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0000B1 -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광학농도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광학농도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0000B1
KR100400000B1 KR10-2001-0010738A KR20010010738A KR100400000B1 KR 100400000 B1 KR100400000 B1 KR 100400000B1 KR 20010010738 A KR20010010738 A KR 20010010738A KR 100400000 B1 KR100400000 B1 KR 100400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density
duty
voltage
color
devel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0589A (ko
Inventor
백충국
심우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0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0000B1/ko
Publication of KR20020070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0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33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photoconductor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photoconductor
    • G03G15/5041Detecting a toner image, e.g. density, toner coverage, using a test patc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03G2215/0658Liquid develop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광학농도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광학농도 제어장치는, 인쇄물에 전사되는 광학농도를 감지하는 수단; 상기 광학농도 감지 수단으로부터의 어낼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어낼로그/디지털 신호변환기; 컬러별 룩업테이블을 저장한 메모리; 상기 어낼로그/디지털 신호변환기로부터 받은 디지털 신호를 물리량으로 계산하여 미리 설정된 값과 일정 차이가 발생할 때 상기 룩업테이블로부터 상기 차이값에 해당하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기 위한 고압전압원 듀티1과, 현상기 전방의 대전기의 그리드 전압을 조정하기 위한 고압전압원 듀티2를 계산하여 출력하는 엔진 콘트롤러; 및 상기 엔진 콘트롤러로부터 상기 듀티1과 듀티2를 받아서 고압전원의 전압을 변경시켜 각 컬러별 현상기의 바이어스 전압과 상기 현상기의 전단에 설치된 대전기의 그리드 전압을 조절하는 고압전압원;을 구비한다. 이에 따르면,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연속인쇄시에도 인쇄매체의 컬러의 광학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광학농도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Controlling apparatus of optical density for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광학농도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습식 전자사진방식의 인쇄기로 인쇄된 전사매체에현상된 컬러별 토너양을 제어하는 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 등에 적용되는 것으로, 소정의 색상을 가지는 고체상의 토너와 용매역할을 하는 액상의 캐리어가 혼합된 현상액을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에 형성된 정전잠상 영역에 부착하여 원하는 화상을 얻은 후에 인쇄용지에 전사하는 프린팅기기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습식 인쇄기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상액을 사용하는 인쇄기는 복수의 롤러(11)(12)(13), 감광벨트(14), 리셋장치(15,16), 광주사장치들(17), 현상기들(30), 건조장치(18), 전사장치(20)를 구비한다.
리셋장치는 광을 감광벨트(14)에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제거하는 노광기(15)와, 소정레벨의 전위를 감광벨트(14)에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기(16)를 구비하고 있다.
4개의 광주사장치(17)는 각각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정보를 주사하고, 4개의 현상기(30)는 각각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색상의 현상액을 감광벨트(14)에 공급한다.
현상기(30)는 감광벨트(14)에 현상액을 공급하는 현상액 공급용기(32)와, 감광벨트(14)로부터 낙하되는 현상액를 회수하는 현상조(31)를 구비하고 있다. 현상조(31)내에는 현상롤러(36)와, 현상롤러(36)에 묻어있는 현상액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롤러(37)와, 감광벨트(14)상에 공급된 현상액중 화상형성에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용매인 액상의 캐리어요소를 분리하기 위한 스퀴즈롤러(34) 및스퀴즈롤러(34)의 외주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액상의 캐리어요소를 현상조(31)내로 회수하기 위한 플레이트(35)가 마련되어 있다.
현상액 공급용기(32)는 현상조(31)내에 저수된 현상액 및 현상액 공급부(38)로부터 용매인 액상의 캐리어요소(N;nopar)와, 전하를 띈 현상물질인 토너 또는 고농축의 현상액을 각각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현상액 공급용기(32)내에 저수된 현상액은 펌프(P)의 구동에 의해 현상롤러(36)와 감광벨트(14) 사이에 공급된다.
이와 같은 습식 인쇄기의 인쇄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리셋장치(15,16)를 거쳐 순환하는 감광벨트(14)의 소정영역에 대해 광주사장치(17)가 광을 주사한다. 주사된 광에 의해 감광벨트(14)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이 정전잠상은 현상기(30)의 현상액 공급용기(32)로부터 공급된 현상액중 전하를 띈 토너에 의해 현상된다. 상호 다른 색상정보의 광을 주사하고, 그에 대응하는 색상의 현상액으로 현상하는 광주사장치(16)들과 현상기(30)들에 의해 감광벨트(14)상에는 컬러화상이 형성된다. 현상과정중에 현상기(30)로부터 감광벨트(14)에 공급됐던 현상액중 화상형성에 관여하지 않는 액상의 캐리어요소는 대부분 현상조(31) 내로 회수된다. 감광벨트(14)상에 현상물질인 토너로 형성된 컬러 화상은 감광벨트(14)의 계속적인 이동에 의해, 감광벨트(14)상에 잔류하는 액상의 캐리어요소를 흡착 증발시켜 회수하기 위한 건조장치(18)를 거쳐, 상기 감광벨트(14)와 그 일부가 맞물려 회전되는 전사롤러(21)에 1차 전사된다. 계속해서, 인입된 용지(23)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맞물림 회전에 의해 용지(23)를 전진시키는 전사롤러(21)와 정착롤러(22)의 회전에의해 전사롤러(21)상의 화상이 용지(23)로 2차 전사된다.
한편, 종래의 현상 공정에서는 연속 인쇄를 할 경우, 인쇄기 내의 모터 등의 작동으로 잉크 온도 등이 상승하고, 전기적인 스트레스에 의한 잉크 내의 과잉 이온(excess ion)의 증가로 전사매체에 인쇄된 이미지의 광학 농도(optical density :OD)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 인쇄된 인쇄물에서의 광학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광학농도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속 인쇄된 인쇄물에서의 광학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광학농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인쇄기의 개략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량 제어장치의 개략 설명도,
도 3 내지 도 6은 연속 인쇄에 따른 옐로우, 시안, 마젠타 및 블랙 컬러별 잉크 도전율의 변화에 따른 광학농도, 현상전류 및 현상액 온도의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
도 7 내지 도 10은 옐로우, 시안, 마젠타 및 블랙 컬러별 전체 잉크 도전율의 증가율과, 이를 토너에 의한 잉크 도전율과 과잉 이온에 의한 잉크 도전율의 증가분으로 분리하여 함께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컬러별로 광학농도 유지를 위해 필요한 현상바이어스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
도 12 내지 도 15는 옐로우, 시안, 마젠타 및 블랙 잉크별 잉크 도전율의 증가량에 따른 현상 바이어스 전압의 듀티1 및 그리드 전압의 듀티2를 플로팅한 그래프,
도 16은 본 발명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100매 간격으로 듀티1과 듀티2를 조정한 후의 광학농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감광벨트 15: 노광기
16: 대전기 17: 광주사유니트
18: 건조장치 20: 전사장치
21: 전사롤러 22: 정착롤러
23: 용지 30: 현상기
31: 현상조 32: 현상액 공급용기
34: 스퀴즈롤러 35: 플레이트
36: 현상롤러 37: 클리닝롤러
110: 측색장비 112: 온도센서
114: 도전율 측정기 116: 현상전류 측정기
120: A/D 컨버터 130: 연산처리부
140: 출력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광학농도 제어장치는, 인쇄물에 전사되는 광학농도를 감지하는 수단; 상기 광학농도 감지 수단으로부터의 어낼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어낼로그/디지털 신호변환기; 컬러별 룩업테이블을 저장한 메모리; 상기 어낼로그/디지털 신호변환기로부터 받은 디지털 신호를 물리량으로 계산하여 미리 설정된 값과 일정 차이가 발생할 때 상기 룩업테이블로부터 상기 차이값에 해당하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기 위한 고압전압원 듀티1과, 현상기 전방의 대전기의 그리드 전압을 조정하기 위한 고압전압원 듀티2를 계산하여 출력하는 엔진 콘트롤러; 및 상기 엔진콘트롤러로부터 상기 듀티1과 듀티2를 받아서 고압전원의 전압을 변경시켜 각 컬러별 현상기의 바이어스 전압과 상기 현상기의 전단에 설치된 대전기의 그리드 전압을 조절하는 고압전압원;을 구비한다.
상기 광학농도 감지수단은 잉크 도전율 측정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량 제어방법은, 인쇄기가 작동되는 동안 잉크 광학농도를 센서로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값을 물리량으로 계산하는 단계; 상기 측정 물리값과 설정된 물리값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일정값 이상인 경우는 다음 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차이가 일정값 미만인 경우는 광학농도 측정단계로 되돌아가는 비교단계; 상기 차이값에 따라 룩업테이블로부터 해당되는 현상바이어스 듀티1, 대전기의 그리드 전압 듀티2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듀티1, 듀티2를 고압전압원에 보내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컬러별 룩업테이블은, 연속인쇄에 따른 광학농도의 감소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광학농도의 감소량에 따른 토너에 의한 현상전류 감소량을 보상하기 위해 현상 바이어스 전압의 증가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바이어스 전압 증가분에 대응하는 현상 바이어스 듀티1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전압 증가에 따른 백그라운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컬러별 현상기의 전단의 대전기의 그리드 전압의 증가를 위한 듀티2를 계산하는 단계;로 작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량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량 제어장치의 개략 설명도이다. 앞에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요소는 동일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기능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인쇄매체에 인쇄된 컬러별 현상량인 광학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는 인쇄매체의 컬러를 직접 측정하는 측색장비(Calorimeter, Model SPM50: 110)와, 간접 측정센서로서 현상액 공급용기(32)의 현상액 온도를 측정하는 열전대쌍의 온도센서(112), 토너 도전율 측정을 위해서 현상액 공급경로에 설치된 도전율 측정기(Conductivity meter, Model 427: 114)가 있으며, 현상 바이어스 전류 측정을 위해 고전압공급원(HVPS)으로부터 현상롤러(36)에 흐르는 현상전류를 측정하는 현상전류 측정기(11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각 센서부의 신호는 어낼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어낼로그/디지털 신호 변환기(120)에 입력된다.
룩업테이블(LUT)은 ROM 메모리로서 각 컬러별로 측정된 잉크 도전율과, 최초 잉크 도전율과의 차이로부터 발생되는 광학농도의 저하를 보상하기 위한 해당되는 현상바이어스 전압의 변화량 및 그리드 전압 변화량과, 그에 해당하는 HVPS의 듀티1 및 듀티2가 저장되어 있는 룩업테이블이다.
엔진 콘트롤러(130)는 상기 룩업테이블(LUT)로부터 해당되는 듀티1과 듀티2를 계산하여 상기 듀티1 및 듀티2를 HVPS로 출력하며, 상기 HVPS는 상기 엔진 콘트롤러(130)로부터 컬러별 듀티1 및 듀티2를 공급받아서 듀티1에 따라 현상 바이어스전압을 변경시키고 듀티2에 따라 그리드 전압을 변경시키게 된다.
상기 설비로 연속인쇄(700매)에 따른 변화량인 옐로우, 시안, 마젠타 및 블랙 컬러별 광학농도 변화량을 표 1 에 나타내었다.
컬러별 #1 #700 증감 증감율(%)
옐로우(Y) 0.72 0.62 -0.10 -13.89
시안(C) 1.20 1.13 -0.07 - 5.83
마젠타(M) 1.39 1.23 -0.16 -11.51
블랙(K) 1.07 1.07 -0.16 -12.03
상기 표 1에서, #1은 첫번째 인쇄용지를 가리키며, #700은 700번째로 인쇄된 용지를 가리킨다.
컬러별 현상전류의 변화량을 하기 표 2 에 나타내었다.
단위: ㎂
컬러별 #1 #700 증감 증감율(%)
옐로우(Y) 0.489 0.658 0.169 34.56
시안(C) 0.555 0.739 0.184 33.15
마젠타(M) 0.530 0.782 0.252 47.55
블랙(K) 0.593 0.847 0.254 42.83
컬러별 잉크 도전율의 변화량을 하기 표 3 에 나타내었다.
단위: pmho/cm
컬러별 #1 #700 증감 증감율(%)
옐로우(Y) 141 209 68 48.28
시안(C) 76 115 39 51.32
마젠타(M) 197 325 128 64.97
블랙(K) 229 508 279 121.83
컬러별 현상액의 온도 변화량을 하기 표 4 에 나타내었다.
단위: ℃
컬러별 #1 #700 증감 증감율(%)
옐로우(Y) 27 41 14 51.85
시안(C) 27 38 11 40.74
마젠타(M) 26 35 9 34.62
블랙(K) 25 32 7 21.88
또한, 옐로우 컬러의 잉크도전율의 증가에 따른 광학농도(OD), 현상전류(Id) 및 현상액의 온도(T)를 도 3 에 도시하였으며, 시안, 마젠타 및 블랙 컬러의 잉크도전율의 증가에 따른 광학농도(OD), 현상전류(Id) 및 현상액의 온도(T)를 각각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였다. 상기 표1 내지 표 4에서 보면, 연속인쇄에 따라 컬러별 광학농도는 모두 감소하며, 현상전류, 잉크 도전율 및 잉크 온도는 모두 증가하였으며,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듯이 그 증감율이 일정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광학농도는 대전된 토너의 전기영동에 의한 현상전류(IT)에 비례하며, 현상전류는 현상벡터에 비례한다. 광학 농도(Optical density; OD)의 감소율은 토너 현상전류(IT)의 감소율에 기인하므로 다음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잉크 온도가 상승하면 과잉이온(Excess Ion)이 증가하며, 잉크의 도전율σ는 토너에 의한 도전율(σT)과 과잉 이온에 의한 도전율(σE)의 합이며(식 2), 현상 전류는 토너에 의한 전류(IT)와 과잉 이온에 의한 전류(IE)와의 합이 된다(식 3).
전체 현상전류 대 잉크 입자만에 의한 전류의 비는 전체 잉크 도전율 대 잉크 입자만에 의한 잉크 도전율의 비와 같아진다(식 4).
토너만에 의한 전류의 변화율은 토너만에 의한 잉크 전도율(σT(σ)) 의 변화율에 비례한다(식 5).
잉크 전도율의 증가에 대한 토너만에 의한 잉크 도전율(σT(σ))은 전체 잉크 도전율의 증가에 대하여 linear하게 증가하므로 다음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σTi는 초기 토너에 의한 잉크도전율을 나타내며, σTf는 700매 인쇄후의 토너에 의한 잉크 도전율을 나타낸다.
도 7 내지 도 10은 옐로우, 시안, 마젠타 및 블랙 컬러별 전체 잉크 도전율 σ의증가율을 토너에 의한 잉크 도전율와, 과잉 이온에 의한 잉크 도전율 로 분리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연속 인쇄에 따라서 전체 잉크 도전율이 증가하며, 이는 대부분이 과잉 이온에 의한 도전율의 증가임을 알 수 있다.
식 5 에 의해서 잉크 도전율의 증가에 대하여 토너에 의한 현상전류의 감소율은 전체 잉크 도전율에서 토너에 의한 도전율비율과 비례하므로,라고 정의하고 정리하면
여기서,는 초기 프린팅시의 전체 잉크 도전율에서 토너에 의한 도전율의 비로서 1 로 가정하며,는 700매 프린팅 후의 전체 잉크 도전율에서 토너에 의한 잉크 도전율의 비이다.
는 초기값으로 초기 Fresh Ink로 가정을 하면 1 이 되며, 프린팅 매수가 증가함에 따라, 즉, 전체 잉크 도전율이 증가함에 따라 Linear하게 감소하여 1 보다 작은 값을 가지며 광학농도의 감소율과 동일한 값을 가진다. (식 1 참조)
광학농도는 토너에 의한 현상전류에 비례하고, 토너에 의한 현상전류는 현상벡터에 비례하므로 토너에 의한 현상전류 감소량을 보상하기 위하여서는 즉, 광학농도의 감소분을 보상하기 위하여서는 현상벡터를 다음의 식을 적용하여 감소율만큼 보상을 한다.
여기서,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고,는 초기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며,는 Laser Discharged Voltage이다.
의 값은 컬러별로 차이가 나므로, 전체 잉크 도전율과 현상 바이어스 전압과의 상관관계를 구하여야 한다.
상기 실험결과의 잉크 도전율과 상기 식들로부터 계산한 잉크 컬러별로 광학농도 유지를 위한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표 5 및 도 11에 나타내었다.
컬러별 구분 실험 및 계산결과 데이타
옐로우 도전율 141 149 156 164 171 179 186 194 201 209
전압 479 488 496 504 511 517 523 528 533 537
시안 도전율 76 80 85 89 93 98 102 106 111 115
전압 583 588 592 596 600 603 606 609 611 614
마젠타 도전율 197 211 225 240 254 268 282 297 311 325
전압 581 591 600 608 615 621 627 632 637 641
블랙 도전율 229 260 291 322 363 384 415 446 477 508
전압 547 568 584 597 608 617 625 631 637 642
도 11 및 표 5 에서 알 수 있듯이, 잉크 도전율이 증가를 하면 광학농도를 유지시키기 위하여서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증가시켜 주어야 한다.
한편 현상 바이어스 전압 를 제어하기 위하여서는 고전압 전압원(HVPS)의 듀티1 제어를 하여야 하며, 현상 바이어스 전압의 상승에 의한 Back Ground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서는 컬러별 현상기 전단의 토퍼 그리드 전압(topper gridvoltage) 듀티2를 제어하여 백 플레이팅 벡터(Back Plating Vector)를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듀티 제어에 의한 현상 바이어스 전압()과 토퍼 그리드 전압()을 다음 식에 나타내었다.
여기서는 HVPS의 %Duty를 가리킨다.
하기의 표 6 은 옐로우 잉크의 도전율의 증가분(△σ)과, 이에 따라 광학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현상 바이어스 전압 증가량(△Vb)과, 식 9를 적용하여 계산한 현상 바이어스 전압의 듀티1 증가분(△duty 1) 및 그리드 전압의 듀티2 증가분(△duty 2)을 계산한 룩업테이블이며, 도 12는 이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구분 데이타
△σ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Vb 9 17 26 34 43 51 60 68 77 86
△duty1 2 4 5 7 9 11 13 15 16 18
△duty2 1 3 4 6 7 9 10 12 13 15
표 7 은 시안 잉크에 대해 표 6 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한 결과이며, 도 13은 이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구분 데이타
△σ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Vb 4 8 12 16 20 23 27 31 35 39
△duty1 1 2 3 3 4 5 6 7 8 8
△duty2 1 1 2 3 3 4 5 5 6 7
표 8 은 마란타 잉크에 대해 표 6 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한 결과이며, 도 14는 이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구분 데이타
△σ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200
△Vb 9 19 28 37 47 56 66 75 84 94
△duty1 2 4 6 8 10 12 14 16 18 21
△duty2 2 3 5 6 8 10 11 13 14 16
표 9 는 블랙 잉크에 대해 표 6 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한 결과이며, 도 15는 이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구분 데이타
△σ 30 60 90 120 150 180 210 240 270 300
△Vb 10 20 31 41 51 61 72 82 92 102
△duty1 2 4 7 9 11 13 16 18 20 22
△duty2 2 4 5 7 9 11 12 14 16 18
상기 표 6 내지 표 9 및 도 12 내지 도 15 에서 알 수 있듯이, 잉크 도전율 증가(Δσ)에 따라서, 일정한 광학농도 유지를 위해 필요한 현상 바이어스 전압은 직선적으로 증가하며, 현상 바이어스 전압 듀티1 및 그리드 전압 듀티2 도 직선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상기 표 6 내지 표 9의 룩업테이블은 그 예시를 든 것이며, 사용자는 듀티를 조절하는 간격을 필요에 따라서 더 세분화하거나, 또는 더 넓게 할 수도 있다.
도 16은 상기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6은 100매시 간격으로 표 6 내지 표 9의 룩업테이블에 따라 듀티1과 듀티2를 조정한 후 측정한 광학농도 데이타를 플로팅한 그래프로서, 각 컬러별 광학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방법을 사용함에 따라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연속인쇄시에도 인쇄매체의 컬러의 광학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인쇄기가 작동되는 동안 잉크 광학농도를 센서로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값을 물리량으로 계산하는 단계;
    상기 측정 물리값과 설정된 물리값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일정값 이상인 경우는 다음 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차이가 일정값 미만인 경우는 광학농도 측정단계로 되돌아가는 비교단계;
    상기 차이값에 따라 룩업테이블로부터 해당되는 현상바이어스 듀티1, 대전기의 그리드 전압 듀티2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듀티1, 듀티2를 고압전압원에 보내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컬러별 룩업테이블은,
    연속인쇄에 따른 광학농도의 감소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광학농도의 감소량에 따른 토너에 의한 현상전류 감소량을 보상하기 위해 현상 바이어스 전압의 증가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바이어스 전압 증가분에 대응하는 현상 바이어스 듀티1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전압 증가에 따른 백그라운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컬러별 현상기 전단의 대전기의 그리드 전압의 증가를 위한 듀티2를 계산하는 단계;로 작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량 제어방법
  4. 삭제
KR10-2001-0010738A 2001-03-02 2001-03-02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광학농도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0400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738A KR100400000B1 (ko) 2001-03-02 2001-03-02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광학농도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738A KR100400000B1 (ko) 2001-03-02 2001-03-02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광학농도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589A KR20020070589A (ko) 2002-09-10
KR100400000B1 true KR100400000B1 (ko) 2003-09-29

Family

ID=27696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738A KR100400000B1 (ko) 2001-03-02 2001-03-02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광학농도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00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2734B2 (en) 2003-01-30 2008-11-18 Dongbu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aking a monitoring pattern to measure a depth and a profile of a shallow trench isol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6881B1 (ko) 2003-10-23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성분 현상방식을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그의 인쇄농도 제어방법
US7151906B2 (en) * 2004-10-31 2006-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toner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systems and methods
KR100618390B1 (ko) 2005-01-13 2006-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롤러의 현상제량 제어장치, 그것을 구비한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83185B1 (ko) * 2005-07-19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이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농도 제어방법
KR100694142B1 (ko) * 2005-07-19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의 오염 방지장치
EP2471839B1 (en) 2010-12-31 2019-02-27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Heat-resistant 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20130072513A (ko) 2011-12-22 2013-07-02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열성, 성형성 및 백색도가 우수한 변성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5538A (ko) * 1997-11-21 1999-06-25 사까모도 마사모도 화상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5538A (ko) * 1997-11-21 1999-06-25 사까모도 마사모도 화상형성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2734B2 (en) 2003-01-30 2008-11-18 Dongbu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aking a monitoring pattern to measure a depth and a profile of a shallow trench iso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589A (ko) 2002-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3896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electrostatic parameters of an electrophotographic reproduction device
CA2076765C (en) Esv readings of toner test patches for adjusting ird readings of developed test patches
KR100400000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광학농도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US927448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eveloping contrast control
US968427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2076800C (en) Electrostatic target recalculation in a xerographic imaging apparatus
JP3905125B2 (ja) 色調節方法及び装置
JP5641847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20051142A1 (en) Developing method and developing apparatus
US5132730A (en) Monitoring of color developer housing in a tri-level highlight color imaging apparatus
US782675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US5208632A (en) Cycle up convergence of electrostatics in a tri-level imaging apparatus
CA2076791C (en) Charged area (cad) image loss control in a tri-level imaging apparatus
EP0519710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image forming condition controller responsive to test pattern image
US1032440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63915A (ja) 画像形成装置
CA2076768C (en) A tri-level imaging apparatus using different electrostatic targets for cycle up and runtime
JPH06161195A (ja) 電子写真記録装置
JP6635815B2 (ja) 画像形成装置
US974014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updates for speed-based setting of transfer voltage
JP307280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052128A (ja) 画像形成装置
US76883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lower power bound for a raster output scanner in a color xerographic printer
JP2023112296A (ja) 画像形成装置の調節方法、画像形成装置
JP2013226656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