티미디어 방송의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안내방송 출력부와, 상기 중앙 제어부에서 전송되는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광고 콘텐츠 출력부와, 상기 중앙 제어부 및 광고 DB에 의해 할당이나 분류되지 않은 일반 광고나, 프로포즈와 같은 이벤트성 음성 정보들을 출력하는 이벤트 출력부와, 상기 중앙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광고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안내방송 출력부, 광고 콘텐츠 출력부, 이벤트 출력부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음성 제어부로 구성된 음성정보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제어부는 상기 광고 콘텐츠가 출력되는 도중에 하차문이 개방되면, 상기 광고 콘텐츠와 안내방송이 동시에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광고 콘텐츠와 안내방송이 순서대로 출력되도록 상기 안내방송 출력부와 상기 광고 콘텐츠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수집된 GPS 정보를 통해 버스의 다음 정류장과 연결된 지하철 또는 다른 버스의 교통정보를 상기 음성정보 출력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정보 출력부는 음성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중앙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광고 콘텐츠와 안내방송 메세지를 합성하는 TTS 음성 변환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
KR1020140038137A 2014-03-31 2014-03-31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 KR101566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137A KR101566934B1 (ko) 2014-03-31 2014-03-31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137A KR101566934B1 (ko) 2014-03-31 2014-03-31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134A KR20150114134A (ko) 2015-10-12
KR101566934B1 true KR101566934B1 (ko) 2015-11-09

Family

ID=54346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137A KR101566934B1 (ko) 2014-03-31 2014-03-31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9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368A (ko) 2019-09-04 2021-03-12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근거리무선통신에 의하여 버스노선안내도맵을 스마트폰앱에 출력하도록 비콘 무선근거리통신장치가 내장된 버스하차벨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963B1 (ko) * 2016-12-29 2020-09-17 김종기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인터렉티브 광고매체
CN111125293B (zh) * 2019-12-31 2021-07-09 南京市城市与交通规划设计研究院股份有限公司 公交网络模型自动生成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0813A (ja) * 2009-03-26 2010-10-14 Denso It Laboratory Inc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030105B1 (ko) * 2010-06-08 2011-04-21 태드 주식회사 Gps와 인터넷을 이용한 버스 내부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101273299B1 (ko) * 2012-05-08 2013-06-11 권순호 버스 내장형 비스 단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0813A (ja) * 2009-03-26 2010-10-14 Denso It Laboratory Inc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030105B1 (ko) * 2010-06-08 2011-04-21 태드 주식회사 Gps와 인터넷을 이용한 버스 내부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101273299B1 (ko) * 2012-05-08 2013-06-11 권순호 버스 내장형 비스 단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368A (ko) 2019-09-04 2021-03-12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근거리무선통신에 의하여 버스노선안내도맵을 스마트폰앱에 출력하도록 비콘 무선근거리통신장치가 내장된 버스하차벨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134A (ko) 201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19278B (zh) 语音识别装置及显示方法
CN103676826B (zh) 一种用语音控制车载智能系统的方法
JP5862152B2 (ja) 緊急情報告知システム
JP2009205485A (ja) 乗降車通知方法及び乗降車通知システム
WO2021008479A1 (zh) 音频的生成及播放方法和系统、中控系统、音频播放设备
CN104200803A (zh) 一种语音播放方法、装置及系统
CN110333682B (zh) 一种远程自动化音频控制中控系统及其音频播放控制方法
KR101566934B1 (ko)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
KR101167688B1 (ko) 버스 통합단말기 시스템
WO2017138019A1 (en) City transit solution
CN102789694A (zh) 一种公交车自动报站系统
Levinson The reliability of transit service: An historical perspective
KR101787077B1 (ko) 미디어보드를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및 교통정보 제공방법
CN104296767A (zh) 一种汽车导航推荐车线引导的方法
JP2004334581A (ja) 乗合車両の乗降支援装置およびその通信方法
KR100875678B1 (ko) 목적지 기반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815125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200424389Y1 (ko) 버스 노선 안내 표지 장치
JP6507718B2 (ja) 案内システム、案内方法、及び案内プログラム
KR101375522B1 (ko) 중앙버스전용차로 교통정보 안내장치
KR20120039979A (ko)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도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KR20110088866A (ko)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H03138515A (ja) 交通情報表示装置
JP4666091B2 (ja) 車載用情報提供装置及び車載用情報提供方法
CN202711484U (zh) 一种公交车自动报站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