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635Y1 - 집게형 젓가락 - Google Patents

집게형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635Y1
KR200235635Y1 KR2020010000563U KR20010000563U KR200235635Y1 KR 200235635 Y1 KR200235635 Y1 KR 200235635Y1 KR 2020010000563 U KR2020010000563 U KR 2020010000563U KR 20010000563 U KR20010000563 U KR 20010000563U KR 200235635 Y1 KR200235635 Y1 KR 2002356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support
contact
present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5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수
Original Assignee
윤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수 filed Critical 윤석수
Priority to KR20200100005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6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6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635Y1/ko
Priority to CNB028035895A priority patent/CN100401956C/zh
Priority to US10/250,751 priority patent/US20040051327A1/en
Priority to JP2002555664A priority patent/JP2004520114A/ja
Priority to PCT/KR2002/000022 priority patent/WO2002054921A1/en
Priority to EP02729586A priority patent/EP1359830A4/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젓가락의 상단부를 서로 결합하고 측면에는 파지부(40)를 돌출되게 형성시켜 파지부(40)의 누름에 따라 젓가락이 좁혀지고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는 집게형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한 쌍의 젓가락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부(20)와, 상기 지지부와 젓가락 하단의 접촉부(30)간에 돌출되게 형성된 파지부(40)와, 상기 파지부와 지지부(20)사이에 그 두께를 얇고 폭을 넓게 한 중도부
(50)를 길게 형성시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도부(50)에 의하여 젓가락 자체에 탄성 변형력을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집게형 젓가락{Chapstick of the Pincers type}
본 고안은 집게형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젓가락의 상단부를 서로 결합하고 측면에는 파지부를 돌출되게 형성시켜 파지부의 누름에 따라 젓가락이 좁혀지고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는 집게형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젓가락은 두개의 젓가락이 모여 1세트를 이루며, 사용시 두개의 젓가락을 각각 움직여 음식물을 잡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두개의 젓가락을 능숙하게 움직이는데에는 숙련이 필요하여 젓가락 사용이 익숙치 않은 외국인이나 신체가 불편한 노약자, 또는 수전증 환자들에게는 젓가락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젓가락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젓가락을 식탁위에 놓게 되므로 식탁의 표면과 접촉되어 오염 가능성이 있으며 미관상이나 위생상 좋지 않은 느낌을 받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일부 식당에서는 젓가락을 올려놓을 수 있는 젓가락 받침대를 구비하여,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젓가락을 올려 놓아 젓가락의 음식물과 접촉되는 접촉부가 식탁등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젓가락 이외에 별도의 젓가락 받침대를 구비하여 식탁위에 놓아야 함은 물론, 젓가락을 사용한 후에는 젓가락 받침대 위에 올려놓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인이 선등록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45841호가 등록되어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145841호의 요지는 좌,우 한쌍의 젓가락 일단부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한 원환의 지지부(120)로 연결되고, 상기 젓가락의 저면에는 외측면을 엠보싱 또는 널링가공하여서 된 손잡이부(140)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젓가락은 손잡이부(140)와 지지부(120)가 식탁에 접촉이 지지되므로, 접촉부(130)를 식탁면과 접촉되지 않게 하는 효과는 있으나, 손잡이부
(140)를 눌러 음식물을 잡는 경우에 젓가락을 좁히는 힘이 원환의 지지부(120)에 작용하게 되는 결과, 원환의 외측부는 인장력을 받게 되고 내측부는 수축력을 받게 되어 사용시 지지부가 약화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부를 보강하게 되면 젓가락이 좁혀지지 않아 음식물을 잡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물론, 지지부의 원환을 크게 형성시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나, 이는 젓가락의 균형이 맞지 않아 미관을 해치는 다른 문제가 있으며, 젓가락 사용에 따른 힘을 전부 지지부에서 받게 하는 경우에는 중심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접촉부가 엇갈려 서로 합치되기 어려운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지지부가 파손되지 않으며, 접촉부가 서로 엇갈리지 않고 접촉부와 식탁면과의 접촉이 방지되는 청결한 젓가락의 형상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집게형 젓가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과 관련된 집게형 젓가락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과 관련된 집게형 젓가락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과 관련된 집게형 젓가락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과 관련된 집게형 젓가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중 주요부호에 관한 설명〕
20 ... 지지부 30 ... 접촉부
40 ... 파지부 50 ... 중도부
상술한 기술적 과제는 2개의 젓가락이 결합된 지지부와 손으로 잡아주는 파지부 사이에 자체적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형상을 제공함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고안은 한 쌍의 젓가락 상단부를 서로 견고하게 연결하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접촉부 사이에 돌출되게 형성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와 지지부 사이에 그 두께를 얇게 한 중도부를 넓고 길게 형성시킴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과 관련된 젓가락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과 관련된 젓가락의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집게형 젓가락은 한 쌍의 젓가락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그 하측이 식탁에 접촉되어 젓가락을 지지하는 지지부(20)와,
상기 지지부(20)와 젓가락 하단의 접촉부(30)사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그 하측이 식탁에 접촉되어 상기 지지부(20)와 함께 젓가락을 지지하는 파지부(40)와,
상기 파지부(40)와 지지부(20) 사이에 그 두께가 얇은 중도부(50)를 넓고 길게 형성시켜 상기 젓가락에 탄성 변형력을 부여토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의 지지부(20)와 파지부(40)는 반드시 하측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상측으로 형성하거나 상,하측 모두에 형성하여도 좋다.
단지, 지지부(20)와 파지부(40)는 식탁에 접촉되며 젓가락을 지지하여 접촉부(30)가 식탁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파지할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면 되는 것이다.
작용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구비된 젓가락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잡는 경우, 파지부(40)를 잡고 힘을 가하면 젓가락은 지지부(20)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구부러지게 되며, 이 때 파지부(40)와 지지부(20) 사이의 중도부(50)는 그 두께를 절삭하여 얇게 형성시키므로써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탄성 변형되게 되며, 동시에 탄성율도 향상되어 파지부(40)에서 힘을 줄여주면 복원되어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기술이 단지 지지부의 탄성에 의존하여 젓가락을 움직이는 구성인데 비하여, 본 고안은 젓가락 그 자체에 탄성을 부여하여 젓가락을 움직이는 구성으로서, 본 고안에서의 지지부는 단지 두개의 젓가락을 견고하게 연결하고 식탁에 접촉되어 젓가락을 지지하는 역활과 접촉부가 엇갈리지 않게 하는 역활을 담당하게 된다.
또한, 접촉부(30)는 실제 음식물과 접촉되는 부분으로 음식물과 접촉력을 증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포오크 형상이거나 넙적한 판 형상이어도 좋고, 또한 표면에 요철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본 고안은 지지부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작은 힘으로도 젓가락의 접촉부가 서로 엇갈리지 않고 합치되므로 용이하게 음식물을 잡을 수 있고, 또한 지지부와 파지부가 식탁에 접촉되며 젓가락을 지지하여 주므로써 접촉부가 식탁면에 접촉되지 않아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한 쌍의 젓가락 상단부를 서로 견고하게 연결하며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부
    (20)와,
    상기 지지부(20)와 젓가락 하단의 접촉부(30) 사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파지부(40)와,
    상기 파지부(40)와 지지부(20) 사이에 그 두께를 얇고 폭을 넓게 한 중도부
    (50)를 길게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젓가락.
  2. 제 1 항에 있어서,
    접촉부(30)는 포오크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젓가락.
KR2020010000563U 2001-01-10 2001-01-10 집게형 젓가락 KR2002356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563U KR200235635Y1 (ko) 2001-01-10 2001-01-10 집게형 젓가락
CNB028035895A CN100401956C (zh) 2001-01-10 2002-01-07 钳式筷子
US10/250,751 US20040051327A1 (en) 2001-01-10 2002-01-07 Choptstick of the pincers type
JP2002555664A JP2004520114A (ja) 2001-01-10 2002-01-07 やっとこ型箸
PCT/KR2002/000022 WO2002054921A1 (en) 2001-01-10 2002-01-07 Choptstick of the pincers type
EP02729586A EP1359830A4 (en) 2001-01-10 2002-01-07 TWEEZER-BASED CHOPSTIC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563U KR200235635Y1 (ko) 2001-01-10 2001-01-10 집게형 젓가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508A Division KR100438499B1 (ko) 2001-08-11 2001-08-11 집게형 젓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635Y1 true KR200235635Y1 (ko) 2001-09-25

Family

ID=19704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563U KR200235635Y1 (ko) 2001-01-10 2001-01-10 집게형 젓가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40051327A1 (ko)
EP (1) EP1359830A4 (ko)
JP (1) JP2004520114A (ko)
KR (1) KR200235635Y1 (ko)
CN (1) CN100401956C (ko)
WO (1) WO20020549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042Y1 (ko) * 2004-11-18 2005-03-28 윤석수 음식물 협지구
JP2007014714A (ja) * 2005-07-06 2007-01-25 Nan-Hee Lee 衛生的な一体型匙と箸
US7905021B2 (en) * 2005-08-10 2011-03-15 Kamran Shirazi International dining kit
US20070033809A1 (en) * 2005-08-10 2007-02-15 Kamran Shirazi Combination eating utensil
US8672377B2 (en) * 2007-03-12 2014-03-18 Michel Ina Eating utensil
DE102007028236A1 (de) 2007-06-20 2009-01-02 Siemens Ag Halbleitendes Material und organische Gleichrichterdiode
JP5224952B2 (ja) * 2008-07-14 2013-07-03 Hoya株式会社 内視鏡用バルーンの装着補助具、内視鏡用バルーン装着キット、及び、内視鏡システム
WO2013073988A1 (ru) * 2011-11-17 2013-05-23 Titov Andrey Mikhailovich Столовый прибор
US8782907B2 (en) * 2012-12-20 2014-07-22 Edward Chong All-in-one multipurpose eating utensil adapted to be separated into pieces
CN103284553A (zh) * 2013-06-26 2013-09-11 严红利 夹嫩筷子
DE102014003607A1 (de) * 2014-03-13 2015-09-17 Thomas Grubert Teilchenhalter zum Ergreifen und Fassen von Gebäckteilchen oder ähnlichen Nahrungsmitteln um diese dann zum Mund zu führen ohne sich die Hände zu verschmutzen. Er kann in Größe, Form, Material und Farbe variieren.
US9192258B2 (en) * 2014-03-23 2015-11-24 Jon Parks Serving utensils
JP5605886B1 (ja) * 2014-03-24 2014-10-15 悠梨香 前田 お玉
US9987764B2 (en) * 2015-07-29 2018-06-05 Paul Harvey Woodworks, Llc Tube insertion tool
US9808104B1 (en) * 2016-05-17 2017-11-07 Tam P. Tran One-piece construction chopsticks
US10136745B1 (en) * 2017-12-25 2018-11-27 Vista Mountain Gear, Llc Eating utensil
US20200069093A1 (en) * 2018-09-05 2020-03-05 Angela Knight Eating utensil
JP7374493B2 (ja) * 2020-10-16 2023-11-07 株式会社ワクワクック トング
USD933436S1 (en) * 2020-10-19 2021-10-19 Vaso Nastovski Adjustable tong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58322C (de) * 1932-09-06 Ach Klein Spargelgreifer
US420125A (en) * 1890-01-28 Watch-maker s tweezers
US804652A (en) * 1905-06-24 1905-11-14 C C Holden Tweezers.
US1198958A (en) * 1915-07-12 1916-09-19 Cleveland Dental Mfg Company Tweezers.
CH124499A (de) * 1927-03-11 1928-02-01 Friedrich Wymann Pinzette, insbesondere zum Fassen von zubereiteten Spargeln.
CH133750A (de) * 1928-11-15 1929-06-30 Mettler Anny Gerät zum Entfernen von Fischgräten.
US1806441A (en) * 1930-03-27 1931-05-19 Bauer Karl Universal kitchen tong
US1889475A (en) * 1932-01-18 1932-11-29 Henkel August Tweezers
US2082062A (en) * 1935-06-08 1937-06-01 Bernard Wigder Tweezers
FR893203A (fr) * 1942-12-18 1944-06-02 Pince à moules
US2800714A (en) * 1954-06-25 1957-07-30 Walter E Evans Cake cutter and server
US3306139A (en) * 1965-09-13 1967-02-28 Robert W Brackett Tweezer construction
JPS5375900U (ko) * 1976-11-26 1978-06-24
US4126962A (en) * 1977-06-13 1978-11-28 Polcaro Arthur B Plant care device
JPS5444191U (ko) * 1977-09-01 1979-03-27
JPS62100146U (ko) * 1985-12-11 1987-06-25
US4964663A (en) * 1989-10-23 1990-10-23 Jermyn Arthur C Device for handling a plastic contact lens
DE4021022C2 (de) * 1990-07-02 1994-08-04 Manfred Dipl Ing Ortwein Vorrichtung zum Erfassen von Gegenständen
DE4335206A1 (de) * 1993-10-15 1995-04-20 Manfred Dipl Ing Ortwein Essgerät zum Aufnehmen von Speisen
CN2251313Y (zh) * 1996-03-30 1997-04-09 吴宗波 筷子
JP2000308560A (ja) * 1999-04-28 2000-11-07 Yoshida Kinzoku Kogyo Kk 挟持補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59830A1 (en) 2003-11-12
CN1484506A (zh) 2004-03-24
JP2004520114A (ja) 2004-07-08
WO2002054921A1 (en) 2002-07-18
CN100401956C (zh) 2008-07-16
US20040051327A1 (en) 2004-03-18
EP1359830A4 (en) 2004-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5635Y1 (ko) 집게형 젓가락
CN100586347C (zh) 用于夹取和夹持食物的工具
WO2005099527A1 (en) Chopsticks
KR100438499B1 (ko) 집게형 젓가락
US6761386B2 (en) Holder for scouring device
KR20210002806A (ko) 제조방법을 단순화 한 숟가락 및 젓가락
JP3110363U (ja) 手指の不自由者用箸
KR100729951B1 (ko) 음식물 협지구
KR100802630B1 (ko) 숟가락 및 젓가락과 그 제조방법
KR200145841Y1 (ko) 집게형 간편 젓가락
KR200242075Y1 (ko) 학습용 젓가락
KR200450867Y1 (ko) 학습용 젓가락
KR200175787Y1 (ko) 젓가락
KR100749153B1 (ko) 젓가락
KR200383885Y1 (ko) 세 개의 다리를 가진 취식도구
KR200198752Y1 (ko) 젓가락
KR200163103Y1 (ko) 학습용 젓가락
KR200233449Y1 (ko)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KR200249429Y1 (ko) 조리용 집게
KR200357412Y1 (ko) 집게형 주방기구
KR200385690Y1 (ko) 음식용구 손잡이의 상면 전사장치
KR200394596Y1 (ko) 위생 젓가락
KR20060127518A (ko) 숟가락/젓가락 겸용구
KR200327562Y1 (ko) 팬 집게
KR20120091728A (ko) 기능성 젓가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