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2630B1 - 숟가락 및 젓가락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숟가락 및 젓가락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630B1
KR100802630B1 KR1020060067170A KR20060067170A KR100802630B1 KR 100802630 B1 KR100802630 B1 KR 100802630B1 KR 1020060067170 A KR1020060067170 A KR 1020060067170A KR 20060067170 A KR20060067170 A KR 20060067170A KR 100802630 B1 KR100802630 B1 KR 100802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isc
bowl
spoon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7925A (ko
Inventor
장도훈
Original Assignee
장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도훈 filed Critical 장도훈
Priority to KR1020060067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630B1/ko
Publication of KR20080007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7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33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gripping surfaces having special sha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숟가락 및 젓가락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 부분을 두텁게 형성함에 따라 파지가 용이함은 물론, 제조방법 역시 단순화 시킬 수 있는 숟가락 및 젓가락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및 젓가락은 숟가락과 젓가락 형상을 갖는 각각의 원판과, 상기 각 원판의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손잡이 보강부로 이루어지며,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제조방법은 보울부와 목부 및 손잡이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원판을 형성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원판의 보울부가 얇게 성형되도록 롤링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원판의 보울부가 원형 또는 타원형이 되도록 프레싱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원판의 보울부에 보울이 형성되도록 프레싱하는 제 4단계 및 파지 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손잡이 보강부를 결합시키는 제 5단계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제조방법은 젓가락 형상의 원판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파지 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상기 원판의 손잡이부에 손잡이 보강부를 결합시키는 제2단계 및 상기 결합된 젓가락 형상의 원판 및 상기 보강부 전체를 연마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숟가락, 보울부, 목부, 손잡이부, 젓가락, 손잡이 보강부, 중공부

Description

숟가락 및 젓가락과 그 제조방법{Spoon and chopsticks and manufacturing method thoreof}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숟가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1: 원판 11a: 보울부
11b: 목부 11c, 21a: 손잡이부
12, 22: 손잡이 보강부
본 발명은 숟가락 및 젓가락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잡이를 두텁게 형성함에 따라 파지가 용이함은 물론, 그 제조방법 역시 단순화 시킬 수 있는 숟가락 및 젓가락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숟가락은 그 파지(把持)가 용이하도록 다양한 형상 및 각도를 갖는 손잡이를 포함한 구성이 제시되고 있기는 하나, 그 손잡이의 모양이 납작하여 식탁 등의 바닥면에 놓았다가 다시 집어들기가 어렵거나 혹은 너무 두꺼워 사용시 파지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공개실용신안 제95-22678호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2)과 손잡이부(3)를 분리하여 숟가락(1)을 형성하되, 상기 보울(2)의 상측을 둥글게 말아서 연결자루(4)를 형성함과 동시에 결합구(5)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구(5)에는 반구형의 손잡이편(7, 7')들이 중공을 형성하도록 서로 접합하여 손잡이부(3)가 고착된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공개실용신안 제95-22678호의 구성과 같이 서로 분리된 보울(2)과 일체로된 결합구(5)와 손잡이부(3)를 용접 등에 의해 결합하려면 복잡한 제조과정을 거치게 되어 생산비용이 높아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젓가락(미도시)에 있어서는, 상기한 숟가락과 같이 손잡이편(7, 7')들을 접합하여 손잡이부(3)를 고착시킨 구성 등에 대해서는 기재조차 되어 있지 않아 그 파지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납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식탁 등의 바닥면에 놓았다가 다시 집어 들고자하는 경우 젓가락이 바닥면에 밀착되어 있어 쉽게 집을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손잡이 부분을 두텁게 형성함에 따라 파지가 용이함은 물론, 그 제조방법 역시 단순화 시킬 수 있는 숟가락 및 젓가락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은 보울부와 목부 및 손잡이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원판과, 상기 원판의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손잡이 보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 보강부는 상기 원판의 손잡이부 하측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은 젓가락 형상의 원판과, 파지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상기 원판의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손잡이 보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의 제조방법은 보울부와 목부 및 손잡이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원판을 형성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원판의 보울부가 얇게 성형되 도록 롤링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원판의 보울부가 원형 또는 타원형이 되도록 프레싱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원판의 보울부에 보울이 형성되도록 프레싱하는 제 4단계 및 파지 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손잡이 보강부를 결합시키는 제 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단계의 원판의 보울부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3단계에서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성형되기 이전보다 가로 및 세로 폭이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5단계의 손잡이 보강부는 상기 원판의 하측면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보울부를 롤링에 의해 얇게 성형함에 따라 비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원판의 편평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원판 전체를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5단계 이후에 상기 원판 및 숟가락 보강부 전체를 연마하는 제 6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젓가락 제조방법은 젓가락 형상의 원판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파지 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상기 원판의 손잡이부에 손잡이 보강부를 결합시키는 제2단계 및 상기 결합된 젓가락 형상의 원판 및 상기 보강부 전체를 연마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숟가락 및 젓가락과 그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은 크게 숟가락 형상의 원판(11) 및 손잡이 보강부(12)가 일체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한 원판(11)은 보울부(11a)와, 목부(11b), 및 손잡이부(11c)가 일체로 구성된 형상을 갖고, 상기 원판(11)의 손잡이부(11c)에는 파지 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숟가락을 잡을 경우 촉감이 좋으면서도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손잡이 보강부(12)가 결합된다.
이때, 손잡이 보강부(12)의 평면 형상은 상기 손잡이부(11c)와 동일하여 당해 원판(11)의 손잡이부(11c)에 정합(整合)될 수 있도록 하고, 손잡이 보강부(12)의 상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원판(11)과 결합시 중공부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잡이 보강부(12)는 원판(11)의 손잡이부(11c) 하측면, 즉 보울의 볼록한 부분과 같은 쪽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숟가락 파지시 상기 손잡이 보강부(12)가 손에 안착되어 숟가락을 잡는 감촉이 좋고 안정감이 있어 숟가락을 보다 쉽고 견고하게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손잡이 보강부(12)를 원판(11)의 손잡이부(11c)에 결합시키면 납작한 모양을 갖는 종래의 숟가락 손잡이에 비해 숟가락을 잡는 것이 용이하면서도, 손잡이 보강부(12)는 상기 손잡이부(11c)와 중공형상을 갖도록 결합되므로 손잡이부(11c)의 부피에 비해 그 무게를 적절히 가볍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및 은 등과 같은 금속재질의 판재를 전단기를 이용하여 샤링(shearing)함에 따라 보울부(11a)와 목부(11b) 및 손잡이부(11c)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원판(11)을 형성시킨다.
이때, 목부(11b) 및 손잡이부(11c)는 숟가락의 일부로써 적절한 형상을 갖는 것에 반해, 보울부(11a)는 직사각형을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직사각형을 샤링하는 것이 원형 혹은 타원형 등을 샤링하는 것보다 더욱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롤링에 의해 상기 보울부(11a)를 얇게 성형시키면 당해 보울부(11a)의 면적이 넓어지게 되므로, 판재를 샤링하여 원판(11)을 형성시 상기 보울부(11a)를 가공후의 보울부(11a) 보다 작게 형성시켜도 되어 상기 판재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샤링에 의해 숟가락의 기본적 형태를 갖춘 원판(11)이 형성되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보울부(11a)는 보울이 형성되기에 적합한 크기 및 두께를 가질 수 있도록 롤링에 의해 얇게 성형된다.
이때, 상기한 롤링에 의해 원판(11)에 버(Burr, 11d)가 돌출 형성되거나 원판이 휘는 등의 변형이 발생된 경우에는 당해 원판(11)의 편평도를 높일 수 있도록 가압 보정 및 연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링에 의해 보울부(11a)가 얇게 성형되면,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보울부(11a)를 원형 또는 타원형(A-A')으로 성형한다. 이때, 원형 또는 타원형의 보울부(11a)는 프레싱 공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단, 보울부(11a)는 상기 프레싱 공정 이외에 연마 공정에 의해서도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성형될 수 있음은 당업자 수준에서 자명할 것이다.
프레싱에 의해 평면상태의 원형 또는 타원형의 보울부(11a)가 형성되면,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울부(11a)를 압착하여 구면 상태의 보울이 형성되도록 프레스(press) 가공한다.
프레스 가공에 의해 보울이 형성되면, 도 3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이 형성된 원판(11)의 손잡이부(11c)에 손잡이 보강부(12)를 결합시킨다. 즉, 상기 손잡이부(11c)와 그 평면 형상이 동일한 손잡이 보강부(12)를 상기 손잡이부(11c)와 용접에 의해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손잡이 보강부(12)는 원판(11)의 하측면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함은 이미 위에서 설명한 바 있다.
다음으로, 도 3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이 형성된 보울부(11a)와 목부(11b) 및 손잡이부(11c) 전체의 표면이 부드러워질 수 있도록 전체 연마를 하고, 나아가 필요시에는 상기 보울부(11a)와 목부(11b) 및 손잡이부(11c)가 각각 그 축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 지도록 변형시켜 파지 및 숟가락질이 더욱 용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은 크게 젓가락 형상을 갖는 원판(21) 및 손잡이 보강부(22)가 일체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손잡이 보강부(22)의 평면 형상은 상기 손잡이부(21a)와 동일하여 당해 원판(21)의 손잡이부(21a)에 정합될 수 있도록 하고, 손잡이 보강부(22)의 상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원판(21)과 결합시 중공부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손잡이 보강부(22)를 원판(21)의 손잡이부(21a)에 결합시키면 납작한 모양을 갖는 종래의 젓가락 손잡이(21a)에 비해 당해 젓락을 파지하거나, 바닥면으로부터 집어올리는 것이 용이하면서도, 손잡이 보강부(22)는 상기 손잡이부(21a)와 중공형상을 갖도록 결합되므로 그 무게를 적절히 가볍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젓가락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및 은 등과 같은 금속재질의 판재를 전단기를 이용하여 샤링함에 따라젓가락 형상을 갖는 원판(21)을 형성시킨다.
샤링에 의해 젓가락의 기본적 형태를 갖춘 원판(21)이 형성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젓가락 형상 원판(21)의 손잡이부(21a)에 손잡이 보강부(12) 를 결합시킨다. 즉, 상기 손잡이부(21a)와 그 평면 형상이 동일한 손잡이 보강부(22)를 상기 손잡이부(21a)와 용접에 의해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된 젓가락 형상의 원판 및 상기 보강부 전체를 연마하여 그 표면을 부드럽게 한다.
이에 따르면, 그 공정은 단순하면서도, 납작한 모양을 갖는 종래의 젓가락 손잡이(21a)에 비해, 당해 젓락을 파지하거나 바닥면으로부터 집어올리는 것이 용이함은 물론, 그 무게를 적절히 가볍게 유지할 수 있는 젓가락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숟가락 및 젓가락과 그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 및 젓가락과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숟 가락의 원판에, 손잡이 보강부를 결합시켜 숟가락의 손잡이가 두텁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그 파지가 용이함은 물론 제조방법 역시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숟가락 및 젓가락을 두께를 갖는 파지부를 잡고 쉽게 집어올릴 수 있게 됨에 따라, 음식을 집는 부분을 잡지 않아도 되어 깨끗한 위생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보울부(bowl)와 목부(neck) 및 손잡이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원판과,
    상기 원판의 손잡이부에 결합되되, 상기 손잡이부의 하측면에 결합 고정되는 손잡이 보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2. 삭제
  3. 젓가락 형상의 원판과, 파지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상기 원판의 손잡이부 하단부에 결합 고정되는 손잡이 보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4. 보울부와 목부 및 손잡이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원판을 형성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원판의 보울부가 얇게 성형되도록 롤링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원판의 보울부가 원형 또는 타원형이 되도록 프레싱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원판의 보울부에 보울이 형성되도록 프레싱하는 제 4단계; 및
    파지 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손잡이 보강부를 결합시키는 제 5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의 원판의 보울부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3단계에서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성형되기 이전보다 가로 및 세로 폭이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제조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의 손잡이 보강부는 상기 원판의 하측면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제조방법.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보울부를 롤링에 의해 얇게 성형함에 따라 비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원판의 편평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원판 전체를 가압 또는 연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제조방법.
  8.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 이후에 상기 원판 및 숟가락 보강부 전체를 연마하는 제 6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제조방법.
  9. 삭제
KR1020060067170A 2006-07-19 2006-07-19 숟가락 및 젓가락과 그 제조방법 KR100802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170A KR100802630B1 (ko) 2006-07-19 2006-07-19 숟가락 및 젓가락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170A KR100802630B1 (ko) 2006-07-19 2006-07-19 숟가락 및 젓가락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925A KR20080007925A (ko) 2008-01-23
KR100802630B1 true KR100802630B1 (ko) 2008-02-14

Family

ID=39220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170A KR100802630B1 (ko) 2006-07-19 2006-07-19 숟가락 및 젓가락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26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363B1 (ko) * 2013-06-17 2014-08-13 손병문 음료용기용 음료 배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511Y1 (ko) 2001-06-07 2002-01-23 주식회사 백산상사 음식용 스푼
KR200399447Y1 (ko) 2005-08-10 2005-10-24 주식회사 백산상사 음식용구 손잡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511Y1 (ko) 2001-06-07 2002-01-23 주식회사 백산상사 음식용 스푼
KR200399447Y1 (ko) 2005-08-10 2005-10-24 주식회사 백산상사 음식용구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925A (ko) 200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20334A (ja) 飲食物挟持具
US7628432B2 (en) Multi-purpose eating utensil
KR200235635Y1 (ko) 집게형 젓가락
USD455936S1 (en) Set of cutlery
KR20210002806A (ko) 제조방법을 단순화 한 숟가락 및 젓가락
JP2007014714A (ja) 衛生的な一体型匙と箸
KR100802630B1 (ko) 숟가락 및 젓가락과 그 제조방법
CN202874843U (zh) 组合式餐具
US20170202383A1 (en) Elevated utensil
USD446087S1 (en) Disposable flatware with arcuate handle
JP2014000375A (ja) 食器とフォークやスプーンなどの食掬具を片手で同時に保持して操作する食事補助具
JP5408594B1 (ja) 表裏に梃子支点を有する両面衛生洋食具
CN212261074U (zh) 一次性环保中西餐两用餐具
CN211833830U (zh) 一种筷子
CN210902487U (zh) 一种多功能组合餐具
CN219940277U (zh) 一种便携式叉勺
CN216364653U (zh) 餐具结构
KR100438499B1 (ko) 집게형 젓가락
KR20200085550A (ko) 국수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숟가락
CN216628155U (zh) 一种多功能餐具
CN218791692U (zh) 一种新型不易碎酸奶勺子
JP3179576U (ja) 飲食用スプーン
KR102223747B1 (ko) 헤드업 위생 젓가락
JP2510601Y2 (ja) スプ―ン又はフォ―ク形の食器
JP3006364U (ja) 割り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