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8390B1 -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 그것을 구비한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 그것을 구비한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8390B1
KR100618390B1 KR1020050003263A KR20050003263A KR100618390B1 KR 100618390 B1 KR100618390 B1 KR 100618390B1 KR 1020050003263 A KR1020050003263 A KR 1020050003263A KR 20050003263 A KR20050003263 A KR 20050003263A KR 100618390 B1 KR100618390 B1 KR 100618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conductivity
developing roller
deposit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2904A (ko
Inventor
신중광
김유만
주혜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3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8390B1/ko
Priority to US11/292,111 priority patent/US7406274B2/en
Publication of KR20060082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21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by modifying the orientation or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26Orientation of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현상시 현상롤러상에 디포지트되는 현상제량(M/A)을 균일하게 제어하는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는 액체현상제의 도전율을 측정하는 제1센서와 액체현상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2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에서 측정된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현상롤러 및/또는 디포지트롤러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가 현상시 현상롤러 및/또는 디포지트롤러에 인가하는 전압을 액체현상제의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제어함으로서 현상롤러에 디포지트되는 현상제량(M/A)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현상롤러상에 형성되는 현상제층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액체현상제, 현상롤러, 디포지트롤러, 도전율, 농도, 현상제량, 전하량, 균일

Description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developer-amount control apparatus of developing roller,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same, and developer-amount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일반적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와 현상제량 제어유닛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가 적용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개략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와 현상제량 제어유닛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에 적용되는 액체현상제의 도전율과 농도에 대응하는 전하량(Q/M)을 예시하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에 적용되는 액체현상제의 도전율과 전하량(Q/M)에 대응하는 현상제량(M/A)을 예시하는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에 적용되는 액체현상제의 도전율과 현상제량(M/A)에 대응하는 디포지트벡터(V)를 예시하는 그래프.
도 8는 도 3에 도시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화상형성방법의 프로세스 를 예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9은 도 8에 도시한 화상형성방법의 프로세스의 현상제층 형성단계에서 수행하는 현상제량 제어모드를 예시하는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프린터
105, 105K, 105C, 105M, 105: 화상형성유닛
109, 109K, 109C, 109M, 109Y: 감광체 110: 전사유닛
117: 화상전사벨트 121: 정착유닛
130: 배지유닛 150: 클리닝유닛
148K, 148C, 148M, 148Y: 액체현상제 149: 현상제화상
170: 현상제량 제어유닛 171, 172: 센서
173, 173K, 173C, 173M, 173Y: 센서부 174: 제어부
177: 메모리부
본 발명은 액체현상제를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상시 현상롤러상에 디포지트되는 현상제량(M/A; Mass per area)을 균일하게 제어하는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는 감광벨트 또는 감광드럼과 같은 감광체에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시키고, 소정의 칼라를 가진 현상제로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현상제화상을 형성한 뒤, 기록지와 같은 화상수용매체에 전사시켜 원하는 화상을 얻는다.
이러한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는 사용하는 현상제의 종류에 따라 습식과 건식으로 나누어 지며, 습식의 경우에는 액체상태의 휘발성분의 캐리어에 분말상태의 토너가 혼합된 액체현상제가 현상제로 사용된다.
도 1은 액체현상제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는 화상형성유닛(5), 및 현상제량 제어유닛(70)을 구비한다.
화상형성유닛(5)은 칼라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소정 칼라, 예컨대 블랙(K), 시안(C), 마젠타(M), 및 옐로우(Y) 칼라의 화상을 현상하는 네 개의 화상형성유닛, 즉 K, C, M, 및 Y 화상형성유닛으로 구성된다.
K, C, M, 및 Y 화상형성유닛(5)은 각각, OPC 드럼(organic photoconductive drum)과 같은 감광체(9), 감광체(9)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감광체(9)의 표면을 소정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12), 및 대전된 감광체(9)의 표면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저전위부의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11)를 구비한다.
감광체(9)의 아래쪽에는, 소정 칼라를 가진 예컨대 3 내지 20 %solid의 농도의 액체현상제(48)로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예컨대 20 내지 25 %solid의 농도의 현 상제화상(49; 도 2 참조)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장치(13)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장치(13)는 저장부(6), 현상롤러(7), 디포지트(deposit) 롤러(14), 메터링(metering) 롤러(15), 및 크리닝롤러(16)를 구비한다.
저장부(6)는 예컨대 3-20 solid %의 농도를 갖는 액체현상제(48)를 저장한다. 현상롤러(7)는 감광체(9) 하부에 설치되고, 디포지트롤러(14)는 현상롤러(7) 하부에 설치된다. 디포지트롤러(14)는 현상롤러(7)와 함께 액체현상제(48)에 소정의 전기력을 작용하여 현상롤러(7)와 디포지트롤러(14) 사이에 전위차(△V), 즉 디포지트벡터(V; Vector)를 형성하고, 이에 의해 액체현상제(48)를 현상롤러(7)상에 디포지트하여 예컨대 12 내지 20 %solid의 농도와 일정한 현상제량(M/A)을 갖는 현상제층을 형성한다. 메터링롤러(15)는 디포지트롤러(14) 위쪽에서 현상롤러(7) 상부에 설치된다. 메터링롤러(15)는 디포지트롤러(14)에 의해 현상롤러(7)에 디포지트된 현상제층에 소정 압력을 가하여 일정한 두께를 현상제층으로 메터링하고, 현상제층에 소정의 전기력을 작용하여 현상제층이 메터링롤러(15)에 부착되지 않고 현상롤러(7)상에 유지되도록 한다.
현상롤러(7)상에 디포지트된 현상제층이 감광체(9)와 현상롤러(7) 사이의 닙(nip)으로 이송되어 서로 접촉할 때, 감광체(9)에 형성된 저전위부의 정전잠상과 현상롤러(7) 사이에는 소정의 전위차가 형성된다. 감광체(9)의 정전잠상은 이 전위차에 의해 정전잠상에 대응하는 현상제층의 부분이 부착되어 현상제화상(49)으로 현상된다.
크리닝롤러(16)는 디포지트롤러(14)가 설치된 현상롤러(7)의 반대쪽 하부에 설치된다. 크리닝롤러(16)는 감광체(9)의 정전잠상이 현상롤러(7)의 현상제층에 의해 현상된 후 현상롤러(7)에 남아있는 잔류 현상제를 크리닝한다.
이러한 종래의 프린터(1)는 현상시 디포지트롤러(14)에 의해 현상롤러(7)상에 디포지트되는 현상제량(M/A)을 균일하게 제어하기 위해, 현상롤러(7) 및/또는 디포지트롤러(14)에 인가되는 전압을 결정하는 디포지트벡터(V)를 액체현상제(48)의 도전율(Conductivity)을 토대로 제어하는 현상제량 제어장치(70)를 더 포함한다.
현상제량 제어장치(70)는 센서부(71), 메모리부(77), 및 제어부(74)로 구성된다.
센서부(71)는 K, C, M, 및 Y 화상형성유닛(5)의 각 현상장치(13)의 저장부(6)내에 액체현상제(48)에 잠기도록 설치되어 액체현상제(48)의 도전율을 측정하는 도전율센서로 구성된다.
메모리부(77)는 실험에 의해 도전율에 따라 목표 현상제량(M/A)을 형성할 수 있는 값으로 미리 결정된 복수의 디포지트벡터(V)값을 저장한다.
제어부(74)는 각각의 센서부(71)에 의해 측정된 도전율에 따라 메모리부(77)에 저장된 디포지트벡터(V)값 중에서 상응하는 값을 선택하여, 그에 따라 현상롤러(7) 및/또는 디포지트롤러(14)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그러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현상제(48)의 도전율은 일반적으로, 농도(% Solid)에 달라지고, 또 동일한 농도라 하더라도 전하량(Q/M; Coulomb per mass)에 따라 다른 달라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롤러(7)상에 디포지트되는 현상제량(M/A)은 액체현상제(48)의 도전율에 따라 달라지고, 또 동일한 도전율이라 하더라도 액체현상제(48)의 전하량(Q/M)에 따라 다른 달라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디포지트벡터(V)를 도전율에 의해서만 결정할 경우, 현상롤러(7)상에 실제로 디포지트되는 현상제량(M/A)은 액체현상제(48)의 농도 및/또는 전하량(Q/M)이 변화함에 따라, 목표 현상제량(M/A)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경우, 현상롤러(7)상에 형성되는 현상제층은 일정한 현상제량(M/A)으로 균일하게 형성되지 못하게 된다. 그 결과, 화상농도, 균일성, 도트재현성, 라인재현성, 칼라 개멧(Gamet) 등과 같은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화상의 품질은 저하된다.
현상시 디포지트벡터(V)값을 제어하는 다른 방법으로, 농도를 토대로 디포지트벡터(V)를 제어하는 현상제량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알려져있다.
그러나, 이 현상제량 제어장치 역시, 액체현상제(48)의 농도만을 사용하여 디포지트벡터(V)값을 결정하므로, 액체현상제(48)의 도전율을 토대로 디포지트벡터(V)값을 제어하는 현상제량 제어장치(70)와 마찬가지로, 현상롤러(7)상에 실제로 디포지트되는 현상제량(M/A)은 액체현상제(48)의 도전율 및/또는 전하량(Q/M)이 변화함에 따라, 목표 현상제량(M/A)과 달라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현상롤러(7)상에 형성되는 현상제층은 일정한 현상제량(M/A)으로 균일하게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현상시 현상롤러(7)상에 디포지트되는 현상제량(M/A)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제어하여 현상롤러(7)상에 형성되는 형상제층이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디포지트벡터(V)를 도전율 또는 농도과 같이 한 가지 요소로 결정하기 보다는, 도전율, 농도, 전하량(Q/M) 등과 같이 현상제량(M/A)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요소를 감안하여 결정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시 현상롤러 및/또는 디포지트롤러에 인가되는 전압을 액체현상제의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제어함으로서 현상롤러상에 디포지트되는 현상제량(M/A)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 그것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상시 현상롤러 및/또는 디포지트롤러에 인가되는 전압을 액체현상제의 도전율과 농도, 및 그에 따라 예측된 현재의 전하량(Q/M)과 현상제량(M/A)에 따라 제어함으로서 현상롤러상에 디포지트되는 현상제량(M/A)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 그것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는 액체현상제의 도전율을 측정하는 제1센서와 액체현상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2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에서 측정된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현상롤러 및/또는 디포지트롤러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센서부는 제1센서는 액체현상제의 도전율을 전기적으로 측정하는 도전율센서를 포함하고, 제2센서는 액제현상제의 농도를 광학적으로 측정하는 농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상제량 제어장치는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미리 결정되고, 현상롤러 및/또는 디포지트롤러에 인가하는 전압을 결정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는 센서부에서 측정된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데이터 중에서 상응하는 값을 선택하여 현상롤러 및/또는 디포지트롤러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한다.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미리 결정된 복수의 전하량(Q/M)값, 전하량(Q/M)값과 도전율에 따라 미리 결정된 복수의 현상제량(M/A)값, 및 현상제량(M/A)값과 도전율에 따라 미리 결정되고, 현상롤러상의 현상제량(M/A)을 목표 현상제량(M/A)으로 제어하는 복수의 디포지트벡터(V)값을 포함한다. 여기서, 디포지트벡터(V)값은 디포지트롤러와 현상롤러 사이의 전위차값이다. 이때, 제어부는 센서부에서 측정된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응하는 전하량(Q/M)값으로부터 현재 전하량(Q/M)을 예측하고, 예측된 현재 전하량(Q/M)과 측정된 도전율에 따라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응하는 현상제량(M/A)값으로부터 현재 현상제량(M/A)을 예측하고, 예측된 현재 현상제량(M/A)과 측정된 도전율에 따라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응하는 디포지트벡터(V)값으로부터 디포지트벡터(V)를 결정한 다음, 결정된 디포지트벡터(V)에 따라 현상롤러와 디포지트롤러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미리 결정되고, 현상롤러상의 현상제량(M/A)을 목표 현상제량(M/A)으로 제어하는 복수의 디포지트벡터(V)값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포지트벡터(V)값은 디포지트롤러와 현상롤러 사이의 전위차값이다. 이때, 제어부는 센서부에서 측정된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응하는 디포지트벡터(V)값으로부터 디포지트벡터(V)를 결정하고, 결정된 디포지트벡터(V)에 따라 현상롤러와 디포지트롤러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정전잠상에 액체현상제를 부착하여 가시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롤러, 및 현상롤러에 액체현상제를 디포지트하여 현상체층을 형성하는 디포지트롤러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유닛: 및 디포지트롤러에 의해 현상롤러에 디포지트되는 현상제량(M/A)을 균일하게 제어하는 현상제량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현상제량 제어유닛은 액체현상제의 도전율을 측정하는 제1센서와 액체현상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2센서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 및 센서부에서 측정된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현상롤러 및/또는 디포지트롤러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센서부는 제1센서는 액체현상제의 도전율을 전기적으로 측정하는 도전율센서를 포함하고, 제2센서는 액제현상제의 농도를 광학적으로 측정하는 농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상제량 제어유닛은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미리 결정되고, 현상롤러 및/또 는 디포지트롤러에 인가하는 전압을 결정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는 센서부에서 측정된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데이터 중에서 상응하는 값을 선택하여 현상롤러 및/또는 디포지트롤러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한다.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는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미리 결정된 복수의 전하량(Q/M)값, 전하량(Q/M)값과 도전율에 따라 미리 결정된 복수의 현상제량(M/A)값, 및 현상제량(M/A)값과 도전율에 따라 미리 결정되고, 현상롤러상의 현상제량(M/A)을 목표 현상제량(M/A)으로 제어하는 복수의 디포지트벡터(V)값을 포함한다. 여기서, 디포지트벡터(V)값은 디포지트롤러와 현상롤러 사이의 전위차값이다. 이때, 제어부는 센서부에서 측정된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응하는 전하량(Q/M)값으로부터 현재 전하량(Q/M)을 예측하고, 예측된 현재 전하량(Q/M)과 측정된 도전율에 따라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응하는 현상제량(M/A)값으로부터 현재 현상제량(M/A)을 예측하고, 예측된 현재 현상제량(M/A)과 측정된 도전율에 따라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응하는 디포지트벡터(V)값으로부터 디포지트벡터(V)를 결정한 다음, 결정된 디포지트벡터(V)에 따라 현상롤러 및/또는 디포지트롤러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는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미리 결정되고, 현상롤러상의 현상제량(M/A)을 목표 현상제량(M/A)으로 제어하는 복수의 디포지트벡터(V)값을 포함할 수 있다. 디포지트벡터(V)값은 디포지트롤러와 현상롤러 사이의 전위차값이다. 이때, 제어부는 센서부에서 측정된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메 모리부에 저장된 상응하는 디포지트벡터(V)값으로부터 디포지트벡터(V)를 결정하고, 결정된 디포지트벡터(V)에 따라 현상롤러와 디포지트롤러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방법은 액체현상제의 도전율과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현상롤러 및/또는 디포지트롤러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전율과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액체현상제의 도전율을 전기적으로 측정하는 단계, 및 액제현상제의 농도를 광학적으로 측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는 측정된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현상롤러 및/또는 디포지트롤러에 인가하는 전압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전압에 따라 현상롤러 및/또는 디포지트롤러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압을 결정하는 단계는 측정된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현재 전하량(Q/M)을 예측하는 단계, 예측된 현재 전하량(Q/M)과 측정된 도전율에 따라 현재 현상제량(M/A)을 예측하는 단계, 및 예측된 현재 현상제량(M/A)과 측정된 도전율에 따라, 현상롤러상의 현상제량(M/A)을 목표 현상제량(M/A)으로 제어하는 디포지트벡터(V)를 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 진다. 이때, 디포지트벡터(V)는 디포지트롤러와 현상롤러 사이의 전위차를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전압을 결정하는 단계는 측정된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현상롤러상의 현상제량(M/A)을 목표 현상제량(M/A)으로 제어하는 디포지트벡터(V)를 결정하 는 단계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때, 디포지트벡터(V)는 디포지트롤러와 현상롤러 사이의 전위차를 의미한다.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는 결정된 디포지트벡터(V)에 따라 현상롤러와 디포지트롤러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 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롤러의 현상제량제어장치가 적용된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도시하지 않음)등에서 전송된 인쇄데이터를 내부적으로 처리하여 인쇄를 수행하는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0)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0)는 화상형성유닛(105), 현상제량 제어유닛(170), 전사유닛(110), 정착유닛(121), 배지유닛(130), 및 클리닝유닛(150)을 구비한다.
화상형성유닛(105)은 칼라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소정 칼라, 예컨대 K, C, M, 및 Y 칼라의 현상제화상(149; 도 4 참조)을 형성하는 네 개의 화상형성유닛, 즉 K, C, M, 및 Y 화상형성유닛(105K, 105C, 105M, 105Y)으로 구성된다.
K, C, M, 및 Y 화상형성유닛(105K, 105C, 105M, 105Y)는 각각, K, C, M, 및 Y 감광체(109K, 109C, 109M, 109Y), K, C, M, 및 Y 대전롤러(112K, 112C, 112M, 112Y), K, C, M, 및 Y 레이저 스캐닝 유닛(111K, 111C, 111M, 111Y), 및 K, C, M, 및 Y 현상장치(113K, 113C, 113M, 113Y)를 구비한다.
K, C, M, 및 Y 감광체(109K, 109C, 109M, 109Y)는 각각 OPC 드럼(Organic Photoconductive Drum)으로 구성되고, 화상전사벨트(117)와 전사닙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K, C, M, 및 Y 감광체(109K, 109C, 109M, 109Y)는 각각, 예컨대 3 내지 20 %solid의 농도를 갖는 K, C, M, 또는 Y 칼라의 액체현상제(148K, 148C, 148M, 148Y)을 사용하여 예컨대 12 내지 20 %solid의 농도와 약 200 ㎍/cm^의 현상제량(M/A)을 갖는 현상제층을 형성한 K, C, M, 및 Y 현상장치(113K, 113C, 113M, 113Y)의 각 현상롤러(107)에 의해 예컨대 20 내지 25 %solid의 농도를 갖는 K, C, M, 및 Y 칼라의 현상제화상(149)을 형성한다.
K, C, M, 및 Y 대전롤러(112K, 112C, 112M, 112Y)는 각각의 감광체(109K, 109C, 109M, 109Y)의 표면을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것으로, 각각의 감광체(109K, 109C, 109M, 109Y)의 표면에 접하게 배치된다.
K, C, M, 및 Y 레이저 스캐닝 유닛(111K, 111C, 111M, 111Y)은 K, C, M, 및 Y 대전롤러(112K, 112C, 112M, 112Y)에 의해 대전된 각각의 감광체(109K, 109C, 109M, 109Y)의 표면에 광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K, C, M, 및 Y 대전롤러(112K, 112C, 112M, 112Y) 아래에 배치된다.
각각의 감광체(109K, 109C, 109M, 109Y)의 아래쪽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K, C, M, 또는 Y 칼라의 액체현상제(148K, 148C, 148M, 148Y)을 사용하여 각 감광체(109K, 109C, 109M, 109Y)의 정전잠상을 K, C, M, 및 Y 칼라의 현상제화상(149)으로 현상하기 위한 K, C, M, 및 Y 현상장치(113K, 113C, 113M, 113Y)가 설치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K, C, M, 및 Y 현상장치(113K, 113C, 113M, 113Y)의 각각은 저장부(106), 현상롤러(107), 디포지트롤러(114), 메터링롤러(115), 및 클리닝롤러(116)를 구비한다.
이들 구성요소의 구성 및 동작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의 프린터(1)의 현상장치(13)과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현상제량 제어유닛(170)은 각 K, C, M, 및 Y 화상형성유닛(105K, 105C, 105M, 105Y)에서 각 디포지트롤러(114)가 K, C, M, 또는 Y 칼라의 액체현상제(148K, 148C, 148M, 148Y)를 각 현상롤러(107)에 디포지트하여 현상제층을 형성할 때 각 현상롤러(107)에 디포지트되는 현상제량(M/A)를 균일하게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각 K, C, M, 및 Y 화상형성유닛(105K, 105C, 105M, 105Y)의 저장부(106)에 관해 설치된다.
현상제량 제어유닛(170)은 센서부(173), 메모리부(177), 및 제어부(174)를 구비한다.
센서부(173)는 각 K, C, M, 및 Y 화상형성유닛(105K, 105C, 105M, 105Y)의 액체현상제(148K, 148C, 148M, 148Y)의 도전율과 농도를 측정하는 K, C, M, 및 Y 센서부(173K, 173C, 173M, 173Y)으로 구성된다.
K, C, M, 및 Y 센서부(173K, 173C, 173M, 173Y)의 각각은 상응하는 액체현상제(148K, 148C, 148M, 또는 148Y)의 도전율을 측정하는 제1센서(171), 및 상응하는 액체현상제(148K, 148C, 148M, 또는 148Y)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2센서(172)를 구비 한다.
각 제1센서(171)는 액체현상제(148K, 148C, 148M, 148Y)의 도전율을 전기적으로 측정하는 도전율센서로 구성된다. 도전율센서는 시중에서 단품으로 구입할 수 있다.
각 제2센서(172)는 액체현상제(148K, 148C, 148M, 148Y)의 농도를 광학적으로 측정하는 농도센서로 구성된다. 농도센서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와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구비하고, 발광부에서 방출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의 수광율에 따라 액체현상제(148K, 148C, 148M, 148Y)의 농도를 측정한다.
메모리부(177)는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미리 결정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74)가 도시하지 않은 전원공급부를 통해 각 화상형성유닛(105K, 105C, 105M, 105Y)의 현상롤러(107) 및/또는 디포지트롤러(114), 바람직하게는 디포지트롤러(114)에 인가하는 전압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룩업(Lookup)데이터를 저장한다.
룩업데이터는 도전율과 농도에 대응하는 복수의 전하량(Q/M)값, 전하량(Q/M)값과 도전율에 대응하는 복수의 현상제량(M/A)값, 및 현상제량(M/A)값과 도전율에 대응하는 복수의 디포지트벡터(V)값을 포함한다. 여기서, 디포지트벡터(V)값은 현상롤러(107)상의 현상제량(M/A)을 목표 현상제량(M/A)으로 제어하는 전계를 발생하도록 하는 디포지트롤러(114)와 현상롤러(107) 사이의 전위차(△V)값이다.
이러한 전하량(Q/M)값, 현상제량(M/A)값, 및 디포지트벡터(V)값은 현상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도전율값과 농도값에 대한 실험에 의해 적정한 값으로 미리 결 정된다.
도 5는 도전율과 농도에 대응하는 전하량(Q/M)값의 예를 그래프로 도시한다. 예를들면, K, C, M, 및 Y 센서부(173K, 173C, 173M, 173Y)의 각각의 제1 및 제2센서(171, 172)에서 측정된 도전율과 농도가 각각, 약 200 pMho/cm와 약 13.2 %Solid이면, 전하량(Q/M)값은 약 100μC/g가 된다.
도 6은 전하량(Q/M)값과 도전율에 대응하는 현상제량(M/A)값의 예를 그래프로 도시한다. 예를들면, 전하량(Q/M)값이 약 100μC/g이고, K, C, M, 및 Y 센서부(173K, 173C, 173M, 173Y)의 각각의 제1센서(171)에서 측정된 도전율이 약 200 pMho/cm이면, 현상제량(M/A)값은 약 300 ㎍/cm^2가 된다.
도 7은 현상롤러(107)상에 디포지트되는 목표 현상제량(M/A)값을, 예컨대 약 200 ㎍/cm^2으로 할 경우, 현상제량(M/A)값과 도전율에 대응하는 디포지트벡터(V)값의 예를 그래프로 도시한다. 예를들면, 현상제량(M/A)값이 약 300 ㎍/cm^2이고, 도전율이 약 200 pMho/cm이면, 디포지트벡터(V), 즉 제어부(174)가 전원공급부를 통해 제어할 디포지트롤러(114)와 현상롤러(107) 사이의 전위차(△V)는 130V가 된다.
여기서, 도 7은 현상롤러(107)상에 디포지트되는 목표 현상제량(M/A)값을 200 ㎍/cm^2으로 할 경우의 디포지트벡터(V)값만을 예시하였지만, 다른 목표 현상제량(M/A)값으로 할 경우는 그에 상응하는 디포지트벡터(V)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74)는 K, C, M, 및 Y 센서부(173K, 173C, 173M, 173Y)의 각각의 제1 및 제2센서(171, 172)에서 측정된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룩업데이터 중에서 상응하 는 값을 선택하여 전원공급부를 통해 각 화상형성유닛(105K, 105C, 105M, 105Y)의 디포지트롤러(114)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74)는 K, C, M, 및 Y 센서부(173K, 173C, 173M, 173Y)의 각각의 제1 및 제2센서(171, 172)에서 측정된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메모리부(177)에 저장된 상응하는 전하량(Q/M)값으로부터 현재 전하량(Q/M)을 예측하고, 예측된 현재 전하량(Q/M)과 측정된 도전율에 따라 메모리부(177)에 저장된 상응하는 현상제량(M/A)값으로부터 현재 현상제량(M/A)을 예측하고, 예측된 현재 현상제량(M/A)과 측정된 도전율에 따라 메모리부(177)에 저장된 상응하는 디포지트벡터(V)값으로부터 디포지트벡터(V)를 결정한 다음, 결정된 디포지트벡터(V)에 따라 전원공급부를 통해 각 화상형성유닛(105K, 105C, 105M, 105Y)의 디포지트롤러(114)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74)는 디포지트벡터(V)를, 액체현상제(105K, 105C, 105M, 105Y)의 도전율, 농도, 전하량(Q/M) 등과 같은 현상롤러(107)상에 디포지트되는 현상제량(M/A)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고, 이에 따라 현상롤러(107) 및/또는 디포지트롤러(114)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므로, 디포지트벡터(V)를 도전율 또는 농도과 같이 한 가지 요소로 결정하여 현상롤러(7)상에 디포지트되는 현상제량(M/A)을 제어하는 종래의 프린터(1)의 현상제량 제어장치(70)에 비하여 보다 더 정확하고 정밀하게 현상제량(M/A)을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현상롤러(107)상에 형성되는 현상제층은 종래의 프린터(1) 보다 더 균일하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화상농도, 균일성, 도트재현성, 라인재현성, 칼 라 캐멧 등 화상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메모리부(177)에 저장되는 룩업데이터는 제어부(174)의 논리연산에 따른 부하를 줄이기 위해, 위에서 설명한 도전율과 농도에 대한 전하량(Q/M)값, 현상제량(M/A)값, 및 디포지트벡터(V)값 사이의 관계로부터 얻은 도전율과 농도에 대응하는 복수의 디포지트벡터(V)값(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4)는 K, C, M, 및 Y 센서부(173K, 173C, 173M, 173Y)의 각각의 제1 및 제2센서(171, 172)에서 측정된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메모리부(177)에 저장된 상응하는 디포지트벡터(V)값으로부터 디포지트벡터(V)를 결정하고, 결정된 디포지트벡터(V)에 따라 각 화상형성유닛(105K, 105C, 105M, 105Y)의 현상롤러(107) 및/또는 디포지트롤러(114)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전사유닛(110)은 제1전사롤러(108), 제2전사롤러(123) 및 화상전사벨트(117)로 구성된다. 화상전사벨트(117)는 벨트구동롤러(122)에 의해 제1, 및 제2, 및 제3지지롤러(119, 120, 121)을 따라 무한궤도 상의 경로에 따라 회전한다. 제1전사롤러(108)는 각 감광체(109K, 109C, 109M, 109Y)에 형성된 현상제화상(149)에 소정전압과 압력을 가하여 예컨대 25 내지 30 %solid의 농도를 갖는 현상제화상으로 화상전사벨트(117)에 중첩적으로 전사하고, 제2전사롤러(123)는 화상전사벨트(117)에 전사된 현상제화상을 기록지와 같은 화상수용매체(P)에 전사한다.
정착유닛(121)는 화상수용매체(P)에 전사된 현상제화상을 열과 압력으로 정착하는 것으로, 가열롤러(125)와 가압롤러(126)를 구비한다. 가열롤러(125)는 화상수용매체(P)에 전사된 현상제화상에 열을 가하며, 가압롤러(126)는 화상수용매체 (P)를 가열롤러(125)에 대해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한다.
배지유닛(130)은 가열 및 가압롤러(125, 126)의 열과 압력으로 장착된 화상수용매체(P)를 프린터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배지롤러(132)와 배지백업롤러(134)로 구성된다.
클리닝유닛(150)은 현상제화상이 화상수용매체(P)에 전사된후 화상전사벨트(117)에 남아있는 폐현상제를 클리닝하는 것으로, 클리닝롤러(154), 클리닝블레이드(151), 및 폐현상제 저장부(152)를 구비한다. 클리닝롤러(154)는 화상전사벨트(117)에 잔류하는 폐현상제를 1차 클리닝하고, 클리닝블레이드(151)는 클리닝롤러(154)에 의해 1차 클리닝된 폐현상제를 제거한다. 폐현상제 저장부(152)는 화상전사벨트(117)에서 제거된 폐현상제를 저장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0)는 화상전사부재로써 화상전사벨트(117)를 구비하는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0)에 적용되는 것으로만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동일한 원리와 구성으로, 다른 화상형성장치, 예를들면 화상전사부재로써 화상전사드럼을 구비하는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습식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0)의 화상형성방법을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쇄명령이 인가됨에 따라(단계 S1), K, C, M, 및 Y 화상형성유닛(105K, 105C, 105M, 105Y)은 각 구성부분을 동작하여 첫페이지의 인쇄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일련의 화상형성 동작을 수행한다.
즉, K, C, M, 및 Y 감광체(109K, 109C, 109M, 109Y)에는 K, C, M, 및 Y 대전롤러(112K, 112C, 112M, 112Y)와 K, C, M, 및 Y 레이저 스캐닝 유닛(111K, 111C, 111M, 111Y)에 의해 인쇄할 칼라의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저전위부의 전하층, 즉 정전잠상이 형성된다(단계 S2).
한편, K, C, M, 및 Y 현상장치(113K, 113C, 113M, 113Y)의 각 디포지트롤러(114)는 각 현상롤러(107)에 인가되는 전압(예컨대 600V) 보다 높은 전압(예컨대 900V)이 인가된다. 따라서, 각 현상롤러(107)와 디포지트롤러(114) 사이에는 전위차(△V; 예컨데 300V), 즉 디포지트벡터(V)가 발생하고, 이 디포지트벡터(V)에 의해 각 저장부(106)에 저장된 예컨대 3 내지 15 %solid의 농도를 갖는 K, C, M, 및 Y 칼라의 액체현상제(148K, 148C, 148M, 148Y)는 각 현상롤러(107)에 디포지트되어, 예컨대 12 내지 20 %solid의 농도와 약 200㎍/cm^2의 현상제량(M/A)를 갖는 현상제층으로 형성된다(단계 S3).
또한, K, C, M, 및 Y 현상장치(113K, 113C, 113M, 113Y)의 각 메터링롤러(115)는 각 현상롤러(107)와 소정 압력으로 접촉하여 각 현상롤러(107)에 부착된 현상제층의 두께를 일정하게 메터링한다. 이때, 각 현상롤러(107)에 부착된 현상제층이 각 메터링롤러(115)로 이동하여 각 메터링롤러(115)를 오염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각 메터링롤러(115)에는 각 현상롤러(107)에 인가되는 전압, 즉 600V 보다 높은 소정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와 같이, 단계 S3에서 K, C, M, 및 Y 현상장치(113K, 113C, 113M, 113Y)의 각 현상롤러(107)에 K, C, M, 및 Y 칼라의 현상제층이 형성되는 동안, 도 9에 도시 한 바와 같이, 현상제량 제어유닛(170)은 각 액체현상제(148K, 148C, 148M, 148Y)의 도전율과 농도, 및 그에 따라 예측되는 전하량(Q/M)과 현상제량(M/A)에 따라 결정되는 디포지트벡터(V)에 의해 각 디포지트롤러(114)에 인가되는 전압을 소정 주기로 갱신하여 인가함으로써, 각 현상롤러(107)에 디포지트되는 현상제량(M/A)을 약 200㎍/cm^2으로 균일하게 제어하는 현상제량 제어모드를 수행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K, C, M, 및 Y 센서부(173K, 173C, 173M, 173Y)의 각각의 제1 및 제2센서(171, 172)는 K, C, M, 및 Y 화상형성유닛(105K, 105C, 105M, 105Y)의 각 저장부(106)에 저장된 예컨대 3 내지 15 %solid의 농도를 갖는 K, C, M, 및 Y 칼라의 액체현상제(148K, 148C, 148M, 148Y)로부터 도전율과 농도를 검출하고, 검출신호를 제어부(174)로 송신한다(단계 S3a).
제어부(174)는 K, C, M, 및 Y 센서부(173K, 173C, 173M, 173Y)의 각각의 제1 및 제2센서(171, 172)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검출된 도전율과 농도에 대응하는 전하량(Q/M)값을 메모리부(177)로부터 독출하여 K, C, M, 및 Y 칼라의 액체현상제(148K, 148C, 148M, 148Y)의 현재 전하량(Q/M)을 예측한다(단계 S3b).
이어서, 제어부(174)는 예측된 K, C, M, 및 Y 칼라의 액체현상제(148K, 148C, 148M, 148Y)의 현재 전하량(Q/M)과 제1센서(171)에서 검출된 도전율에 대응하는 현상제량(M/A)값을 메모리부(177)로부터 독출하여 K, C, M, 및 Y 화상형성유닛(105K, 105C, 105M, 105Y)의 각 현상롤러(107)에 디포지트되는 현재 현상제량(M/A)을 예측한다(단계 S3c).
그 다음, 제어부(174)는 예측된 각 현상롤러(107)상에 디포지트되는 현재 현 상제량(M/A)과 제1센서(171)에서 검출된 도전율에 대응하는 디포지트벡터(V)값을 메모리부(177)로부터 독출하여 K, C, M, 및 Y 화상형성유닛(105K, 105C, 105M, 105Y)의 각 현상롤러(107)상에 디포지트되는 현상제량(M/A)를 예컨대 약 200㎍/cm^2로 제어할 각 현상롤러(107)와 디포지트롤러(114) 사이의 전위차(△V), 즉 디포지트벡터(V)를 결정한다(단계 S3d).
그후, 제어부(174)는 결정된 디포지트벡터(V)에 따라 K, C, M, 및 Y 화상형성유닛(105K, 105C, 105M, 105Y)의 각 디포지트롤러(114)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한다(단계 S3e).
그 다음, 제어부(174)는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3f), 소정시간이 경과하였으면, 단계 S3a 이후의 동작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단계 S3에서 각 현상롤러(107)에 약 200㎍/cm^2의 균일한 현상제량(M/A)과 균일한 두께를 갖는 현상체층이 형성된 후, 각 현상롤러(107)에 형성된 현상제층은 상응하는 각 감광체(109K, 109C, 109M, 109Y)와의 닙으로 이송된다. 이때, 각 감광체(109K, 109C, 109M, 109Y)에 형성된 저전위부의 정전잠상과 현상롤러(107) 사이에는 소정의 전위차가 형성되고, 이 전위차에 의한 전계에 의해 각 감광체(109K, 109C, 109M, 109Y)의 정전잠상과 대응하는 각 현상롤러(107)상의 현상제층의 부분은 상응하는 각 감광체(109K, 109C, 109M, 109Y)의 정전잠상으로 이전되어 부착된다. 그 결과, 각 감광체(109K, 109C, 109M, 109Y)에는 예컨대 20 내지 25 %solid의 농도를 갖는 K, C, M, 및 Y 칼라의 현상제화상(149)이 형성된다(단계 S4).
각 감광체(109K, 109C, 109M, 109Y)의 정전잠상이 상응하는 각 현상롤러(107)의 현상층에 의해 현상된 후, 각 크리닝롤러(116)는 각 현상롤러(107)에 남아있는 잔류 현상제를 크리닝한다.
각 감광체(109K, 109C, 109M, 109Y)에 형성된 Y, M, C, 및 K 칼라의 현상제화상(149)은 화상전사벨트(117)의 내측에 위치한 상응하는 각 제1전사롤러(108)의 전압과 압력에 의해 각 감광체(109K, 109C, 109M, 109Y)로부터 화상전사벨트(117)에 예컨대 25 내지 30 %solid의 농도를 갖는 현상제화상으로 중첩적으로 전사된다(단계 S5).
화상전사벨트(117)에 중첩적으로 전사된 현상제화상은 화상전사벨트(117)가 벨트구동롤러(122)에 의해 제1, 제2, 및 제3지지롤러(119, 120, 121)를 따라 회전함에 따라 제2전사롤러(123)까지 이동하여 제2전사롤러(123)의 전압과 압력에 의해 화상수용매체(P)에 전사된다(단계 S6).
화상수용매체(P)에 전사된 현상제화상은 가열롤러(125)의 열과 가압롤러(126)의 압력에 의해 화상수용매체(P)에 정착되어 최종적으로 원하는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단계 S7).
그후, 화상수용매체(P)는 배지유닛(130)의 배지롤러(132)와 배지백업롤러(134)에 의해 프린터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현상제화상이 화상수용매체(P)에 전사된 화상전사벨트(117)는 계속 회전하여 제3지지롤러(121)의 측면에서 화상전사벨트(117)의 화상형성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된 클리닝롤러(154)까지 이동한다. 여기에서, 화상전사벨트(117)의 표면에 잔존하는 폐현상제(통상 기록지로 100% 전사되 지 않고 90-98%만 전사됨)는 다음 화상인쇄를 위해 클리닝롤러(154)에 의해 1차 클리닝된 후 클리닝블레이드(151)에 의해 화상전사벨트(117)로부터 제거되어 폐현상제 저장부(152)에 회수된다(단계 S8).
그후, 다음 페이지의 인쇄데이타의 유무가 판단되고(단계 S9), 판단결과, 다음 페이지의 인쇄데이터가 없으면, 인쇄동작을 종료한다. 그리고, 판단결과, 다음 페이지의 인쇄데이터가 있으면, 화상전사벨트(117)는 다시 각 감광체(109K, 109C, 109M, 109Y), 레이저 스캐닝 유닛(111K, 111C, 111M, 111Y) 및 현상장치(113K, 113C, 113M, 113Y)를 통해 다음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위에서 설명한 단계 S2 이후의 동작을 반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현상시 현상롤러와 디포지트롤러에 인가되는 전압을 결정하는 디포지트벡터(V)를 액체현상제의 도전율과 농도를 고려하여 결정함으로서, 액체현상제의 도전율 또는 농도에 따라 디포지트벡터(V)를 결정하는 종래의 프린터 보다 현상롤러에 디포지트되는 현상제량(M/A)을 더 정확하고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현상롤러상에 형성되는 현상제층이 더 균일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현상시 현상롤러와 디포지트롤러에 인가되는 전압을 결정하는 디포지트벡터(V)를 액체현상제의 도전율과 농도, 및 그에 따라 예측 된 현재의 전하량(Q/M)과 현상제량(M/A)을 고려하여 결정함으로서, 종래의 프린터 보다 현상롤러에 디포지트되는 현상제량(M/A)을 더 정확하고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현상롤러상에 형성되는 현상제층이 더 균일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3)

  1. 액체현상제의 도전율을 측정하는 제1센서와 상기 액체현상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2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도전율과 상기 농도에 따라 현상롤러와 디포지트롤러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는 상기 액체현상제의 상기 도전율을 전기적으로 측정하는 도전율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액제현상제의 상기 농도를 광학적으로 측정하는 농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미리 결정되고, 상기 현상롤러 및 디포지트롤러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인가하는 전압을 결정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도전율과 상기 농도에 따라 상기 데이터 중에서 상응하는 값을 선택하여 상기 현상롤러 및 디포지트롤러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미리 결정된 복수의 전하량(Q/M)값, 상기 전하량(Q/M)값과 상기 도전율에 따라 미리 결정된 복수의 현상제량(M/A)값, 및 상기 현상제량(M/A)값과 상기 도전율에 따라 미리 결정되고, 상기 현상롤러상의 현상제량(M/A)을 목표 현상제량(M/A)으로 제어하는 복수의 디포지트벡터(V)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포지트벡터(V)값은 상기 디포지트롤러와 상기 현상롤러 사이의 전위 차값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도전율과 상기 농도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응하는 전하량(Q/M)값으로부터 현재 전하량(Q/M)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현재 전하량(Q/M)과 상기 측정된 도전율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응하는 현상제량(M/A)값으로부터 현재 현상제량(M/A)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현재 현상제량(M/A)과 상기 측정된 도전율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응하는 디포지트벡터(V)값으로부터 디포지트벡터(V)를 결정한 다음, 상기 결정된 디포지트벡터(V)에 따라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디포지트롤러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미리 결정되고, 상기 현상롤러상의 현상제량(M/A)을 목표 현상제량(M/A)으로 제어하는 복수의 디포지트벡터(V)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포지트벡터(V)값은 상기 디포지트롤러와 상기 현상롤러 사이의 전위차값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도전율과 상기 농도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응하는 디포지트벡터(V)값으로부터 디포지트벡터(V)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디포지트벡터(V)에 따라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디포지트롤러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
  9. 정전잠상에 액체현상제를 부착하여 가시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롤러, 및 상기 현상롤러에 상기 액체현상제를 디포지트하여 현상체층을 형성하는 디포지트롤러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유닛: 및
    상기 디포지트롤러에 의해 상기 현상롤러에 디포지트되는 현상제량(M/A)을 제어하는 현상제량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량 제어유닛은 상기 액체현상제의 도전율을 측정하는 제1센서와 상기 액체현상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2센서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도전율과 상기 농도에 따라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디포지트롤러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는 상기 액체현상제의 상기 도전율을 전기적으로 측정하는 도전율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액제현상제의 상기 농도를 광학적으로 측정하는 농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량 제어유닛은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미리 결정되고, 상기 현상롤러 및 디포지트롤러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인가하는 전압을 결정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도전율과 상기 농도에 따라 상기 데이터 중에서 상응하는 값을 선택하여 상기 현상롤러 및 디포지트롤러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미리 결정된 복수의 전하량(Q/M)값, 상기 전하량(Q/M)값과 상기 도전율에 따라 미리 결정된 복수의 현상제량(M/A)값, 및 상기 현상제량(M/A)값과 상기 도전율에 따라 미리 결정되고, 상기 현상롤러상의 현상제량(M/A)을 목표 현상제량(M/A)으로 제어하는 복수의 디포지트벡터(V)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포지트벡터(V)값은 상기 디포지트롤러와 상기 현상롤러 사이의 전위차값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도전율과 상기 농도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응하는 전하량(Q/M)값으로부터 현재 전하량(Q/M)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현재 전하량(Q/M)과 상기 측정된 도전율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응하는 현상제량(M/A)값으로부터 현재 현상제량(M/A)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현재 현상제량(M/A)과 상기 측정된 도전율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응하는 디포지트벡터(V)값으로부터 디포지트벡터(V)를 결정한 다음, 상기 결정된 디포지트벡터(V)에 따라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디포지트롤러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도전율과 상기 농도에 따라 미리 결정되고, 상기 현상롤러상의 현상제량(M/A)을 목표 현상제량(M/A)으로 제어하는 복수의 디포지트벡터(V)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포지트벡터(V)값은 상기 디포지트롤러와 상기 현상롤러 사이의 전위차값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도전율과 상기 농도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응하는 디포지트벡터(V)값으로부터 디포지트벡터(V)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디포지트벡터(V)에 따라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디포지트롤러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치.
  17. 액체현상제의 도전율과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현상롤러와 디포지트롤러 중의 적어도 하 나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량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율과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액체현상제의 상기 도전율을 전기적으로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액제현상제의 상기 농도를 광학적으로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량 제어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현상롤러와 디포지트롤러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인가하는 전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전압에 따라,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디포지트롤러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량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현재 전하량(Q/M)을 예측하는 단계;
    상기 예측된 현재 전하량(Q/M)과 상기 측정된 도전율에 따라 현재 현상제량(M/A)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된 현재 현상제량(M/A)과 상기 측정된 도전율에 따라 상기 현상롤 러상의 현상제량(M/A)을 목표 현상제량(M/A)으로 제어할 디포지트벡터(V)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량 제어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디포지트벡터(V)는 상기 디포지트롤러와 상기 현상롤러 사이의 전위차이며;
    상기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디포지트벡터(V)에 따라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디포지트롤러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량 제어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도전율과 농도에 따라 디포지트벡터(V)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량 제어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디포지트벡터(V)는 상기 디포지트롤러와 상기 현상롤러 사이의 전위차이며;
    상기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디포지트벡터(V)에 따라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디포지트롤러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량 제어방법.
KR1020050003263A 2005-01-13 2005-01-13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 그것을 구비한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18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263A KR100618390B1 (ko) 2005-01-13 2005-01-13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 그것을 구비한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292,111 US7406274B2 (en) 2005-01-13 2005-12-02 Controlling apparatus for developing roller,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same, and developer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263A KR100618390B1 (ko) 2005-01-13 2005-01-13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 그것을 구비한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904A KR20060082904A (ko) 2006-07-20
KR100618390B1 true KR100618390B1 (ko) 2006-08-31

Family

ID=36653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263A KR100618390B1 (ko) 2005-01-13 2005-01-13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 그것을 구비한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06274B2 (ko)
KR (1) KR1006183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2440B2 (en) * 2005-12-02 2010-09-07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at changes toner compression roller condition depending on toner density or recording medium type
JP5637025B2 (ja) * 2011-03-18 2014-12-1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湿式画像形成装置
US9304465B2 (en) 2013-05-24 2016-04-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termining the conductivity of a liquid
JP5920298B2 (ja) * 2013-09-13 2016-05-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湿式画像形成装置
WO2019190509A1 (en) * 2018-03-28 2019-10-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rolling voltage profil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6736A (ja) 1994-11-18 1996-06-07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TW412666B (en) 1997-11-21 2000-11-21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343184B1 (ko) 1999-10-27 2002-07-10 윤종용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농도 측정장치
KR100400000B1 (ko) 2001-03-02 2003-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광학농도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JP2002311725A (ja) 2001-04-10 2002-10-25 Pfu Ltd 液体現像電子写真装置の転写定着方式
US6575096B1 (en) * 2001-11-07 2003-06-10 Xerox Corporation Computer controlled mixing of customer-selected color inks for printing machines
US6600884B2 (en) * 2001-11-26 2003-07-29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06274B2 (en) 2008-07-29
US20060153585A1 (en) 2006-07-13
KR20060082904A (ko) 200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3383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predictive electrostatic process control system
US7400840B2 (en) Image forming device that performs density detection
KR100618390B1 (ko)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 그것을 구비한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797532B2 (ja) 画像形成装置
US5950040A (en) Feedback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developability of a xerographic imaging device
JP2015232658A (ja) 画像形成装置
US74121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the transfer roller of image forming apparatus
US6021285A (en) Sensorless quality control apparatus used upon malfunction of a quality control sensor and method therefor
US5937227A (en) Uncoupled toner concentration and tribo control
EP1280015A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10239925A (ja) トナー消耗検出方法
US4866481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developers and a detection and control arrangement for detecting the density of a formed imag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ensity of the image
KR100708126B1 (ko) 광수용기의 표면 전압 유지 방법
US618538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nline establishment of print control parameters
US7398025B2 (en) White vector feedback adjustment
US8457532B2 (en)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US7286778B2 (en) Feed forward mitigation of development transients
CA2485764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 donor roll
JP7275550B2 (ja) 画像形成装置、劣化状態検出方法および劣化状態検出プログラム
JP5432572B2 (ja) 画像形成装置
JPH08334956A (ja) 画像形成装置
JP4011932B2 (ja) フルカラー電子写真の転写電圧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2072615A (ja) 液体現像フルカラー電子写真装置
US1113769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notifying information on developing unit lifetime
EP0530031A2 (en) Method for determining photoreceptor potent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