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8334B1 - 포스터 인쇄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포스터 인쇄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8334B1
KR100618334B1 KR1020050005499A KR20050005499A KR100618334B1 KR 100618334 B1 KR100618334 B1 KR 100618334B1 KR 1020050005499 A KR1020050005499 A KR 1020050005499A KR 20050005499 A KR20050005499 A KR 20050005499A KR 100618334 B1 KR100618334 B1 KR 100618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gin
image
image data
recording paper
origin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4709A (ko
Inventor
진송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5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8334B1/ko
Publication of KR20060084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36Editing, i.e. producing a composite image by copying one or more original imag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65Means for printing without leaving a margin on at least one edge of the copy material, e.g. edge-to-edge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27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in the printing section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2Image or content composition onto a page
    • G06F3/1243Variable data printing, e.g. document forms, templates, labels, coupons, advertisements, logos, watermarks, transactional printing, fixed content versio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Page layout or assigning input pages onto output media, e.g. im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5Printing by reference, e.g. retrieving document/image data for a job from a source mentioned in the job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본이미지를 확대하여 복수의 용지에 분할인쇄하는 포스터 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원본이미지를 확대 및 분할하여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로 변환하는 단계와,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이 각각 인쇄된 복수의 기록용지들을 원본이미지에서의 위치에 대응하여 접착 시, 서로 접착되는 접착영역들 중 일 측에만 접착을 위한 여백이 생기도록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에 소정의 여백패턴들을 부여하는 단계 및 부여된 여백패턴들을 적용하여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을 복수의 기록용지들에 각각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접착영역에 여백이 생기지 않은 기록용지를 여백이 생긴 기록용지의 접착영역 위에 접착시킴으로써 기록용지의 여백 중 일부를 잘라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바로 기록용지들을 접착하여 하나의 확대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다.
포스터, 화상형성장치, 여백, 인쇄, 이미지

Description

포스터 인쇄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Apparatus for forming image having poster print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trolling thereof}
도 1은 종래의 포스터 인쇄기능을 통해 원본 이미지를 3×3개의 기록용지에 나누어 인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터 인쇄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본 이미지가 2×2개의 기록용지들에 나누어 인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5는 원본이미지를 5×5개로 분할하였을 때 분할된 이미지데이터들에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여백패턴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화상형성장치 210: 조작 패널부
220: 이미지 입력부 221: 스캐닝부
222: 통신인터페이스부 230: 메모리부
240: 이미지 처리부 250: 여백패턴 결정부
260: 인쇄부 270: 제어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대상 이미지를 확대하여 인쇄할 수 있는 포스터 인쇄 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스터 인쇄기능은 1 페이지의 이미지를 원본 이미지 보다 확대 인쇄하기 위하여 원본 이미지를 분할하여 확대 처리한 후 복수의 기록용지(2×2, 3×3, 4×4, …, n×n)에 나누어 인쇄하는 기능이다. 각 기록용지에 인쇄된 이미지를 조합하면 하나의 확대된 이미지, 즉, 포스터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포스터 인쇄기능을 통해 원본 이미지를 3×3개의 기록용지에 나누어 인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원본 이미지(I)를 분할 및 확대하여 포스터 인쇄기능을 통해 여러 기록용지들(P1, P2, P3, …, P9)에 나누어 인쇄할 경우에 각 기록용지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좌우에 모두 여백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각 기록용지들(P1, P2, P3, …, P9)에 인쇄된 이미지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확대된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분할된 이미지데이터들이 인쇄된 기록용지들(P1, P2, P3, …, P9)의 여백 중 빗금으로 나타낸 영역들을 사용자가 직접 절취하고 기록용지들(P1, P2, P3, …, P9)을 접착해서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운 과 정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용지의 여백 중 일부를 잘라내야 하는 번거로운 과정 없이 바로 기록용지들을 접착하여 하나의 확대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포스터 인쇄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원본이미지를 확대하여 복수의 기록용지들에 분할인쇄하는 포스터 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원본이미지를 확대 및 분할하여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로 변환하는 이미지 처리부와 상기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이 각각 인쇄된 상기 복수의 기록용지들을 상기 원본이미지에서의 위치에 대응하여 접착 시, 서로 접착되는 접착영역들 중 일 측에만 접착을 위한 여백이 생기도록 상기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에 소정의 여백패턴들을 부여하는 여백패턴 결정부 및 상기 부여된 여백패턴들을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을 상기 복수의 기록용지들에 각각 인쇄하는 인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여백패턴들은, 상기 기록용지의 모든 테두리에 여백이 생기는 제1 여백패턴과, 상기 기록용지의 하측 테두리를 제외한 모든 테두리에 여백이 생기는 제2 여백패턴과, 상기 기록용지의 우측 테두리를 제외한 모든 테두리에 여백이 생기는 제3 여백패턴 및 상기 기록용지의 상측과 좌측 테두리에만 여백이 생기는 제4 여백패턴 중 하나이다.
또한, 상기 여백패턴 결정부는, 상기 분할된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의 수가 n×n개이면, 상기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 중에서 상기 원본이미지의 n행n열에 위치하는 이미지데이터에는 상기 제1 여백패턴을 부여하고, 상기 n행n열에 위치하는 이미지데이터를 제외하고, 상기 원본이미지의 n열에 위치하는 이미지데이터들에는 상기 제2 여백패턴을 부여하며, 상기 n행n열에 위치하는 이미지데이터를 제외하고, 상기 원본이미지의 n행에 위치하는 이미지데이터들에는 상기 제3 여백패턴을 부여하고, 상기 n행 또는 n열에 위치하는 이미지데이터들을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데이터들에는 상기 제4 여백패턴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원본이미지를 확대하여 복수의 기록용지들에 분할인쇄하는 포스터 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원본이미지를 확대 및 분할하여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이 각각 인쇄된 상기 복수의 기록용지들을 상기 원본이미지에서의 위치에 대응하여 접착 시 서로 접착되는 접착영역들 중 일 측에만 접착을 위한 여백이 생기도록 상기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에 소정의 여백패턴들을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부여된 여백패턴들을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을 상기 복수의 기록용지들에 각각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여백패턴들은, 상기 기록용지의 모든 테두리에 여백이 생기는 제1 여백패턴과, 상기 기록용지의 하측 테두리를 제외한 모든 테두리에 여백이 생기는 제2 여백패턴과, 상기 기록용지의 우측 테두리를 제외한 모든 테두리에 여백이 생기는 제3 여백패턴 및 상기 기록용지의 상측과 좌측 테두리에만 여백 이 생기는 제4 여백패턴 중 하나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터 인쇄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200)는 조작 패널부(210), 이미지 입력부(220), 메모리부(230), 이미지 처리부(240), 여백패턴 결정부(250), 인쇄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이미지 입력부(220)는 스캐닝부(221)와 통신인터페이스부(222)를 포함한다.
조작 패널부(210)는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제공하는 각종 기능의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특히 포스터 기능 선택, 분할페이지수 등을 설정할 수 있는 조작키(미도시)들을 구비한다. 또한,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20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통상적인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 LCD, 미도시)를 구비한다.
이미지 입력부(220)는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문서를 스캐닝하여 원본이미지를 독취하는 스캐닝부(221)와 외부 호스트장치(미도시)와 접속되어 제어부(270)와 통신인터페이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외부 호스트장치로부터 원본이미지를 수신하는 통신인터페이스부(222)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230)는 화상형성장치(200)의 기능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제어 프로그램 및 화상형성장치(200)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230)는 스캐닝부(221)에서 독취되거나 통신인터페이스부 (222)를 통해 외부 호스트장치로부터 입력된 원본이미지와, 이미지 처리부(260)에서 원본이미지로부터 분할 및 확대 처리된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이 저장된다.
이미지 처리부(240)는 조작 패널부(210)로부터 입력받은 분할페이지수에 따라 포스터 인쇄대상 원본이미지를 입력된 분할페이지수에 따라 분할 및 확대 처리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입력된 분할페이지수가 4이면, 원본이미지를 상하좌우 2×2개로 분할하여 총 4개의 분할된 이미지데이터들을 생성하고, 분할된 이미지데이터들을 소정 비율로 확대 처리한다.
물론, 먼저 원본이미지를 확대 처리한 후 2×2개로 분할하는 것도 가능한다. 여기서, 확대 비율은 조작 패널부(2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입력된 분할페이지수에 따라 기본값으로 정해져 있는 확대 비율을 적용할 수도 있다.
여백패턴 결정부(250)는 이미지 처리부(240)에서 분할 및 확대 처리된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에 원본이미지에서의 위치에 따라 소정의 여백패턴들을 각각 부여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이 각각 인쇄된 기록용지들을 원본이미지에서의 위치에 대응하여 접착 시, 기록용지들이 서로 접착되는 접착영역 중 일측에는 여백이 생기고 타측에는 여백이 생기지 않도록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에 원본이미지에서의 위치에 따라 여백패턴들을 각각 부여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여백이 생기지 않은 기록용지를 여백이 생긴 기록용지의 접착 영역의 위에 접착시킴으로써, 기록용지의 여백 중 일부를 잘라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바로 확대된 이미지를 얻을 수 있게 한다.
인쇄부(250)는 여백패턴 결정부(260)에서 부여된 여백패턴을 적용하여 복수 의 이미지데이터들을 기록용지들에 각각 인쇄한다.
제어부(260)는 화상형성장치(200) 전체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60)는 인쇄부(250)가 이미지 처리부(240)에서 분할 및 확대된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을 여백패턴 결정부(250)에서 부여한 소정의 여백패턴들에 따라 복수의 기록용지들에 각각 인쇄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본이미지가 2×2개의 기록용지들에 나누어 인쇄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조작 패널부(210)를 통해 포스터 인쇄명령과 함께 분할페이지수가 2×2로 입력되면(S310), 이미지 처리부(240)는 스캐닝부(221)를 통해 독취되거나 통신인터페이스부(222)를 통해 입력된 도 4(a)의 원본이미지를 2×2개로 균등 분할 및 확대하여 도 4(b)와 같은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로 변환하여 출력한다(S320).
다음으로, 여백패턴 결정부(250)는 이미지 처리부(240)에서 분할 및 확대 처리된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이 원본이미지에서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도 4(b)의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에 원본이미지에서의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소정의 여백패턴들을 부여한다(S330).
원본이미지에서 1행1열의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데이터(1,1)에는 기록용지의 상측과 좌측 테두리에만 여백이 생기는 여백패턴을 부여하고, 원본이미지에서 1행2열의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데이터(1,2)에는 기록용지의 하측 테두리를 제외한 모든 테두리에 여백이 생기는 여백패턴을 부여하며, 원본이미지에서 2행1열의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데이터(2,1)에는 기록용지의 우측 테두리를 제외한 모든 테두리에 여백이 생기는 여백패턴을 부여하고, 원본이미지에서 2행2열의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데이터(2,2)에는 기록용지의 모든 테두리에 여백이 생기는 여백패턴을 각각 부여한다.
마지막으로, 인쇄부(260)는 여백패턴 결정부(260)에서 부여된 여백패턴을 적용하여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을 도 4(c)와 같이 제1 내지 제4 기록용지들(P1, P2, P3 및 P4)에 각각 인쇄한다(S340).
이에 의하면, 제1 기록용지(P1)를 제2 기록용지(P2)의 좌측 여백 영역에 접착시키고(①) 제3 기록용지(P3)를 제4 기록용지(P4)의 좌측 여백 영역에 접착 시킨 후(②), 제1 기록용지(P1) 및 제2 기록용지(P2)를 제3 기록용지(P3) 및 제4 기록용지(P4)의 상단 여백 영역에 접착 시키면(③), 여백 영역의 절취 없이도 각 기록용지에 인쇄된 이미지를 연결하여 하나의 확대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원본이미지를 5×5개로 분할하였을 때 분할된 이미지데이터들에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여백패턴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음영으로 나타낸 부분은 분할된 이미지데이터들이 용지에 인쇄되는 인쇄영역을 나타내며, 백색부분은 여백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원본이미지의 C1 영역에 위치하는 이미지데이터들에는 기록용지의 상측과 좌측의 테두리에만 여백이 생기는 여백패턴을 적용하고, 원본이미지의 C2 영역에 위치하는 이미지데이터들에는 기록용지의 하측 테두리를 제외한 모 든 테두리에 여백이 생기는 여백패턴을 적용하며, 원본이미지의 C3 영역에 위치하는 이미지데이터들에는 기록용지의 우측 테두리를 제외한 모든 테두리에 여백이 생기는 여백패턴을 적용하고, 원본이미지의 C4 영역에 위치하는 이미지데이터에는 기록용지의 모든 테두리에 여백이 생기는 여백패턴을 적용하여 기록용지들에 각각 인쇄하면, 도 4의 (c)에서와 마찬가지로 기록용지의 접착영역에 해당하는 여백 부분을 절취하지 않고도 각 기록용지들에 인쇄된 이미지를 연결하여 하나의 확대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원본이미지를 n×n개로 분할하여 포스터 인쇄를 하는 경우로 일반화하면, 원본이미지의 n열n행에 위치하는 이미지데이터에는 도 5의 C4 영역에 해당하는 여백패턴을 적용하고, n열n행을 제외한 원본이미지의 n열에 위치하는 이미지데이터들에는 도 5의 C2 영역에 해당하는 여백패턴을 적용하고, n열n행을 제외한 원본이미지의 n행에 위치하는 이미지데이터들에는 도 5의 C3 영역에 해당하는 여백패턴을 적용하고, 마지막으로 n열 또는 n행에 위치하는 이미지데이터들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위치하는 이미지데이터들에는 도 5의 C1 영역에 해당하는 여백패턴을 적용하여 기록용지들에 각각 인쇄하면, 기록용지의 접착영역에 해당하는 여백의 절취 없이도 각 기록용지들에 인쇄된 이미지를 연결하여 하나의 확대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여백이 생기지 않은 기록용지를 여백이 생긴 기록용지의 접착 영역의 위에 접착시킴으로써 기록용지의 여백 중 일부를 잘라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바로 기록용지들을 접착하여 하나의 확대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5)

  1. 원본이미지를 확대하여 복수의 기록용지들에 분할인쇄하는 포스터 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본이미지를 확대 및 분할하여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로 변환하는 이미지 처리부;
    상기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이 각각 인쇄되는 상기 복수의 기록용지들을 상기 원본이미지에서의 위치에 대응하여 접착 시, 서로 접착되는 접착영역들 중 일 측에만 접착을 위한 여백이 생기도록 상기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에 소정의 여백패턴들을 부여하는 여백패턴 결정부; 및
    상기 부여된 여백패턴들을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을 상기 복수의 기록용지들에 각각 인쇄하는 인쇄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여백패턴들은, 상기 기록용지의 모든 테두리에 여백이 생기는 제1 여백패턴과, 상기 기록용지의 하측 테두리를 제외한 모든 테두리에 여백이 생기는 제2 여백패턴과, 상기 기록용지의 우측 테두리를 제외한 모든 테두리에 여백이 생기는 제3 여백패턴 및 상기 기록용지의 상측과 좌측 테두리에만 여백이 생기는 제4 여백패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백패턴 결정부는,
    상기 분할된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의 수가 n×n개이면,
    상기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 중에서 상기 원본이미지의 n행n열에 위치하는 이미지데이터에는 상기 제1 여백패턴을 부여하고,
    상기 n행n열에 위치하는 이미지데이터를 제외하고, 상기 원본이미지의 n열에 위치하는 이미지데이터들에는 상기 제2 여백패턴을 부여하며,
    상기 n행n열에 위치하는 이미지데이터를 제외하고, 상기 원본이미지의 n행에 위치하는 이미지데이터들에는 상기 제3 여백패턴을 부여하고,
    상기 n행 또는 n열에 위치하는 이미지데이터들을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데이터들에는 상기 제4 여백패턴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원본이미지를 확대하여 복수의 용지에 분할인쇄하는 포스터 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본이미지를 확대 및 분할하여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이 각각 인쇄된 상기 복수의 기록용지들을 상기 원본이미지에서의 위치에 대응하여 접착 시, 서로 접착되는 접착영역들 중 일 측에만 접착을 위한 여백이 생기도록 상기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에 소정의 여백패턴들을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부여된 여백패턴들을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데이터들을 상기 복수의 기록용지들에 각각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여백패턴들은, 상기 기록용지의 모든 테두리에 여백이 생기는 제1 여백패턴과, 상기 기록용지의 하측 테두리를 제외한 모든 테두리에 여백이 생기는 제2 여백패턴과, 상기 기록용지의 우측 테두리를 제외한 모든 테두리에 여백이 생기는 제3 여백패턴 및 상기 기록용지의 상측과 좌측 테두리에만 여백이 생기는 제4 여백패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5. 삭제
KR1020050005499A 2005-01-20 2005-01-20 포스터 인쇄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KR100618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499A KR100618334B1 (ko) 2005-01-20 2005-01-20 포스터 인쇄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499A KR100618334B1 (ko) 2005-01-20 2005-01-20 포스터 인쇄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709A KR20060084709A (ko) 2006-07-25
KR100618334B1 true KR100618334B1 (ko) 2006-09-01

Family

ID=37174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499A KR100618334B1 (ko) 2005-01-20 2005-01-20 포스터 인쇄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83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81834A (zh) * 2017-09-28 2019-04-05 京瓷办公信息系统株式会社 图像形成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899B1 (ko) * 2007-11-12 201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호스트장치 및 그 이미지연속인쇄방법
JP6583300B2 (ja) * 2017-01-31 2019-10-0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3729A (ja) * 1992-01-06 1993-07-23 Canon Inc 画像形成方法
JPH10136298A (ja) 1996-10-25 1998-05-22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及びプリンタ
JP2001251493A (ja) 2000-03-07 2001-09-14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US20030202211A1 (en) 2001-04-25 2003-10-30 Shingo Yudasaka Divisional print contro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3729A (ja) * 1992-01-06 1993-07-23 Canon Inc 画像形成方法
JPH10136298A (ja) 1996-10-25 1998-05-22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及びプリンタ
JP2001251493A (ja) 2000-03-07 2001-09-14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US20030202211A1 (en) 2001-04-25 2003-10-30 Shingo Yudasaka Divisional print contr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81834A (zh) * 2017-09-28 2019-04-05 京瓷办公信息系统株式会社 图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709A (ko) 2006-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304223A (ja) 電子的に記憶されたラベルを印刷システムのソースジョブからデスティネーションジョブへ貼付する方法
JP2008155632A (ja) 文書自動印刷用の面付け方法
KR100618334B1 (ko) 포스터 인쇄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US839087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2541478B (zh) 拆页方法和装置
US20080003037A1 (en) Print control apparatus that controls printing device performing printing on print sheet having tab
JP4244742B2 (ja) 文書処理装置
US8564824B2 (en) System and printing method to generate printing data of an image to be printed over a plurality of recording pages
JP2005094717A (ja) 地図処理システム
JP2018176427A (ja) 画像形成装置
KR100497363B1 (ko) 포스터 인쇄방법 및 장치
JP5810614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1156706A (ja) 印刷制御プログラム、及び印刷制御装置
JP3099428B2 (ja) 表データ処理装置
JPH10337925A (ja) 折りのパターン表示方法
JP3598728B2 (ja) 印刷システム、印刷方法、印刷制御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印刷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印刷制御装置、及び印刷制御方法
KR20050108900A (ko) 포스터 인쇄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JPH0877376A (ja)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JP2904466B2 (ja) 面付けデータ作成装置
JPH02245363A (ja) 画像出力作成方法
JP2021068926A (ja) 画像形成装置
JPH02258376A (ja) 印刷装置
JP2005223676A (ja)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101113A (ja) プリンタ
JPH10333315A (ja) 折りのパターンへの部品配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