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555Y1 - 젓가락 - Google Patents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555Y1
KR200190555Y1 KR2020000002303U KR20000002303U KR200190555Y1 KR 200190555 Y1 KR200190555 Y1 KR 200190555Y1 KR 2020000002303 U KR2020000002303 U KR 2020000002303U KR 20000002303 U KR20000002303 U KR 20000002303U KR 200190555 Y1 KR200190555 Y1 KR 2001905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main body
present
children
elastic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3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국
Original Assignee
김진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국 filed Critical 김진국
Priority to KR20200000023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5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5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5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47G21/045Pastry ser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3Repetitive work cycles; Sequence of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체형으로 형성된 젓가락으로, 젓가락의 중심으로 곡선형태의 탄성부를 가지도록 구성하여 집게형태로 사용하도록 구성하였으며, 기존의 젓가락과 동일한 손의 위치에서 사용하므로 어린이들의 사용을 쉽게하여 젓가락 사용법을 쉽게 익히도록 하였으며, 확대시킬경우 요리기구로써 이용이 용이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Description

젓가락{The chop stick}
본 고안은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젓가락은 각각 하나로 구성된 것을 쌍을 이뤄 사용하였다. 그러나 어린이들처럼 손가락의 힘이 부족한 상태에서 일반적인 가정용 젓가락을 사용하는 방법을 익히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어릴때부터 제대로 된 젓가락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져서 젓가락사용을 제대로 하는 경우가 드물게 되었다. 또한 최근의 식생활 습관이 젓가락을 사용하는 경우가드물만큼 인스턴트 식품 및 서양화 되어감에 따라 어린이들이 젓가락 사용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했었다.
또 다른 문제로는 가정에서 튀김요리를 할 경우 튀김을 알맞은 온도에서 튀겨낸 후 빨리 꺼내지 않으면 쉽게 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때 튀김용 젓가락을 사용하게 되는 데 튀김용 젓가락은 튀김기름에서 나오는 열기에 의한 화상을 방지하기 위해 기다란 형태의 젓가락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경우에 젓가락이 지나치게 길게되어 이를 가지고 젓가락질을 하기에 성인의 경우에도 힘든 일이 종종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각각의 젓가락을 힌지의 형태로 서로 결합하여 컴퍼스처럼 형성한 젓가락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런경우에도 제대로 사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틈새가 많이 생기는 이유로 위생상 좋지 못했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 할 수 있는 고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은 하나의 재질로 형성하여 중간에 탄성이 작용하는 부위를 형성하여 집게와 같은 형태로 사용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손가락의 힘이 약해서 제대로 젓가락질을 하기 어려운 어린이들에게 집게와 같은 형태로 된 젓가락을 제공하여 쉽게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젓가락이 실제의 젓가락과 동일한 위치에서 작용하게 되므로 젓가락사용법을 가르치기에 용이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종래의 튀김용 젓가락이 너무 길어서 사용하기 불편했던 점을 개선시킨 것으로 식사용 젓가락을 확대하면 튀김요리용 젓가락으로 충분히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실시예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a. 탄성부 2b. 탄성부
3a. 손잡이돌기 3b. 손잡이돌기
4. 요철부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은 인체에 무해한 열경화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본체(1)로 구성되어있으며, 본체(1)는 M형태로 형성되어있다. 본체(1)의 중앙으로는 곡선형태의 탄성부(2b)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곡선형태의 대칭적인 탄성부(2a)를 가지고 있어 사용시에 일정한 탄성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항상 집게와 같은 형태로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본체(1)의 음식물과 접촉하는 부분에는 내측으로 요철부(4)를 형성하여 음식물을 쉽게 집을 수 있도록 하였다. 본체(1)의 양쪽 측면으로는 사용시에 손가락사이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손잡이 돌기(3a)를 형성하였다.
손잡이돌기(3a)는 고무재질이나 실리콘 재질로써 본체(1) 부착시키도록하여 젓가락사용에 익숙하지 못한 어린이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제 사용에 있어서 기존의 젓가락에서의 손가락과의 접촉부분에 손잡이돌기(3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을 더욱 용이하게 하였다.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M형태로 형성된 본체(1)의 탄성부(2a)(2b)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 다. 본체(1)가 사용될 때 기존의 젓가락을 잡았을때와 동일한 위치에서 작동되므로 젓가락 사용에 미숙한 어린이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탄성부(2a)(2b)에 의하여 항상 일정한 탄력이 유지되므로. 약간의 힘을 가하면 집을 수 있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젓가락의 개념보다는 어린이들에게 집게와 같은 형태로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젓가락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체(1)의 측면으로 손잡이돌기(3b)를 형성하였다. 손잡이돌기(3b)는 본체(1)의 측면에 요철형태의 무늬를 형성한 것으로 사용시에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3의 경우는 확대된 형태의 젓가락으로써 가정에서 튀김등의 요리를 할 경우에 기존의 튀김용 젓가락의 길이가 길어서 발생되었던 불편함을 해소시킨 것이며, 집게형태로 되어있어 길이가 길어도 사용이 용이하게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체(1) 측면의 손잡이 돌기(3b)에 의해 기름기에도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은 기존의 젓가락과 동일하게 사용할수 있고, 집게와 같은 형태로 사용하게 되므로, 젓가락 사용이 미숙한 어린이 들에게 젓가락사용법을 쉽게 익혀줄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를 확대시킬경우 튀김요리용 젓가락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본체(1)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M형태로 형성되어 중앙으로는 곡선형태의 탄성부(2b)를 형성하고, 탄성부(2b)의 측면으로는 대칭적으로 곡선형태의 탄성부(2a)를 형성하며, 본체(1)의 측면으로는 고무재질이나 실리콘 재질과같은 형태의 손잡이돌기(3a)를 각각 부착하며, 본체(1)의 내측으로는 요철부(4)를 형성한것을 특징으로하는 젓가락.
  2. 제 1항에 있어서,
    본체(1)의 측면으로 요철형태의 손잡이돌기(3b)를 각각 형성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KR2020000002303U 2000-01-27 2000-01-27 젓가락 KR2001905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303U KR200190555Y1 (ko) 2000-01-27 2000-01-27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303U KR200190555Y1 (ko) 2000-01-27 2000-01-27 젓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555Y1 true KR200190555Y1 (ko) 2000-08-01

Family

ID=19639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303U KR200190555Y1 (ko) 2000-01-27 2000-01-27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05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86347C (zh) 用于夹取和夹持食物的工具
US8235435B2 (en) Utensil handle
KR20070016904A (ko) 포크겸용 일체형 젓가락
KR200190555Y1 (ko) 젓가락
US20210212489A1 (en) Chopsticks
KR101012813B1 (ko) 개량형 젓가락
KR101879436B1 (ko)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JP3224657U (ja) 調理具
KR200450867Y1 (ko) 학습용 젓가락
KR200343862Y1 (ko) 요리용 조리기구
KR200234288Y1 (ko)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KR200420382Y1 (ko) 젓가락
KR850000950Y1 (ko) 식사용 골무
KR940002684Y1 (ko) 일회용 위생장갑
JPH05507855A (ja) 手の障害者及び一般人のための食器
KR200307040Y1 (ko) 젓가락
KR200220831Y1 (ko) 위생용 골무
KR200220872Y1 (ko) 다기능 젓가락
KR200233449Y1 (ko)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KR200327499Y1 (ko) 조리용기 손잡이
JP3025737U (ja) 油跳ね防御板
KR200261516Y1 (ko) 지능개발용 수저세트
KR200240979Y1 (ko) 소아 식사용 젓가락
KR20090010511U (ko) 개량 젓가락
JPH09122037A (ja) ペーパーナプキ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