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3373B1 -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3373B1
KR100613373B1 KR1020040061136A KR20040061136A KR100613373B1 KR 100613373 B1 KR100613373 B1 KR 100613373B1 KR 1020040061136 A KR1020040061136 A KR 1020040061136A KR 20040061136 A KR20040061136 A KR 20040061136A KR 100613373 B1 KR100613373 B1 KR 100613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gate
semiconductor substrate
forming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1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2442A (ko
Inventor
김덕환
Original Assignee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1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3373B1/ko
Publication of KR20060012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2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56Disposition, e.g. buried gate electrode
    • H01L29/4236Disposition, e.g. buried gate electrode within a trench, e.g. trench gate electrode, groove gat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5Plasma etching; Reactive-ion 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77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68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 H01L29/66575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here the source and drain or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re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 H01L29/6659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here the source and drain or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re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with both lightly doped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nd source and drain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e.g. lightly doped drain [LDD] MOSFET, double diffused drain [DDD] MOSF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68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 H01L29/66613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ith a gate recessing step, e.g. using local oxidation
    • H01L29/66621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ith a gate recessing step, e.g. using local oxidation using etching to form a recess at the gate loc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33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lightly doped drain or source extension, e.g. LDD MOSFET's; DDD MOSFET's

Abstract

게이트 에지를 통한 누설전류의 발생이 방지되는 모스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반도체 기판의 일부분을 식각하여 홈을 형성하는 단계; 홈의 양 측벽에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홈의 바닥면 상에 게이트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절연막 상에 상기 홈을 매립하는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및 스페이서 외방의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스페이서, RIE, 누설전류

Description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Fabrication method of MOS transistor}
도 1은 종래 모스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스 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는 그 기능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최근의 반도체 장치는 모스 트랜지스터(MOS transistor) 구조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 모스 트랜지스터에서는 게이트의 측벽에 질화막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구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모스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모스 트랜지스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반도체 기판(1) 상에 게이트산화막(2) 및 다결정질실리콘(3)을 순차 형성한 후 다결정질실리콘(2) 및 게이트산화막(2)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소정폭으로 남긴다.
다음, 반도체 기판(1)의 상부로 실리콘질화막을 형성한 후 실리콘질화막을 이방성 식각하여 다결정질실리콘(3)의 측벽에 스페이서(4)를 형성한 후, 반도체 기판(1) 내에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소스 및 드레인을 형성한다.
상술한 종래 모스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에서는 게이트 형성을 위한 다결정질실리콘의 식각 시 플로린과 같은 식각가스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식각 중에는 식각 부산물로서 폴리머가 발생하게 된다. 이 때 발생하는 폴리머는 쉽게 제거되지 않고 잔류되므로 이러한 잔류 폴리머를 제거하기 위한 습식식각 공정을 수행한다.
그런데 습식식각 공정 중에 게이트산화막의 가장자리(도 1에 점선 원으로 도시)가 함께 식각되어 이 부분을 통해, 즉 게이트 에지를 통해 누설전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누설전류의 문제점은 소형화된 반도체 장치에서 더욱 심각해지며, 따라서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를 방해하는 장애물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게이트 에지를 통한 누설전류의 발생이 방지되는 모스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도체 소자의 소형화에 유리한 모스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스페이서를 게이 트 이전에 형성하여 게이트 에지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반도체 기판의 일부분을 식각하여 홈을 형성하는 단계; 홈의 양 측벽에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홈의 바닥면 상에 게이트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절연막 상에 상기 홈을 매립하는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및 스페이서 외방의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 때 게이트 형성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로 상기 홈을 매립하도록 도전성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페이서 외방의 반도체 기판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도전성 물질을 이방성 식각하여 상기 홈 상부에 도전성 물질을 남기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홈은 상기 스페이서 폭의 두 배와 목적하는 게이트의 폭을 합한 값을 폭으로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노출된 상기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여 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홈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반도체 기판을 반응성 이온 식각(RIE : reactive ion etching) 방법에 의해 1000Å 이상의 깊이로 식각할 수 있다.
스페이서로는 실리콘질화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스페이서 형성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실리콘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실리콘질화막을 이방성 식각하여 상기 홈의 양 측벽 상에 실리콘질화막을 남기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로는 불순물 이온이 주입된 다결정질실리콘을 2000-3000Å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 및 스페이서 외방의 반도체 기판을 식각할 때에는 반응성 이온 식각(RIE : reactive ion etching) 방법에 의해 상기 홈의 바닥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깊이까지 식각할 수 있다.
게이트 및 스페이서 외방의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는 단계 이후에는 게이트 외방의 반도체 기판 내에 소스 및 드레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스 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서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며,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영역을 정의하기 위해 반도체 기판(10)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20)을 형성한다.
이 때 포토레지스트 패턴(20)의 개구부가 게이트 영역으로 정의된다. 포토레지스트 패턴(20)의 개구부 폭(W)은 목적하는 게이트의 폭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구부 폭(W)은 형성하고자 하는 스페이서 폭의 두 배와 게이트 폭을 더한 값이 되도록 한다.
다음,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 패턴(20)을 마스크로 하여 노출된 반도체 기판(10)을 식각하여 홈(R)을 형성한 후, 포토레지스트 패턴(20)을 제거한다. 이렇게 형성되는 홈(R)의 폭은 형성하고자 하는 스페이서 폭의 두 배와 게이트 폭을 더한 값이 될 것이며, 이러한 홈(R) 내에는 후속 공정에 따라 게이트가 형성될 것이다.
홈(R) 형성을 위해 반도체 기판(10)을 식각할 때에는 반응성 이온 식각(RIE : reactive ion etching) 방법에 의해 1000Å 이상의 깊이로 식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반도체 기판(10)의 상부 전면에 스페이서의 재료로 이루어진 막, 예를 들면 실리콘질화막(11)을 형성한다.
실리콘질화막(11)의 두께는 목적하는 스페이서의 폭에 해당하는 값으로 정하며, 예를 들면 700-800Å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0)이 노출될 때까지 실리콘질화막(11)을 이방성 식각하여 홈(R)의 양 측벽에 실리콘질화막(11)을 남긴다. 그 결과 홈(R)의 양 측벽에 남겨진 실리콘질화막(11)이 스페이서가 된다.
실리콘질화막(11)을 이방성 식각하는 일 예로는 반응성 이온 식각(RIE)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R)의 바닥면 상에 게이트절연막(12)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반도체 기판인 실리콘을 열산화시켜 실리콘산화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홈(R)의 바닥면을 통해 노출된 반도체 기판과 실리콘질화막 (11) 외방의 반도체 기판 상에 실리콘산화막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게이트절연막(12) 상에 홈(R)을 매립하는 게이트(13)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반도체 기판(10)의 상부로 홈(R)을 매립하도록 도전성 물질을 형성한 후, 실리콘질화막(11) 외방의 반도체 기판이 노출될 때까지 도전성 물질을 이방성 식각하여 홈 상부에 도전성 물질을 남김으로써 게이트(13)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때 도전성 물질로는 불순물 이온이 주입된 다결정질실리콘을 2000-3000Å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13) 및 실리콘질화막(11) 외방의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여, 게이트(13)를 반도체 기판(10)으로부터 돌출시킨다.
게이트(13) 및 실리콘질화막(11) 외방의 반도체 기판을 식각할 때에는 반응성 이온 식각(RIE) 방법에 의해 홈(R)의 바닥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깊이까지 식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에는, 게이트 외방의 반도체 기판 내에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소스 및 드레인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를 완료한다.
예를 들면, 실리콘질화막(11) 하부의 반도체 기판(10) 내로 불순물 이온을 경사 주입하여 저농도 불순물 영역을 형성한 후, 실리콘질화막(11) 외방의 반도체 기판(10) 내에 불순물 이온을 고농도로 주입하여 고농도 불순물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엘디디(LDD) 구조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질화막으로 스페이서를 먼저 형성한 후에, 게이트산화막 및 게이트를 형성하기 때문에, 게이트산화막의 가장자리에 스페이서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잔류 폴리머 제거를 위한 습식식각 공정을 진행하게 되며, 따라서 습식식각 공정 중에 게이트산화막의 가장자리가 식각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게이트 에지에서의 누설전류의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으며, 습식식각 공정에 의해 잔류 폴리머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이로써 반도체 소자의 소형화에 유리한 모스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반도체 기판의 일부분을 식각하여 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홈의 양 측벽에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홈의 바닥면 상에 게이트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절연막 상에 상기 홈을 매립하는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및 스페이서 외방의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및 스페이서 외방의 반도체 기판 내에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소스 및 드레인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형성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로 상기 홈을 매립하도록 도전성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페이서 외방의 반도체 기판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도전성 물질을 이방성 식각하여 상기 홈 상부에 도전성 물질을 남기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스페이서 폭의 두 배와 목적하는 게이트의 폭을 합한 값을 폭으로 가지도록 형성하는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반도체 기판을 반응성 이온 식각(RIE : reactive ion etching) 방법에 의해 1000Å 이상의 깊이로 식각하는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형성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실리콘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실리콘질화막을 이방성 식각하여 상기 홈의 양 측벽 상에 실리콘질화막을 남기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로는 불순물 이온이 주입된 다결정질실리콘을 2000-30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및 스페이서 외방의 반도체 기판을 식각할 때에는 반응성 이온 식각(RIE : reactive ion etching) 방법에 의해 상기 홈의 바닥면과 실질적으로 동 일한 깊이까지 식각하는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8. 삭제
KR1020040061136A 2004-08-03 2004-08-03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KR100613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136A KR100613373B1 (ko) 2004-08-03 2004-08-03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136A KR100613373B1 (ko) 2004-08-03 2004-08-03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442A KR20060012442A (ko) 2006-02-08
KR100613373B1 true KR100613373B1 (ko) 2006-08-17

Family

ID=37122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1136A KR100613373B1 (ko) 2004-08-03 2004-08-03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33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839B1 (ko) * 2006-08-31 2007-09-07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7296A (ja) * 1994-07-26 1996-02-06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11265897A (ja) 1998-03-17 1999-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KR20040061277A (ko) * 2002-12-30 2004-07-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7296A (ja) * 1994-07-26 1996-02-06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11265897A (ja) 1998-03-17 1999-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KR20040061277A (ko) * 2002-12-30 2004-07-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442A (ko) 2006-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8839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050205945A1 (en)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0597768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스페이서형성방법
KR20120053511A (ko) 트렌치형 디모스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100613373B1 (ko)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KR100343471B1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100806838B1 (ko) 반도체소자의 콘택 및 그 형성방법
KR100273320B1 (ko) 반도체소자의 실리사이드 형성방법_
KR100766270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0170436B1 (ko) 모스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0565751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467812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00482A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KR100866113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형성 방법
KR101012438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724473B1 (ko) 실리콘 산화막으로 격리된 소오스/드레인 형성방법
KR100567333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469333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1133523B1 (ko)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20060079608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606952B1 (ko)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KR100215857B1 (ko)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0122318B1 (ko)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KR100298463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39022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