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0363B1 - 음료용기용 음료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음료용기용 음료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0363B1
KR101430363B1 KR1020130069066A KR20130069066A KR101430363B1 KR 101430363 B1 KR101430363 B1 KR 101430363B1 KR 1020130069066 A KR1020130069066 A KR 1020130069066A KR 20130069066 A KR20130069066 A KR 20130069066A KR 101430363 B1 KR101430363 B1 KR 101430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opening
unit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병문
Original Assignee
손병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병문 filed Critical 손병문
Priority to KR1020130069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3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the piston or movable bottom being pulled upwards to dispense the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기용 음료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농축액 형태의 액상음료를 주입하거나 배출하는 개구부를 형성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에 저장된 액상음료를 가압하여 상기 개구부로 배출시키는 피스톤을 구비한 음료용기; 상기 용기본체가 삽입되게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된 파지부, 상기 파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가 삽입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목부를 구비한 삽입부재; 및 상기 파지부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파지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에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시 함께 이동하면서 피스톤을 가압하여 상기 개구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부를 구비한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료용기용 음료 배출장치{Beverage discharging device for 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용기용 음료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용기에 충진된 농축액 형태의 액상음료를 외부로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음료용기용 음료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는 차 또는 음료 등의 액체를 담기 위한 것으로, 최근에는 가정에서뿐만 아니라 야외 또는 사무실에서까지 차 또는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편리함과 신속함을 증대시키기 위한 일회용 음료용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일회용 음료용기는 티백차 와는 달리, 커피믹스, 쥬스, 코코아 등과 같은 분말 음료 또는 매실차, 오미자차, 석류차와 같이 물에 희석시켜 넣거나, 홍삼과 같이 농축액 형태의 액상음료를 넣어서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한편, 농축액 형태의 액상음료를 보다 편의하게 식음할 수 있도록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번호 제10-2013-24327호 "음료용기"를 출원한 바와 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음료용기(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료를 저장하는 용기본체(11), 음료를 가압하여 용기본체(11)의 개구부(11a)로 인출시키는 피스톤(12), 용기본체(11)의 하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1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음료용기는 사용자의 입을 개구부(11a)에 밀착시킨 상태로 흡입하면, 흡입력에 의해 피스톤(12)이 상승하면서 음료를 개구부(11a) 밖으로 배출시키면서 음료를 식음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음료용기(10)는 흡입력이 강한 성인 및 청소년은 식음이 가능하지만, 흡입력이 약한 노약자, 환자 및 어린이는 식음이 곤란하며, 더욱이 충진된 농축액 형태의 액상음료를 물에 혼합하여 식음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농축액 형태의 액상음료가 충진된 음료용기(10)를 누구나 간편하게 식음할 수 있고, 물에도 간편하게 혼합하여 식음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출원번호 제10-2013-24327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음료용기에 충진된 농축액 형태의 액상음료를 간편하게 배출시켜 식음하거나 또는 물에 혼합하여 식음할 수 있는 음료용기용 음료 배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음료용기용 음료 배출장치는 농축액 형태의 액상음료를 주입하거나 배출하는 개구부를 형성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에 저장된 액상음료를 가압하여 상기 개구부로 배출시키는 피스톤을 구비한 음료용기; 상기 용기본체가 삽입되게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된 파지부, 상기 파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가 삽입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목부를 구비한 삽입부재; 및 상기 파지부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파지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에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시 함께 이동하면서 피스톤을 가압하여 상기 개구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부를 구비한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재의 저면에는 상부로 개방되는 개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부의 양측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양측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홈에는 용기본체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홈은 상기 삽입홈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홈의 양측 내벽은 상단으로 갈수록 상호 대응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목부와 연접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로부터 배출되는 음료를 수용하는 오목한 형태의 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술부는 상기 목부에 상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료용기용 음료 배출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음료용기에 충진된 농축액 형태의 액상음료를 편리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이에 음료용기에 충진된 액상음료를 그대로 식음하거나 또는 물에 혼합하여 식음할 수 있어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음료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스푼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스푼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스푼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스푼을 도시한 저면도.
도 6은 도 2에 표시된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2에 표시된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스푼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와 같은 목적과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음료용기용 배출장치는 농축액 형태의 액상음료가 충진된 음료용기를 삽입부재에 삽입한 상태로 가압부재를 슬라이딩시키며, 이에 가압부재에 의해 음료용기에 충진된 액상음료가 외부로 인출되어 간편하게 식음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 기술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배출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축액 형태의 액상음료가 충진된 음료용기(10)가 삽입되는 삽입부재(110), 및 삽입부재(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슬라이딩시 음료용기(10)의 후면을 가압하면서 농축액 형태의 액상음료(20)를 음료용기(10)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압부재(120)를 포함한다.
한편, 음료용기(10)는 농축액 형태의 액상음료(20)를 주입하거나 배출하는 개구부(11a)를 형성한 용기본체(11), 용기본체(11)의 내부 후단에 구비되는 피스톤(12)을 포함한다.
즉, 음료용기(10)는 피스톤(12)의 후면을 가압하면, 피스톤(12)이 용기본체(11)의 개구부(11a)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용기본체(11)에 충진된 액상음료(20)를 가압하며, 이에 액상음료(20)가 피스톤(12)에 의해 밀리면서 개구부(11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농축액 형태의 액상음료(20)가 충진된 음료용기를 하나의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점성을 가지는 액상의 약 또는 가루로 이루어진 식품을 용기에 충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삽입부재(110)는 음료용기(10)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본체(11)가 삽입되게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홈(111a)이 형성된 파지부(111), 파지부(111)에 연결되고 용기본체(11)의 개구부(11a)가 삽입 지지되는 지지홈(112a)이 형성된 목부(112)를 구비한다.
파지부(111)는 수평면이 상부를 향하는 반원형태를 가지며, 수평면에 파지부(111)의 길이방향으로 삽입홈(111a)이 형성되고, 삽입홈(111a)은 용기본체(11)가 면밀착되게 용기본체(11)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삽입홈(111a)에는 파지부(111)의 좌우방향(파지부(111)의 길이방향으로부터 직교되는 방향)으로 걸림부(111b)가 형성되며, 걸림부(111b)에 의해 삽입홈(11a)에 삽입된 용기본체(11)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또한, 파지부(111)의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지 않게 요철부를 형성하며, 이에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한다.
목부(112)는 파지부(111)의 선단, 즉 도 3에서 보았을 때 왼쪽에 연결되고, 상면에 삽입홈(111a)과 연결되고 개구부(11a)가 삽입 지지되는 지지홈(112a)이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홈(112a)은 삽입홈(111a)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이에 지지홈(112a)에 용기본체(11)의 개구부(11a)를 끼워서 고정하는 한편, 용기본체(11) 보다 작게 제작하는 개구부(11a)를 삽입 지지하여 안정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지지홈(112a)의 양측 내벽(112b)은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 상호 대응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며, 이에 지지홈(112a)에 지지된 용기본체(11)의 개구부(11a)의 양측을 가압하여 개구부(11a)의 이탈을 방지한다.
한편, 목부(112)의 저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개방되게 개방홀(112c)이 형성되며, 개방홀(122c)을 통해 용기본체(11)의 개구부(11a)가 노출되고, 이에 개방홀(112c)에 손가락을 넣어서 용기본체(11)의 개구부(11a)를 상향 들어올림에 따라 음료용기(10)를 삽입부재(110)로부터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삽입부재(110)는 파지부(111)의 삽입홈(111a)에 음료용기(10)의 용기본체(11)를 삽입한 상태로 용기본체(11)의 개구부(11a)를 목부(112)의 지지홈(112a)에 삽입하여 지지시키며, 이에 용기본체(11)의 개구부(11a)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로 음료용기(10)가 고정된다.
가압부재(120)는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삽입부재(110)에 삽입된 음료용기(10)에 충진된 액상음료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파지부(111)의 상면에 결합되고 파지부(11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121)와, 슬라이딩부(121)에 연결되고 슬라이딩부(121)의 슬라이딩시 함께 이동하면서 음료용기(10)의 피스톤(12)을 가압하여 개구부(11a)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부(122)를 구비한다.
슬라이딩부(121)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수평면이 하부를 향하는 반원형태를 가지며, 저면에는 음료용기의 상면에 삽입되게 길이방향으로 관통홈(121a)이 형성되고, 관통홈(121a)의 양측 내벽이 파지부(111)의 양측 외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한다.
즉, 파지부(111)의 양측 외벽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11c)이 형성되고, 슬라이딩부(121)의 양측 내벽에는 가이드홈(111c)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돌기(121b)가 형성된다.
이에, 슬라이딩부(121)를 음료용기(10) 방향으로 밀면, 가이드돌기(121b)가 가이드홈(111c)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슬라이딩부(121)가 음료용기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편, 음료용기(10)가 관통홈(121a)에 삽입되면서 슬라이딩부(121)가 음료용기(10)를 점차 통과하여 파지부(111) 선단까지 이동한다.
가압부(122)는 도 6을 참조하면, 긴 바 형태로 이루어지고 파지부(111)와 슬라이딩부(121)의 중앙에서 파지부(111)의 길이방향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가압봉(122a), 가압봉(122a)의 후단과 슬라이딩부(121)에 연결하는 연결편(122b)을 포함한다.
즉, 가압부(122)는 슬라이딩부(121)의 슬라이딩시 연동하여 파지부(11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압봉(122a)이 음료용기(10)의 피스톤(12)을 가압하여 이동시킨다.
한편, 목부(112)의 선단에는 음료용기(10)로부터 배출되는 액상음료를 수용하는 술부(113)가 포함된다.
술부(113)는 도 6을 참조하면, 목부(112)의 선단과 연접되고, 상면에 액상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한 형태의 수용홈(113a)이 형성된다.
즉, 술부(130)의 수용홈(131)에 액상음료가 수용되면, 술부(130)를 사용자의 입에 넣어서 액상음료를 식음하거나 또는 물이 수용된 컵에 넣어서 물과 혼합하여 식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음료용기용 음료 배출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삽입부재(110)로부터 가압부재(120)를 분리한 다음, 삽입부재(110)의 파지부(111)에 음료용기(10)를 삽입한다. 그런 다음, 음료용기(10)를 파지부(111)의 선단으로 밀어서 음료용기(10)의 개구부(11a)를 목부(112)의 지지홈(112a)에 삽입 지지시키며, 이에 삽입부재(110)의 선단에 음료용기(10)가 고정된다.
그런 다음, 삽입부재(110)의 후방에 가압부재(120)를 결합하며, 이때 파지부(111)의 가이드홈(111c)에 슬라이딩부(121)의 가이드돌기(121a)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한다(도 6 참조).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압부재(120)의 슬라이딩부(121)를 음료용기(10) 방향으로 밀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120)의 슬라이딩부(121)가 삽입부재(110)의 파지부(111) 선단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이때 슬라이딩부(121)와 함께 가압부(122)가 연동하여 이동하면서 음료용기(10)의 피스톤(12)을 가압하고, 이에 피스톤(12)이 음료용기(10)의 개구부(11a)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용기본체(11)에 충진된 액상음료(20)를 가압하고, 이에 액상음료(20)가 개구부(11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개구부(11a)를 통해 배출된 액상음료(20)는 술부(113)에 모두 수용되며, 술부(113)에 수용된 액상음료를 물이 저장된 용기에 넣어서 물과 혼합할 수도 있고, 술부(113)를 그대로 사용자의 입에 넣어서 액상음료(20)를 식음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음료 배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용 음료 배출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부(112')의 선단에 술부(113')를 상하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상부방향을 향해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용 음료 배출장치(100')는 술부(113')를 목부(112')에 상부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113b) 결합하며, 이에 힌지(113b)를 중심으로 술부(113')를 상부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용 음료 배출장치는 술부(113')를 하향 회전시켜 파지부(111)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할 경우 음료용기에 충진된 액상음료가 술부(113')에 수용되면서 술부(113')를 통해 식음할 수 있다.
또한, 술부(113')를 통한 식음이 불편할 경우, 술부(113')를 상향 회전시키며, 이에 음료용기에 충진된 액상음료가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기에 사용자는 음료용기(10)의 개구부(11a)를 직업 물이 저장된 용기 또는 사용자의 입에 넣어서 식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음료 배출장치
110: 삽입부재 111: 파지부
112: 목부 113: 술부
120: 가압부재 121: 슬라이딩부
122: 가압부

Claims (8)

  1. 농축액 형태의 액상음료를 주입하거나 배출하는 개구부를 형성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에 저장된 액상음료를 가압하여 상기 개구부로 배출시키는 피스톤을 구비한 음료용기;
    상기 용기본체가 삽입되게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된 파지부, 상기 파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가 삽입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목부를 구비한 삽입부재; 및
    상기 파지부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파지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에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시 함께 이동하면서 피스톤을 가압하여 상기 개구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부를 구비한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음료 배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의 저면에는 상부로 개방되는 개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음료 배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양측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양측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음료 배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에는 용기본체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음료 배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은 상기 삽입홈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음료 배출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의 양측 내벽은 상단으로 갈수록 상호 대응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음료 배출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목부와 연접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로부터 배출되는 음료를 수용하는 오목한 형태의 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음료 배출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술부는 상기 목부에 상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음료 배출장치.
KR1020130069066A 2013-06-17 2013-06-17 음료용기용 음료 배출장치 KR101430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066A KR101430363B1 (ko) 2013-06-17 2013-06-17 음료용기용 음료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066A KR101430363B1 (ko) 2013-06-17 2013-06-17 음료용기용 음료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0363B1 true KR101430363B1 (ko) 2014-08-13

Family

ID=51750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066A KR101430363B1 (ko) 2013-06-17 2013-06-17 음료용기용 음료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03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2244A (zh) * 2018-11-15 2019-04-12 吴江市格瑞福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可滑动调节的金属勺子
KR20190085217A (ko) * 2018-01-10 2019-07-18 이성호 원터치 당도 조절 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715Y1 (ko) 2004-03-24 2004-06-30 박보라 액체 계량용 스푼
KR20080007925A (ko) * 2006-07-19 2008-01-23 장도훈 숟가락 및 젓가락과 그 제조방법
KR101155400B1 (ko) 2011-09-26 2012-06-20 임병대 내용물 배출 가압식 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715Y1 (ko) 2004-03-24 2004-06-30 박보라 액체 계량용 스푼
KR20080007925A (ko) * 2006-07-19 2008-01-23 장도훈 숟가락 및 젓가락과 그 제조방법
KR101155400B1 (ko) 2011-09-26 2012-06-20 임병대 내용물 배출 가압식 포장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217A (ko) * 2018-01-10 2019-07-18 이성호 원터치 당도 조절 컵
KR102014633B1 (ko) * 2018-01-10 2019-08-26 이성호 원터치 당도 조절 컵
CN109602244A (zh) * 2018-11-15 2019-04-12 吴江市格瑞福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可滑动调节的金属勺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93689B2 (en) Device for producing a beverage
KR101952487B1 (ko) 용기 덮개
US6471390B1 (en) Apparatus for pneumatically stirring a beverage
US5809868A (en) Beverage infusion device
AU2011298832A1 (en) Ergonomic handle with user-interface
CA1265475A (en) Device in connection with a cup with a cover
CA2755085C (en) Pouring device with deformable spout
KR101430363B1 (ko) 음료용기용 음료 배출장치
US20040178199A1 (en) Disposable cup lid with integral toothpick
KR101450181B1 (ko)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KR20110108823A (ko) 음료용기용 뚜껑
JP2007045431A (ja) 容器とストローの組合せ
EP2694404B1 (en) Combination of fastening element for handling an ingredient container and a lid
CN105615467B (zh) 冲泡容器、盖体、冲泡料的储存方法及冲泡方法
US20060226161A1 (en) Measured quantity beverage dispenser
KR200491683Y1 (ko) 사용성이 개선된 음료 압력용기
CN217488220U (zh) 具有隐藏式提手的杯盖及杯
CN201958456U (zh) 多功能杯子
KR101694903B1 (ko) 일렬로 결합된 기능성 페트병
KR101391783B1 (ko) 이중 컵
KR101748840B1 (ko) 테트라 팩 홀더
AU2015308762B2 (en) Ampoule opener
CN219097525U (zh) 一种药品包装
CN214230937U (zh) 一种萃取设备和饮料机
US11999555B2 (en) Container for beve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