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5514B1 - 강재의 접합구조와 그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확장전단지압부재 - Google Patents
강재의 접합구조와 그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확장전단지압부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15514B1 KR100615514B1 KR1020040061761A KR20040061761A KR100615514B1 KR 100615514 B1 KR100615514 B1 KR 100615514B1 KR 1020040061761 A KR1020040061761 A KR 1020040061761A KR 20040061761 A KR20040061761 A KR 20040061761A KR 100615514 B1 KR100615514 B1 KR 1006155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material
- shear
- expansion
- bolt
- shear pressure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건물, 교량, 기계 등와 같은 강철구조물을 구축할 때 볼트너트와 확장전단지압부재를 이용하여 견고한 강재의 모재와 모재나 이음판의 접합구조를 실현시킬 수 있고, 나아가, 시공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재료를 절감하고, 접합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되는 강재의 접합구조와 그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확장전단지압부재를 제공한다.
그 강재의 접합구조는, 모재(30)와 이음판(40,50)을 서로 겹쳐져 체결됨으로써 접합되는 강재의 접합구조에 있어서, 모재(30)와 이음판(40,50)에 일치되게 형성되고, 확장전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직경보다는 크고, 탄성영역에서 최대로 확장가능한 직경과는 같거나 작은 직경의 관통공(31,41,51)에, 적어도 축방향으로 절개부(13)가 형성되고 암나사부(12)가 형성된 구조의 관형상 부재(11)로 된 확장전단지압부재(10)를 삽입하고, 볼트(20)를 그 암나사부(12)에 체결함으로써 그 확장전단지압부재(10)를 확장시켜 모재(30)와 이음판(40,50)의 관통공(31,41,51)에 압입된 상태로 하여 모재(30)와 이음판(40,50)을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1a 내지 도 1c는 각각 본 발명의 확장전단지압부재의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를 도시한 절반 단면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a의 확장전단지압부재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모재와 이음판을 접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중간상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b의 확장전단지압부재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모재와 이음판을 접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초기상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분해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c의 확장전단지압부재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모재와 이음판을 접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중간상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확장전단지압부재 및 이음판사이의 삽입관계 및 볼트의 삽입/체결 초기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6는 도 2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라 볼트가 확장전단지압부재 및 너트에 체결되어 접합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확장전단지압부재 11: 관형상 부재
12: 암나사부 12a: 면취부
13: 절개부 14: 상단면
15: 하단면 16: 걸림부
20: 볼트 20a: 면취부
21: 너트 22: 와셔
30: 모재 31,41,51: 관통공
40,50: 이음판 52: 걸림공
본 발명은, 특히 건물, 교량, 기계 등와 같은 강철구조물을 구축할 때 볼트너트와 확장전단지압부재를 이용하여 견고한 강재의 모재와 모재나 이음판의 접합구조를 실현시킬 수 있고, 나아가, 시공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재료를 절감하고, 접합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되는 강재의 접합구조와 그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확장전단지압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강판 내지 강재비임 접합 내지 체결구조가 교각, 고가다리, 고층건물 등의 건축, 토목 이외에 조선, 항공 및 일반 기계장치에도 이용되고 있으며, 이 때에 강판 또는 강재비임(이하, "강재" 또는 "모재"라 한다) 간에 상호 체결 또는 접합수단으로 용접법, 볼트 체결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용접법은 용접 의 어려움 때문에 현장에서 적용하기가 어렵거나 부식 등의 문제로 볼트의 축력에 의한 마찰력에 의존한 마찰접합방법이 거의 범용되고 있다.
그러나, 볼트의 축력에 의존한 마찰접합 또는 단순 볼트체결 방법의 경우, 강재빔의 체결 또는 접합공정의 완료후 장래적으로 초기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는 한계는 거의 볼트의 축력 내에서만 가능하며, 볼트의 높은 전단력을 확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후판 강재로 갈수록 그 접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수백톤에 이르는 비임들의 하중을 볼트의 축력에 의한 마찰력으로 유지되도록 많은 수의 볼트와 너트를 체결시켜 강재비임을 결합함에 따라 엄청난 인력과 장비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 필요로 하는 체결력을 얻기가 어렵고, 공기가 지연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접합면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도록 볼트와 너트의 체결시 모재에 파고들어가는 다수의 보강편 내지 마찰링을 접합면에 삽입시키거나, 그 접합면이 요철면을 지니도록 구성된 발명들이 제안되었었다(마찰접합법).
그러나, 이러한 마찰력의 증대만으로는 1.2 내지 1.5배의 결합력밖에는 얻을 수가 없어 여전히 많은 수의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으며, 여기에 더 큰 문제는 이에 따라 많은 수의 볼트공으로 인한 모재의 유효단면적의 감소로 인하여 결합강도가 제한될 수밖에 없었으며, 시공 공수가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도 있다. 또, 특히 장시간의 동적 하중에 의해 볼트가 풀린 경우, 다른 대안이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 다수의 보강편을 접합면사이에 배치시키는 것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시키더라도 다시 떨어져버리는 문제가 있으며, 또, 그 보강편을 압입시킬 수 있는 볼트의 체결력을 얻기가 어려워 시공상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볼트와 전단링을 이용하여 강재의 모재와 덧판을 체결함에 있어서, 실제 전단력이 작용할 수 있는 접합구조를 실현시킬 수 있고, 나아가, 시공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재료를 절감하고, 접합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되는 전단링을 이용한 강재의 접합구조및 그 강재의 접합공법이 개발되어 있지만, 여전히 모재 등에 볼트공이외에 전단링용 홈을 가공하여야 하는 바, 이를 위한 제조설비의 설계/제작 등의 기술적 과제를 안고 있다. 또, 후판(특히 100mm이상) 강재의 발달에 따라 그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지만, 이에 따른 강재의 이음기술이 뒤따르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도 있다. 즉, 볼트 이음의 경우, 직경이 크고, 길이가 긴 것을 사용하여야 하지만, 볼트의 제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또, 볼트의 직경을 크게 함에 따라 관통공도 커지게 되어 이음부위가 너무 커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으며, 용접이음의 경우에도 이음부위에 챔퍼링 가공을 해야하는 등의 후판 용접자체에 따른 각종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건물, 교량, 기계 등와 같은 강철구조물을 구축할 때 볼트너트와 확장전단지압부재를 이용하여 견고한 강재의 모재와 모재나 이음판의 접합구조를 실현시킬 수 있고, 나아가, 시공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재료를 절감하고, 접합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되는 강재의 접합구조와 그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확장전단지압부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재의 접합구조는, 모재외 모재 또는 모재와 이음판(이하에서 모재와 모재의 이음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모재와 이음판이라 한다)을 서로 겹쳐져 체결됨으로써 접합되는 강재의 접합구조에 있어서, 모재와 이음판에 일치되게 형성되고, 확장전 확장전단지압부재의 직경보다는 크고, 탄성영역에서 최대로 확장가능한 직경과는 같거나 작은 직경의 관통공에, 적어도 축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고 암나사부가 형성된 구조의 관형상 부재로 된 확장전단지압부재를 삽입하고, 볼트를 그 암나사부에 체결함으로써 그 확장전단지압부재를 확장시켜 모재와 이음판의 관통공에 압입된 상태로 하여 모재와 이음판을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재의 접합공법은, 모재와 이음판을 서로 겹쳐지게 한 후, 체결하여 접합하는 강재의 접합공법에 있어서, 적어도 축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고 암나사부가 형성된 구조의 관형상 부재로 된 확장전단지압부재의 직경보다는 크고, 탄성영역에서 최대로 확장가능한 직경과는 같거나 작은 직경의 관통공을 모재와 이음판에 일치되게 형성하는 단계; 그 관통공에 확장전단지압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그리고, 볼트를 그 확장전단지압부재의 암나사부에 체결함으로써 그 확장전단지압부재를 확장시켜 모재와 이음판의 관통공에 압입된 상태로 하여 모재와 이음판을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확장전단지압부재는, 모재와 이음판을 서로 겹쳐져 체결됨으로써 접합되는 강재의 접합에 있어서, 모재와 이음판에 일치되게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된 후, 모재와 이음판의 관통공에 압입된 상태로 하여 확장되도록 절개부가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중심 축방향으로 볼트에 체결되어 절개부를 확장시키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된 관형상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도 1c에는 각각 본 발명의 확장전단지압부재의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가 절반 단면한 정면도로 도시되고, 도 2 내지 도 4에는 도 1a 내지 도 1c의 확장전단지압부재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모재와 이음판을 접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단면도 내지 개략분해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6에는 도 2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라 볼트가 확장전단지압부재 및 너트에 체결되어 접합된 상태의 구조가 개략단면도로 도시된다.
도 1a 내지 도 5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확장전단지압부재(10)는, 관형상 부재(11)로 구성되는 것으로, 절개부(13)가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중심에는 축방향으로 볼트에 체결되어 절개부(13)를 확장시키도록 암나사부(12)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확장전단지압부재(10)는 환봉재를 절단한 후, 그 중심축방향으로 중공부를 형성하거나 원형관(중공)형상 부재를 절단하여 관형상 부재(11)를 형성한 후, 와이어 컷팅, 방전가공, 셰이퍼가공 등에 의해 절개부(13)를 형성하고, 그 절개부(13)를 확대시킨 상태에서 암나사부(12)를 형성시킴으로써 용이하게 가공될 수 도 있으며, 재질에 따라 열처리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확대시킨 상태는, 관형상 부재(11)의 외경이 적어도 관통공(31,41,51)에의 압입을 위한 외경으로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1b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확장전단지압부재(10)는, 너트(21)를 파지하여 상기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회전이나 축방향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확장전단지압부재(10)에의 볼트(20)의 확장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너트(21) 또는 와셔(22) 일체형 너트(21)의 경우 와셔(22)가 부분적으로 그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단부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너트(21)를 부착시키는 방법은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일체로 성형하고 가공하는 것도 가능하겠지만, 서로 분리되게 가공한 후에 확장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일부분을 용접(점용접의 형태가 도시됨) 등에 의해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단부에 부분적인 돌출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가 생략되지만, 와셔(22)를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일부에 부착시키고 와셔(22)를 모재(30) 또는 이음판(50)의 하면에 부착시켜 상기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회전이나 축방향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확장전단지압부재(10)에의 볼트(20)의 체결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또, 도 1c 및 도 4에서는 도 1a의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단부에 확장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걸림부(16)를 형성하고, 그 걸림부(16)가 걸니는 걸림공(51)이 형성된 걸림판(53)을 이음판(50)이나 모재의 하면에 부착시킴으로써 상기 확장전단 지압부재(10)의 회전이나 축방향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확장전단지압부재(10)에의 볼트(20)의 확장체결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걸림공(52)와 걸림부(16)는 사각형 등으로 하여 상기 걸림부(16)가 회전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 또, 도 4 및 후술하는 도 5의 경우에는 확장전단지압부재(10)를 관통공(31,41,51)에 삽입시키는 때에도 너트(21)를 파지함이 없이 볼트(20)의 확장체결시 볼트(20)의 확장체결력에 의한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헛도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되어 볼트(20)의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걸림공(52)에 걸려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이탈이 방지될 수도 있다.
그 걸림부(16)은 볼트(20)를 확장전단지압부재(10)에 완전히 체결한 후에는 제거되고, 와셔(22)를 개재하여 너트(21)를 이중으로 체결할 수도 있으며, 와셔(22)에 걸림공(52)을 형성시켜 걸림판(53)을 대체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모재(30)와 모재(도시가 생략되지만, 도면의 이음판(40,50) 대신 모재(30)끼리 중첩되는 것임) 또는 모재(30)와 이음판(40,50)(이하에서 모재(30)와 모재의 이음을 포함하는 것으로 모재(30)와 이음판(40,50)이라는 용어한다)에 일치되게 형성된 관통공(31,41,51)에 삽입된 후, 볼트(20)를 암나사부(12)에 체결함으로써 모재(30)와 이음판(40,50)의 관통공(31,41,51)에 압입된 상태로 하여 확장되며, 이에 따라 볼트의 체결력에 의한 접합력이외에도 볼트(20)와 확장전단지압부재(10)가 모재(30)와 이음판(40,50)의 관통공(31,41,51)에 압입된 상태로 되어 전단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접합강도가 크게 증대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접합된 상태를 도시한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장전단 지압부재(10)의 상단면(14)에 볼트(20)의 머리부가 접촉되도록 볼트(20)가 확장전단지압부재(10)와 나사체결된 후, 너트(21)에 체결되게 되는 바, 이때, 너트(21)를 확장전단지압부재(10)와는 분리된 암나사부를 지니는 경우, 확장전단지압부재(10)와 함께 이중으로 볼트(20)에 나사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진동 등에 의한 볼트(20)의 풀림이 더욱 방지되게 된다. 도 1b에서와 같이 너트(21)를 확장전단지압부재(10)에 부착시킨 경우에는 부착후 암나사부를 동시에 가공하여 한번에 볼트(20)를 너트(21)에까지 나사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별도로 완성된 너트(21)를 확장전단지압부재(10)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볼트(20)를 확장전단지압부재(10)에 확장나사체결시키고, 너트(21)를 분리시키며, 그 뒤, 볼트(20)를 확장전단지압부재(10)에 완전히 체결시킨 후, 너트(21)는 별도로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돌출부분에 나사체결하여 이중너트로서의 역할을 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확장전단지압부재 및 이음판사이의 삽입관계 및 볼트의 삽입/체결 초기 상태가 개략 단면도도 도시된다.
도 5에서, 상기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회전이나 축방향의 이동을 방지하여 상기 확장전단지압부재(10)에의 볼트(20)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그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하단면(15)에 걸림부(16)가 형성되고, 그 하단면(15)에 대응하는 모재(30) 또는 이음판(50)의 단부에 그 걸림부(16)가 삽입되는 걸림공(5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도 1a와 도 4에서와 유사하게 상기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회전이나 축방향의 이동을 방지하여 상기 확장전단지압부재(10)에의 볼트(20)의 확장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상단면(14)의 암나사부(12)측으로 볼트(20)의 삽입 및 초기체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면취부(12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볼트(20)에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취부(2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확장전단지압부재(10)에 의한 강재의 접합공법은, 먼저, 모재(30)와 이음판(40,50)을 서로 겹쳐지게 한 때에 일치하도록 상술한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직경보다는 크고, 탄성영역에서 최대로 확장가능한 직경과는 같거나 작은 직경의 관통공(31,41,51)을 모재(30)와 이음판(40,50)에 형성한다. 그 관통공(31,41,51)은, 모재(30)와 이음판(40,50)을 서로 겹쳐지게 한 후에 일체로 가공될 수도 있다.
모재(30)와 이음판(40,50)을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관통공(31,41,51)에 확장전단지압부재(10)를 삽입하며, 그 후, 볼트(20)를 그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암나사부(12)에 체결함으로써 그 확장전단지압부재(10)를 확장시켜 모재(30)와 이음판(40,50)의 관통공(31,41,51)에 압입된 상태로 하여 모재(30)와 이음판(40,50)을 접합시키게 된다.
그 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상단면(14)에 볼트(20)의 머리부가 접촉되고 볼트(20)의 단부가 모재(30) 또는 이음판(50)의 외부로 돌출하도록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암나사부(12)에 볼트(20)를 체결하고, 돌출된 볼트(20)에 너트(21)를 체결시킴으로써 완전히 모재(30)와 이음판(40,50)이 접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시공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하여 접합된 모재(30)와 이음판(40,50)의 접합구조는, 암나사부 (12) 및 너트(21)에 볼트(20)가 체결되고, 축방향으로 절개부(13)가 벌어진 상태로 되어, 확장전단지압부재(10)가 모재(30)와 이음판(40,50)의 관통공(31,41,51)에 압입된 상태로 되어 모재(30)와 이음판(40,50)이 완전히 접합된 구조로 된다.
이와 같이 완전히 볼트(20)와 확장전단지압부재(10) 및 모재(30)와 이음판(40,50)의 관통공(31,41,51)이 압입상태로 접합되어 있어, 볼트(20)에 휨력이 작용할 수 없게 되고, 단지 전단력과 인장력만이 작용하게 되어 강도면에서 월등하게 되며, 이에 따라 많은 부수적이 효과를 지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재의 접합구조와 그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확장전단지압부재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견고한 강재의 모재와 모재나 이음판의 접합구조를 실현시킬 수 있고, 나아가, 시공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재료를 절감하고, 접합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1)
- 모재(30)와 이음판(40,50)(이하에서 모재(30)와 모재의 이음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모재(30)와 이음판(40,50)이라 한다)을 서로 겹쳐져 체결됨으로써 접합되는 강재의 접합구조에 있어서,모재(30)와 이음판(40,50)에 일치되게 형성되고, 확장전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직경보다는 크고, 탄성영역에서 최대로 확장가능한 직경과는 같거나 작은 직경의 관통공(31,41,51)에, 적어도 축방향으로 절개부(13)가 형성되고 암나사부 (12)가 형성된 구조의 관형상 부재(11)로 된 확장전단지압부재(10)를 삽입하고, 볼트(20)를 그 암나사부(12)에 체결함으로써 그 확장전단지압부재(10)를 확장시켜 모재(30)와 이음판(40,50)의 관통공(31,41,51)에 압입된 상태로 하여 모재(30)와 이음판(40,50)을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의 접합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너트(21)를 파지하여 상기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회전이나 축방향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확장전단지압부재(10)에의 볼트(20)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단은, 너트(21) 또는 와셔(22) 일체형 너트(21)의 경우 와셔(22)가 부분적으로 그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단부에 부착되는 너트부착구조와, 와셔(22)가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일부에 부착되고 와셔(22)를 모재(30) 또는 이음판(50)의 하면에 부착되는 와셔부착구조중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의 접합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회전이나 축방향의 이동을 방지하여 상기 확장전단지압부재(10)에의 볼트(20)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그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하단면(15)에 걸림부(16)가 형성되고 그 하단면(15)에 대응하는 모재(30) 또는 이음판(50)의 단부에 그 걸림부(16)가 삽입되는 걸림공(52)이 형성되거나 걸림공(51)이 형성된 걸림판(53)이 이음판(50)이나 모재의 하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의 접합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상단면(14)의 암나사부(12)측과 볼트(20)의 단부에 볼트(20)의 삽입 및 초기체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면취부(12a,20a)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의 접합구조.
- 모재(30)와 이음판(40,50)을 서로 겹쳐지게 한 후, 체결하여 접합하는 강재의 접합공법에 있어서,적어도 축방향으로 절개부(13)가 형성되고 암나사부(12)가 형성된 구조의 관형상 부재(11)로 된 확장전단지압부재(10)를 마련하는 단계;그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직경보다는 크고, 탄성영역에서 최대로 확장가능한 직경과는 같거나 작은 직경의 관통공(31,41,51)을 모재(30)와 이음판(40,50)에 일치되게 형성하는 단계;그 관통공(31,41,51)에 확장전단지압부재(10)를 삽입하는 단계; 그리고,볼트(20)를 그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암나사부(12)에 체결함으로써 그 확장전단지압부재(10)를 확장시켜 모재(30)와 이음판(40,50)의 관통공(31,41,51)에 압입된 상태로 하여 모재(30)와 이음판(40,50)을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의 접합공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시키는 단계이전에, 너트(21)를 파지하여 상기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회전이나 축방향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확장전단지압부재(10)에의 볼트(20)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너트(21) 또는 와셔(22) 일체 형 너트(21)의 경우 와셔(22)를 부분적으로 그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단부에 부착하는 단계와, 너트(21)를 파지함이 없이 상기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회전이나 축방향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확장전단지압부재(10)에의 볼트(20)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와셔(22)를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단부에 부분적으로 부착하고 와셔(22)를 이음판(50)의 하면에 부착하는 단계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의 접합공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전단지압부재(10)를 마련하는 단계에서 그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하단면(15)에 걸림부(16)를 돌출시켜 형성하는 단계와, 그 걸림부(16)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공(51)을 지니는 걸림판(53)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합시키는 단계이전에, 걸림판(53)의 걸림공(51)에 걸림부(16)를 삽입하고 그 걸림판(53)을 이음판(50) 또는 모재에 부착하는 단계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의 접합공법.
- 모재(30)와 이음판(40,50)을 서로 겹쳐서 체결함으로써 접합되는 강재의 접합에 있어서,모재(30)와 이음판(40,50)에 일치되게 형성된 관통공(31,41,51)에 삽입된 후, 모재(30)와 이음판(40,50)의 관통공(31,41,51)에 압입된 상태로 하여 확장되도록 절개부(13)가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중심 축방향으로 볼트(20)에 체결되어 절개부(13)를 확장시키도록 암나사부(12)가 형성된 관형상 부재(11)로 구성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강재의 접합용 확장전단지압부재.
- 제 8 항에 있어서, 너트(21)를 파지하여 상기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회전이나 축방향의 이동을 방지시킴으로써 상기 확장전단지압부재(10)에의 볼트(20)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너트(21) 또는 와셔(22) 일체형 너트(21)의 경우 와셔(22)가 부분적으로 그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단부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의 접합용 확장전단지압부재.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회전이나 축방향의 이동을 방지시킴으로써 상기 확장전단지압부재(10)에의 볼트(20)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이음판(50)의 하면에 부착되고 걸림공(51)을 지니는 걸림판(53)의 걸림공(52)에 삽입되는 걸림부(16)가 상기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하단면(15)에 모재(30)와 이음판(50)아래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의 접합용 확장전단지압부재.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전단지압부재(10)의 상단면(14)의 암나사부(12)측으로 볼트(20)의 삽입 및 초기체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면취부(1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의 접합용 확장전단지압부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1761A KR100615514B1 (ko) | 2004-08-05 | 2004-08-05 | 강재의 접합구조와 그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확장전단지압부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1761A KR100615514B1 (ko) | 2004-08-05 | 2004-08-05 | 강재의 접합구조와 그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확장전단지압부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3002A KR20060013002A (ko) | 2006-02-09 |
KR100615514B1 true KR100615514B1 (ko) | 2006-08-25 |
Family
ID=37122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61761A KR100615514B1 (ko) | 2004-08-05 | 2004-08-05 | 강재의 접합구조와 그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확장전단지압부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1551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7604A (ko) * | 2018-09-04 | 2020-03-13 | 삼성물산 주식회사 |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보 접합부 및 그 시공방법 |
KR20200091045A (ko) * | 2019-01-21 | 2020-07-30 | 삼성물산 주식회사 | 일체형 철골이음체를 이용한 무용접 철골보 접합부 및 그 시공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6340B1 (ko) * | 2017-11-24 | 2019-04-08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다용도 치수 측정 기구 |
KR102562296B1 (ko) * | 2023-02-02 | 2023-07-31 | 이상춘 | 도어스토퍼 설치용 무타공 접착식 어뎁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71600U (ko) | 1980-10-15 | 1982-05-01 |
-
2004
- 2004-08-05 KR KR1020040061761A patent/KR10061551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71600U (ko) | 1980-10-15 | 1982-05-01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7604A (ko) * | 2018-09-04 | 2020-03-13 | 삼성물산 주식회사 |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보 접합부 및 그 시공방법 |
KR102174782B1 (ko) * | 2018-09-04 | 2020-11-06 | 삼성물산(주) |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보 접합부 및 그 시공방법 |
KR20200091045A (ko) * | 2019-01-21 | 2020-07-30 | 삼성물산 주식회사 | 일체형 철골이음체를 이용한 무용접 철골보 접합부 및 그 시공방법 |
KR102147762B1 (ko) | 2019-01-21 | 2020-08-26 | 삼성물산(주) | 일체형 철골이음체를 이용한 무용접 철골보 접합부 및 그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3002A (ko) | 2006-0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600407B2 (ja) | 鋼管の継手構造 | |
JP4506969B2 (ja) | 基礎またはフーチングのコンクリートと杭頭部の結合部構造および該結合部構造を有する構造物 | |
KR100615514B1 (ko) | 강재의 접합구조와 그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확장전단지압부재 | |
JP4362114B2 (ja) | 鉄筋の結合金具 | |
JP4000930B2 (ja) | 鋼管の継手構造 | |
JP4365640B2 (ja) | 板材接合用ボルトとそれを用いた板材の接合方法 | |
US4919579A (en) | Anchor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 |
KR0128103B1 (ko) | 말뚝슈 및 말뚝슈와 지지판과의 조합구조 | |
JP4252029B2 (ja) | 木製部材と鋼製部材からなる複合部材、木製部材と鋼板との接合構造、木製部材と鋼板との接合方法、および木製部材と鋼板との接合構造を備えた構造物 | |
JP3252961B2 (ja) | 鋼管柱接合に用いる固定部品とボルト部品 | |
JPH1181304A (ja) | 鋼管の接続構造 | |
JP2004270204A (ja) | 鋼管の継手構造及び鋼管の接合方法 | |
JPH07331749A (ja) | 鋼管柱相互のワンサイドボルト接合構造 | |
JP2004244941A (ja) | 接合具及びそれを用いた構造部材の仕口接合構造並びに構造部材の接合方法 | |
JP3948999B2 (ja) | 杭の接続構造 | |
JP2002194735A (ja) | パイル締結構造と締結具 | |
JP3487311B2 (ja) | 角形鋼管柱とh形鋼梁との心ずれ無溶接ピン接合構造 | |
KR200448818Y1 (ko) | 확장형 고력볼트 어셈블리 | |
JP4347149B2 (ja) | 緩み防止手段を備えた杭の縦継ぎ装置の機械継手 | |
JP2007002493A (ja) | 鉄筋の結合構造 | |
KR100406140B1 (ko) | 철근 이음장치 | |
JPH0924466A (ja) | 溶接ジベルの製造法 | |
JP4239610B2 (ja) | 鋼管の接合方法 | |
JP2001279812A (ja) | 鉄骨柱の接合構造 | |
KR100639797B1 (ko) | 확대된 헤드부를 갖는 전단 연결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708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