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6009B1 - 시트벨트의 디링 - Google Patents

시트벨트의 디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6009B1
KR100616009B1 KR1020040082772A KR20040082772A KR100616009B1 KR 100616009 B1 KR100616009 B1 KR 100616009B1 KR 1020040082772 A KR1020040082772 A KR 1020040082772A KR 20040082772 A KR20040082772 A KR 20040082772A KR 100616009 B1 KR100616009 B1 KR 100616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webbing
seat belt
ring
guid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2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3595A (ko
Inventor
고민석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2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6009B1/ko
Publication of KR20060033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55Padded or energy-absorbing fittings, e.g. seat belt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2/023Three-point seat belt systems comprising two side lower and one side upper 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Anchoring device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2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의 디링은, 차체에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토록 삽입되고 웨빙 홀이 형성된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에 큰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안내부가 하향 슬라이딩되게 하는 스토퍼와, 상기 안내부가 하향 슬라이딩될 때 저항을 부여하는 유압댐퍼로 구성됨으로써, 충돌 또는 전복 사고시 웨빙이 풀림이 구속되면, 상기 안내부가 하향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웨빙이 느슨해지면서 탑승자의 거동이 부드럽게 구속될 수 있기 때문에 탑승자의 가슴 압박감 및 그로 인한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시트벨트, 디링, 웨빙, 저향력, 유압댐퍼

Description

시트벨트의 디링{D-ring of Seat Bel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시트벨트의 디링이 포함된 시트벨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시트벨트의 디링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의 디링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의 디링의 작용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의 디링이 포함된 시트벨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고정부 52 : 슬라이더 홈
60 : 안내부 62 : 슬라이더
62c : 피스톤 홀 70 : 스토퍼
본 발명은 시트벨트의 디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충돌 사고시 웨빙의 풀림이 구속될 때, 탑승자의 전방 거동이 부드럽게 구속될 수 있도록 웨빙을 천천히 느슨하게 해 줄 수 있는 시트벨트의 디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에는,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의 거동을 제한하여 충돌 또는 전복사고 발생시 탑승자가 시트로부터 퉁겨나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시트벨트가 구비된다.
도 1은 통상적인 시트벨트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시트벨트는, 탑승자를 시트(2)에 구속시킬 수 있고 텅(11)(tongue)이 끼워진 웨빙(10)(webbing)과, 상기 웨빙(10)의 일단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앵커리지(14)와, 상기 웨빙(10)을 소정의 장력으로 잡아 당겨 감을 수 있도록 상기 웨빙(10)의 타단과 연결된 리트랙터(16)와, 상기 웨빙(10)이 탑승자의 어깨 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차체에 고정된 디링(18)과, 상기 텅(11)과 결합되어 상기 웨빙(10)의 풀림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시트(2)를 중심으로 상기 디링(18)과 반대쪽에 위치되어 차체에 고정된 버클(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트랙터(16)는, 탑승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충돌 또는 전복사고 등으로 인해 퉁겨나가려고 할 때, 상기 웨빙(10)이 더 이상 풀리지 않도록 상 기 웨빙(10)을 잠그면서 탑승자의 전방 거동을 구속할 수 있다.
상기 디링(18)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차체에 고정되고 하부에 상기 웨빙(10)이 슬라이딩 가능토록 끼워질 수 있는 웨빙 홀(18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디링(18)은, 상기 디링(18)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장치(Height Adjuster)(미도시)를 통해 차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탑승자가 시트(2)에 착석한 후, 상기 텅(11)을 잡고 상기 웨빙(10)을 상기 버클(20)을 향해 당기면 상기 웨빙(10)이 풀어지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텅(11)을 버클(20)에 끼우면 상기 웨빙(10)이 탑승자의 몸에 밀착되어, 탑승자가 시트(2)에 견실하게 안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텅(11)과 버클(20)의 결합을 해제시키면, 상기 웨빙(10)이 상기 리트랙터(16)에 의해 감겨지면서 탑승자의 거동이 자유로워진다.
한편, 충돌 또는 전복 사고시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하고 있다면, 상기 리트랙터(16)에 의해 상기 웨빙(10)이 잠가지면서 탑승자의 전방 거동이 구속되어, 탑승자가 퉁겨나가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은, 충돌 또는 전복 사고시 탑승자는 관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퉁겨지려고 하는데, 상기 웨빙(10)이 급작스럽게 탑승자의 전방 거동을 막음으로써 탑승자의 가슴에 심한 압박감이 생길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탑승자의 가슴상해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충돌 또는 전복 사고시 탑승자의 전방 거동을 부드럽게 구속할 수 있는 시트벨트의 디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의 디링은, 차체에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슬라이딩 가능토록 결합되고, 웨빙과 연결된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가 고정부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외력을 받으면, 상기 고정부로부터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와; 상기 안내부와 연결되어 상기 안내부가 외력에 의해 슬라이딩될 때 유압력에 의해 상기 안내부에 저항을 부여하는 유압 댐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이 생략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의 디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의 디링은, 차체에 고정된 고정부(50)와, 상기 고정부(50)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토록 결합되고 시트벨트의 웨빙(50'')이 끼워질 수 있는 웨빙 홀(61)이 형성된 안내부(60)와, 상기 안내부(60)가 고정부(5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외력을 받으면 상기 고정부(50)로부터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70)와, 상기 안내부(60)와 연결되어 상기 안내부(60)가 외력에 의해 슬라이딩될 때 유압(F)의 압력에 의해 상기 안내부(60)에 저항을 부여하는 유압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50)는, 디링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를 통해 차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에 높이조절장치와 결합되는 체결 홀(5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50)는 상기 안내부(60)가 상하방향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부에 슬라이더 홈(52)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고정부(50)의 슬라이더 홈(52)은, 상기 안내부(6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안내부(60) 측, 즉 하단이 개구되어 입구(52a)를 이룬다. 이 때, 상기 고정부(50)의 슬라이더 홈(52)의 입구(52a)는, 상기 안내부(60)가 상기 고정부(50)로부터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다른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60)는, 상부가 상기 고정부(50)의 슬라이더 홈(52)에 상하로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슬라이더(62)를 이루고, 하부에 상기 웨빙 홀(61)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부(60)의 슬라이더(62)는, 상기 안내부(60)의 하부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50)의 슬라이더 홈(52)의 입구(52a)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본 체(62a)와, 상기 고정부(50)의 슬라이더 홈(52)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삽입되되, 상기 고정부(50)의 슬라이더 홈(52)의 입구(52a)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본체(62a)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6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토퍼(70)는, 상기 고정부(50)의 슬라이더 홈(52) 벽에 상기 안내부(60)의 슬라이더(62)의 플랜지(62b) 바로 아래 위치되도록 구비된 돌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토퍼(70)는, 평상시 상기 안내부(60)의 하향 슬라이딩을 제한토록 상기 안내부(60)의 슬라이더(62)의 플랜지(62b)를 가로막되, 상기 안내부(60)에 하측방향으로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안내부(60)의 슬라이더(62)의 플랜지(62b)에 의해 상기 고정부(50)의 슬라이더 홈(52) 벽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도록, 용접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고정부(50)의 슬라이더 홈(52)의 벽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70)의 다수개의 돌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스토퍼(70)는, 평상시 상기 안내부(60)의 유동을 방지토록 상기 안내부(60)의 슬라이더(62)가 상기 고정부(50)의 슬라이더 홈(52)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부(60)의 하향 슬라이딩을 제한토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압댐퍼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압(F)이 충진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삽입되고 상기 안내부(60)와 일체로 움직이도록 결합된 피스톤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압댐퍼는, 본 발명의 디링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5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압댐퍼의 실린더는, 상기 고정부(50)의 슬라이더 홈(52)에 유압을 채우고, 상기 고정부(50)의 슬라이더 홈(52)의 입구(52a)를 실링 부재로 밀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댐퍼의 피스톤은, 상기 고정부(50)의 슬라이더 홈(52)에 상기 안내부(60)의 슬라이더(62)가 슬라이딩 가능토록 삽입되므로, 상기 안내부(60)의 슬라이더(62)가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안내부(60)의 슬라이더(62)의 플랜지(62b)는 상기 안내부(60)가 하향 슬라이딩될 때 유압이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50)의 슬라이더 홈(52)을 상하로 완전히 구획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하로 관통된 피스톤 홀(62c)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에는 도 3 및 도 4, 도 7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50)의 슬라이더 홈(52)에 상기 안내부(60)의 슬라이더(62)가 완전히 삽입되고, 상기 안내부(60)의 슬라이더(62)의 플랜지(62b)가 상기 고정부(60)의 슬라이더 홈(52) 벽에 부착된 스토퍼(70)에 의해 제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안내부(60)의 슬라이딩이 구속된다.
한편, 충돌 또는 전복 사고가 발생되면, 웨빙(50'')의 풀림이 구속되는데 상기 웨빙(50'')을 통해 시트(50')에 안착된 탑승자는 관성력에 의해 앞으로 퉁겨나가려고 하기 때문에 상기 안내부(60)에 하측방향으로 큰 외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도 5 및 도 6, 도 7의 은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60) 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70)가 상기 고정부(60)의 슬라이더 홈(52)의 벽에서 떨어지면서 상기 안내부(60)가 하향 슬라이딩된다. 이 때, 상기 안내부(60)는 상기 고정부(50)의 슬라이더 홈(52)에 충진된 유압에 의해 저항을 받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560)의 슬라이더 홈(52)에 충진된 유압을 상기 피스톤 홀(62c)을 통해 상방향으로 유동시키면서 천천히 하향 슬라이딩된다.
따라서, 충돌 또는 전복 사고가 발생되면, 상기 웨빙(50'')을 통해 시트(50')에 안착된 탑승자가 퉁겨나가지 않도록 상기 웨빙(50'')의 풀림이 구속되더라도, 상기 안내부(60)가 하향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웨빙(50'')이 조금씩 느슨해질 수 있기 때문에 탑승자가 웨빙(50'')에 의해 압박을 받지 않으면서 시트(50')에 구속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트벨트의 디링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토퍼(70)는, 돌기가 액추에이터 등에 의해 유동 가능토록 구비되어 평상시 상기 안내부(60)의 하향 슬라이딩을 구속토로 상기 고정부(50)의 슬라이더 홈(52)에 삽입되고 충돌 또는 전복 사고시 상기 안내부(60)가 하향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50)의 슬라이더 홈(52)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 저항수단(80)의 저항력은 탄성력, 공압력, 기계적 마찰력 등에 의해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의 디링은, 차체에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토록 삽입되고 웨빙 홀이 형성된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에 큰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안내부가 하향 슬라이딩되게 하는 스토퍼와, 상기 안내부가 하향 슬라이딩될 때 저항을 부여하는 유압댐퍼로 구성됨으로써, 충돌 또는 전복 사고시 웨빙이 풀림이 구속되면, 상기 안내부가 하향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웨빙이 느슨해지면서 탑승자의 거동이 부드럽게 구속될 수 있기 때문에 탑승자의 가슴 압박감 및 그로 인한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차체에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슬라이딩 가능토록 결합되고, 웨빙과 연결된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가 고정부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외력을 받으면, 상기 고정부로부터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와; 상기 안내부와 연결되어 상기 안내부가 외력에 의해 슬라이딩될 때 유압력에 의해 상기 안내부에 저항을 부여하는 유압 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의 디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안내부의 일부가 상하로 삽입될 수 있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의 디링.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안내부의 슬라이딩을 제한토록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되, 상기 안내부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탈거될 수 있는 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의 디링.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댐퍼는, 상기 안내부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비된 피스톤 과, 상기 피스톤이 슬라이딩 가능토록 삽입되고 유압이 충진된 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에 상기 실린더의 유압이 유동될 수 있도록 피스톤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의 디링.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고정부의 내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의 디링.
KR1020040082772A 2004-10-15 2004-10-15 시트벨트의 디링 KR100616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772A KR100616009B1 (ko) 2004-10-15 2004-10-15 시트벨트의 디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772A KR100616009B1 (ko) 2004-10-15 2004-10-15 시트벨트의 디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595A KR20060033595A (ko) 2006-04-19
KR100616009B1 true KR100616009B1 (ko) 2006-08-28

Family

ID=37142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772A KR100616009B1 (ko) 2004-10-15 2004-10-15 시트벨트의 디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60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9891B (zh) * 2017-07-12 2020-09-18 王亮雄 缓冲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6668A (ko) * 2000-11-17 2003-08-09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고체, 반고체 및 액체 수지의 분산액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50011680A (ko) * 2003-07-22 2005-01-29 강진희 개선된 필러 앵커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6668A (ko) * 2000-11-17 2003-08-09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고체, 반고체 및 액체 수지의 분산액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50011680A (ko) * 2003-07-22 2005-01-29 강진희 개선된 필러 앵커 및 그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50011680
200366668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595A (ko)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7298B2 (en) Safety belt arrangement
US5383713A (en) Inflatable seat belt apparatus
US5393091A (en) Inflatable seatbelt system
JP4981614B2 (ja) プリテンショナ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DE102015117729A1 (de) Gurtstraffer mit Führungsschlaufe oder Verankerung
US7168742B2 (en) Seatbelt device
US7644952B2 (en) Seat belt restraint system
KR101755993B1 (ko) 자동차 시트벨트 버클의 서브마린 방지 장치
KR101788193B1 (ko) 벨트가이드장치 및 이를 갖춘 안전벨트장치
KR100616009B1 (ko) 시트벨트의 디링
EP1748708B1 (en) A safety-belt tongue and a safety-belt arrangement
US5685567A (en) Seat belt tightening device
KR101788184B1 (ko) 프리텐셔너 및 이를 갖춘 안전벨트장치
CN107921926B (zh) 具有碰撞检测装置的儿童汽车座椅及相应的方法
KR20060033600A (ko) 시트벨트의 디링
US9738247B2 (en) Seatbelt buckle intrusion protection device
US6679446B2 (en) Seat belt pretensioner
US20040255438A1 (en) Non-inertial release safety restraint belt buckle systems
KR100563832B1 (ko) 시트벨트의 디링
JPS594A (ja) シ−トベルトの調節可能な留め装置
KR20070009084A (ko) 시트벨트
KR20070009083A (ko) 시트벨트
KR100636635B1 (ko) 차량 시트 벨트의 디링
WO2016190046A1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313194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스토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