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2017B1 -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2017B1
KR100612017B1 KR1020040075064A KR20040075064A KR100612017B1 KR 100612017 B1 KR100612017 B1 KR 100612017B1 KR 1020040075064 A KR1020040075064 A KR 1020040075064A KR 20040075064 A KR20040075064 A KR 20040075064A KR 100612017 B1 KR100612017 B1 KR 100612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recording head
support member
guide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6219A (ko
Inventor
이용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5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2017B1/ko
Priority to US11/225,103 priority patent/US7336291B2/en
Priority to CNB2005101132390A priority patent/CN100421960C/zh
Publication of KR20060026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2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2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6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on both faces of the printing material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개시된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지지부재와 대면되어 기록매체에 열을 가혀여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지지부재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기록매체의 제1면과 그 반대면인 제2면에 각각 대면된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기록헤드와, 기록매체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기록헤드와 함께 회전되어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기록매체를 지지부재와 기록헤드 사이로 안내하는 회전가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Thermal printer}
도 1a,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 도 3b는 도 2의 Ⅰ-Ⅰ' 단면도.
도 4는 기록헤드의 회전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a 내지 도 5i는 기록헤드의 회전동작을 보여주는 도면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기록매체의 일례를 보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기록매체 20......로킹부재
21......돌기 22......간섭부
25......탄성부재 40......이송부
45......기록매체 가이드 50......화상형성부
51......기록헤드 52......지지부재
53......지지브라켓 60......배출부
63......픽업롤러 70......카세트
81......힌지샤프트 82......힌지홀
83......탄성부재 84......샤프트
85......관통홀 87......지지브라켓의 외주
88, 89......제1, 제2결합홈 90......부싱
95......회전캠 97......캠부
103......회전가이드 104......모터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기록매체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감열방식 화상형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록매체의 양면에 화상을 인쇄하기 위하여는 기록매체의 제1, 제2면에 각각 대면되는 두 개의 기록헤드를 구비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으나, 화상형성장치의 가격이 비싸진다는 단점이 있다. 양면인쇄를 위하여, 하나의 기록헤드를 구비하고 기록매체의 제1, 제2면을 기록헤드에 차례로 대면시키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기록헤드는 고정되고 기록매체를 반전시키는 방안과, 기록헤드를 기록매체의 제1, 제2면에 대면되는 위치로 차례로 이동시키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하나의 기록헤드를 구비하며, 기록헤드를 기록매체의 제1, 제2면에 대면된 제1, 제2위치로 차례로 이동시킴으로써 기록매체의 양면에 화상을 인쇄할 수 있도록 된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기록매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와 대면되어 상기 기록매체에 열을 가혀여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재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기록매체의 제1면과 그 반대면인 제2면에 각각 대면된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기록헤드; 상기 기록매체를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기록헤드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기록헤드 사이로 안내하는 회전가이드;를 포함한다.
알 실시예로서, 상기 회전가이드는, 상기 기록헤드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될 때에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이송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기록헤드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로 안내하는 제1안내부; 상기 기록헤드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될 때에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이송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기록헤드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로 안내하는 제2안내부;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지지부재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기록헤드와 상기 회전가이드가 결합된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지지부재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기록헤드와 상기 회전가이드가 결합된 지지브라켓; 일단 은 상기 기록헤드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브라켓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샤프트;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며, 상기 샤프트를 밀어 상기 지지브라켓을 회전시키는 회전캠;을 더 구비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기록매체에 열을 가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기록헤드; 상기 기록헤드에 대면되어 상기 기록매체를 지지하여 인쇄닙을 형성하는 플라텐 롤러; 상기 기록매체를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플라텐 롤러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기록헤드가 결합된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을 회전시켜 상기 기록헤드를 상기 기록매체의 제1면과 그 반대면인 제2면에 각각 대면된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모터; 상기 지지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기록매체를 상기 인쇄닙으로 안내하는 회전가이드;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기록매체(10)가 이송되는 제 1, 제 2 경로 및 제 3 경로를 가진다. 제1경로는 기록매체(10)를 제2경로로 이송시키기 위한 공급경로이다. 제 2 경로는 기록매체(10)에 대한 인쇄가 수행되는 경로이다. 제 3 경로는 인쇄가 진행 중이거나 제1면, 제2면에 인쇄가 완료된 기록매체(10)가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경로이다.
제1경로와 제3경로의 사이에는 기록매체(10)를 안내하는 기록매체 가이드(45)가 마련된다. 기록매체 가이드(45)는 제1경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기록매체(10) 를 제2경로로 안내하고, 또 인쇄가 진행되는 중에는 기록매체(10)를 제2경로로부터 제3경로로 안내한다. 이송부(40)는 기록매체(10)를 제1경로==>제2경로, 제2경로==>제3경로, 제3경로==>제2경로로 이송시킨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기록매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질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기록매체(10)는 기재(base sheet, 11)의 양면 즉 제1면과 제2면에 소정색상의 잉크층(12, 13)이 형성되어 있다. 각 잉크층(12, 13)은 단일 색상의 잉크에 의한 단층 구조 또는 2 색 이상의 표현을 위해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잉크층 중 제1면의 잉크층(12) 은 옐로우, 마젠타 색상 표현을 위해 2 개의 적층으로 구성되고 제2면의 잉크층(13)은 시안 색상의 표현을 위해 단일층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제1면과 제2면에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완성된 칼라화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양면인쇄가 가능한 기록매체(10)를 이용하며 이러한 제1면 및 제2면에 대한 잉크의 적층 구조 등에 의해 기술적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로서, 기록헤드(51)는 TPH(thermal print head)를 포함한다.
제2경로에는 기록헤드(51)와 이와 대면되어 기록매체(10)를 지지하며 인쇄닙(N)을 형성하는 지지부재(52)를 포함하는 화상형성부(50)가 위치된다. 지지부재(52)로서는 예를 들면, 도 1a,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라텐 롤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기록헤드(51)가 지지부재(52)의 축(52a)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기록매체(10)의 제1, 제2면에 각각 대면된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지지부재(52)의 축(52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브라켓(53)을 구비한다. 기록헤드(51)는 지지브라켓(53)에 결합된다. 지지브라켓(53)의 외주에는 기어부(53a)가 마련된다. 모터(104)는 기어부(53a)에 맞물리는 웜기어(105)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기록헤드(51)가 제1, 제2위치에 있을 때에 이송부(40)에 의하여 제2경로롤 이송되는 기록매체(10)를 기록헤드(51)와 지지부재(52) 사이로 안내하기 위한 회전가이드(103)를 더 구비한다. 회전가이드(103)는 지지브라켓(53)에 결합되어 기록헤드(51)와 함께 회전된다. 회전가이드(103)는 제1, 제2안내부(103a)(103b)를 구비한다. 제1안내부(103a)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헤드(51)가 제1위치에 위치될 때에 이송부(40)와 대면되어 기록매체(10)를 기록헤드(51)와 지지부재(52) 사이로 안내한다. 제2안내부(103b)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헤드(51)가 제2위치에 위치될 때에 이송부(40)와 대면되어 기록매체(10)를 기록헤드(51)와 지지부재(52) 사이로 안내한다. 제1, 제2안내부(103a)(103b)는 기록매체(10)를 기록헤드(51)와 지지부재(52) 사이로 안내하기에 적절한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제2안내부(103a)(103b)의 형상은 지지부재(52)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이다. 하지만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형상이 서로 비대칭이라도 무관하다. 제1, 제2안내부(103a)(103b)의 형상은 지지부재(52)와 이송부(40)의 배치와, 기록헤드(51)의 제1, 제2위치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기록매체(10)를 기록헤드(51)와 지지부재(52) 사이로 안내하기에 적절한 형상이면 된다.
기록헤드(51)와 회전가이드(103)의 이동은 기록매체(10)가 제2경로에 있지 않을 때, 예를 들어 제1경로로부터 기록매체(10)가 공급되기 전, 또는 제1면에 대한 인쇄가 수행된 후에 기록매체(10)가 제3경로로 이송된 후 아직 제2경로로 복귀하지 않았을 때에 이루어진다.
제3경로에는 기록매체(10)를 배출하기 위하여 배출롤러(61) 및 이에 맞물린 아이들롤러(62)를 포함하는 배출부(6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픽업롤러(63)와 배출롤러(61)가 상호 접촉되어 하나의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된다
기록매체(10)는 픽업롤러(63)에 의하여 카세트(70)로부터 인출되어 회전가이드(103)의 제1안내부(103a)에 의하여 안내되어 제1경로로부터 제2경로로 공급된다. 기록헤드(51)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에 위치되어 기록매체(10)의 제1면에 대면된다. 기록매체(10)가 소정의 인쇄시작위치에 위치되면 이송부(40)는 기록매체(10)를 제2경로로부터 제3경로로 이송시킨다. 이 동안에 기록헤드(51)는 기록매체(10)의 제1면에 열을 가하여 화상을 인쇄한다. 제1면에 대한 인쇄가 완료되면 모터(104)는 지지브라켓(53)의 회전시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헤드(51)를 기록매체(10)의 제2면에 대면도는 제2위치로 이동시킨다. 회전가이드(103)는 기록헤드(51)와 함께 회전되어 제2안내부(103b)가 이송부(40)와 대면된다. 이송부(40)에 의하여 이송되는 기록매체(10)는 제2안내부(103b)에 의하여 안내되어 제3경로로부터 제2경로로 이송된다. 기록매체(10)가 소정의 인쇄시작위치에 위치되면 이송부(40)는 다시 기록매체(10)를 제2경로로부터 제3경로롤 이송시킨다. 이 동안에 제2면에 대한 인쇄가 수행된다. 제2면에 대한 화성형성이 완료되면 기록매체(10)는 배출부(60)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출된다.
일 실시예로서, 기록매체(10)의 기재(11)는 투명재질이다. 잉크층(12)(13) 중 어느 한 쪽, 예를 들면 잉크층(12)의 표층에 불투명한 막이 형성될 수 있다. 잉크층(13) 쪽에서 보면, 시안, 마젠타, 옐로우 화상이 중첩되어 완전한 칼라화상이 보인다. 본 실시예의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기록매체의 제1, 제2면에 서로 다른 화상을 형성하는 이른 바 양면인쇄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기재(11)가 불투명한 재질이라면 제1, 제2면에 서로 다른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양면인쇄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기록매체(10)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기록헤드(51)가 지지부재(52)의 축(52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그리고, 기록매체(10)는 직선적인 경로를 통하여 2회 왕복 이송된다. 따라서, 양면에 화상을 인쇄하는 동안에 기록매체(10)는 매우 단순한 경로를 따라 이송되므로 기록매체(10) 잼이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 또한, 기록헤드(51)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가이드(103)를 구비함으로써 기록헤드(51)가 회전됨에 따라 인쇄닙(N)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기록매체(10)를 안정적으로 인쇄닙(N)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3a와 도 3b는 도 2의 Ⅰ-Ⅰ' 단면도이며, 도 4는 기록헤드의 회전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a 및 도 3b를 보면, 하부의 베이스(101)와 그 양측에 직립된 두 측판(102, 102a)을 포함하는 프레임(100)이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100)의 일측에는 기록매체(10)가 적재된 카세트(70)가 장착된다. 프레임(100)에서 카세트(70)의 상부에는 카세트(70)로부터 기록매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63)가 마련된다. 그 상 부에는 인쇄 완료된 기록매체를 배출하기 위하여 배출롤러(61) 및 이에 맞물린 아이들롤러(62)를 포함하는 배출부(6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픽업롤러(63)와 배출롤러(61)가 상호 접촉되어 하나의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모터(미도시)는 측판(102a)에 결합될 수 있다. 양 측판(102, 102a) 사이에서 배출부(60)의 반대편에는 기록헤드(51)와 지지부재(52)가 마련된다. 기록매체(10)는 이송부(40)에 의하여 이송된다. 이송부(40)는 서로 탄력적으로 맞물린 한 쌍의 롤러(41)(42)를 포함한다. 구동모터의 회전력은 한 쌍의 롤러(41)(42) 중 어느 한 롤러에만 전달되며, 다른 롤러는 종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70)로부터 이송부(40)에 이르는 제1경로, 이송부(40)로부터 화상형성부(50)에 이르는 제2경로, 이송부(40)로부터 배출부(60)에 이르는 제3경로가 정의된다. 기록매체 가이드(45)는 제1, 제3경로를 구분한다. 회전가이드(103)는 기록헤드(51)와 함께 회전된다. 본 실시예의 회전가이드(103)는 지지부재(52)를 감싸는 형태를 가진다. 회전가이드(103)는 제1, 제2안내부(103a)(103b)를 구비한다. 제1안내부(103a)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헤드(51)가 제1위치에 있을 때에 이송부(40)와 지지부재(52) 사이에 위치되어 기록매체(10)를 가이드한다. 제2안내부(103b)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헤드(51)가 제2위치에 있을 때에 이송부(40)와 지지부재(52) 사이에 위치되어 기록매체(10)를 가이드한다.
본 실시예의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기록헤드(51)가 지지부재(52)의 축(52a)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기록헤드(51) 와 지지부재(52)는 지지브라켓(53)에 결합된다. 또한, 기록매체(10)를 가이드하기 위한 회전가이드(103)로 기록헤드(51)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보면, 기록헤드(51)의 측부(51a)에 마련된 힌지샤프트(81)는 지지브라켓(53)에 마련된 힌지 홀(82)에 삽입되어, 기록헤드(51)는 힌지홀(82)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는 구조로 지지브라켓(53)에 결합된다. 회전가이드(103)는 지지브라켓(53)에 결합된다. 기록헤드(51)는 탄성부재(83)에 의하여 지지부재(52)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일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82)로서 일단부는 기록헤드(51)에, 타단부는 지지부재(52)를 감싸는 회전가이드(103)에 연결된 인장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샤프트(84)는 일단부는 기록헤드(51)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지지브라켓(53)에 마련된 관통홀(85)에 삽입된다. 기록헤드(51)가 지지부재(52)에 접촉/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관통홀(85)은 장공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기록헤드(51)는 힌지홀(82)을 중심으로 회동됨으로써 지지부재(52)에 접촉/이격되므로 관통홀(85)은 힌지홀(8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지지부재(52)는 구동모터(미도시)와 동력연결되지 않는다. 지지부재(52)는 이송부(40)에 의하여 기록매체(10)가 이송됨에 따라 기록매체(10)와 접촉되어 종동 회전된다. 이와 달리, 지지부재(52)는 구동모터(미도시)와 동력연결되어 회전되는 것도 가능하다.
부싱(90)은 서로 동축을 이루는 내경부(91)와 제1, 제2, 제3외경부(92)(93)(94)를 구비한다. 지지부재(52)의 축(52a)은 내경부(91)에 삽입된다. 제1 외경부(92)는 지지브라켓(53)에 마련된 지지홀(86)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제3외경부(94)에는 회전캠(95)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캠(95)은 기어부(96)와 샤프트(84)에 접촉되는 캠부(97)를 구비한다. 모터(도 2: 104)는 기어부(96)와 맞물리는 웜기어(105)를 구비한다. 모터(104)가 결합된 브라켓(106)은 측벽(102)에 결합된다. 부싱(90)의 제2외경부(93)는 측벽(102)에 마련된 홀(107)에 삽입되고, 제3외경부(94)의 단부는 브라켓(106)에 의하여 지지된다. 브라켓(106)은 회전캠(95)이 제3외경부(94)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지지부재(52), 지지브라켓(53), 회전캠(95)은 동일한 회전중심을 가진다. 지지브라켓(53)은 원형의 외주(87)를 가지며, 외주(87)에는 180도 이격된 제1, 제2결합홈(88)(89)이 마련된다. 측벽(102)에는 로킹부재(20)가 회동될 수 있게 결합된다. 탄성부재(25)는 로킹부재(20)에 제1, 제2결합홈(88)(89)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본 실시예의 로킹부재(20)는 회전캠(95)에 의하여 제1, 제2결합홈(88)(89)으로부터 해제되고 탄성부재(25)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제2결합홈(88)(89)에 결합된다. 로킹부재(20)는 제1, 제2결합홈(88)(89)에 결합되는 돌기(21)와, 회전캠(95)의 캠부(97)와 간섭되는 간섭부(22)를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측판(102a)에도 지지브라켓(53)이 지지부재(52)의 축(52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a 내지 도 5i는 기록헤드(51)의 회전동작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제, 도 1 내지 도 4와 도 5a 내지 도 5i를 보면서 본 발명에 따른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헤드(51)는 지지부재(52)에 압접되어 있다. 또, 로킹부재(20)의 돌기(21)가 제1결합홈(88)에 결려 있어 기록헤드(51)는 제1위치에 로킹된 상태이다. 픽업롤러(63)에 의하여 급지카세트(70)로부터 인출된 기록매체(10)는 제1경로를 통하여 이송부(40)로 이송된다. 기록매체(10)가 제2경로로 이송되기 전에 또는 픽업롤러(63)에 의하여 기록매체(10)가 픽업되기 전에 기록헤드(51)는 지지부재(52)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b를 보면, 회전캠(95)이 C1 방향으로 회전되고, 캠부(97)는 샤프트(84)를 민다. 로킹부재(20)의 돌기(21)가 제1결합홈(88)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지지브라켓(53)은 회전되지 않는다. 샤프트(84)가 관통홀(85)을 따라 D1 방향으로 밀리면서 기록헤드(51)가 힌지홀(82)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지지부재(52)로부터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부(40)는 기록매체(10)를 제2경로로 이송시킨다. 이송부(40)에 의하여 이송되는 기록매체(1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가이드(103)의 제1안내부(103a)에 의하여 안내되어 기록헤드(51)와 지지부재(52) 사이로 안내된다. 기록헤드(51)와 지지부재(52)가 이격되어 있으므로 지지부재(52)가 회전되지 않더라도 기록매체(10)는 저항없이 기록헤드(51)와 지지부재(52) 사이로 인입된다.
기록매체(10)가 소정의 인쇄시작위치까지 이송되면, 이송부(40)는 기록매체(10) 이송을 멈춘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인쇄시작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기록매체(10)의 선단 및/또는 말단을 검출하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에 의한 인쇄시작위치의 검출은 당업자라면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조를 감안하여 적절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c를 보면, 회전캠(95)은 C2 방향으로 회전된다. 로킹부재(20)의 돌기(21)가 제1결합홈(88)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지지브라켓(53)은 회전되지 않는다. 기록헤드(51)는 탄성부재(83)의 탄성력에 의하여 힌지홀(82)을 중심으로 D2 방향으로 회동되어 지지부재(52)에 탄력적으로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부(40)는 기록매체(10)를 제3경로로 이송시키기 시작한다. 기록헤드(51)는 기록매체(10)의 제1면에 열을 가하여 예를 들면 마젠타, 옐로우 색상의 화상을 인쇄한다. 마젠타 색상과 옐로우 색상은 예를 들면 기록헤드(51)의 온도와 가열시간에 의존되어 선택적으로 발현된다. 예를 들면 마젠타 색상은 고온으로 단시간, 옐로우 색상은 저온으로 상대적으로 장시간 가열함으로써 발현된다. 기록매체(10)의 제1면에 대한 인쇄가 완료되면, 기록매체(10)는 제2경로를 벗어나서 제3경로에 위치되며, 이송부(40)는 기록매체(10) 이송을 멈춘다.
이제, 기록매체(10)의 제2면에 대한 인쇄를 위하여 기록헤드(10)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도 5d를 보면, 회전캠(95)이 C2 방향으로 회전되면, 캠부(97)는 간섭부(22)를 밀어 로킹부재(20)를 E1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돌기(21)는 제1결합홈(88)으로부터 해제되고, 지지브라켓(53)은 구속이 풀려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캠부(97)가 C2 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되어 샤프트(84)를 밀면 기록헤드(51)가 D1 방향으로 이격되는 대신에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53)이 C2 방향으로 회전된다. 지지브라켓(53)이 C2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에 캠부(97)가 샤프트(84)를 밀고 있으므로 기록헤드(51)는 지지부재(52)로부터 실질적로 약간 이격될 수 있 다. 캠부(97)와 간섭부(22)와의 간섭이 종료되면 로킹부재(20)는 탄성부재(25)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브라켓(53)의 외주(87)에 지속적으로 접촉된다.
지지브라켓(53)이 180도 회전되면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5)의 탄성력에 의하여 로킹부재(20)가 E2 방향으로 회전되어 돌기(21)가 제2결합홈(89)에 결합되고 지지브라켓(53)은 로킹되어 회전되지 않는다. 기록헤드(51)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매체(10)의 제2면에 대면된 제2위치에 도달된다. 회전가이드(103)는 기록헤드(51)와 함께 회전되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안내부(103b)가 이송부(40)와 대면된다.
회전캠(95)이 계속하여 C2 방향으로 회전되면, 돌기(21)가 제2결합홈(89)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지지브라켓(53)은 회전되지 않는다. 그 대신에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84)가 관통홀(85)을 따라 밀리면서 기록헤드(51)가 지지부재(52)로부터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부(40)는 기록매체(10)를 제3경로로부터 제2경로로 이송시킨다. 기록매체(1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가이드(103)의 제2안내부(103b)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기록헤드(51)와 지지부재(52) 사이로 이송된다. 기록매체(10)가 소정의 인쇄시작위치에 도달되면 이송부(40)는 기록매체(10) 이송을 멈춘다. 회전캠(95)이 C1 방향으로 회전되면, 돌기(21)가 제2결합홈(89)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지지브라켓(53)은 회전되지 않는다. 그 대신에 도 5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84)가 관통홀(85)을 따라 후퇴되면서 기록헤드(51)가 지지부재(52)에 접촉된다.
이송부(40)는 기록매체(10)를 다시 제3경로 쪽으로 이송시킨다. 기록헤드(51)는 기록매체(10)의 제2면에 열을 가하여 시안 색상의 화상을 인쇄한다. 제1, 제2면에 대한 인쇄가 완료된 기록매체(10)는 배출부(60)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출된다.
화상의 인쇄가 완료되면, 도 5i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캠(95)은 C1 방향으로 회전된다. 캠부(97)는 간섭부(22)를 밀어 로킹부재(20)를 E1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돌기(21)가 제2결합홈(89)으로부터 해제되고, 지지브라켓(53)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캠부(97)가 샤프트(84)를 밀면 지지브라켓(53)은 돌기(21)가 탄성부재(25)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결함홈(88)에 결합될 때까지 회전된다. 그러면, 기록헤드(51)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로 복귀된다. 이 상태로,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헤드(51)가 지지부재(52)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다음번 인쇄를 위하여 대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기록매체(10)의 기재(11)가 투명한 재질이라면 시안, 마젠타, 옐로우 화상이 중첩되어 완전한 칼라화상이 보인다. 또한, 기재(11)가 불투명한 재질이라면 제1, 제2면에 서로 다른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양면인쇄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기록매체(10)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기록헤드(51)만이 지지부재(52)의 축(52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그리고, 기록매체(10)는 직선적인 경로를 통하여 2회 왕복 이송된다. 따라서, 양면에 화상을 인쇄하는 동안에 기록매체(10)는 매우 단순한 경로를 따라 이송되므로 기록매체(10) 잼이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 또한, 회전가이드(103)를 구비함으로써 기록헤드(51)가 회전됨에 따라 인쇄닙(N)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기록매체(10)를 안정적으로 인쇄닙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지지부재를 중심으로 기록헤드가 회전되므로 기록매체 이송경로가 매우 간략하다. 따라서, 고장의 우려가 적고 기존의 프린터에 비해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기록헤드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가이드를 구비함으로써 기록헤드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기록매체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기록매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와 대면되어 상기 기록매체에 열을 가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록매체의 제1면과 그 반대면인 제2면에 각각 대면된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기록헤드;
    상기 기록매체를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기록헤드와 함께 이동되며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기록헤드 사이로 안내하는 회전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는,
    상기 기록헤드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될 때에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이송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기록헤드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로 안내하는 제1안내부;
    상기 기록헤드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될 때에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이송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기록헤드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로 안내하는 제2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안내부는 그 형상이 상기 지지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안내부는 그 형상이 상기 지지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5. 제 1 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헤드는 상기 지지부재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기록헤드와 상기 회전가이드가 결합된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기록헤드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기록매체 가이드에 연결되어 상기 기록헤드를 상기 지지부재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기록헤드와 상기 회전가이드가 결합된 지지브라켓;
    일단은 상기 기록헤드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브라켓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샤프트;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며, 상기 샤프트를 밀어 상기 지지브라켓을 회전시키는 회전캠;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기록헤드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기록매체 가이드에 연결되어 상기 기록헤드를 상기 지지부재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10. 삭제
KR1020040075064A 2004-09-20 2004-09-20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612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064A KR100612017B1 (ko) 2004-09-20 2004-09-20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US11/225,103 US7336291B2 (en) 2004-09-20 2005-09-14 Thermal image forming apparatus
CNB2005101132390A CN100421960C (zh) 2004-09-20 2005-09-20 热成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064A KR100612017B1 (ko) 2004-09-20 2004-09-20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219A KR20060026219A (ko) 2006-03-23
KR100612017B1 true KR100612017B1 (ko) 2006-08-11

Family

ID=36073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064A KR100612017B1 (ko) 2004-09-20 2004-09-20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336291B2 (ko)
KR (1) KR100612017B1 (ko)
CN (1) CN100421960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225A (ko) * 2017-10-18 2019-04-26 디에스글로벌 (주) 포토 프린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051B1 (ko) * 2004-10-09 2006-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1133767B1 (ko) 2005-03-09 2012-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CN201186538Y (zh) * 2008-03-11 2009-01-28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已用碳带擦涂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9432A (en) 1971-05-19 1973-01-09 Mead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aerodynamic switching
GB1521874A (en) 1977-03-01 1978-08-16 Itt Creed Printing apparatus
JPS5920688A (ja) 1982-07-28 1984-02-02 Shinko Electric Co Ltd 両面サ−マル印刷装置
JPS60214983A (ja) * 1984-02-29 1985-10-28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US4914522A (en) 1989-04-26 1990-04-03 Vutek Inc. Reproduction and enlarging imag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pulse-width modulated air stream
JPH07137393A (ja) 1993-06-21 1995-05-30 Nippon Signal Co Ltd:The 熱転写印刷装置におけるサーマルヘッド駆動機構
JP3064178B2 (ja) 1994-04-28 2000-07-1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印刷装置
JPH0958034A (ja) 1995-08-22 1997-03-04 Nec Data Terminal Ltd 感熱プリンタ
JPH09226161A (ja) 1996-02-27 1997-09-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転写記録装置
JPH10217516A (ja) 1997-02-03 1998-08-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転写記録方法および記録装置
FR2769011B1 (fr) * 1997-09-30 1999-12-24 Canon Kk Dispositif de traitement de feuilles du type comprenant un equipage mobile en rotation
US5963235A (en) 1997-10-17 1999-10-05 Eastman Kodak Company Continuous ink jet printer with micromechanical actuator drop deflection
US6509917B1 (en) 1997-10-17 2003-01-21 Eastman Kodak Company Continuous ink jet printer with binary electrostatic deflection
US6079821A (en) 1997-10-17 2000-06-27 Eastman Kodak Company Continuous ink jet printer with asymmetric heating drop deflection
FR2773547B1 (fr) * 1998-01-15 2000-04-07 Canon Kk Dispositif de traitement de feuilles
US6474795B1 (en) 1999-12-21 2002-11-05 Eastman Kodak Company Continuous ink jet printer with micro-valve deflection mechanism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6296405B1 (en) * 2000-01-04 2001-10-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uplex check printer using a print mechanism pivoted between document paths
JP2001310503A (ja) * 2000-04-28 2001-11-06 Canon Inc 記録装置
US6508542B2 (en) 2000-12-28 2003-01-21 Eastman Kodak Company Ink drop deflection amplifier mechanism and method of increasing ink drop divergence
US6505921B2 (en) 2000-12-28 2003-01-14 Eastman Kodak Company Ink jet apparatus having amplified asymmetric heating drop deflection
JP3700174B2 (ja) 2002-06-19 2005-09-28 船井電機株式会社 レーザプリンタにおける用紙反転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用紙反転機構
US7179002B2 (en) * 2003-12-31 2007-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ermal image form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225A (ko) * 2017-10-18 2019-04-26 디에스글로벌 (주) 포토 프린터
KR101982666B1 (ko) 2017-10-18 2019-05-29 디에스글로벌(주) 포토 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219A (ko) 2006-03-23
US20060061649A1 (en) 2006-03-23
CN1751890A (zh) 2006-03-29
US7336291B2 (en) 2008-02-26
CN100421960C (zh) 200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193672A (ja) 感熱式画像の形成装置
US7198419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performing double-sided printing
US773143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rmal printing head and printing method thereof
KR100612017B1 (ko)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619058B1 (ko)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677585B1 (ko) Tph를 채용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0788657B1 (ko) 양면인쇄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KR100619051B1 (ko)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612013B1 (ko) 화상형성장치
KR100612016B1 (ko)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US20060290771A1 (en) Thermal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08003B1 (ko) 양면인쇄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US2006011020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60238601A1 (en) Thermal type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19045B1 (ko)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 잼제거방법
KR100694103B1 (ko)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JP4420066B2 (ja) 熱転写記録方法
JPH08310067A (ja) 熱転写プリンタ
KR100636139B1 (ko) 용지이송유닛 및 이를 채용한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070016592A (ko) 감열방식 인쇄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20060110486A (ko)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JPH0428564A (ja) 熱転写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