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105B1 - Gps와 인터넷을 이용한 버스 내부 광고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Gps와 인터넷을 이용한 버스 내부 광고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105B1
KR101030105B1 KR1020100054018A KR20100054018A KR101030105B1 KR 101030105 B1 KR101030105 B1 KR 101030105B1 KR 1020100054018 A KR1020100054018 A KR 1020100054018A KR 20100054018 A KR20100054018 A KR 20100054018A KR 101030105 B1 KR101030105 B1 KR 101030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advertisement
information
advertisements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현
Original Assignee
태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4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1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5Vehicular advertis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7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 G05D1/027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using satellite positioning signals, e.g. G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S와 인터넷을 이용한 버스 광고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버스 광고 운영 서버가 제공하는 사이트에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접속한 광고주 단말로부터 버스의 노선에 따른 지역별 광고물을 수신하는 제 1 단계; 버스에 설치된 GPS 수신기에 의해 버스의 현 위치를 추적하고, 이를 상기 버스 광고 운영 서버가 수신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현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지역별 광고물을 추출하여 버스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전송된 지역별 광고물이 버스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고주는 버스 광고 운영 서버가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기만 하면 언제든지 손쉽게 지역별 광고물을 등록 신청하여 버스 내부 광고에 참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GPS와 인터넷을 이용한 버스 내부 광고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ADVERTISING INSIDE BUS USING GPS AND INTERNET}
본 발명은 GPS와 인터넷을 이용한 버스 내부 광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GPS를 이용하여 버스의 현 위치를 추적하고, 버스의 현 위치에 기초하여 노선에 따른 지역별 광고물을 버스로 전송함으로써, 버스 내부에 설치된 전자 게시판 형태의 출력부(광고용 디스플레이)를 통해 지역별 광고물을 버스 승객에게 노출시킬 수 있는 버스 내부 광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광고주가 버스 광고 운영 서버가 제공하는 인터넷 상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손쉽게 지역별 광고물을 등록 신청할 수 있고, 이로써 버스 내부의 광고용 디스플레이 상에서 광고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는 버스 내부 광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대중 교통 수단 자체나 대중 교통 수단의 노선에 설치된 정류장은 광고를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과거에는 버스 정류장 등의 고정된 장소에 비전자적인 광고 게시판을 설치하고 거기에 영화 포스터 등의 광고물을 작업자가 직접 부착하는 방식으로 광고를 게시하였으나, 최근에는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 기술 및 인터넷 기술의 발전에 따라 대중 교통 수단이나 정류장, 기차역 등의 장소에 LCD 디스플레이, 터치 스크린 등의 전자적인 오디오/비디오 인터페이스를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자화된 멀티미디어 광고물을 출력하는 형태로 광고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한 예로서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한국등록특허 제214087호(이하 "선행문헌1")를 들 수 있는바, 선행문헌1은 고속으로 이동하는 대중교통수단이나 고정장소에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설치하여 일반 대중에게 무선호출망을 이용하여 생활정보, 정류장 안내방송, 또는 동화상 광고나 동화상·정지화상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운전에 대한 집중도 저하를 방지하고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며 승객에게 다양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선행문헌1에 따른 정보제공시스템은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제 1 수신 수단; 문자 무선호출망으로부터 문자 정보와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제 2 수신 수단; 상기 제 2 수신 수단에서 수신한 문자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저장 수단; 운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되는 정보와 상기 제 2 수신 수단에서 수신한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제 2 저장 수단; 상기 이동체의 이동 위치에 따른 위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 3 저장 수단; 상기 이동체의 현재 이동 위치를 안내 방송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 4 저장 수단; 상기 제 1 및 제 2 저장 수단에서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제 1 수신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와 상기 제 3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 4 저장 수단의 안내 방송 정보를 출력하도록 스케쥴러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 수단; 상기 제 1, 제 2 및 제 4 저장 수단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 및 상기 제 2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원격으로 운용하고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상기 문자 무선호출망을 통하여 상기 제 2 수신 수단으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중 교통 수단 중에서도 특히 버스를 이용하여 전자적인 광고를 실행하는 기술도 제시되어 있는바, 그 예로는 "버스 광고 시스템"에 관한 한국등록특허 제946164호(이하 "선행문헌2")를 들 수 있다.
선행문헌2는 GPS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버스에 실시간 동적 영상 광고하는 버스 광고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버스 광고 시스템은 광고주로부터 의뢰된 광고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광고 정보를 버스의 광고 대상 지역별로 할당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저장된 상기 광고 정보를 GPS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받아 상기 버스에 동적 영상 이미지로 구현되는 LED 및 LCD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한 표시부;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상기 광고 정보를 상기 GPS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버스의 위치정보를 상기 GPS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송신하는 무선통신 송·수신기; 지역별 상기 광고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의 지역별 상기 광고 정보를 상기 버스의 제 1 근거리 지역에 위치한 상기 광고주의 사업장에 대한 광고 정보만을 분리하여 상기 표시부에 구현되게 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선행문헌들은 버스 등의 대중 교통 수단이나 정류장에 멀티미디어 동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것을 전제로 하여, GPS 위성과 무선호출망 혹은 GPS 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대중 교통 수단의 노선에 따른 지역별 광고를 실행한다는 점에서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한편, 대중 교통 수단에 장시간 머물러 있는 승객들에게 지역적으로 연관성 있는 광고를 최대한 많은 시간 노출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위 선행문헌들은 몇 가지 문제점을 간과하고 있는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선행문헌1 및 2에 따른 대중 교통 수단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으로는 광고주가 자유롭게 광고물을 등록하고 조회하는데 한계가 있다. 선행문헌1이나 선행문헌2에 따른 광고 시스템은 모두 광고물이 시스템 내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음을 전제로 하고 있을 뿐, 대중 교통 광고를 실행하는 시스템이 광고주로부터 광고물을 어떻게 수신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효과적인 수단을 전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기업체는 물론이고 심지어 일반 개인까지도 인터넷을 이용한 광고에 참여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광고주로부터 광고물을 효과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시스템을 대중 교통 수단에서의 광고에 대해서까지 적용할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선행문헌1 및 2에 따른 광고 시스템은 대중 교통 수단 내에서 광고가 이루어질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인 문제점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한계가 있다. 즉, 택시나 버스와 같은 대중 교통 수단은 물리적으로 독립된 광고 공간으로서 활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광고용 디스플레이를 위한 전력 공급은 모두 택시나 버스 등의 대중 교통 수단 내에서 자체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특히 버스와 같이 광고용 디스플레이를 설치할 공간이 비교적 많은 경우에는 효과적인 광고를 위해 보다 많은 광고용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하루 최소한 12~14시간 이상 광고용 디스플레이를 구동시켜야 하는데, 이 경우 과도한 전력 소모로 인해 자칫 버스의 배터리가 방전되어 버스의 고장이나 예기치 못한 운행 중단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까지 감안하여 버스 광고 시스템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 외에도 버스의 시동이 운전자의 조작 실수 등으로 인하여 의도하지 않게 꺼지거나, 최근 연비 절감을 위해 버스에 탑재되고 있는 공회전 방지 시스템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버스의 시동이 꺼지는 경우, 혹은 날씨나 터널 등의 도로 상황에 따라 버스 내부의 밝기가 달라지는 등 대중 교통 수단의 운행 상황 중에 특유하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감안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광고용 디스플레이를 운영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GPS를 이용하여 버스의 현 위치를 추적하고, 버스의 현 위치에 기초하여 노선에 따른 지역별 광고물을 버스로 전송함으로써, 버스 내부에 설치된 전자 게시판 형태의 출력부(광고용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지역별 광고물을 버스 승객에게 노출시킬 수 있는 버스 내부 광고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광고주는 버스 광고 운영 서버가 제공하는 인터넷 상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언제든지 손쉽게 지역별 광고물을 등록 신청할 수 있고, 이로써 버스 내부에서 광고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는 웹 기반의 버스 내부 광고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버스 내부에 다수의 광고용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상황에서도 배터리 방전과 같은 버스 운행 상의 문제점을 유발하지 않고 안정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광고용 디스플레이를 운영할 수 있는 버스 내부 광고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버스의 운행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버스 내부의 밝기 변화에 관계없이 승객이 편안하게 광고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 내부 광고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GPS와 인터넷을 이용한 버스 광고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버스 광고 운영 서버가 제공하는 사이트에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접속한 광고주 단말로부터 버스의 노선에 따른 지역별 광고물을 수신하는 제 1 단계; 버스에 설치된 GPS 수신기에 의해 버스의 현 위치를 추적하고, 이를 상기 버스 광고 운영 서버가 수신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현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지역별 광고물을 추출하여 버스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전송된 지역별 광고물이 버스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전송된 지역별 광고물을 버스 내에 설치된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저장된 지역별 광고물과 상기 전송된 지역별 광고물을 비교하여 노선에 따른 지역별 광고물이 업데이트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역별 광고물은 플래시 기반의 동영상 광고, 정지 영상 광고, 스트리밍되는 속보 영상 광고물, 음성 광고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광고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전자화된 노선 정보 및 노선에 따른 승하차 안내 방송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노선 정보 및 상기 승하차 안내 방송 정보는 상기 버스의 현 위치가 정차역과의 소정 거리 이하로 근접한 때부터 다음 정차역을 향해 소정 거리 이상으로 버스가 운행할 때까지 상기 지역별 광고물 대신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버스의 좌석 헤드레스트 후면 및 버스의 내벽면 상에 복수개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출력부 상에는 하차벨 버튼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버스가 소정 시간 이상 정차한 경우에 공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버스의 시동을 일시적으로 오프시키는 공회전 방지 시스템이 상기 버스에 적용되어 있는 경우에, 버스의 배터리 잔량이 소정 레벨 이하이면 적어도 상기 출력부에 대한 전원을 강제로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광고주 단말이 버스의 노선에 따른 지역별 광고물을 업로드할 수 있도록 인터넷 상에서 웹 사이트를 제공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버스 광고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버스 내부 광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버스 광고 운영 서버는, 버스에 설치된 GPS 수신기에 의해 추적되는 버스의 현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수신된 현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지역별 광고물을 추출하여 버스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전송된 지역별 광고물이 버스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부 및 상기 GPS 수신기와 접속되어 있는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지역별 광고물과 상기 전송된 지역별 광고물을 비교하여 노선에 따른 지역별 광고물이 업데이트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버스에는, 적어도 상기 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와 접속되어 전원 관리를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관리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출력부에 대한 전원은 버스의 시동이 오프된 경우에도 소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만 상기 전원 관리부에 의하여 차단 제어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버스가 소정 시간 이상 정차한 경우에 공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버스의 시동을 일시적으로 오프시키는 공회전 방지 시스템이 상기 버스에 적용되어 있고, 이 경우 상기 전원 관리부는 버스의 배터리 잔량이 소정 레벨 이하이면 적어도 상기 출력부에 대한 전원을 강제로 차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고주 단말이 버스의 노선에 따른 지역별 광고물을 업로드할 수 있도록 인터넷 상에서 웹 사이트를 제공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버스 광고 운영 서버와 무선 접속이 가능하도록 버스 내부에 설치되는 시스템으로서, 버스 내에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지역별 광고물을 승객에게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위성과 통신하여 버스의 현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GPS 수신기; 버스 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출력부에 대한 그래픽 출력을 제어하는 그래픽 컨트롤러; 지역별 광고물 및 노선 안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GPS 수신기, 그래픽 컨트롤러 및 메모리와 접속하고, 상기 버스의 현 위치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버스 광고 운영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지역별 광고물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인 시스템; 및 버스의 배터리 레벨을 검출하는 배터리 레벨 측정부를 포함하는 전원 관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내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내부 시스템은 상기 전원 관리부는 버스 내부의 광량을 검출하는 밝기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밝기 감지부에 의하여 검출된 버스 내부의 밝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부의 화면 밝기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가 자체적으로 탑재하고 있는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버스의 현 위치를 추적하고 해당 정보를 버스 광고 운영 센터로 통보하는 한편, 버스 광고 운영 센터측에서는 버스의 현 위치에 기초하여 노선에 따른 지역별 광고물을 버스로 전송함으로써, 버스 내부에 설치된 전자 게시판 형태의 광고용 디스플레이를 통해 지역별 광고물을 버스 승객에게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광고주는 버스 광고 운영 서버가 제공하는 인터넷 상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기만 하면 손쉽게 지역별 광고물을 등록 신청할 수 있고, 버스 광고 운영 센터측에서 광고 등록을 승인할 경우에는 언제든지 버스 내부에서 멀티미디어 광고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어, 웹 기반의 버스 내부 광고 방법 및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 내부에 다수의 광고용 디스플레이가 설치되거나 공회전 방지 시스템이 적용된 상황에서도, 배터리 방전 등으로 인한 버스 운행 상의 문제점을 유발하지 않고, 버스 내부 시스템의 다운 없이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광고용 디스플레이를 운영할 수 있는 버스 광고 방법 및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의 운행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버스 내부의 밝기 변화에 관계없이 승객이 편안하게 광고를 시청하게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버스 내에 광고물을 산만하게 부착할 필요가 없어 버스라는 대표적인 대중 교통 수단의 실내 환경을 개선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내부 광고 시스템을 구축해 놓기만 하면 광고주들은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도 손쉽게 지역별 맞춤 광고를 하는 것이 가능하며, 자영업자나 개인을 포함하여 누구든지 버스 광고에 쉽게 참여할 수 있어 버스 내부 광고가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수단으로도 활용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내부 광고 시스템(900)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내부 광고 시스템(900)에 적용되는 버스 내부 시스템(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버스 내부에 설치되는 광고용 디스플레이(출력부, 220)의 예시적인 설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버스 내부의 광고용 디스플레이(220)를 통해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광고 및 노선 안내의 다양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내부 광고 시스템(900)에 있어서 버스의 배터리 전압 강하 및 공회전 방지 시스템에 대처하여 광고용 디스플레이(200)의 전원을 운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내부 광고 시스템(900)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내부 광고 시스템(900)은 GPS 위성(100), GPS 위성(10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버스의 현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버스 내부 시스템(200)이 장착된 하나 이상의 버스, 버스 내부 시스템(200)이 인터넷(400)에 무선 접속할 수 있도록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무선 기지국(300)을 포함하고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적용하는 무선 기지국(300)의 통신 방식은 버스의 이동성을 감안하여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adband)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버스 내부 시스템(200)과 인터넷(400)의 무선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와이맥스(Wi-Max), 모바일와이맥스(Mobile Wi-Max) 등 공지의 무선 통신 기술 중 하나를 사용하거나, 둘 이상의 공지의 무선 통신 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광고주 단말(500)은 인터넷(400)에 접속하여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 광고 운영 센터(600)가 제공하는 웹 사이트 상에서 전자적인 형태의 광고물 파일을 등록 신청하는 구성요소이다. 광고주 단말(500)은 PC, 노트북, 넷북(Netbook), 휴대전화기나 스마트폰, PDA 등 유선 혹은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모든 형태의 단말기를 포함하며, 그 이용 주체는 기업, 관공서뿐만 아니라 개인사업자 혹은 일반 개인이 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광고물 혹은 전자 광고물이라 함은 플래시 기반의 동영상 광고, 정지 영상 광고, 스트리밍되는 영상 광고물, 음성 광고물, 속보 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광고물일 수 있으며, 디지털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하여 적어도 시각적으로 출력 가능한 모든 전자적인 매체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광고물이 될 수 있다.
나아가 광고주 단말(500)이 버스 광고 운영 센터(600)가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업로드하는 광고물은 예컨대 "강남역 ○○ 성형외과", "삼성역 △△ 영화관" 등 버스 노선의 정차역에 기초하여 해당 정차역에서 승하차하는 버스 승객에게 최대의 광고 효과를 줄 수 있도록 선택된 지역별 광고물이다. 어떤 노선의 어느 정차역에서 어떤 광고물을 언제 출력할 것인지는 기본적으로 광고주 단말(500)이 설정할 문제이지만, 버스 광고 운영 센터(600)가 광고물이 출력되는 지역, 일정(광고 시간대 포함), 광고 내용물 등에 대하여 선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선정적이거나 폭력적인 내용의 광고물의 경우 버스 광고 운영 센터(600)에 의하여 광고 계약이 거절되거나 광고가 출력되는 시간대가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버스 광고 운영 센터(600)는 예컨대 포털 사이트 형식의 버스 광고 운영을 위한 웹 사이트를 제공함으로써 광고주 단말(500)로부터 광고물을 웹 기반으로 접수하고, 무선 기지국(300)을 통해 버스 내부 시스템(200)과 연동하여 버스의 현 위치, 광고 출력 현황, 차량 내부 상태 등에 관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구성요소이다. 버스 광고 운영 센터(600)의 웹 사이트가 포털 사이트인 경우, 해당 웹 사이트는 회원제로 운영될 수 있으며, 현재 어떤 노선의 어느 정차역에서 어떤 광고물이 어느 시간대에 출력되고 있는지 등의 버스 광고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웹 사이트에 접속한 이용자들이 검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광고주 단말(500)이 회원으로서 로그인한 경우에는 예컨대 자사의 광고 현황, 남은 광고 일수, 광고료 정산 내역, 광고료 결제 정보 등의 정보를 버스 광고 운영 센터(600)측에서 서비스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또한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 광고 운영 센터(600)는 운영 단말(610), 모니터링 서버(620), 다운로드 서버(630), 데이터베이스 서버(640), 웹/어플리케이션 서버(650) 및 통신/위치정보 서버(660)를 포함할 수 있다.
운영 단말(610)은 광고주 단말(500)로부터 접수한 광고물을 다운로드 서버(630)로 업로드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단말이다. 모니터링 서버(620)는 버스에서 구동 중인 버스 내부 시스템(200)에 관한 상태 정보를 예컨대 와이브로 등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버스 내부 시스템(200)의 상태 정보를 버스 광고 운영 센터(600)의 관제 요원에게 출력해 주는 서버로서, 와이브로를 통해 원격으로 버스 내부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무선으로 버스 내부 시스템(200)을 컨트롤하는 기능도 탑재하고 있다.
다운로드 서버(630)는 버스 광고 운영 센터(600)의 웹 사이트 상에서 업로드된 전자적인 형태의 광고물 파일을 저장하는 서버로서, 후술하는 통신/위치정보 서버(660)측에서 다운로드 서버(630)에 접속하여 광고물 파일을 다운로드해서 사용할 수 있게끔 광고물 파일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640)는 버스 광고 운영 센터(600)의 웹 사이트에서 생성, 가공된 정보 및 통신/위치정보 서버(660)에서 변경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서버이다.
웹/어플리케이션 서버(650)는 버스 노선, 버스 정류장, 버스 업체, 광고주의 정보 및 광고 일정 관리, 전자 광고물 파일의 등록 등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내부 광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를 생성, 가공 및 관리하는 서버로서, 버스 광고 운영 센터(600)의 웹 사이트를 관리하고, 웹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운용하는 서버이다.
통신/위치정보 서버(660)는 데이터베이스 서버(640)에 접속하여 등록된 전자 광고물 정보를 XML로 생성하고, 다운로드 서버(630)에 접속해서 전자적인 형태의 광고물 파일을 버스 내부 시스템(200)으로 전송하며, 그러한 전송 내역과 관련된 업데이트 사항을 데이터베이스 서버(640)를 이용하여 업데이트하는 서버이다. 또한, 버스 내부 시스템(200)의 GPS 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버스의 위치 정보를 예컨대 와이브로 무선 기지국(300)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버스의 현 위치를 정확하게 기록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상 살펴본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스 광고 운영 센터(600)는 웹 사이트 상에서 광고주 단말(500)이 광고주의 광고물 파일 및 해당 광고물에 대한 광고 일정을 등록 신청할 수 있도록 하고, 광고주 단말(500)이 등록 신청한 광고물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서버(640)를 이용하여 관리하며, 해당 광고물 파일은 다운로드 서버(630)에 업로드된다. 또한, 버스 광고 운영 센터(600)는 통신/위치정보 서버(660)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640)에 접속해서 광고 일정을 XML로 제작하고, 다운로드 서버(630)에 접속하여 광고물 파일을 다운로드해서 버스 내부 시스템(200)으로 전송하며, 광고 일정에 대한 변경 사항에 대해서는 데이터베이스 서버(640)에 해당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으로 버스 내부 광고를 실행한다.
참고로 도 1에서 버스 광고 운영 센터(600)는 단말, 데이터베이스 및 서버를 포함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버스 광고 운영 센터(600)가 수행하는 다양한 역할을 반드시 물리적으로 분리된 서버나 데이터베이스가 담당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버스 광고 운영 센터(600)의 동작을 기술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된 단일의 "버스 광고 운영 서버"로서 버스 광고 운영 센터(60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점에 주의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내부 광고 시스템(900)에 적용되는 버스 내부 시스템(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내부 시스템(200)은 메인 시스템(210), 입식 혹은 좌식의 형태로 설치되는 출력부(220, 광고용 디스플레이) 및 전원 관리부(230)로 구성되어 있다. 참조번호 240은 버스에 탑재되는 차량용 배터리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250은 버스 운전자가 배터리의 공급을 온/오프할 수 있도록 기존의 버스 운전석쪽에 설치되는 운전자 배터리 스위치를 나타낸다.
먼저 메인 시스템(210)을 살펴보면, 메인 시스템(210)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내부 광고 방법을 실행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메인 CPU(211)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광고용 디스플레이(220)에 멀티미디어 광고물을 출력하기 위하여 그래픽 처리를 담당하는 그래픽 컨트롤러(212), GPS 위성(100)으로부터 버스의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213), 버스 광고 운영 센터(600)와의 와이브로 무선 통신을 위한 와이브로 모듈(214), 광고물 및 광고 일정, 승하차 안내 방송 정보, 전자 노선 데이터 등의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15), 메인 시스템(210)에 대한 전원의 온/오프를 담당하는 전원 스위치(216) 및 버스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광고용 디스플레이(220)와의 RS485 시리얼 통신프로토콜을 지원하는 RS485 통신 모듈(217)을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에 있어서 기기 간의 통신 방식이 RS485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RS485나 기타 기기 간의 통신을 위하여 적용 가능한 공지의 어떠한 프로토콜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이 외에 메인 시스템(210)은 USB 포트, 시리얼 입출력 포트와 같이 PC, 노트북, 넷북, 차량용 네비게이션 단말기, 스마트폰, 휴대전화기 등 단말기에 적용되는 공지의 각종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진 주변 입력부(218)를 구비할 수 있다.
참고로 메인 시스템(210)의 CPU(211)는 메모리(215)에 저장된 지역별 광고물과 버스 광고 운영 센터(600)에 의하여 전송된 지역별 광고물을 비교함으로써 노선에 따른 지역별 광고물이 업데이트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버스 광고 운영 센터(600)측에서 광고물의 내용, 광고 일정 등이 수정 혹은 삭제된 경우에 이러한 변동 내역을 버스 내부 광고에 반영하기 위함이다.
한편, 메모리(215)에 전자화된 노선 정보 및 노선에 따른 승하차 안내 방송 정보가 포함된 경우, 메인 시스템(210)은 GPS 수신기(213)에 의하여 파악한 버스의 현 위치가 정차역과 소정 거리 이하로 근접한 때부터 다음 정차역을 향해 소정 거리 이상으로 버스가 운행할 때까지 지역별 광고물 대신에 혹은 지역별 광고물과 함께 노선 정보 및 승하차 안내 방송 정보를 출력부(220)가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출력부(220)는 버스 내에서 서 있거나 좌석에 앉아 있는 승객에게 광고물을 노출시키기 위하여 복수개 설치되는 광고용 디스플레이로서, 예컨대 RS485 통신 모듈(226)을 통해 메인 시스템(210)과 제어 신호를 주고 받는다. 또한, 출력부(220)는 광고용 보드(혹은 게시판)로서의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221)를 포함하며, 멀티미디어 광고물을 비디오 출력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및 광고물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하는 LCD 모듈(222)을 구비한다. LCD 모듈(222)은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223)와 접속되어 있다. 이 외에도 출력부(220)는 스피커(미도시)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컨트롤(224) 및 멀티미디어 광고물 파일이나 상기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 버스 노선 정보 따위의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25)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버스 내부에 설치되는 광고용 디스플레이(출력부, 220)의 예시적인 설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부(220)는 하차벨 버튼(227)을 포함할 수 있다. 하차벨 버튼(227)이 설치된 경우에는, 예컨대 승객이 하차벨 버튼(227)을 누르면 버스 운전석에 설치된 운전자용 디스플레이(미도시) 상에 하차할 승객이 있음을 통보하는 메세지가 출력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승객은 버스 내부 광고를 시청하다가 버스가 정차역에 근접하였을 때 LCD 모듈(222) 상에 나타나는 버스 노선 안내를 보고서 하차벨 버튼(227)을 눌러 하차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로, 버스 운전자에게 하차벨을 통보하는 운전자용 디스플레이는 버스 내부 시스템(200)과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기존의 버스 운전석에 탑재되어 있는 LED 등과 같은 장치가 하차벨 버튼(227)과 연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점에 주의한다.
참고로 도 3에 도시한 광고용 디스플레이(220)는 버스에 설치된 각 좌석의 헤드레스트 후면에 설치되는 좌식 타입이지만, 이 외에도 벽걸이 타입이나 천정에 설치되는 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광고용 디스플레이(22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버스 내부에 복수의 광고용 디스플레이(22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광고용 디스플레이(220)가 설치되는 위치마다 서로 다른 광고물을 출력할 수도 있고, 모든 화면 상에서 동일한 광고물이 출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나아가, 예컨대 버스의 하차문측의 벽면에 설치된 광고용 디스플레이(220c, 도 5 참조)에서는 서울시 광고나 선거 방송, 공익 광고 등의 특정한 광고물만 노선 내내 계속해서 출력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입식 광고용 디스플레이(220)는 17인치의 공익 홍보용 디스플레이(220c, 도 5 참조)와 17인치의 일반 광고용 디스플레이(220a, 도 5 참조) 2가지 방식으로, 그리고 좌식 광고용 디스플레이(220)는 8인치의 일반 광고용 디스플레이(220b, 도 5 참조) 1가지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으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버스 내부의 광고용 디스플레이(220)를 통해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광고 및 노선 안내의 다양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의 경우, 광고용 디스플레이(220) 상에는 동영상 멀티미디어 광고물(281)과 버스 노선 안내를 위한 텍스트 정보(282)가 2분할된 화면으로 출력되고 있다. 도 4b의 경우, 작게 리사이즈된 동영상 멀티미디어 광고물(283) 및 전자 버스 노선표(284)가 서로 다른 크기로 화면 분할되어 출력된다.
다음으로 도 4c의 경우, 동영상 멀티미디어 광고물(283)이 작은 화면으로 출력되는 한편, 승객이 현재의 정차역과 다음 정차역을 한눈에 알 수 있도록 하는 텍스트 안내 메세지(285)가 출력되고 있다. 도 4d의 경우, 동영상 멀티미디어 광고물(283)이 텍스트 안내 메세지(285)와 일부 오버랩되는 형태로 출력되는 한편, 버스 승객의 주의 사항 등 기타 안내 정보(286)가 한 화면에 동시 출력된다. 끝으로 도 4e는 버스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지도(287) 및 버스 이동 경로선(288)이 실시간으로 동영상 출력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광고용 디스플레이(220)를 활용하는 다양한 예가 도 4a 내지 도 4e에 나타나 있지만, 광고용 디스플레이(220)의 활용예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고용 디스플레이(220)는 공지의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버스 내부 시스템(200)에 있어서 메인 시스템(210)과 출력부(220)는 전원 관리부(230)와 RS485 통신 모듈(232)을 통해 제어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관리부(230)는 버스의 배터리 공급을 온/오프하기 위하여 버스의 운전석에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운전자 배터리 스위치(250)와 접속되어 있으며, 운전자 배터리 스위치(250)는 버스의 배터리(240)와 접속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메인 시스템(210)과 출력부(220)의 전원은 전원 관리부(230)로부터의 전원 관리용 제어 신호에 의하여 온/오프되는 것이다.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전원 관리부(230)는 광고용 디스플레이(220)와 메인 시스템(210)의 전원을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을 탑재하는 CPU(231)를 포함하며, 이 외에도 전원 전환/노이즈 필터링 회로부(233), 밝기 감지부(234), 배터리 레벨 측정부(235)를 포함하고 있다.
전원 전환/노이즈 필터링 회로부(233)는 전원의 노이즈로 인한 버스 내부 시스템(200)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구성요소이다. 버스의 차량 전원은 배터리로서 직류 전원이기는 하지만, 엔진이나 기타 차량 내부의 직·간접적인 전원선이나 전력선 사용부에 의한 노이즈가 상당 부분 주전원인 배터리 전원에 포함되어 노이즈 성분을 띠는 형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배터리(240)의 전원을 버스 내부 시스템(200)과 같은 전자 기기에 직접 인가하면 노이즈로 인하여 전원 효율이 떨어지고 기기가 오동작할 수 있다. 전원 전환/노이즈 필터링 회로부(233)는 주 전원인 배터리(240)의 노이즈 성분을 필터링하여 버스 내부 시스템(200)의 각 컴포넌트들이 제대로 동작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밝기 감지부(234)는 예컨대 버스 내 운전석 주위의 밝기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다가 주위 환경이 급격히 어두워지거나 밝아질 경우에 해당 밝기 정보를 기준으로 광고용 디스플레이(220)의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승객이 광고용 디스플레이(220)를 시청하는데 피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원 관리부(230)는 운전석 주위에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밝기 감지부(234)는 전원 관리부(230)가 탑재되는 보드에 외장형 광센서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밝기 감지부(234)는 RS485 통신 모듈(232)을 통해 메인 시스템(210)으로 광센서의 밝기 검출값을 전달하게 된다. 다시 메인 시스템(210)은 적절한 밝기 변경 신호를 생성한 다음 RS485 통신 모듈(217)을 이용하여 출력부(220)에 해당 값을 전달하고, 이로써 CPU(221) 및 신호 처리부(223)로 하여금 광센서의 밝기 검출값에 따라 적절한 화면 밝기로 광고물이나 노선 정보가 출력되도록 LCD 모듈(222)을 제어한다.
배터리 레벨 측정부(235)는 기본적으로는 배터리(240)의 전압 상태를 측정하는 구성요소이지만, 단순히 배터리(240)의 잔량만을 측정하는 것은 아니고, 현재 휴대전화기 등에서 배터리의 잔량을 체크하기 위해 적용되고 있는 회로 및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다. 이로써 배터리 레벨 측정부(235)는 전압, 전류, 온도 등의 요소를 감안하여 현재의 배터리(240) 잔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터리(240)의 전원은 그 부하량(혹은 사용량)에 따라 전압 강하가 심하게 일어나는데, 예를 들면 엔진 시동을 걸 때 순간적으로 많은 전압 강하가 일어난다고 해서 배터리를 폐기해야하는 수준으로 판단하면 안 되는 것과 같이, 단순히 전압의 레벨뿐만 아니라 당시 부하량과 온도에 따른 배터리(240) 특성의 변화 부분을 고려하여 배터리(240)의 레벨을 측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배터리 레벨 측정부(235)는 배터리(240)를 교체해야 할 시점인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레벨 측정부(235)가 판정하는 배터리(240)의 레벨은 배터리(240)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가 아니라, 버스의 엔진 시동이 오프되어 있을 때의 값, 다시 말해 순수 부하가 걸린 경우의 값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버스 내부 광고 시스템(900)에 있어서 버스의 배터리 전압 강하 및 공회전 방지 시스템에 대처하여 광고용 디스플레이(220)의 전원을 운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예컨대 버스 내부에는 벽걸이 형태의 입식 광고용 디스플레이(220a, 220c) 및 좌석의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좌식 광고용 디스플레이(220b)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버스 내부 광고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메인 시스템(210)과 광고용 디스플레이(220)에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는데, 광고용 디스플레이(220)가 복수개 설치된 경우에는 전력이 많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버스 내부 시스템(200)은 오직 버스의 배터리(24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만 의지해야 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것이다.
참고로 도 5는 2개의 전원 관리부(230a, 230b)를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처럼 복수개의 전원 관리부(230a, 230b)를 설치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예컨대, 좌식 광고용 디스플레이(220b) 10개와 입식 광고용 디스플레이(220a 및 220c) 6개의 총 소비 전력을 300W로 구성하고, 이를 버스 내의 좌측열과 우측열에 각각 설치한다고 가정할 경우, 좌우열의 광고용 디스플레이(220)에서 소모되는 합산 전력은 600W급으로 될 것이고, 여기에 예컨대 메인 시스템(210)의 소비 전력 70W까지 합하면 총 소비 전력은 670W가 된다. 이때 예컨대 굳이 700W용 전원 관리부(230)를 하나만 사용할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400W 혹은 500W짜리 전원 관리부(230)를 2개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저상 버스나 신형 버스의 경우 좌석수가 과거의 버스에 비하여 적은 편이고 광고용 디스플레이(220)를 장착할 만한 공간이 적은 버스도 있는데, 이 경우 전원 관리부(230)는 하나만 있어도 될 것이고, 반대로 좌석이 40개가 넘는 버스의 경우에는 전원 관리부(230)를 3개까지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므로, 버스의 종류에 따라 혹은 광고용 디스플레이(220)의 설치 규모에 따라 전원 관리부(230)를 유동적으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전원 관리부(230a, 230b)가 수행하는 동작을 버스의 운행 상황에 따라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공회전 및 재시동의 경우
버스가 정차하여 공회전하거나 시동을 껐다가 다시 켜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배터리(240)의 전압 강하(예컨대 평소 24V인 전원이 공회전 시에 상태가 좋지 못한 배터리의 경우에는 14V로 강하함)가 일어나게 된다. 이 경우 일반적인 버스라면 문제가 없겠지만,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내부 시스템(200)을 장착한 버스는 복수의 광고용 디스플레이(220a 내지 220c)가 전력을 많이 소모하고 있기 때문에, 예컨대 14V의 전압만으로는 버스 내부 시스템(200)이 다운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원 관리부(230a, 230b)는 버스 내부 시스템(200)에 적용되는 각 컴포넌트들의 구동 전원 범위를 예컨대 12V 내지 30V의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버스가 공회전하거나 재시동하는 등의 어떠한 상황에서라도 비정상적으로 광고용 디스플레이(220)나 메인 시스템(210)이 오프되는 일이 없도록 구성된다.
(2) 메인 시스템의 온
본 발명에 있어서 메인 시스템(210)이 온으로 되는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즉, 운전자가 운전자 배터리 스위치(250)를 온으로 하고, 키를 돌려 ACC ON으로 한 경우에, 이로부터 소정의 시간(예컨대 10초 내지 30초) 동안 ACC ON이 유지된 이후에 광고용 디스플레이(220a 내지 220c)에 전원이 공급된다. 그리고 메인 시스템(210)은 운전자 배터리 스위치(250)가 온으로 되고 KEY ON이 소정 시간(예컨대 10초 이상) 유지된 경우에만 온으로 된다.
위와 같이 구성하는 것은 조작 실수 및 예기치 못한 정전기에 의하여 ACC ON으로 되는 상황마다 메인 시스템(210)을 구동시키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실제로 버스를 운행할 상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한해서만 메인 시스템(210) 및 광고용 디스플레이(220a 내지 220c)를 구동하도록 여유 시간을 두기 위함이다.
(3) 메인 시스템의 오프
메인 시스템(210)이 오프되는 경우는 위 (2)의 경우와 반대이다. 즉, 광고용 디스플레이(220a 내지 220c)는 ACC 및 운전자 배터리 스위치(250)가 오프된 이후 소정 시간(예컨대 30초) 이후에 오프되고, 메인 시스템은 KEY OFF 후 소정 시간(예컨대 30초) 뒤에 자동으로 오프되도록 구성된다.
(4) 공회전 방지 시스템이 적용된 경우
최근 배기 가스 절감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버스에 적용되기 시작한 공회전 방지 시스템(미도시)은 일반적으로 버스가 신호 대기 등으로 정차하고 있을 때 시동을 잠시 오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공회전 방지 시스템에 의하여 버스 시동이 일시적으로 오프되는 경우라도 차량의 ACC 전원은 온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황(즉, 일시적인 시동 오프 상황)에서 메인 시스템(210) 및 광고용 디스플레이(220a 내지 220c)는 전적으로 배터리(240)의 잔여 전원을 끌어 쓸 수밖에 없어 배터리(240)가 완전 방전해 버릴 위험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이 실험한 결과 버스에 10여개 이상의 광고용 디스플레이(220)를 장착한 상태에서도 신호 대기 시간이 약 10~20분 정도인 경우까지 배터리(240)가 완전 방전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았으나, 배터리(240)의 성능이나 노후 정도에 따라 배터리(240)가 완전 방전하게 될 가능성을 완벽하게 배제하지는 못하므로, 이에 대비할 필요성은 있다. 즉, 배터리 레벨 측정부(235)에 의해 일정 레벨 이하의 배터리 잔량이 체크되는 경우에는 전원 관리부(230)가 메인 시스템(210) 및 광고용 디스플레이(220a 내지 220c)의 전원을 강제로 오프시키는 것이다. 배터리(240)가 완전 방전되는 것은 버스 운행 중단이나 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240)의 잔량이 일정 수준 이하이면 차라리 버스 광고를 중단하더라도 버스의 운행이나 안전을 우선시하기 위함이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함이 아니라는 점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컨대 도 5의 경우 광고용 디스플레이(220a 내지 220c)가 버스의 내부에 좌식 및 입식으로 설치되는 경우만을 도시하였으나, 버스의 외벽면에 광고용 디스플레이(미도시)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지역별 광고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버스에 자체적으로 CCTV 등의 전자 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내부 시스템(200)이 이들 전자 기기와 연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첨부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개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어야 할 것이다.
100 GPS 위성 200 버스 내부 시스템
210 메인 시스템
220, 220a, 220b, 220c 광고용 디스플레이
230, 230a, 230b 전원 관리부
240 배터리
250 운전자 배터리 스위치
300 무선 기지국 400 인터넷
500 광고주 단말
600 버스 광고 운영 센터
610 운영 단말 620 모니터링 서버
630 다운로드 서버 640 데이터베이스 서버
650 웹/어플리케이션 서버
660 통신/위치정보 서버
900 버스 내부 광고 시스템

Claims (19)

  1. GPS와 인터넷을 이용한 버스 광고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버스 광고 운영 서버가 제공하는 사이트에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접속한 광고주 단말로부터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버스의 노선에 따른 지역별 광고물을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버스에 설치된 GPS 수신기에 의해 버스의 현 위치를 추적하고, 이를 상기 버스 광고 운영 서버가 수신하는 제 2 단계;
    상기 수신된 현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지역별 광고물을 추출하여 버스로 전송함으로써, 버스 내의 좌석 헤드레스트 후면 및 버스의 내벽면 상에 복수개 설치된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전송된 지역별 광고물이 출력되도록 하고, 전자화된 노선 정보 및 노선에 따른 승하차 안내 방송 정보와 함께 상기 전송된 지역별 광고물을 버스 내에 설치된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하는 제 3 단계;
    상기 버스 광고 운영 서버는, 상기 버스 내에 설치된 배터리 레벨 측정부가 버스가 소정 시간 이상 정차한 경우에 공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버스의 시동을 일시적으로 오프시키는 공회전 방지 시스템으로 인해 버스의 배터리 잔량이 소정 레벨 이하라고 판정한 정보를 전송받는 경우, 상기 출력부에 대한 전원을 강제로 차단하도록 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버스 광고 운영 서버는, 적어도 버스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배터리 잔량과 상기 출력부가 소모하는 총 소비 전력량을 상기 출력부의 구동 전원 범위를 결정함에 있어서 반영하고, 또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지역별 광고물과 상기 전송된 지역별 광고물을 비교하여 노선에 따른 지역별 광고물이 업데이트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레벨 측정부는 버스의 엔진 시동이 오프된 때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배터리 잔량을 측정하고,
    상기 노선 정보 및 상기 승하차 안내 방송 정보는 상기 버스의 현 위치가 정차역과의 소정 거리 이하로 근접한 때부터 다음 정차역을 향해 소정 거리 이상으로 버스가 운행할 때까지 상기 지역별 광고물 대신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역별 광고물은 플래시 기반의 동영상 광고, 정지 영상 광고, 스트리밍되는 속보 영상 광고물, 음성 광고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광고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 상에는 하차벨 버튼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광고주 단말이 버스의 노선에 따른 지역별 광고물을 업로드할 수 있도록 인터넷 상에서 웹 사이트를 제공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버스 광고 운영 서버와 무선 접속이 가능하도록 버스 내부에 설치되는 시스템으로서,
    버스 내의 좌석 헤드레스트 후면 및 버스의 내벽면 상에 복수개 설치된 출력부;
    위성과 통신하여 버스의 현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GPS 수신기; 상기 출력부에 대한 그래픽 출력을 제어하는 그래픽 컨트롤러; 상기 지역별 광고물, 상기 버스의 이동 경로와 승하차 역에 관한 정보를 각각 반영한 전자화된 노선 안내 정보 및 승하차 안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GPS 수신기, 그래픽 컨트롤러 및 메모리와 접속하고, 상기 버스의 현 위치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버스 광고 운영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지역별 광고물을 상기 전자화된 노선 안내 정보 및 상기 승하차 안내 정보와 함께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인 시스템;
    버스의 엔진 시동이 오프된 때를 기준으로 하여 버스의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는 배터리 레벨 측정부; 및
    버스가 소정 시간 이상 정차한 경우에 공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버스의 시동을 일시적으로 오프시키는 공회전 방지 시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잔량이 소정 레벨 이하이면 상기 출력부에 대한 전원을 강제로 차단하고, 상기 노선 정보 및 상기 승하차 안내 방송 정보에 대해서는 상기 버스의 현 위치가 정차역과의 소정 거리 이하로 근접한 때부터 다음 정차역을 향해 소정 거리 이상으로 버스가 운행할 때까지 상기 지역별 광고물 대신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또한, 적어도 상기 배터리 레벨 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되는 상기 배터리 잔량과 상기 출력부에 의하여 소모되는 총 소비 전력량에 의하여 상기 출력부의 구동 전원 범위를 조정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지역별 광고물과 상기 버스 광고 운영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지역별 광고물을 비교함으로써 노선에 따른 지역별 광고물의 업데이트 여부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 광고 운영 서버로 회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00054018A 2010-06-08 2010-06-08 Gps와 인터넷을 이용한 버스 내부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101030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018A KR101030105B1 (ko) 2010-06-08 2010-06-08 Gps와 인터넷을 이용한 버스 내부 광고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018A KR101030105B1 (ko) 2010-06-08 2010-06-08 Gps와 인터넷을 이용한 버스 내부 광고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0105B1 true KR101030105B1 (ko) 2011-04-21

Family

ID=44050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018A KR101030105B1 (ko) 2010-06-08 2010-06-08 Gps와 인터넷을 이용한 버스 내부 광고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1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400B1 (ko) * 2015-01-14 2015-05-12 송치헌 대중교통 탑승객을 위한 비콘 기반의 콘텐츠 마켓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566934B1 (ko) * 2014-03-31 2015-11-09 임진욱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
KR20180079192A (ko) * 2016-12-29 2018-07-10 김종기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인터렉티브 광고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148Y1 (ko) * 2002-01-10 2002-04-1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자동차 배터리 방전 방지 시스템
KR20040010456A (ko) * 2003-12-18 2004-01-31 백두산 버스광고시스템
KR20080067722A (ko) * 2006-12-22 2008-07-22 이해승 차량을 이용한 광고방법 및 그 광고 시스템
KR20090013258A (ko) * 2006-12-15 2009-02-05 주식회사 케이티 위치 및 시간 기반의 모바일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148Y1 (ko) * 2002-01-10 2002-04-1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자동차 배터리 방전 방지 시스템
KR20040010456A (ko) * 2003-12-18 2004-01-31 백두산 버스광고시스템
KR20090013258A (ko) * 2006-12-15 2009-02-05 주식회사 케이티 위치 및 시간 기반의 모바일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67722A (ko) * 2006-12-22 2008-07-22 이해승 차량을 이용한 광고방법 및 그 광고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934B1 (ko) * 2014-03-31 2015-11-09 임진욱 하차벨을 이용한 버스 광고 시스템
KR101518400B1 (ko) * 2015-01-14 2015-05-12 송치헌 대중교통 탑승객을 위한 비콘 기반의 콘텐츠 마켓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80079192A (ko) * 2016-12-29 2018-07-10 김종기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인터렉티브 광고매체
KR102156963B1 (ko) * 2016-12-29 2020-09-17 김종기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인터렉티브 광고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171B1 (ko) 버스정보시스템의 버스 도착 시간 표출 장치 및 방법
US10589699B2 (en) Power and communication modes for digital license plate
US7167106B2 (en) Methods and systems utilizing a programmable sign display located in proximity to a traffic light
CN201716867U (zh) 智能公交电子站牌
CN103077672A (zh) 地理位置相关的公交广告发布系统
US20140052537A1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for Transit Vehicles
US20120028599A1 (en) Emergency alert notification and response
WO2012051043A2 (en) Traffic light electronic display interface system and method
US20060119535A1 (en) Variable sig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3093641A (zh) 在移动终端实现停车场信息查询的方法及其服务器
CN202816155U (zh) 能够提供公交车行驶信息的服务器及公交车站牌
US20060068840A1 (en) Event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CN102117542A (zh) 一种公交多功能电子站牌控制系统
CN110796467A (zh) 广告系统及信息处理方法
US20090210150A1 (en) Method for smart announcing of bus stop
KR101030105B1 (ko) Gps와 인터넷을 이용한 버스 내부 광고 방법 및 시스템
CN103618838B (zh) 一种利用移动终端辅助驾驶的方法及系统
US11321739B2 (en) Mobile advertisement systems and mobile advertisement platforms using the same
CN105023423A (zh) 基于mas系统的大城市寒地智能公交系统
US20050043885A1 (en) Data processing system for provisioning transit stops uin a transmit system
CN109285018B (zh) 移动广告系统及其使用方法
CN111199657A (zh) 一种电子站牌终端系统
KR101960751B1 (ko) 원샷 제어기능·양방향 커뮤니케이션망 기능을 갖는 스마트 버스 통합 제어 장치
KR20000054620A (ko)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대중교통 수단의 정보제공 방법 및그 시스템
CN105938658B (zh) 用于提醒预设路段拥堵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