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5943B1 - 매트 진공세척기 - Google Patents

매트 진공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5943B1
KR100615943B1 KR1020040094667A KR20040094667A KR100615943B1 KR 100615943 B1 KR100615943 B1 KR 100615943B1 KR 1020040094667 A KR1020040094667 A KR 1020040094667A KR 20040094667 A KR20040094667 A KR 20040094667A KR 100615943 B1 KR100615943 B1 KR 100615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mat
chamber
suction
vacuum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4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5679A (ko
Inventor
배상철
Original Assignee
김병훈
배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훈, 배상철 filed Critical 김병훈
Priority to KR1020040094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5943B1/ko
Priority to PCT/KR2005/003694 priority patent/WO2006054840A1/en
Priority to US11/667,997 priority patent/US7624471B2/en
Publication of KR20060055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5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01Cylindrical or annular brush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08B5/043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6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temperature changes
    • B08B7/0071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temperature changes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 세척기의 후단에 진공흡입장치부를 설치하여 세척 후 잔류하는 매트상의 세척수와 이물질 및 각종 세균 등을 진공으로 흡입 제거시켜 바로 사용할 수 있게 신속히 건조시키도록 하고, 진공흡입장치부 주변에는 전열히터를 설치하여 세척 및 건조과정에서 변화(또는 형상 변형)된 매트를 30℃ ~ 60℃의 상온으로 데워 고르게 펴지도록 함으로써 청결하고 상쾌한 분위기의 자동차 실내 환경이 조성되도록 한 것이다.
Figure 112004053680921-pat00001
매트, 진공, 세척, 롤러, 브러쉬, 모터, 진공흡입, 진공펌프, 진공실

Description

매트 진공세척기{VACUUM WASHING DEVICE FOR MAT}
도 1 : 본 발명 세로 단면 구성도.
도 2 : 본 발명 진공흡입장치부 부분 세로단면도.
도 3 : 본 발명 동력전달(풀리) 부분 정면도.
도 4 : 본 발명 동력전달(체인) 부분 정면도.
도 5 : 본 발명 진공흡입장치부 사시도.
도 6 : 본 발명 진공흡입장치부 부분 평면도.
도 7 : 본 발명 도 6의 다른 실시예 평면도.
도 8 : 본 발명 진공흡입장치부 부분 확대 평면도.
도 9 : 본 발명 진공발생장치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10 : 본 발명 진공발생장치부의 세로 단면도로, 체크밸브가 폐쇄된 상태.
도 11 : 본 발명 진공발생장치부의 세로 단면도로, 체크밸브가 개방된 상태.
도 12 : 본 발명 진공발생장치부의 회전와류기 평면도.
도 13 :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세로 단면도.
도 14 : 본 발명 도 13의 진공흡입장치부 부분 세로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매트 진공세척기 (4)--본체
(6)--매트 (8)--투입구
(10)--배출구 (12)--모터
(14)--매트 이송로 (16)--진공흡입장치부
(18)--전열장치부 (20)(22)--안내판
(24)--세척수 분사노즐 (26)--구동롤러
(28)--브러쉬롤러 (30)--배수호스
(32)--집수조 (34)(87)(89)--진공실
(36)--진공흡입장치부 (38)(40)--안내롤러
(42)--가압롤러 (44)--흡수롤러
(45)(140)--축봉 (46)--케이스
(48)(108)(108a)--배출관 (50)(56)--장공
(52)--안내체 (54)--승강체
(58)--안내핀 (60)--스프링
(62)--흡입공 (64)(82)(82a)(114)--통체
(68)--병목부 (70)--평면부
(72)(72a)--진공발생장치부 (74)--호스
(76)(76a)--흡출관체 (78)--측판
(80)--구멍 (84)(84a)--진공펌프
(85)--흡입구 (86)--흡입관
(88)--진공분리실 (90)--배수실
(91)--필터 (92)--와류실
(94)--보조진공실 (96)--배수공
(98)--패킹 (100)(109)--체크밸브
(101)--축공 (102)--힌지
(110)--배기공 (112)--회전와류장치부
(116)--개방부 (118)--만곡판
(120)(122)(124)(128)(132)(136)--풀리 (126)(134)--연결축봉
(130)--벨트 (138)(142)--기어
(144)(146)(148)(150)(152)(154)(162)--체인기어
(156)(158)(160)--체인 (d1)(d2)--관체의 내경
(L)--흡입공 전체 길이 (L1)--흡입공 간의 이격거리
(L2)--흡입공의 길이 (W)--매트의 폭
(W2)--흡입공의 폭
본 발명은 자동차 매트 진공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물로 매트 세척한 후단에 진공흡입장치부를 설치하여 세척후 매트상에 잔류하는 세척수와 이물질 및 세균까지 진공 흡입시켜 신속히 건조되게 하고, 진공흡입장치부 부근에는 상온 전열장치부를 설치하여 건조 배출되는 매트가 데워지면서 펴지도록 하는 자동차 매트 진공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매트 세척기의 선행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183694호와 동 제20-200213호 등 여러 건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매트를 공급하는 입구로부터 세척수 분사노즐과, 매트 공급롤러와 브러쉬롤러 및 한 쌍의 탈수롤러가 차례로 설치되고, 공급롤러와 탈수롤러 중 상부 공급롤러와 상부 탈수롤러는 수동레버나 실린더로 승강시킬 수 있게 구성하여 매트 세척기로서의 기본적인 기능을 충족하고 있다.
그리고, 매트 세척기의 후단에 탈수롤러를 설치하여 세척후 배출되는 매트상의 수분을 흡수 제거토록 하고 있으나, 그 효율이 매우 낮아 배출되는 매트상에 잔류 수분이 많아 바로 사용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매트 상에 여전히 미세 이물질이나 세균(병원균)등이 잔류하여 청결도가 떨어지며, 사용할 때 오염되지 않을 정도로 건조시키는 데에는 상당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매트 세척기의 후단에 진공발생장치부를 갖는 진공흡입장치부를 설치하여 세척후 잔류하는 매트상의 세척수와 이물질 및 세균까지 진공 흡수시켜 신속히 건조시키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흡입장치부의 부근, 이를테면, 진공흡입장치부의 후단이나 선단 또는 선.후단 부분에 상온으로 가열되는 전열장치부를 설치하여 동절기에도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배출되는 매트가 30℃ ~ 60℃의 상온으로 데워지면서 고르게 펴지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공흡입장치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흡입공을 형성하되 일측으로 향할수록 흡입공의 길이가 점차적으로 길어지게(또는 짧아지게) 구성함으로써 매트가 진공흡입장치부에 달라붙지 않고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매트 이송로의 상.하부에 진공발생장치부를 갖는 진공흡입장치부를 각각 설치하여 세척후 잔류하는 매트 상.하부의 세척수와 이물질과 세균까지 진공 흡수시켜 신속히 건조시키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본체 상부에 매트 투입구 및 매트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 사이에는 매트가 지나가면서 세척, 진공,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이 이루어지는 매트 이송로가 구비되며, 진공흡입장치부 부근에 30℃ ~ 60℃의 온도로 가열되는 전열장치부를 설치하여 세척 건조후 배출되는 매트가 상온으로 데워지면서 고르게 펴지도록 하고, 진공흡입장치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흡입공을 형성하되 일측으로 향 할수록 흡입공의 길이가 점차적으로 길어지거나 또는 짧아지게 구성하여 흡입력이 점차적으로 달라지도록 함으로써 진공흡입 및 이송중인 매트가 진공흡입장치부에 달라붙지 않고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의 매트 진공세척기는 세척수와 같은 물을 이용하여 매트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진공흡입용 진공펌프도 이용한다는 것이다. 진공펌프에서 흡입하는 기체의 압력은 대기압에서 절대진공에 가까운 정도까지 이를 정도이므로 매트의 흡수세척에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진공펌프는 세척수와 같은 물을 이용하는데에 적용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는 진공펌프는 그 특성상 펌프내 챔버에 물을 포함한 이물질로 인해 오염상태가 높아지면 진공도가 떨어져 제성능을 하지 못하게 되고 심하면 고장이 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진공흡입장치부와 진공펌프가 포함된 진공발생장치부를 구비하여, 매트를 물로 세척한 후 매트에 잔류한 수분과 이물질 및 세균들도 진공흡입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진공펌프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구현한 것이다.
도 1, 도 2는 본 발명 매트 진공세척기(2)의 세로 단면도로, 본체(4) 상부 양측에 매트 투입구(8) 및 매트 배출구(1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매트 투입구(8)와 매트 배출구(10) 사이에는 모터(12) 등과 같은 동력원과 다수의 동력전달장치와 구동기구 및 피동기구들에 의해 투입된 매트(6)가 배출구(10)로 이송되면서 세척, 진공흡입, 건조, 배출 등의 과정이 이루어지는 매트 이송로(14)가 구비되고, 상기 매트 이송로(14)의 세척후단부에는 세척 후 잔류하는 매트(6)상의 수분이나 이물질을 포함한 세균까지도 진공흡입시켜 제거하면서 신속히 건조시키는 진공흡입장치부(36)가 설치되고, 상기 진공흡입장치부(36) 부근에는 30℃ ~ 60℃의 상온으로 가열되는 전열장치부(18)가 설치되어 세척 후 진공건조 및 배출되는 매트(6)가 평탄하게(고르게) 펴지게된다.
상기 매트 이송로(14)의 하부에는 세척수 분사노즐(24)과, 구동롤러(26)와, 브러쉬롤러(28)와, 배수관 또는 배수호스(30)를 갖는 집수조(32)와, 진공실(34)을 갖는 진공흡입장치부(36)과, 상기 진공흡입장치부(36)의 양측에 축설치되는 안내롤러(38)(40)와, 전열히터를 갖는 전열장치부(18) 등이 설치되거나 축설치되고, 매트 이송로(14)의 상부에는 가압롤러(42) 및 흡수롤러(44)가 축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보호 케이스(46)가 설치된다.
상기 집수조(32)는 세척수 분사노즐(24)과 구동롤러(26) 및 브러쉬롤러(28)의 하부에 설치되어 세척후 밑으로 낙하하는 세척수 및 이물질 등이 수집되며, 모아진 세척수 및 이물질은 배수호스(30)와, 상기 배수호스(30)에 연결된 배출관(48)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각종 롤러(26)(28)(38)(40)(42)(44)는 도 2,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축방향으로 길쭉한 장방형이며, 진공흡입구(36)와 분사노즐(24) 역시 상기 롤러 (26)(28)(38)(40)(42)(44)와 평행하도록 길쭉한 형상이다. 상기 분사노즐(24)은 세척수 공급관에 소정 분사각도와 기울기를 갖는 일자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 개의 노즐이 세척수 공급관에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된 구조이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6)의 초기 투입과 세척이 쉽도록 가압롤러(42)와 구동롤러(26)간의 거리와 가압롤러(42)와 브러쉬롤러(28) 사이의 거리는 비교적 이격되어 있고, 진공흡입장치부(36)의 양측에 위치하는 안내롤러(38)(40)와 흡수롤러(44)의 이격거리 및 진공흡입장치부(36)의 흡입공(62)들과 흡수롤러(44)의 이격거리는 매트(6) 상의 수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접촉하거나 접촉할 정도로 근접하여 있다.
상기 흡수롤러(44)는 수분 흡수가 쉽도록 스펀지 또는 다소 연질의 미세 다공성 재질로 구성되며, 양측 축봉(45)에는 승강장치부 및 탄지장치부가 설치되어 세척 대상 매트(6)의 두께나 상태등에 따라 흡수롤러(44)가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매트(6) 상부 표면에 밀착되는 구성이며, 매트(6)의 이동에 따라 피동 회전하면서 잔류 수분등을 흡수하게 된다.
상기 흡수롤러(44) 승강장치부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본체(4)에 고정되는 상부 개방형 안내체(52)와, 상기 안내체(52)에 승강할 수 있게 결합되는 승강체(54)와, 상기 안내체(52)의 좌.우측에 세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장공(56)과, 승강체(54)의 양측에 체결 또는 고정된 다음 상기 장공(56)에 각각 결합되는 안내핀(58)으로 구성되며, 흡수롤러(44)의 양측 축봉은 승강체(54)에 베어링으로 축 결합된다. 그리고, 축봉(45)이 관통하는 본체(4) 부분에도 축봉(45)의 자유로운 승강을 위하여 세로장공(50)이 형성된다.
그리고, 흡수롤러(44) 탄지장치부는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 돌출된 승강체(54)의 양측부와 안내체(52)의 양측부 또는 본체(4)의 양측부에 고리부분이 각각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스프링(60)으로 구성되며, 스프링(60)의 탄성력과 흡수롤러(44)의 자중에 의해 승강체(54)와 흡수롤러(44)가 하강 탄지된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흡수롤러(44)의 표면이 안내롤러(38)(40)와 진공흡입장치부(36)의 표면에 접촉하게되며 세척된 매트(6)가 그 사이를 지나가게된다. 이때 매트(6) 하부면에 잔류하는 세척수와 이물질과 세균등은 진공흡입장치부(36)에 의해 진공흡입되고, 매트(6) 상부면에 잔류하는 수분은 흡수롤러(44)에 흡수된다.
그리고, 매트(6)가 안내롤러(40)를 벗어나면 상기 스프링(60)의 탄성력과 흡수롤러(44)의 자중에 의해 흡수롤러(44)가 진공흡입장치부(36)의 흡입공(62)에 소정기간 접하게 되므로 흡수롤러(44)가 흡수하여 머금고 있던 수분이 진공흡입장치부(36)에 의해 흡입 제거된다. 따라서 흡수롤러(44)는 세척 후 이송되는 다음번 매트의 상부면에 잔류하는 수분등을 흡수 할 수 있게된다.
즉, 승강장치부과 탄지장치부를 갖는 상기 흡수롤러(44)는 매트(6)의 두께와 표면 상태에 따라 적절히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적절한 압력으로 매트(6) 상부면을 가압하는 방법으로 수분을 흡수 제거하게된다.
일반적으로 매트(6)를 세척할 때, 매트(6) 상의 이물질이 세척수 분사압과 중력에 의해 자유 낙하할 수 있도록 융모 부분이 하향하도록 매트(6)를 투입시켜 세척하게 되므로 상기 진공흡입장치부(36)는 매트 이송로(14)의 하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때에 따라서는 매트 이송로(14)의 상부나 상.하부에 진공흡입장치부(36)가 설치되기도 한다. 이를테면, 투입되는 매트(6)의 상부에 융모가 위치하는 경우, 매트 이송로(14)의 상부에 진공흡입장치부(36)가 설치되고, 투입되는 매트(6)의 상.하부에 융모가 위치하거나, 또는 융모가 매트의 일측면(또는 매트의 일측면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더라도 매트(6)의 상.하부면 세척이 필요한 경우에는 매트 이송로(14)의 상.하부에 진공흡입장치부(36)를 각각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 전열장치부(18)는 진공흡입장치부(36)의 부근, 이를테면 진공흡입장치부(36)의 후단이나 선단 또는 선.후단 부분에 설치할 수 있으며, 세척 및 건조과정을 거치면서 형상.모양이 변화된 매트가 전열장치부(18)의 상온(30℃ ~ 60℃) 가열에 의해 데워지면서 원래 형상.모양으로 펴질 뿐 아니라 겨울철 추위에 의해 매트(6)가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전열장치부(18)는 전열히터나 면상발열체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으며, 도시안된 항온제어회로 또는 항온장치가 구비되어 설정된 온도로 자동 유지된다.
상기 투입구(8) 하부에는 매트(6)가 쉽게 진입할 수 있게 유도하는 평면 경사형 안내판(20)이 설치되고, 배출구(10)에는 건조가 완료된 매트(6)가 배출될 수 있게 만곡 또는 평면 경사형 안내판(22)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진공흡입장치부(36)는 안내롤러(38)(40)와 평행하는 장방형 통체(64)이며, 통체(64) 내부에 진공실(34)이 형성되고, 진공실(34) 상부에 폭이 좁아진 병목부(68)가 형성되고, 병목부(68)의 상부에 복수 개의 흡입공(62)들을 갖는 평면부(70)가 형성되고, 진공실(34) 하부에는 진공발생장치부(72)에 호스(74)로 연결되는 흡출관체(76)가 구비되며, 측판(78)에 형성된 구멍(80)과 도시안된 체결장치부(볼트 너트 및 스크류) 또는 고정장치부(리벳이나 용접 등)으로 본체(4)에 고정된다.
상기 병목부(68)는 효율적인 진공흡입을 위하여 진공실(34)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흡입공(62)의 선.후부에 연장 형성되는 평면부(70)는 매트(6)의 원활한 이송을 돕게된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상기 흡입공(62)이 형성되는 전체 구간 길이(L)는 매트(6)의 폭(W) 보다 길게 형성되어 흡입력이 매트(6)의 전체 폭(W)에 작용된다.
상기 흡입공(62)은 도 8과 같이 매트(6)의 수분이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으면서 매트(6)가 쉽게 지나갈 수 있도록 폭(W2)이 좁은 장방형이며, 통체(64)의 일측으로 이행할수록 흡입공 길이(L2)가 점차적으로 길어지는 구조이며, 인접 흡입공(62)간의 이격거리(L1)는 동일하다. 상기 흡입공 길이(L2)는 흡출관체(76)와 멀리 떨어진 측으로 이행할수록 점차 길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접촉한 매트부분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진공흡입력이 작용되게 하여 진공흡입력에 의해 매트(6) 상의 잔류수분과 이물질과 세균들이 진공 흡입되면서도 흡입공(62)과 평면부(70)에 달라 붙는 현상없이 배출구(10)로 원활히 이송 배출된다.
본 발명 진공발생장치부(72)는, 통체(82)의 상부 또는 일단에 한 개 이상 복수 개의 진공펌프(84)가 설치되고, 통체(82)의 상부에는 진공펌프(84)의 흡입구(85)와 연결되는 보조진공실(94)이 위치하고, 보조진공실(94)의 하부에는 회전와류장치부(112)를 갖는 와류실(92)이 위치하고, 상기 와류실(92)의 하부에는 내용적이 크고 진공흡입장치부(36)로부터 흡입되는 수분과 공기를 분리하는 진공분리실(88)이 위치하고, 상기 진공분리실(88)의 하부에는 분리된 수분이나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배수실(90)이 위치하며, 진공분리실(88)과 배수실(90) 사이의 격리판에는 배수공(96)과 패킹(98)이 구비된 판체형 체크밸브(100)가 설치된다.
상기 판체형 체크밸브(100)는 축공(101) 부분에 힌지(102)로 축 설치되며, 진공압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된다. 즉, 진공펌프(84)가 가동되어 진공분리실(88)에 진공압이 작용되면 힌지(102)를 중심으로 상승하면서 패킹(98)에 밀착되므로 배수공(96)이 폐쇄되고 기밀(氣密)이 유지된다.
그리고, 진공펌프(84)의 가동이 중지되고 진공분리실(88)의 진공이 해재되면 체크밸브(100)가 자중에 의해 힌지(102)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배수공(96)이 개방되므로, 공기와 분리된 물(수분)과 이물질 및 세균 등이 개방된 배수공(96)과 배수실(90)을 경유하여 배출관(108)(48)으로 배수 및 배출된다.
상기에서 격리판과 체크밸브(100) 사이에 패킹(98)이 위치하므로, 축공(101)은 도 10, 도 11에 도시한 것처럼 세로 장방형으로 형성하여 힌지(102) 부분이 다소간 승강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체크밸브(100)가 패킹(98)의 전체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축공(101)의 세로 높이는 패킹(98)의 높이를 감안하여 체크밸브(100)와 패킹(98)이 밀착될 수 있는 높이로 결정된다.
상기 보조진공실(94)과, 와류실(92)과, 진공분리실(88)과, 배수실(90)은 각각의 격리판에 의해 격리되지만, 보조진공실(94)과 와류실(92)은 비교적 큰 내경의 통공이 형성된 관체(104)로 연결되고, 와류실(92)과 진공분리실(88)은 상기 관체(104)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d2)의 통공을 갖는 관체(106)가 연결되며, 진공분리실(88)의 측부에는 진공흡입장치부(36)과 호스(74)로 연결되는 관체(86)가 설치되며, 진공시 배출되는 공기는 진공펌프(84) 부분이나 그 일단에 형성된 배기공(11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흡입되는 기류는 격리판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체(106)(104)를 따라 상승하게 되고, 흡입관(86)은 도 12와 같이 진공분리실(88)의 중앙이 아닌 가장자리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진공분리실(88)로 유입되는 공기와 수분과 이물질 및 세균등이 회전와류되면서 효과적으로 분리되며, 분리된 공기는 상승하게 되고, 수분과 이물질과 세균등은 회전 와류에 의해 격리판의 중앙에 위치하는 큰 내경의 배수공(96)으로 모이게 되므로 배출이 보다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격리판은 체크밸브(100)가 기능을 충분히 할 수 있는 범위에서 중앙으로 향 할수록 점차적으로 깊어지게 형성하여 수분이나 이물질등이 중앙에 위치하는 배수공(96)으로 모이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며, 배수실(90) 바닥판은 배출관(108)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하여 원활한 배출과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통체(82) 부분에 설치되는 관체(86)의 내경(d1)은 진공분리실(88)에 설치되는 관체(106)의 내경(d2)과 같게 구성함으로써 진공분리실(88)의 진공압력이 진공흡입장치부(36)의 진공실(34)로 고스란히 전달되어 진공흡입력의 손실이 없도록 하고, 보조진공실(94)의 관체(104) 높이는 수분량이 많은 진공분리실(88)의 관체(106) 높이보다 낮게 형성함으로써 분리된 수분이 진공펌프(84)까지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관체(106)를 통하여 상승하는 일부의 수분은 와류실(92)에 설치되는 회전와류장치부(112)에 의해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공기와 분리되어 하강하게된다.
도 12는 상기 회전와류장치부(112)의 평면도이다. 상기 회전와류장치부(112)는 장방형 통체(114)의 양측으로 개방부(116)가 형성되고 상하전후는 막힌 구조이다.
그리고, 진공분리실(88)의 공기가 상승할 수 있게 관체(106)의 통공이 통체(114) 바닥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통체(114)의 양측 개방부(116)는 엇방향으로 개방되게 통체(114) 일측으로 만곡판(118)이 각각 연결된 구조이며, 따라서 진공압에 의해 와류실(92)로 상승하는 공기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류되므로 공기보다 무거운 수분의 상승이 억제된다.
도 3, 도 4는 본 발명 매트 진공세척기(2)의 동력전달장치부를 도시한 것으로, 모터(12) 회전축에 고정된 풀리(120)와, 브러쉬롤러(28)의 축봉에 고정된 풀리(122)와, 아이들 풀리(124)와, 하부 연결축봉(126) 일측에 고정된 풀리(128)는 벨트(130)로 각각 연결되어 감속되며, 하부 연결축봉(126) 타측에 고정된 풀리(132)와 상부 연결축봉(134) 타측에 고정된 풀리(136)는 또 다른 벨트(130)로 연결되어 회전력이 감속 전달되며, 풀리(122) 축에 고정되어 있는 브러쉬롤러(28)는 회전속도가 빠르고, 그 외의 롤러(26)(38)(40)(44)는 여러개의 풀리(124)(128)(132)(136)를 거치면서 회전력이 많이 감속된다. 따라서, 매트(6)는 세척과 진공흡입 및 건조에 알맞는 속도로 이송 배출된다.
상기 풀리(122)(124)(128)들은 감속을 위하여 큰 직경의 풀리와 작은 직경의 풀리가 일체로 형성된 2중 구조의 풀리들이며, 진공흡입장치부(36)에 작용되는 진공압은 매트(6)가 충분히 이송되면서 매트(6)상의 수분과 이물과 세균등을 양호하게 흡입할 수 있는 범위의 진공압이다.
본체(4)에 축 설치되는 상부 연결축봉(134)의 일측에는 도 3과 같이 기어(138)가 고정되고, 그 하부의 본체(4) 부분에 축 설치된 축봉(140) 일측에는 상기 기어(138)와 치합되는 기어(142)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기어(138)(142)들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된다.
또한 구동롤러(26)와, 안내롤러(38)(40)와, 흡수롤러(44)와, 연결축봉(134)과 또 따른 축봉(140)의 타측에는 체인기어(144)(146)(148)(150)(152)(154)가 각각 고정되며, 일측 안내롤러(38)의 축봉에는 체인기어(146) 외에도 또 다른 체인기어(162)가 고정되어 연동 회전한다.
그리고, 연결축봉(134)에 고정된 체인기어(152)와 흡수롤러(44) 축봉에 고정된 체인기어(150)는 체인(156)으로 연결되어 도 4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되고, 안내롤러(38)(40)의 축봉과 또 다른 축봉(140)에 고정된 체인기어(146)(148)(154)는 다른 체인(158)으로 연결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롤러(26)의 축봉과 일측 안내롤러(38)의 축봉에 고정된 또 다른 체인기어(162)는 또 다른 체인(160)으로 연결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매트(6)가 배출구(10) 방향으로 이송된다.
브러쉬롤러(28)의 동력전달과정을 살펴보면, 모터(12) →풀리(122) →브러쉬롤러(28)로 전달되어 모터(12)의 회전속도보다는 느리지만 비교적 빠른 속도로 브러쉬롤러(28)가 회전하게 된다.
흡수롤러(44)의 동력전달과정을 살펴보면, 모터(12) →풀리(122) →풀리(124) →풀리(128) →연결축봉(126) →반대편 풀리(132) →연결축봉(134)에 고정된 풀리(136) →연결축봉(134) →체인기어(152) →체인(156) →체인기어(150) →흡수롤러(44)의 축봉(45)으로 전달되어 흡수롤러(4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된다.
안내롤러(38)(40)의 동력전달과정을 살펴보면, 모터(12) →풀리(122) →풀리(124) →풀리(128) →연결축봉(126) →반대편 풀리(132) →연결축봉(134)에 고정된 풀리(136) →연결축봉(134) →기어(138) →기어(140) →축봉(140) →체인기어(154) →체인(158) →안내롤러(38)(40)의 축봉에 고정된 체인기어(146)(148)로 전달되어 안내롤러(38)(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구동롤러(26)의 동력전달과정을 살펴보면, 모터(12) →풀리(122) →풀리(124) →풀리(128) →연결축봉(126) →반대편 풀리(132) →연결축봉(134)에 고정된 풀리(136) →연결축봉(134) →기어(138) →기어(140) →축봉(140) →체인기어(154) →체인(158) →안내롤러(38) →체인기어(162) → 체인(160) →구동롤러(26)의 축봉에 고정된 체인기어(144)로 전달되어 구동롤러(2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에서 매트 이송로(14)를 중심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흡수롤러(44)와, 매트 이송로(14)의 하부에 위치하는 구동롤러(26)와 브러쉬롤러(28) 및 안내롤러(38)(40)는 회전방향이 반대이다. 즉, 치합된 상하 기어(138)(142)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동력을 전달하게되므로, 도 4를 기준으로 회전방향을 살펴보면, 흡수롤러(44)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롤러(26)와 브러쉬롤러(28)와 안내롤러(38)(40)는 매트(6)의 배출을 위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된다.
가압롤러(42)는 매트(6)가 투입되면 스프링과 같은 탄지수단이나 자중에 의해 매트(6) 상부면을 가압하게된다.
상기 진공흡입장치부(36)에 의해 세척후 매트(6)상에 잔류하는 대부분의 수분과 이물질(미세먼지를 포함한 이물질)등이 진공 흡입되어 제거되고, 세척과 이송 및 건조과정에서 형상.모양이 변화된 매트(6)는 전열장치부(18)에 의해 상온으로 데워지면서 원래 형상.모양으로 복귀되므로 별도의 건조과정없이 매트(6)를 바로 사용할 수 있게되며, 진공흡입시 매트(6) 상에 잔류하는 수분과 이물질을 포함하여 매트(6) 상에 기생 번식하는 각종 세균 및 악취까지 흡입 제거되므로 자동차의 실내가 청결하고 상쾌한 분위기로 조성된다.
본 발명에서 안내롤러(38)(40)는 상기 흡입공(62)보다 조금 높은 부분의 선.후측에 위치하며, 배출구 방향에 위치하는 안내롤러(40)는 탈수롤러(44)의 협조하에 그 사이에 위치하는 매트(6)를 잡아당겨 배출구(10) 방향으로 이송하게되고, 투입구(8) 방향에 위치하는 안내롤러(38)는 상기 탈수롤러(44)의 협조하에 안내롤러(40)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며, 또한 통체(64)의 상부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흡입공(62)들은 통체(64)의 흡출관체(76)측에서 멀리 떨어진 측으로 이행할수록 점차적으로 길어지게 하여 매트 접촉부분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진공흡입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구조이므로 비교적 강한 진공 흡입력이 작용되더라도 매트(6)가 흡입공(62)과 평면부(70)에 달라 붙는 현상없이 배출구(10)로 원활히 배출된다.
도 13, 도 14는 진공발생장치부의 구성을 달리할 수 있음을 도시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공발생장치부(72a)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체(82a)의 상부 또는 일단에 한 개 이상 복수 개의 진공펌프(84a)를 설치하고, 통체(82a) 내부에는 격리판(83)에 의해 상하로 분리되는 진공실(87)(89)을 형성하고, 상부 진공실(87)에 통체(82a)로부터 분리 가능한 한 개 이상 복수 개의 필터(91)를 설치하고, 하부 진공실(89) 일측에 배출관(108a)을 연결하고, 배출관(108a)의 단부에 체크밸브(109)를 설치하고, 진공흡입장치부(36)에 연결된 흡출관체(76a)는 통체(82a)의 내부로 유입된 다음 격리판(83)을 통과하여 하부 진공실(89)과 연결된다.
따라서, 필터(91)에 의해 분리되는 공기는 진공펌프(84a)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고, 수분과 이물질과 세균등은 필터(91)에 의해 여과된 다음 배출관(108a)과 체크밸브(109)를 통하여 배출되며, 체크밸브(109)는 상기처럼 진공시에는 개폐되고, 진공이 해제되면 개방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 매트(6)상의 세균이나 병원균을 살균하는 방법으로 세척수 중에 인체에 무해한 살균제를 혼합하여 분사하거나, 오존(O3)이 용존된 오존수로 세척하거나 공기중 오존발생장치를 매트 이송로(14)에 설치하여 살균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매트 세척기의 후단에 설치되는 진공흡입장치부에 의해 세척후 잔류하는 매트상의 세척수와 이물질 및 세균까지 진공 흡수되면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신속히 건조되므로 별도의 건조시간이 불필요할 뿐 아니라 청결하고 상쾌한 분위기의 자동차 실내 환경이 조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공흡입장치부 부근에 설치되는 전열장치부에 의해 세척 건조 및 배출되는 매트가 30℃ ~ 60℃의 상온으로 데워지면서 고르게 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공흡입장치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흡입공은 일측으로 향할수록 그 길이가 점차적으로 길어지게하여서 매트가 진공흡입장치부에 달라붙지 않고 자연스럽게 배출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매트 세척기에 있어서;
    본체내 매트 이송로의 세척수를 이용한 물세척 후단부에 매트 이송롤러와 평행하게 진공흡입장치부를 설치하되, 상기 진공흡입장치부는 진공실내 병목부의 상부면에 복수개의 흡입공들을 일측으로 갈수록 점차 길어지게 나열 형성하여 상기 상부면에 접촉된 물세척 매트부분에 균일한 진공흡입력이 작용되게해 세척 매트부분의 잔류수분과 이물질 및 세균들이 진공흡입되게 하면서도 매트는 매트 이송로의 배출구측으로 원활히 이송 진행되게 구성하고,
    상기 진공흡입장치부의 흡출관체에 호스로 연결하여 진공발생장치부를 설치하되, 상기 진공발생장치부는 상기 호스를 통해서 유입되는 잔류수분과 이물질 및 세균들을 회전와류시켜 진공흡입에 따른 공기와 분리되게 하며, 분리된 진공흡입 공기가 상부의 진공펌프측으로 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진공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입장치부의 후단, 선단, 선후단중 한 곳에 세척이나 기온영향으로 인해 형상변화시 매트가 펴질 수 있을 정도가 되게 이송 매트를 상온가열하는 전열장치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진공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장치부의 발열온도는 30℃ ~ 60℃임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진공세척기.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공들은 병목부 상부면의 평면부에 길이방향으로 나열형성되고, 인접된 흡입공 간의 간격은 동일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진공세척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입장치부의 양측에 상기 안내롤러를 각각 평행 설치하되 상기 진공흡입장치부의 상부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진공세척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입장치부를 상기 매트 이송로의 상.하부에 설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진공세척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발생장치부는,
    통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진공펌프와,
    상기 진공펌프의 흡입구와 연결되는 보조진공실과,
    상기 보조진공실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의 회전와류장치부의 회전와류 작용에 의해서 하부에서 상승한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이 분리되게 하는 와류실과,
    상기 와류실의 하부에 위치하고 진공흡입장치부로부터 흡입되는 세척 매트부분의 잔류수분과 이물질 및 세균들을 회전와류 형성을 통해서 공기와 분리하는 진공분리실과,
    상기 진공분리실의 하부에 위치하는 배수실과,
    상기 진공분리실과 배수실 사이의 격리판에 설치되는 배수공과 패킹이 구비된 판체형 체크밸브와,
    상기 진공흡입장치부의 흡출관체와 호스로 연결되는 진공분리실 관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진공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입장치부의 흡출관체와 진공분리실 관체의 내경은 같은 크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진공세척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분리실 관체는 통체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하여서된 매트 진공세척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발생장치부는,
    통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진공펌프와,
    격리판에 의해 통체 내부에 상하로 분리되는 상.하부 진공실과,
    상부 진공실에 통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한 개 이상 복수 개의 필터와,
    하부 진공실 일측에 연결되는 배출관과,
    배출관의 단부에 설치되는 체크밸브와,
    상기 진공흡입장치부에 연결되며, 통체 내부로 유입된 다음 격리판을 통과하여 하부 진공실과 연결되게 하는 관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진공세척기
KR1020040094667A 2004-11-18 2004-11-18 매트 진공세척기 KR100615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667A KR100615943B1 (ko) 2004-11-18 2004-11-18 매트 진공세척기
PCT/KR2005/003694 WO2006054840A1 (en) 2004-11-18 2005-11-03 Mat vacuum cleaning machine
US11/667,997 US7624471B2 (en) 2004-11-18 2005-11-03 Mat vacuum clean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667A KR100615943B1 (ko) 2004-11-18 2004-11-18 매트 진공세척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685U Division KR200375823Y1 (ko) 2004-11-18 2004-11-18 매트 진공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5679A KR20060055679A (ko) 2006-05-24
KR100615943B1 true KR100615943B1 (ko) 2006-08-28

Family

ID=36407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4667A KR100615943B1 (ko) 2004-11-18 2004-11-18 매트 진공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24471B2 (ko)
KR (1) KR100615943B1 (ko)
WO (1) WO20060548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689A (ko) 2015-07-22 2017-02-03 김정웅 자동차용 매트세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436B1 (ko) * 2007-01-04 2007-10-17 허상섭 매트 청소기
KR100857380B1 (ko) * 2007-02-16 2008-09-05 주식회사 쌍마기계 차량용 매트의 세척장치
US20090123293A1 (en) * 2007-11-08 2009-05-14 Emerson Electric Co. Method and apparatus of driving multiple shafts in a wet/dry vacuum and liquid pump
ITPD20080063A1 (it) * 2008-02-25 2009-08-26 Roberto Giacomazzi Macchina pulitrice.
IT1400341B1 (it) * 2010-05-25 2013-05-24 Brain Provider S R L Dispositivo per la rimozione di una pellicola protettiva da un foglio.
CN105919539B (zh) * 2016-05-17 2018-07-17 陈科 设有自动化功能的清洗凉席装置
CN108499946A (zh) * 2017-12-15 2018-09-07 青岛日森机电有限公司 一种脚垫机
CN108842419A (zh) * 2018-09-05 2018-11-20 佛山市三创针织有限公司 一种针织品灰尘清理熨晾装置
CN109853210A (zh) * 2018-12-19 2019-06-07 杭州职业技术学院 一种环保型纺织装置
CN110318243A (zh) * 2019-06-22 2019-10-11 江苏鹏翔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针织布加工用除尘装置
US11801614B2 (en) * 2019-08-26 2023-10-31 Automated Industrial Tehnologies, Inc. Dedusting of wood boards by use of two counter-rotating pairs of brushes with a vacuum system
US11653801B2 (en) * 2020-06-04 2023-05-23 Jon P. Kolquist Vehicle floor mat vacuum machine
CN113020119A (zh) * 2021-03-02 2021-06-25 安徽欣冉碳纤维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活性碳纤维毡表面清理设备
KR102583654B1 (ko) * 2022-10-14 2023-09-26 배상철 매트세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6149A (en) * 1958-04-21 1961-05-30 Jack Flapan Floor mat cleaning machine
US4926520A (en) * 1987-07-31 1990-05-22 Watson Claude F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carpet tiles
JPH0671240A (ja) * 1992-08-31 1994-03-15 Nittoku Eng:Kk 畳清掃装置
JPH0639177U (ja) * 1992-10-23 1994-05-24 日設産業機器株式会社 マット清掃装置
JPH06323313A (ja) * 1993-05-07 1994-11-25 Kokubu:Kk
JP3790294B2 (ja) 1995-03-24 2006-06-28 株式会社共和製作所 マットクリーナ
US20020078523A1 (en) * 2000-12-21 2002-06-27 Ball Laverne C. Pad for cleaning vehicular floor mats and the like
WO2003015946A1 (en) * 2001-08-13 2003-02-27 Ok Kyun Oh Mat cleaning apparatus
US20090056053A1 (en) * 2002-05-28 2009-03-05 Jon Kolquist Dryer for floor mats
KR200305998Y1 (ko) * 2002-11-21 2003-03-04 (주)인성테크 자동차매트 세척장치
KR200321403Y1 (ko) * 2003-04-22 2003-07-31 고영종 승용차매트세척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689A (ko) 2015-07-22 2017-02-03 김정웅 자동차용 매트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5679A (ko) 2006-05-24
US7624471B2 (en) 2009-12-01
WO2006054840A1 (en) 2006-05-26
US20080189902A1 (en) 2008-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5943B1 (ko) 매트 진공세척기
CN206661765U (zh) 一种轴承清洗烘干一体机
CN106475345B (zh) 用于清洁空调室内机的滤网的清洁装置和空调室内机
KR100912658B1 (ko) 건식 필터청소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CN112716388A (zh) 一种清洁机器人系统
CN102133079A (zh) 一种地板清洗机
CN215447305U (zh) 一种纺织加工用烘干装置
JP4669325B2 (ja) マット真空洗浄機
CN112806913A (zh) 一种清洁机器人系统
KR20110030818A (ko) 다중 습식집진기
CN101412029B (zh) Ic卡自动清洗机
KR100767436B1 (ko) 매트 청소기
CN105841439A (zh) 具有烘干功能的清洁甩干设备
CN215551143U (zh) 一种家用厨余垃圾处理设备
CN206382273U (zh) 用于清洁空调室内机的滤网的清洁装置和空调室内机
CN109235916A (zh) 一种水风循环的墙面清洗装置及其工作方法
CN107174170A (zh) 无能耗自动托把
KR100877051B1 (ko) 세척 및 건조가 이루어지는 산업용 세척기 및 그를 이용한세척방법
CN107360989B (zh) 一种智能化的食品加工杀菌清洗综合设备
CN215838722U (zh) 一种清洁机器人系统
CN212754213U (zh) 一种卤制品冷却装置
CN111543903B (zh) 一种便于切换拖把头的地面脱水车
CN108557519A (zh) 物料运输装置
CN210676171U (zh) 一种高阻隔安全包装膜用清洗设备
CN108478078A (zh) 一种能清洗空气隔网的干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