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2013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2013B1
KR100612013B1 KR1020040042504A KR20040042504A KR100612013B1 KR 100612013 B1 KR100612013 B1 KR 100612013B1 KR 1020040042504 A KR1020040042504 A KR 1020040042504A KR 20040042504 A KR20040042504 A KR 20040042504A KR 100612013 B1 KR100612013 B1 KR 100612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head
recording medium
support bracket
suppor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7250A (ko
Inventor
이용덕
한동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2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2013B1/ko
Priority to US11/007,463 priority patent/US7179002B2/en
Priority to CNB2004100819527A priority patent/CN100515784C/zh
Priority to EP04107079A priority patent/EP1550559B1/en
Priority to DE602004021466T priority patent/DE602004021466D1/de
Priority to JP2005000280A priority patent/JP2005193672A/ja
Publication of KR20050117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2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2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8Controlling printhead for accurately positioning print image on printing material, e.g. with the intention to control the width of marg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Abstract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기록헤드와, 기록헤드에 대해 기록매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기록헤드가 결합된 지지브라켓과, 지지브라켓을 회전시켜 기록헤드를 기록매체의 제1면과 그 반대면인 제2면에 선택적으로 대면시키는 회전부재와, 지지브라켓에 마련된 제1, 제2결합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기록헤드를 기록매체의 제1, 제2면에 대면된 위치에 각각 로킹시키는 로킹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Printing apparatus}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Ⅰ-Ⅰ' 단면도.
도 4는 기록헤드의 회전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a 내지 도 5i는 기록헤드의 회전동작을 보여주는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기록매체의 일례를 보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기록매체 20......로킹부재
21......돌기 22......간섭부
25......탄성부재 40......이송부
45......기록매체 가이드 50......화상형성부
51......기록헤드 52......지지부재
53......지지브라켓 60......배출부
63......픽업롤러 70......카세트
81......힌지샤프트 82......힌지홀
83......탄성부재 84......샤프트
85......관통홀 87......지지브라켓의 외주
88, 89......제1, 제2결합홈 90......부싱
95......회전캠 97......캠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기록매체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록매체의 양면에 화상을 인쇄하기 위하여는 기록매체의 제1, 제2면에 각각 대면되는 두 개의 기록헤드를 구비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으나, 화상형성장치의 가격이 비싸진다는 단점이 있다.
하나의 기록헤드를 구비하고 기록매체의 제1, 제2면을 기록헤드에 차례로 대면시키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기록헤드는 고정되고 기록매체를 반전시키는 방안과, 기록헤드를 기록매체의 제1, 제2면에 대면되는 위치로 차례로 이동시키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미국특허 6,296,405호는 첫 번째 방안과 두번째 방안이 혼합된 형태의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기록헤드가 회전 브라켓에 설치되고, 회전브라켓은 피봇 샤프트를 중심으로 제1, 제2위치로 왕복된다. 기록매체가 제1위치를 통과하는 동안에 제1면에 대한 인쇄가 행해지고,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송되면서 제2면에 대한 인쇄가 행해진다.
미국특허 601,952호는 두 번째 방안을 적용한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기록헤드와, 기록매체를 기록헤드에 대해 압착시키는 지지부재, 및 기록매체를 지지하는 홀딩장치를 하나의 회전유닛으로 구성한다. 회전유닛을 회전시킴으로써 기록헤드를 기록매체의 제1, 제2면에 대면시킨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쇄 매커니즘의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양면인쇄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기록헤드; 상기 기록헤드에 대해 상기 기록매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기록헤드가 결합된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을 회전시켜 상기 기록헤드를 상기 기록매체의 제1면과 그 반대면인 제2면에 대면된 제1, 제2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부재; 상기 지지브라켓에 마련된 제1, 제2결합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기록헤드를 상기 기록매체의 제1, 제2면에 대면된 위치에 각각 로킹시키는 로킹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로킹부재를 상기 제1, 제2결합홈으로부터 해제시키고 상기 지지브라켓을 회전시킨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로킹부재를 상기 제1, 제2결합홈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브라켓은 원형의 외주를 가지며, 상기 제1, 제2결합홈은 원형의 외주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지지브라켓을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외주에 지속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기록헤드가 상기 제1 또는 제2위치에 위치될 때에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상기 제1 또는 제2결합홈에 결합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마련된 샤프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샤프트에 접촉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을 회전시킨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일단은 상기 기록헤드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브라켓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샤프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샤프트에 접촉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을 회전시킨다. 상기 기록헤드는 상기 지지부재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며, 상기 지지브라켓에 상기 지지부재에 접촉되는 위치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결합된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기록헤드의 회동축을 중심으로하는 원호형상이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로킹부재가 상기 제1 또는 제2결합홈에 결합된 때에는 상기 샤프트에 접촉되어 상기 기록헤드를 상기 지지부재에 접촉되는 위치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로 회동시키고, 상기 로킹부재가 상기 제1 또는 제2결합홈으로부터 해제된 때에는 상기 샤프트에 접촉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을 회전시킨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기록매체를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제1방향과 시작위치를 맞추기 위한 제2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제1방향으로 이송되는 동안 상기 기록매체와의 접촉에 의하여 회전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부재는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기록매체를 이송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체 구조를 이해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의 이송구조에 대해 살펴보고, 이와 함께 화상형성부에서의 기록헤드 위치 변경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은 기록매체 이송경로를 보이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 구조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기록매체(10)가 이송되는 제 1, 제 2 경로 및 제 3 경로를 가진다. 제1경로는 기록매체(10)를 제2경로로 이송시키기 위한 공급경로이다. 제 2 경로는 기록매체(10)에 대한 인쇄가 수행되는 경로이다. 제 3 경로는 인쇄가 진행 중이거나 제1면, 제2면에 인쇄가 완료된 기록매체(10)가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경로이다.
제1경로와 제3경로의 사이에는 기록매체(10)를 안내하는 기록매체 가이드(45)가 마련된다. 기록매체 가이드(45)는 제1경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기록매체(10)를 제2경로로 안내하고, 또 인쇄가 진행되는 중에는 기록매체(10)를 제2경로로부터 제3경로로 안내한다. 이송부(40)는 기록매체(10)를 제1경로==>제2경로, 제2경로==>제3경로, 제3경로==>제2경로로 이송시킨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기록매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질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기록매체(10)는 기재(base sheet, 11)의 양면 즉 제1면과 제2면에 소정색상의 잉크층(12, 13)이 형성되어 있다. 각 잉크층(12, 13)은 단일 색상의 잉크에 의한 단층 구조 또는 2 색 이상의 표현을 위해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잉크층 중 제1면의 잉크층(12) 은 옐로우, 마젠타 색상 표현을 위해 2 개의 적층으로 구성되고 제2면의 잉크층(13)은 시안 색상의 표현을 위해 단일층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제1면과 제2면에 대한 화상형성에 의해 완성된 칼라화상을 표시하는 기록매체(10)를 이용하며 이러한 제1면 및 제2면에 대한 잉크의 적층 구조 등에 의해 기술적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로서, 기록헤드(51)는 TPH(thermal print head)를 포함한다.
제2경로에는 기록헤드(51)와 이와 대면된 지지부재(52)를 갖는 화상형성부(50)가 위치된다. 기록매체(10)의 제1면에 대한 인쇄가 수행되기 위해서는 기록헤드(51)는 A 부분에 위치되며, 제2면에 대한 인쇄가 수행되기 위해서는 기록헤드(51)는 B 분에 위치되어야 한다. 기록헤드(51)의 위치 변경은 기록매체(10)가 제2경로에 있지 않을 때, 예를 들어 제1경로로부터 기록매체(10)가 공급되기 전, 또는 제1면에 대한 인쇄가 수행된 후에 기록매체(10)가 제3경로로 이송된 후 아직 제2경로로 복귀하지 않았을 때에 이루어진다.
기록매체(10)는 카세트(70)로부터 인출되어 제1경로로부터 제2경로로 공급된다. 기록헤드(51)는 A 위치에 위치된다. 기록매체(10)가 소정의 인쇄시작위치에 위치되면 이송부(40)는 기록매체(10)를 제2경로로부터 제3경로로 이송시킨다. 이 동안에 제1면에 대한 인쇄가 수행된다. 제1면에 대한 인쇄가 완료되면 기록헤드(51)는 회전되어 B 위치에 위치된다. 이송부(40)는 기록매체(10)를 제3경로로부터 제2경로로 이송시킨다. 기록매체(10)가 소정의 인쇄시작위치에 위치되면 이송부(40)는 다시 기록매체(10)를 제2경로로부터 제3경로롤 이송시킨다. 이 동안에 제2면에 대한 인쇄가 수행된다. 제2면에 대한 화성형성이 완료되면 기록매체(10)는 배출부(60)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출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Ⅰ-Ⅰ' 단면도이며, 도 4는 기록헤드의 회전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을 보면, 하부의 베이스(101)와 그 양측에 직립된 두 측판(102, 102a)을 포함하는 프레임(100)이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100)의 일측에는 기록매체(10)가 적재된 카세트(70)가 장착된다. 프레임(100)에서 카세트(70)의 상부에는 카세트(70)로부터 기록매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63)가 마련된다. 그 상부에는 인쇄 완료된 기록매체를 배출하기 위하여 배출롤러(62) 및 이에 맞물린 아이들롤러(61)를 포함하는 배출부(6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픽업롤러(63)와 배출롤러(62)가 상호 접촉되어 하나의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모터(미도시)는 측판(102a)에 결합될 수 있다. 양 측판(102, 102a) 사이에서 배출부(60)의 반대편에는 기록헤드(51)와 지지부재(52)가 마련된다. 기록매체(10)는 이송부(40)에 의하여 이송된다. 이송부(40)는 서로 탄력적으로 맞물린 한 쌍의 롤러(41)(42)를 포함한다. 구동모터의 회전력은 한 쌍의 롤러(41)(42) 중 어느 한 롤러에만 전달되며, 다른 롤러는 종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70)로부터 이송부(40)에 이르는 제1경로, 이송부(40)로부터 화상형성부(50)에 이르는 제2경로, 이송부(40)로부터 배출부(60)에 이르는 제3경로가 정의된다. 기록매체 가이드(45)는 제1, 제3경로를 구분한다.
본 실시예의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기록헤드(51)가 지지부재(52)의 축(52a)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기록헤드(51)와 지지부재(52)는 지지브라켓(53)에 결합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기록헤드(51)가 지지부재(52)에 접촉된 위치와 지지부재(52)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보면, 기록헤드(51)의 측부(51a)에 마련된 힌지샤프트(81)는 지지브라켓(53)에 마련된 힌지 홀(82)에 삽입되어, 기록헤드(51)는 힌지홀(82)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는 구조로 지지브라켓(53)에 결합된다. 기록헤드(51)는 탄성부재(83)에 의하여 지지부재(52)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일 실시예로서, 도면으로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탄성부재(82)로서 일단부는 기록헤드(51)에, 타단부는 지지부재(52)를 감싸는 커버(도 2: 103)에 연결된 인장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샤프트(84)는 일단부는 기록헤드(51)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지지브라켓(53)에 마련된 관통홀(85)에 삽입된다. 기록헤드(51)가 지지부재(52)에 접촉되는 위치와 지지부재(52)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관통홀(85)은 장공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기록헤드(51)는 힌지홀(82)을 중심으로 회동됨으로써 지지부재(52)에 접촉되는 위치와 지지부재(52)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로 이동되므로 관통홀(85)은 힌지홀(8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지지부재(52)는 구동모터(미도시)와 동력연결되지 않는다. 지지부재(52)는 이송부(40)에 의하여 기록매체(10)가 이송됨에 따라 기록매체(10)와 접촉되어 종동 회전된다. 이와 달리, 지지부재(52)는 구동모터(미도시)와 동력연결되어 회전되는 것도 가능하다.
부싱(90)은 서로 동축을 이루는 내경부(91)와 제1, 제2, 제3외경부(92)(93)(94)를 구비한다. 지지부재(52)의 축(52a)은 내경부(91)에 삽입된다. 제1외경부(92)는 지지브라켓(53)에 마련된 지지홀(86)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제3외경부(94)에는 회전캠(95)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캠(95)은 기어부(96)와 샤프트(84)에 접촉되는 캠부(97)를 구비한다. 모터(도 2: 104)는 기어부(96)와 맞물리는 웜기어(105)를 구비한다. 모터(104)가 결합된 브라켓(106)은 측벽(102)에 결합된다. 부싱(90)의 제2외경부(93)는 측벽(102)에 마련된 홀(107)에 삽입되고, 제3외경부(94)의 단부는 브라켓(106)에 의하여 지지된다. 브라켓(106)은 회전캠(95)이 제3외경부(94)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지지부재(52), 지지브라켓(53), 회전캠(95)은 동일한 회전중심을 가진다. 지지브라켓(53)은 원형의 외주(87)를 가지며, 외주(87)에는 180도 이격된 제1, 제2결합홈(88)(89)이 마련된다. 측벽(102)에는 로킹부재(20)가 회동될 수 있게 결합된다. 탄성부재(25)는 로킹부재(20)에 제1, 제2결합홈(88)(89)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본 실시예의 로킹부재(20)는 회전캠(95)에 의하여 제1, 제2결합홈(88)(89)으로부터 해제되고 탄성부재(25)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제2결합홈(88)(89)에 결합된다. 로킹부재(20)는 제1, 제2결합홈(88)(89)에 결합되는 돌기(21)와, 회전캠(95)의 캠부(97)와 간섭되는 간섭부(22)를 구비한다.
측판(102a) 쪽에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의 회전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기록헤드(51)와 지지부재(52)는 측판(102a)에 직접 회동될 수 있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a 내지 도 5i는 기록헤드(51)의 회전동작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제, 도 1 내지 도 4와 도 5a 내지 도 5i를 보면서 본 발명에 따른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헤드(51)는 지지부재(52)에 압접되어 있다. 또, 로킹부재(20)의 돌기(21)가 제1결합홈(88)에 결려 있어 기록헤드(51)는 도 1의 A 위치에 로킹된 상태이다. 픽업롤러(63)에 의하여 급지카세트(70)로부터 인출된 기록매체(10)는 제1경로를 통하여 이송부(40)로 이송된다. 기록매체(10)가 제2경로로 이송되기 전에 또는 픽업롤러(63)에 의하여 기록매체(10)가 픽업되기 전에 기록헤드(51)는 지지부재(52)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b를 보면, 회전캠(95)이 C1 방향으로 회전되고, 캠부(97)는 샤프트(84)를 민다. 로킹부재(20)의 돌기(21)가 제1결합홈(88)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지지브라켓(53)은 회전되지 않는다. 샤프트(84)가 관통홀(85)을 따라 D1 방향으로 밀리면서 기록헤드(51)가 힌지홀(82)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지지부재(52)로부터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부(40)는 기록매체(10)를 제2경로로 이송시킨다. 그러면, 기록헤드(51)와 지지부재(52)가 이격되어 있으므로 지지부재(52)가 회전되지 않더라도 기록매체(10)는 저항없이 기록헤드(51)와 지지부재(52) 사이로 인입된다.
기록매체(10)가 소정의 인쇄시작위치까지 이송되면, 이송부(40)는 기록매체(10) 이송을 멈춘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인쇄시작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기록매체(10)의 선단 및/또는 말단을 검출하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에 의한 인쇄시작위치의 검출은 당업자라면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조를 감안하여 적절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c를 보면, 회전캠(95)은 C2 방향으로 회전된다. 로킹부재(20)의 돌기(21)가 제1결합홈(88)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지지브라켓(53)은 회전되지 않는다. 기록헤드(51)는 탄성부재(83)의 탄성력에 의하여 힌지홀(82)을 중심으로 D2 방향으로 회동되어 지지부재(52)에 탄력적으로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부(40)는 기록매체(10)를 제3경로로 이송시키기 시작한다. 기록헤드(51)는 기록매체(10)의 제1면에 열을 가하여 예를 들면 마젠타, 옐로우 색상의 화상을 인쇄한다. 마젠타 색상와 옐로우 색상은 예를 들면 기록헤드(51)의 온도와 가열시간에 의존되어 선택적으로 발현된다. 예를 들면 마젠타 색상은 고온으로 단시간, 옐로우 색상은 저온으로 상대적으로 장시간 가열함으로써 발현된다. 기록매체(10)의 제1면에 대한 인쇄가 완료되면, 기록매체(10)는 제2경로를 벗어나서 제3경로에 위치되며, 이송부(40)는 기록매체(10) 이송을 멈춘다.
이제, 기록매체(10)의 제2면에 대한 인쇄를 위하여 기록헤드(10)를 도 1의 B 위치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도 5d를 보면, 회전캠(95)이 C2 방향으로 회전되면, 캠부(97)는 간섭부(22)를 밀어 로킹부재(20)를 E1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돌기(21)는 제1결합홈(88)으로부터 해제되고, 지지브라켓(53)은 구속이 풀려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캠부(97)가 C2 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되어 샤프트(84)를 밀면 기록헤드(51)가 D1 방향으로 이격되는 대신에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53)이 C2 방향으로 회전된다. 지지브라켓(53)이 C2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에 캠부(97)가 샤프트(84)를 밀고 있으므로 기록헤드(51)는 지지부재(52)로부터 실질적로 약간 이격될 수 있다. 캠부(97)와 간섭부(22)와의 간섭이 종료되면 로킹부재(20)는 탄성부재(25)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브라켓(53)의 외주(87)에 지속적으로 접촉된다.
지지브라켓(53)이 180도 회전되면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5)의 탄성력에 의하여 로킹부재(20)가 E2 방향으로 회전되어 돌기(21)가 제2결합홈(89)에 결합되고 지지브라켓(53)은 로킹되어 회전되지 않는다. 기록헤드(51)는 기록매체(10)의 제2면에 대면된 도 1의 B 위치에 도달된다.
회전캠(95)이 계속하여 C2 방향으로 회전되면, 돌기(21)가 제2결합홈(89)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지지브라켓(53)은 회전되지 않는다. 그 대신에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84)가 관통홀(85)을 따라 밀리면서 기록헤드(51)가 지지부재(52)로부터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부(40)는 기록매체(10)를 제3경로로부터 제2경로로 이송시킨다. 기록매체(10)가 소정의 인쇄시작위치에 도달되면 이송부(40)는 기록매체(10) 이송을 멈춘다. 회전캠(95)이 C1 방향으로 회전되면, 돌기(21)가 제2결합홈(89)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지지브라켓(53)은 회전되지 않는다. 그 대신에 도 5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84)가 관통홀(85)을 따라 후퇴되면서 기록헤드(51)가 지지부재(52)에 접촉된다.
이송부(40)는 기록매체(10)를 다시 제3경로 쪽으로 이송시킨다. 기록헤드(51)는 기록매체(10)의 제2면에 열을 가하여 시안 색상의 화상을 인쇄한다. 제1, 제2면에 대한 인쇄가 완료된 기록매체(10)는 배출부(60)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출된다.
화상의 인쇄가 완료되면, 회전캠(95)은 C1 방향으로 회전된다. 캠부(97)는 간섭부(22)를 밀어 로킹부재(20)를 E1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돌기(21)가 제2결합홈(89)으로부터 해제되고, 지지브라켓(53)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캠부(97)가 샤프트(84)를 밀면 지지브라켓(53)은 돌기(21)가 탄성부재(25)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결함홈(88)에 결합될 때까지 회전된다. 그러면, 기록헤드(51)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A 위치로 복귀된다. 이 상태로,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헤드(51)가 지지부재(52)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다음번 인쇄를 위하여 대기할 수 있다.
상기 기록매체(10)의 기재(11)는 투명재질이다. 잉크층(12)(13) 중 어느 한 쪽, 예를 들면 잉크층(12)의 표층에 불투명한 막이 형성될 있다. 잉크층(13) 쪽에서 보면, 시안, 마젠타, 옐로우 화상이 중첩되어 완전한 칼라화상이 보인다.
본 실시예의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기록매체의 제1, 제2면에 서로 다른 화상을 형성하는 이른 바 양면인쇄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기재(11)가 불투명한 재질이라면 제1, 제2면에 서로 다른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양면인쇄가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재(52)에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재(52)에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시키면 기록헤드(51)와 지지부재(52)가 서로 이격될 필요가 없이, 기록헤드(51)는 지지부재(52)에 탄력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기록헤드(51)는 지지브라켓(53)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샤프트(84)는 지지브라켓(53)에 마련된다. 관통홀(85)은 형성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회전캠(95)을 정, 역회전시켜 지지브라켓(53)을 회전시킴으로써 기록헤드(51)로 A, B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양면에 서로 다른 색상의 화상을 인쇄하여 칼라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두 면에 인쇄되는 화상이 정확히 중첩되어야 하며, 이를 레지스트레이션이라 한다. 레지스크레이션이 어긋나면 좋은 인쇄품질을 얻을 수 없다. 미국특허 6,296,405호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기록매체의 제1, 제2면에 대한 인쇄가 각각 다른 위치에서 수행되므로 제1면에 기록되는 화상과 제2면에 기록되는 화상의 레지스트레이션이 어긋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더욱이, 미국특허 6,296,405호에 개시된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기록매체의 이송오차와 기록헤드의 이동오차가 중첩되므로 레지스트레이션이 어긋날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
미국특허 601,952호에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기록헤드와, 기록매체를 기록헤드에 대해 압착시키는 지지부재, 및 기록매체를 지지하는 홀딩장치를 하나의 회 전유닛으로 구성하고, 회전유닛을 회전시킴으로써 기록헤드를 기록매체의 제1, 제2면에 대면시킨다. 또한 그 회전중심이 기록헤드와 지지부재의 접점이어서 지지부재의 위치가 변한다. 따라서, 기록헤드를 지지부재로부터 이격시키는 장치를 설치하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지지부재의 위치가 변하기 때문에 지지부재에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기도 매우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기록매체(10)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기록헤드(51)만이 지지부재(52)의 축(52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그리고, 기록매체(10)는 직선적인 경로를 통하여 2회 왕복 이송된다. 따라서, 양면에 화상을 인쇄하는 동안에 기록매체(10)는 매우 단순한 경로를 따라 이송되므로 기록매체(10) 잼이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 또한, 기록헤드(51)가 지지부재(52)를 중심으로하여 회전되므로 레지스트레이션은 이송부(40)의 이송정밀도에 의존된다. 따라서 좋은 인쇄품질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지지부재(52)의 위치가 변하지 않으므로 지지부재(52)에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기가 쉽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지지부재를 중심으로 기록헤드가 회전되므로 안정된 회전구조를 갖는 양면인쇄가 가능한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기록매체 이송경로가 매우 간략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부속되는 부품의 수가 적고 그 규모도 매우 작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고장의 우려가 없고 특히 기존의 프린터에 비해 크게 낮출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기록헤드;
    상기 기록헤드에 대해 상기 기록매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기록헤드가 결합된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을 회전시켜 상기 기록헤드를 상기 기록매체의 제1면과 그 반대면인 제2면에 대면된 제1, 제2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부재;
    상기 지지브라켓에 마련된 제1, 제2결합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기록헤드를 상기 기록매체의 제1, 제2면에 대면된 위치에 각각 로킹시키는 로킹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로킹부재를 상기 제1, 제2결합홈으로부터 해제시키고 상기 지지브라켓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재를 상기 제1, 제2결합홈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브라켓은 원형의 외주를 가지며, 상기 제1, 제2결합홈은 원형의 외주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지지브라켓을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외주에 지속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기록헤드가 상기 제1 또는 제2위치에 위치될 때에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상기 제1 또는 제2결합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기록헤드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브라켓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샤프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샤프트에 접촉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헤드를 상기 지지부재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기록헤드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상기 지지부재에 접촉되는 위치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로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헤드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회동될 수 있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기록헤드의 회동축을 중심으로하는 원호형상이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로킹부재가 상기 제1 또는 제2결합홈에 결합된 때에는 상기 샤프트에 접촉되어 상기 기록헤드를 상기 지지부재에 접촉되는 위치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로 회동시키고, 상기 로킹부재가 상기 제1 또는 제2결합홈으로부터 해제된 때에는 상기 샤프트에 접촉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를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제1방향과 시작위치를 맞추기 위한 제2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제1방향으로 이송되는 동안 상기 기록매체와의 접촉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를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제1방향과 시작위치를 맞추기 위한 제2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구동모터와 동력연결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40042504A 2003-12-31 2004-06-10 화상형성장치 KR100612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504A KR100612013B1 (ko) 2004-06-10 2004-06-10 화상형성장치
US11/007,463 US7179002B2 (en) 2003-12-31 2004-12-09 Thermal image forming apparatus
CNB2004100819527A CN100515784C (zh) 2003-12-31 2004-12-30 热成像装置
EP04107079A EP1550559B1 (en) 2003-12-31 2004-12-31 An image forming device
DE602004021466T DE602004021466D1 (de) 2003-12-31 2004-12-31 Bilderzeugungsvorrichtung
JP2005000280A JP2005193672A (ja) 2003-12-31 2005-01-04 感熱式画像の形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504A KR100612013B1 (ko) 2004-06-10 2004-06-10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250A KR20050117250A (ko) 2005-12-14
KR100612013B1 true KR100612013B1 (ko) 2006-08-11

Family

ID=37290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504A KR100612013B1 (ko) 2003-12-31 2004-06-10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20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000B1 (ko) 2004-08-16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각팬을 구비하는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305A (ja) * 1991-07-23 1993-02-05 Konica Corp 画像読み取り装置
JPH05238073A (ja) * 1992-02-26 1993-09-17 Seiko Epson Corp 両面記録装置
JPH0743958A (ja) * 1993-07-29 1995-02-14 Ricoh Co Ltd 画像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305A (ja) * 1991-07-23 1993-02-05 Konica Corp 画像読み取り装置
JPH05238073A (ja) * 1992-02-26 1993-09-17 Seiko Epson Corp 両面記録装置
JPH0743958A (ja) * 1993-07-29 1995-02-14 Ricoh Co Ltd 画像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250A (ko) 200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9002B2 (en) Thermal image forming apparatus
US7198419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performing double-sided printing
US7367726B2 (en) Thermal image forming apparatus
US773143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rmal printing head and printing method thereof
US7336291B2 (en) Thermal image forming apparatus
US7391428B2 (en) Thermal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77585B1 (ko) Tph를 채용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0612013B1 (ko) 화상형성장치
US20060290771A1 (en) Thermal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788657B1 (ko) 양면인쇄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KR100612016B1 (ko)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US726750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ickup roller for driving a discharge roller
KR100608003B1 (ko) 양면인쇄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US20060238601A1 (en) Thermal type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94103B1 (ko)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070016592A (ko) 감열방식 인쇄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20060110486A (ko)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