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6417B1 - 위생적인 일체형 수저 - Google Patents

위생적인 일체형 수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6417B1
KR100616417B1 KR1020050098237A KR20050098237A KR100616417B1 KR 100616417 B1 KR100616417 B1 KR 100616417B1 KR 1020050098237 A KR1020050098237 A KR 1020050098237A KR 20050098237 A KR20050098237 A KR 20050098237A KR 100616417 B1 KR100616417 B1 KR 100616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lery
food
shape
contact portion
upp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난희
Original Assignee
이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난희 filed Critical 이난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6Combined or separable sets of table-service utensils; Oyster knives with openers; Fish servers with means for removing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생적인 일체형 수저에 관한 것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영문 polycarbonate는 폴리 탄산 에스테르를 지칭하며 합성수지의 일종임) 70%와 유리섬유 30%를 혼합한 재질로 형성하며 숟가락을 아래위 방향으로 이등분한 형상의 좌수저와 우수저로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좌우몸체; 상기 좌우몸체의 상단을 일체형으로 연결시켜 집게 모양이 되도록 하는 상단연결부; 상기 상단연결부 하단에 형성하여 상기 좌우몸체가 부드럽게 움직여지면서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힌지(hinge)부; 상기 힌지(hinge)부 이하를 움직여 상기 좌우몸체 하단에 음식을 집거나 담을 수 있도록 하는 하단음식물접촉부; 상기 하단음식물접촉부에 형성하며 음식이 새지 않도록 하기 위해 좌우측이 서로 대응되어 맞물리도록 하는 지그재그한 모양의 톱니부; 상기 톱니부를 하단에 형성하는 하단음식물접촉부 내지 상단연결부 전체길이의 중앙 뒷면에 돌출된 모양으로 형성하는 수저받침부; 로 이루어진다.
힌지, 폴리카보네이트, 유리섬유, 일체형, 수저

Description

위생적인 일체형 수저{ONE-BODY TYPE FOR BOTH SANITARY SPOON AND CHOPSTICKS}
도 1a, b는 종래의 일체형 수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생적인 일체형 수저의 사시도이다.
도 3a, b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생적인 일체형 수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생적인 일체형 수저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생적인 일체형 수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적인 일체형 수저의 다른 실시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적인 일체형 수저의 또 다른 실시 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 설명 ※
100: 좌우몸체 110: 상단연결부
120: 힌지(hinge)부 130: 하단음식물접촉부
140: 톱니부 150: 수저받침부
본 발명은 젓가락과 숟가락 기능을 겸한 일체형 수저에 관한 것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70%와 유리섬유 30%를 혼합한 재질로 형성하여 끓는 물에 소독하거나 냉동시켜도 외형이 변하지 않고 음식물의 색이 수저에 배지 않으며 상기 수저의 상단부에 힌지(hinge)부를 형성하여 부드럽게 움직여 사용할 수 있고 음식물을 집는 부위가 어긋나기 않아 음식물이 새지 않도록 하며 식사 중 상기 수저를 식탁에 내려놓았을 때 음식물을 집거나 담는 부위가 식탁에 닿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일체형 수저는 음식을 집을 때 상기 음식을 집는 부위가 어긋나고 틈새가 생겨 식사 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외형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이 강한 재질로 만들어졌으나 사용 시 힘이 많이 들어 손가락에 무리가 가는 문제점이 있었고, 김치나 카레와 같이 색이 강한 음식을 먹을 때는 음식의 색이 수저에 배어 없어지지 않았으며 끓는 물에서는 수저의 모양이 변형되므로 끓는 물에 소독할 수 없었고 수저를 식탁에 내려놓을 때 음식을 집는 부위가 식탁에 닿아 식탁과 수저가 모두 지저분해지는 위생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도 1a는 종래의 일체형 수저를 오므렸을 때를 나타낸 정면도로써 음식물을 집는 부분(10)의 상단 내지 수저의 좌우연결부(20) 하단의 내측면이 결합되지 않고 곡선을 이루어 음식물을 집거나 담았을 때 수저의 좌우가 서로 어긋나 상기 음식물을 집거나 담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도 1b는 종래의 일체형 수저를 식탁에 올려놓았을 때를 나타낸 측면도로써 음식물을 집는 부분(10)이 식탁에 닿게 되어 식탁과 음식물을 집는 부분(10)이 모두 더럽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70%와 유리섬유 30%를 혼합시킨 재질로 형성하여 수저를 끓는 물에 삶아 소독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끓는 물에 넣어 삶거나 냉동을 시켜도 모양이 변하지 않으며 일정한 탄력이 있어 쉽게 손상되지 않고 음식물의 색소가 수저에 배지 않도록 하는 위생적인 수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단음식물접촉부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집을 때 상기 하단음식물접촉부 내지 수저받침부가 일자로 결합되도록 하고 상단연결부 하단에 힌지(hinge)부를 형성하여 수저의 좌우를 오므렸을 때 상기 하단음식물접촉부가 서로 어긋나지 않으며 적은 악력(잡는 힘)으로도 사용이 용이하여 손가락에도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위생적인 일체형 수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종래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75 내지 85%와 유리섬유 15 내지 25%의 혼합의 강도, 탄성률 및 고내열성보다 향상된 실시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70%와 유리섬유 30%를 혼합한 재질로 형성하며 숟가락을 아래위 방향으로 이등분한 형상의 좌수저와 우수저로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좌우몸체(100); 상기 좌우몸체의 상단을 일체형으로 연결시켜 집게 모양이 되도록 하는 상단연결부(110); 상기 상단연결부 하단에 형성하여 상기 좌우몸체가 부드럽게 움직여지면서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힌지(hinge)부(120); 상기 힌지(hinge)부 이하를 움직여 상기 좌우몸체 하단에 음식을 집거나 담을 수 있도록 하는 하단음식물접촉부(130); 상기 하단음식물접촉부에 형성하며 음식이 새지 않도록 하기 위해 좌우측이 서로 대응되어 맞물리도록 하는 지그재그한 모양의 톱니부(140); 상기 톱니부를 하단에 형성하는 하단음식물접촉부 내지 상단연결부 전체길이의 중앙 뒷면에 돌출된 모양으로 형성하는 수저받침부(150); 로 구성한다.
상기 수저받침부(150) 내지 상단연결부(110)는 상기 수저받침부(150) 내지 하단음식물접촉부(130)보다 양옆으로의 폭이 좁고 앞뒤로의 두께가 두껍도록 형성하여 기존의 개별적인 젓가락과 최대한 동일한 사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사용 시 어색하지 않게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위생적인 일체형 수저를 오랜기간 사용할 경우에도 젓가락을 사용하는 기술이 퇴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생적인 일체형 수저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70%와 유리섬유 30%를 혼합한 재질로 형성하고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와 유리섬유의 비율을 7:3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생적인 일체형 수저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수저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70%와 유리섬유 30%를 혼합한 재질로 형성하며 좌수저와 우수저로 한 쌍을 이루는 좌우몸체(100)와 상기 좌우몸체 상단을 일체형으로 연결시키는 상단연결부(110)와 상기 상단연결부 하단에 형성하여 상기 좌우몸체(100)가 부드럽게 움직여지면서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힌지(hinge)부(120)와 상기 좌우몸체 하단에 음식을 집거나 담을 수 있도록 하며 음식물을 집을 때 양쪽이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톱니부(140)를 형성하는 하단음식물접촉부(130)와 상기 수저 전체길이의 중앙 뒷면에 돌출된 모양으로 형성하는 수저받침부(150)로 구성하였다.
상지 힌지부(120)는 좌우몸체(100)의 후면에서 보면 오목하게 패인 형상이지만 전면에서 보면 별도로 오목하게 패이는 부분 없이 상기 힌지부(120)가 시작되는 부분에서 수저받침부(150)로 갈수록 양옆으로의 폭이 점차 넓어지는 형상이며 상기 좌우몸체(100)의 상단부에서 힌지부(120)가 굽힘점으로 작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적은 악력(잡는 힘)으로도 불편 없이 부드럽게 움직여지면서 어긋나지 않도록 하였다.
도 3a, b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생적인 일체형 수저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좌우몸체(100)가 양쪽으로 벌어져 있을 때(도 3a)는 상단보다 하단의 사이간격이 넓고 하단음식물접촉부(130)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집거나 담을 때(도 3b)는 상 기 좌우몸체(100) 상단보다 하단의 사이간격이 좁아지고 상기 수저받침부(정면도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내지 하단음식물접촉부(130)의 내측면이 일자로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좌우몸체의 좌수저와 우수저가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하므로 상기 수저 사용 시 통상의 젓가락을 사용할 때와 같은 느낌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이 불편하거나 어색하지 않으며 젓가락을 사용할 줄 모르는 사람에게는 젓가락 사용 방법을 쉽게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생적인 일체형 수저의 배면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생적인 일체형 수저가 부드럽게 움직여지도록 하고 음식물을 집을 때 어긋나지 않도록 하는 힌지(hinge)부(120)는 좌우몸체(100)를 이루는 좌수저와 우수저가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의 같은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좌우몸체 뒷면에서 보았을 때 원만한 곡선으로 오목하게 패인 형상으로 형성하였고, 수저받침부(150)는 아랫부분을 평평하게 하여 식탁에 올려놓을 때 안정적일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생적인 일체형 수저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수저받침부(150)를 기준으로 상단연결부(110)쪽의 무게보다 하단음식물접촉부(130)쪽의 무게를 더 가볍게 하여 상기 수저를 식탁에 올려놓았을 때 수저받침부(150)와 상단연결부(110)가 식탁에 닿고 하단음식물접촉부(130)는 식탁에 닿지 않도록 하여 식탁과 하단음식물접촉부가 더럽혀지지 않도록 하였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적인 일체형 수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수저받침부(150)는 상기 좌우몸체(100) 뒷면의 중앙 내지 하단에 위치를 변형시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힌지부(120)는 상단연결부(110) 하단의 좌우몸체(100)에 두 개를 연접하여 형성시키는 것으로 변형할 수 있으며, 상기 수저받침부(150)의 위치를 좌우몸체(100) 뒷면의 하단에 형성시킬 때(도 7 참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몸체(100) 상단 내지 수저받침부(150) 상단 길이의 앞뒷면 방향으로의 두께가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70%와 폴리이미드(PEI:polyetherimide) 30%를 혼합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70%와 유리섬유 30%를 혼합시킨 재질로 형성하여 수저를 끓는 물에 삶아 소독할 수 있고 일정한 탄력이 있어 쉽게 손상되지 않으며, 수저에 틈새나 홈이 없어 세척 시 이물질이 끼지 않고 음식물의 색소가 수저에 배지 않아 깨끗하게 사용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와 유리섬유의 비율을 7:3으로 하여 인장강도를 20%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가열되는 온도에서의 강성과 탄성률이 높으며, 반복되는 세척과 오토클레이브(autoclave)에 의한 다중 소독에 잘 견디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장기 고내열성으로 최대 180℃의 온도를 견디며, 투명 색상으로 디자인의 변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숟가락과 젓가락을 일체형으로 하는 일체형 수저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70%와 유리섬유 30%로 혼합한 재질로 형성하며 숟가락을 아래위 방향으로 이등분한 형상의 좌수저와 우수저로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좌우몸체;
    상기 좌우몸체의 상단을 일체형으로 연결시켜 집게 모양이 되도록 하는 상단연결부;
    상기 상단연결부 하단에 형성하여 상기 좌우몸체가 부드럽게 움직여지면서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힌지(hinge)부;
    상기 힌지(hinge)부 이하를 움직여 상기 좌우몸체 하단에 음식을 집거나 담을 수 있도록 하는 하단음식물접촉부;
    상기 하단음식물접촉부에 형성하며 음식이 새지 않도록 하기 위해 좌우측이 서로 대응되어 맞물리도록 하는 지그재그한 모양의 톱니부;
    상기 톱니부를 하단에 형성하는 하단음식물접촉부 내지 상단연결부 전체길이의 중앙 뒷면에 중앙 내지 하단으로 위치를 변형시켜 돌출된 모양으로 형성하여 상단연결부쪽의 무게보다 하단음식물접촉부쪽의 무게를 더 가볍게 하여 수저를 식탁에 올려놓았을 때 상기 상단연결부가 식탁에 닿고 상기 하단음식물접촉부는 식탁에 닿지 않도록 하는 수저받침부;
    로 구성하며 상기 수저받침부 내지 상단연결부는 상기 수저받침부 내지 하단음식물접촉부보다 양옆으로의 폭이 좁고 앞뒤로의 두께가 두껍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위생적인 일체형 수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몸체가 양쪽으로 벌어져 있을 때는 상단보다 하단의 사이간격이 넓고 상기 하단음식물접촉부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집거나 담을 때는 상기 좌우몸체 상단보다 하단의 사이간격이 좁아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적인 일체형 수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hinge)부는 좌우몸체를 이루는 좌수저와 우수저를 연접하여 형성하며 서로 마주보는 내 측면의 같은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좌우몸체 뒷면에서 보았을 때 원만한 곡선으로 오목하게 패이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적인 일체형 수저.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음식물접촉부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집었을 때 상기 수저받침부 내지 하단음식물접촉부의 내측면이 일자로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좌우몸체의 좌수저 와 우수저가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적인 일체형 수저.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50098237A 2005-07-06 2005-10-18 위생적인 일체형 수저 KR1006164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60723 2005-07-06
KR1020050060723 2005-07-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6417B1 true KR100616417B1 (ko) 2006-08-29

Family

ID=36956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237A KR100616417B1 (ko) 2005-07-06 2005-10-18 위생적인 일체형 수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006465A1 (ko)
EP (1) EP1741369A1 (ko)
JP (1) JP2007014714A (ko)
KR (1) KR100616417B1 (ko)
CN (1) CN18911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75520B2 (en) * 2007-03-15 2013-11-05 Daniel Garr Heating systems for heating items in heating compartments
GB2452978A (en) * 2007-09-22 2009-03-25 Timothy Nicholas Moor Feeding aid attachments for chopsticks and similar utensils
US8870254B2 (en) 2011-08-02 2014-10-28 Edward E. Marshall, III Chopsticks utensil
US8782907B2 (en) * 2012-12-20 2014-07-22 Edward Chong All-in-one multipurpose eating utensil adapted to be separated into pieces
US10661957B2 (en) * 2015-04-01 2020-05-26 Readyman, Llc Tool kits
JP6122569B1 (ja) * 2016-11-05 2017-04-26 昌彦 山口 喫食用具
US11659961B1 (en) * 2017-04-12 2023-05-30 Magnefuse, Llc Multi-purpose cooking tool
US10136745B1 (en) * 2017-12-25 2018-11-27 Vista Mountain Gear, Llc Eating utensil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8109A (en) * 1956-07-26 1957-01-22 James L Haynes Citrus fruit spoon
US3727306A (en) * 1971-12-17 1973-04-17 R Patik Spoon construction
US4048133A (en) * 1974-06-21 1977-09-13 Bayer Aktiengesellschaft Glas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polycarbonate molding compositions with improved tough-elastic properties
US4159182A (en) * 1977-11-18 1979-06-26 Catherine E. Buck Combination toothpick and beverage stirrer
JPS56125010A (en) * 1980-03-06 1981-10-01 Kato Kenji Spoon capable of eating any food
US4610087A (en) * 1984-12-24 1986-09-09 State Of New Mexico Eating utensil for correctional institutions
JPH02299610A (ja) * 1989-05-15 1990-12-11 Asahi Chem Ind Co Ltd 樹脂製箸
US5187256A (en) * 1990-12-03 1993-02-16 The Dow Chemical Company Uniform distribution polycarbonate pellet
JPH0779850A (ja) * 1993-09-13 1995-03-28 Asahi Glass Co Ltd お 箸
IL108973A (en) * 1994-03-14 1997-11-20 Yaakov Greenvurcel Non-soiling cutlery and a method for its production
JPH09262169A (ja) * 1996-03-28 1997-10-07 Toray Ind Inc 樹脂製箸
US6313451B1 (en) * 1998-07-01 2001-11-06 Hanover Direct, Inc. Microwave heated serving utensil
KR200235635Y1 (ko) * 2001-01-10 2001-09-25 윤석수 집게형 젓가락
US20020135102A1 (en) * 2001-02-12 2002-09-26 Forbes Alan H. Injection-molded, mineral-filled articles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JP2003265297A (ja) * 2002-03-18 2003-09-24 Tadaya Matsumoto 手障害者用食事補助具
JP4674741B2 (ja) * 2002-06-18 2011-04-20 伸之輔 木村 取り分け用器具
US20050028386A1 (en) * 2003-08-07 2005-02-10 Hughes W. Scott Kitchen utensil with head supporting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014714A (ja) 2007-01-25
EP1741369A1 (en) 2007-01-10
CN1891112A (zh) 2007-01-10
US20070006465A1 (en) 200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6417B1 (ko) 위생적인 일체형 수저
CN208096093U (zh) 洗碗用硅刷手套
US20060272116A1 (en) Reversible scrubbing gloves
KR20070016904A (ko) 포크겸용 일체형 젓가락
JP3177408U (ja) 麺類フォーク
KR200362878Y1 (ko) 젓가락용 그립홀더
KR200417158Y1 (ko) 삼중구조의 위생장갑
CN213488234U (zh) 新型筷子
KR200190555Y1 (ko) 젓가락
KR200357495Y1 (ko) 음식용구
KR101583786B1 (ko) 지름 가변형 말이식 손가락 위생 장갑
KR850000950Y1 (ko) 식사용 골무
CN214433445U (zh) 一种多功能陶瓷餐具
KR200220831Y1 (ko) 위생용 골무
CN218978532U (zh) 一种儿童碗及儿童餐具
KR200181207Y1 (ko) 위생수저
KR20090010511U (ko) 개량 젓가락
KR200334779Y1 (ko) 수저 받침접시
KR20100006242A (ko) 개량형 젓가락
CN104856534A (zh) 具有限位功能的一种可快拆式筷子
TWM537857U (zh) 餐用器具改良結構
KR200484348Y1 (ko)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KR200220872Y1 (ko) 다기능 젓가락
KR200297564Y1 (ko) 면 식품용 스푼
KR200358769Y1 (ko) 인조 세척포 부착형 고무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