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4103B1 -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4103B1
KR100694103B1 KR1020050032766A KR20050032766A KR100694103B1 KR 100694103 B1 KR100694103 B1 KR 100694103B1 KR 1020050032766 A KR1020050032766 A KR 1020050032766A KR 20050032766 A KR20050032766 A KR 20050032766A KR 100694103 B1 KR100694103 B1 KR 100694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ph
platen roller
media
pivot
posi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0485A (ko
Inventor
한동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2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4103B1/ko
Priority to US11/385,800 priority patent/US7425973B2/en
Publication of KR20060110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4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concerning sheet refeed sections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e.g. intermediate stac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6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on both faces of the print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개시된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는, TPH를 플라텐 롤러의 주위로 회전시켜 미디어의 제1면과 대면된 제1위치와 그 반대면인 제2면에 대면된 제2위치로 이동시켜 미디어의 양면에 화상을 인쇄하는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로서, 플라텐 롤러와 TPH에 의하여 형성되는 인쇄닙과 TPH의 히팅라인을 얼라인시키는 규제부재를 포함하며, 플라텐 롤러는 규제부재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Thermal printer}
도 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들.
도 3은 도 1,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부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부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바이어스부재가 제3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8은 바이어스부재가 제4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미디어의 일 예를 보이는 단면도.
도 10a 내지 도 10i는 TPH가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들.
도 11a 내지 도 11d는 바이어스부재가 제3, 제4위치로 피벗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미디어 20......로킹부재
21......돌기 22......간섭부
25......제1탄성부재 40......이송유닛
51......TPH 52......플라텐 롤러
53......지지브라켓 54......규제부재
54a......제1규제부 54b......제2규제부
55......히크싱크 59......히팅라인
95......회전캠 103......회전가이드
104......모터 210......홀더
220......바이어스부재 221, 222......제1, 제2탄성아암
230......피벗부재 231, 232......제1, 제2아암
234, 235......제1, 제2걸림턱 240......스토퍼
241......탄성아암 250......피벗돌기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미디어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감열방식 화상형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디어의 양면에 화상을 인쇄하기 위하여는 미디어의 제1, 제2면에 각각 대면되는 두 개의 TPH(thermal printing head)를 구비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으나, 화상형성장치의 가격이 비싸진다는 단점이 있다. 양면인쇄를 위하여, 하나의 TPH를 구비하고 미디어의 제1, 제2면을 TPH에 차례로 대면시키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 TPH는 고정되고 미디어를 반전시키는 방안과, TPH를 미디어의 제1, 제2면에 대면되는 위치로 차례로 이동시키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TPH를 구비하며, TPH를 미디어의 제1, 제2면에 대면된 제1, 제2위치로 차례로 이동시킴으로써 미디어의 양면에 화상을 인쇄할 수 있도록 된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TPH가 제1, 제2위치에 위치될 때에 TPH의 히팅라인이 TPH에 접촉되는 플라텐 롤러에 의하여 형성된 인쇄닙에 정확히 얼라인 될 수 있도록 개선된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는, TPH를 플라텐 롤러의 주위로 회전시켜 미디어의 제1면과 대면된 제1위치와 그 반대면인 제2면에 대면된 제2위치로 이동시켜 미디어의 양면에 화상을 인쇄하는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로서, 미디어를, 상기 플라텐 롤러와 상기 TPH 사이로 공급하기 위한 제1방향과 인쇄를 위하여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상기 플라텐 롤러의 상기 제2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상기 플라텐 롤러와 상기 TPH에 의하여 형성되는 인쇄닙과 상기 TPH의 히팅라인을 얼라인시키는 규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플라텐 롤러는 상기 규제부재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에로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제1, 제2탄성아암을 구비하며 상기 TPH와 함께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바이어스부재; 상기 TPH가 상기 제1, 제2위치에 위치될 때에, 상기 제1, 제2탄성아암이 각각 상기 플라텐 롤러를 상기 규제부재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미는 제3, 제4위치로 상기 바이어스부재를 피벗시키는 피벗유닛;을 더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피벗유닛은, 피벗돌기; 상기 바이어스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TPH와 함께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것으로서, 이동되는 동안에 상기 피벗돌기와 간섭되어 피벗됨으로써 상기 바이어스부재를 상기 제3, 제4위치로 피벗시키는 피벗부재; 상기 바이어스부재가 상기 제3, 제4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피벗부재를 로킹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TPH가 상기 제1, 제2위치에 위치될 때에 각각 상기 플라텐 롤러의 상기 제2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1, 제2규제부를 구비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는, TPH를 플라텐 롤러의 주위를 회전시켜 미디어의 제1면과 대면된 제1위치와 그 반대면인 제2면에 대면된 제2위치로 이동시켜 미디어의 양면에 화상을 인쇄하는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로서, 미디어를, 상기 플라텐 롤러와 상기 TPH 사이로 공급하기 위한 제1방향과 인쇄를 위하여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상기 TPH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TPH가 상기 제1, 제2위치에 위치될 때에 각각 상기 플라텐 롤러의 상기 제2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1, 제2규제부를 구비 하는 규제부재; 상기 TPH와 함께 이동되는 홀더; 제1, 제2탄성아암을 구비하며, 상기 홀더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이어스부재; 피벗돌기; 상기 바이어스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홀더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TPH가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될 때에 상기 피벗돌기와 간섭되어 피벗됨으로써 상기 제1, 제2탄성아암이 각각 상기 플라텐 롤러를 상기 제1, 제2규제부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미는 제3, 제4위치로 상기 바이어스부재를 피벗시키는 피벗부재; 상기 바이어스부재가 상기 제3, 제4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피벗부재를 로킹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피벗부재는 상기 TPH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될 때에 상기 피벗돌기와 간섭되는 제1아암과, 상기 TPH가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복귀될 때에 상기 피벗돌기와 간섭되는 제2아암을 구비한다. 상기 피벗부재는 제1, 제2걸림턱을 더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바이어스부재가 각각 상기 제3, 제4위치에 위치될 때에 상기 제1, 제2걸림턱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피벗부재를 로킹시키는 탄성아암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들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는 TPH(51)와 이와 대면되어 미디어(10)를 지지하며 인쇄닙을 형성하는 플라텐 롤러(52)를 포함한다. TPH(51)는 플라텐 롤러(52)의 주위를 회전하여 미디어(10)의 제1면에 대면된 제1위치(도 1)와 제2면에 대면된 제2위치(도 2)로 이동된다. TPH(51)는 지지브라켓(53)에 결합된다. 모터(104)에 의하여 지지브라켓(53)이 회전되면, TPH(51)는 플라텐 롤러(52)의 주위를 공전하여 제1, 제2위치로 이동된다.
이송유닛(40)은 미디어(10)를 이송시킨다. 픽업롤러(63)에 의하여 카세트(70)로부터 픽업된 미디어(10)는 이송유닛(40)에 의하여 제1방향(A1)으로 이송되어 TPH(51)와 플라텐 롤러(52) 사이로 공급된다. 미디어(10)가 소정의 인쇄시작위치에 위치되면, 이송유닛(40)은 미디어(10)를 제2방향(A2)으로 이송시킨다. TPH(51)는 미디어(10)의 제1면에 열을 가하여 화상을 인쇄한다. 미디어(10)는 배출부(60)에 의하여 임시로 배출된다. 미디어(10)가 TPH(51)와 플라텐 롤러(52) 사이를 벗어나면, 이송유닛(40)은 미디어(10)의 이송을 중지한다. 모터(104)는 지지브라켓(53)을 회전시켜 TPH(51)를 제2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송유닛(40)은 미디어(10)를 다시 제1방향(A1)으로 이송시켜 TPH(51)와 플라텐 롤러(52) 사이로 공급한다. 미디어(10)의 제2면이 TPH(51)와 대면된다. 미디어(10)가 소정의 인쇄시작위치에 위치되면, 이송유닛(40)은 미디어(10)를 제2방향(A2)으로 이송시킨다. TPH(51)는 미디어(10)의 제2면에 열을 가하여 화상을 인쇄한다. 미디어(10)는 배출부(60)에 의하여 배출된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미디어(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질수 있다. 기재(base sheet, 11)의 양면 즉 제1면과 제2면에 소정색상의 잉크층(12, 13)이 형성되어 있다. 각 잉크층(12, 13)은 단일 색상을 표현하기 위한 단층 구조 또는 둘 이상의 색상을 표현하기 위한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잉크층 중 제1면의 잉크층(12) 은 옐로우, 마젠타 색상 표현을 위한 2층구조 이고, 제2면의 잉크층(13)은 시안 색상의 표현을 위해 단층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잉크층(12)(13)은 서로 동일한 색상을 표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하나의 TPH(51)를 이용하여 미디어(10)의 양면에 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로서, 미디어(10)의 제1면 및 제2면의 잉크층의 구조에 의하여 기술적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서, 미디어(10)의 기재(11)는 투명재질이다. 잉크층(12)(13) 중 어느 한 쪽, 예를 들면 잉크층(12)의 표층에 불투명한 막이 형성될 수 있다. TPH(51)는 제1위치에 위치되어 잉크층(12)에 열을 가하여 옐로우, 마젠타 색상을 표현하고, 제2위치에 의치되어 잉크층(13)에 열을 가하여 시안 색상의 화상을 표현한다. 잉크층(13) 쪽에서 보면, 시안, 마젠타, 옐로우 화상이 중첩되어 완전한 칼라화상이 보인다.
본 실시예의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는 미디어의 제1, 제2면에 서로 다른 화상을 형성하는 이른 바 양면인쇄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기재(11)가 불투명한 재질이라면 제1, 제2면에 서로 다른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양면인쇄가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TPH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보면서 TPH(51)를 제1, 제2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한 좀 더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3과 도 4를 보면, 하부의 베이스(101)와 그 양측에 직립된 두 측판(102, 102a)을 포함하는 프레임(100)이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100)의 일측에는 미디어 (10)가 적재된 카세트(70)가 장착된다. 프레임(100)에서 카세트(70)의 상부에는 카세트(70)로부터 미디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63)가 마련된다. 그 상부에는 인쇄 완료된 미디어를 배출하기 위하여 배출롤러(61) 및 이에 맞물린 아이들롤러(62)를 포함하는 배출부(6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픽업롤러(63)와 배출롤러(61)가 상호 접촉되어 하나의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모터(미도시)는 측판(102a)에 결합될 수 있다. 양 측판(102, 102a) 사이에서 배출부(60)의 반대편에는 TPH(51)와 플라텐 롤러(52)가 마련된다. 미디어(10)는 이송유닛(40)에 의하여 이송된다. 이송유닛(40)은 서로 탄력적으로 맞물린 한 쌍의 롤러(41)(42)를 포함한다. 구동모터의 회전력은 한 쌍의 롤러(41)(42) 중 어느 한 롤러에만 전달되며, 다른 롤러는 종동된다.
부싱(90)(90a : 도 5, 도 6 참조)은 측벽(102)(102a)에 각각 결합된다. 부싱(90)(90a)은 내경부(91)와 제1외경부(92)를 구비한다. 플라텐 롤러(52)의 양단부는 내경부(91)에 삽입된다. 부싱(90)(90a)의 제1외경부(92)에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53)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도 4에는 부싱(90)과 하나의 지지브라켓(53)만이 도시되어 있다)
TPH(51)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는 히트싱크(55)가 TPH(51)에 결합된다. 히트싱크(55)의 양측부(55a)에 마련된 힌지샤프트(81)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53)에 각각 마련된 힌지 홀(82)에 삽입되어, TPH(51)는 힌지홀(82)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는 구조로 한 쌍의 지지브라켓(53)에 결합된다. 회전가이드(103)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53)에 결합된다. 회전가이드(103)는 이송유닛(40)으로부터 공급되는 미디어 를 TPH(51)와 플라텐 롤러(52) 사이로 안내한다. TPH(51)는 탄성부재(83)에 의하여 플라텐 롤러(52)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83)로서 일단부는 TPH(51)에, 타단부는 플라텐 롤러(52)를 감싸는 커버(103)에 연결된 인장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히트싱크(55)의 일측부(55a)에 마련된 샤프트(84)는 지지브라켓(53)에 마련된 관통홀(85)에 삽입된다. TPH(51)가 플라텐 롤러(52)에 접촉/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관통홀(85)은 힌지홀(8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플라텐 롤러(52)는 구동모터(미도시)와 동력연결되지 않는다. 플라텐 롤러(52)는 이송유닛(40)에 의하여 미디어(10)가 이송됨에 따라 미디어(10)와 접촉되어 종동 회전된다.
부싱(90)은 제1외경부(92)와 동심을 이루는 제2외경부(93)를 더 구비한다. 제2외경부(93)에는 회전캠(95)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캠(95)은 기어부(96)와 샤프트(84)에 접촉되는 캠부(97)를 구비한다. 모터(도 3: 104)는 기어부(96)와 맞물리는 웜기어(105)를 구비한다. 모터(104)가 결합된 브라켓(106)은 측벽(102)에 결합된다. 부싱(90)의 제3외경부(94)는 측벽(102)에 마련된 홀(107)에 삽입되고, 제2외경부(93)의 단부는 브라켓(106)에 의하여 지지된다. 브라켓(106)은 회전캠(95)이 제2외경부(93)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제3외경부(93)는 제1외경부(92)와 동심인 것이 바람직하다. 측벽(102a)에 결합되는 부싱(도 3의 90a)은 내경부(91)와 제1, 제3외경부(92)(94)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지지브라켓(53), 회전캠(95)은 동일한 회전중심을 가지며, 이 회전중심이 TPH(51)의 회전중 심이 된다. 지지브라켓(53)은 원형의 외주(87)를 가지며, 외주(87)에는 180도 이격된 제1, 제2결합홈(88)(89)이 마련된다. 측벽(102)에는 로킹부재(20)가 회동될 수 있게 결합된다. 제1탄성부재(25)는 로킹부재(20)에 제1, 제2결합홈(88)(89)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본 실시예의 로킹부재(20)는 회전캠(95)에 의하여 제1, 제2결합홈(88)(89)으로부터 해제되고 탄성부재(25)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제2결합홈(88)(89)에 결합된다. 로킹부재(20)는 제1, 제2결합홈(88)(89)에 결합되는 돌기(21)와, 회전캠(95)의 캠부(97)와 간섭되는 간섭부(22)를 구비한다.
미디어(10)에 효과적으로 열을 가하기 위하여 히팅라인(59)은 플라텐 롤러(52)에 의하여 형성되는 인쇄닙(TPH(51)와 플라텐 롤러(52)의 접촉부)에 위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화상형성장치는 규제부재(54)를 구비한다. 규제부재(54)는 TPH(51)가 제1, 제2위치에 위치될 때에 각각 플라텐 롤러(52)의 단부(52b)에 접촉되는 제1, 제2규제부(54a)(54b)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싱크(55)의 양측부(55a)에 제1, 제2규제부(54a)(54b)가 마련된다. 또한, 제1, 제2규제부(54a)(54b)는 힌지홀(8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규제부재(54)와 히트싱크(55)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부품의 수를 줄이는 한편,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플라텐 롤러(52)의 양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시(90)(90a)의 내경부(91)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부시(90)(90a)의 내경부(91)는 제1, 제2방향(A1, A2)으로 연장된 장공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방향(A2)으로 확대되는 형태의 장공형태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미디어(10)가 제2방향(A2)으로 이송되는 동안에 플라텐 롤러(52)는 제2방향(A2)쪽으로 끌려가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제1, 제2규제부(54a)(54b)는 플라텐 롤러(52)의 제2방향(A2)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도 1을 보면, TPH(51)가 제1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제1규제부(54a)는 플라텐 롤러(52)의 단부(52b)의 제2방향(A2)쪽에 위치되어 플라텐 롤러(52)가 부시(90)(90a)의 내경부(91)를 따라 제2방향(A2)으로 과도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규제함으로써 TPH(51)의 히팅라인(59)과 인쇄닙을 얼라인시킨다. 도 2를 보면, TPH(51)가 제2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제2규제부(54b)는 플라텐 롤러(52)의 단부(52b)의 제2방향(A2)쪽에 위치되어 플라텐 롤러(52)가 부시(90)(90a)의 내경부(91)를 따라 제2방향(A2)으로 과도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규제함으로써 TPH(51)의 히팅라인(59)과 인쇄닙을 얼라인시킨다. 이와 같이, TPH(51)의 히팅라인(59)과 인쇄닙을 얼라인시킴으로써 히팅라인(59)에 의하여 제공되는 열에너지가 미디어(10)로 안정적으로 전달되어 안정적인 인쇄품질을 얻을 수 있다.
부시(90)(90a)의 내경부(91)와 플라텐 롤러(52)의 양단부와의 마찰이 커지면 플라텐 롤러(52)가 A2방향으로 잘 끌려가지 않을 수 있다. 또, 화상형성장치를 벽에 거는 등 설치조건에 따라서 플라텐 롤러(52)의 무게가 플라텐 롤러(52)의 제2방향(A2)으로의 이동을 방해하게 된다. 그러면, 히팅라인(59)과 인쇄닙과의 얼라인이 어긋나서 안정된 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없다. 또, 화상형성장치를 이동되는 차량 에 설치하는 경우에, 차량의 진동 등에 의하여 히팅라인(59)과 인쇄닙과의 얼라인이 어긋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플라텐 롤러(52)가 규제부재(54)에 접촉되는 방향, 즉 제2방향(A2)으로 탄성바이어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 도 7, 도 8을 보면, 화상형성장치는 플라텐 롤러(52)를 규제부재(54)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바이어스부재(220)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회전가이드(103)에 홀더(210)가 결합되고, 바이어스부재(220)는 홀더(210)에 피벗될 수 있게 설치된다. 바이어스부재(220)는 TPH(51)와 함께 제1, 제2위치로 이동된다. 바이어스부재(220)는 TPH(51)가 각각 제1,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플라텐 롤러(52)를 제2방향(A2)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기 위하여 제3, 제4위치로 피벗된다. 본 실시예의 바이어스부재(220)는 제1, 제2탄성아암(221)(222)을 구비한다. 바이어스부재(220)가 제3위치에 위치된 때(도 7)에는 제1탄성아암(221)이, 제4위치에 위치된 때(도 8)에는 제2탄성아암(222)이 플라텐 롤러(52)를 제2방향(A2)으로 민다. 화상형성장치는 바이어스부재(220)를 제3, 제4위치로 피벗시키는 피벗유닛을 구비한다.
피벗유닛은 피벗부재(230)와 피벗돌기(250)를 포함한다. 피벗부재(230)는 홀더(210)에 피벗될 수 있게 결합된다. 따라서, 바이어스부재(220)와 피벗부재(230)는 TPH(51)와 함께 제1, 제2위치로 이동된다. 바이어스부재(220)에는 요부(223)가 마련된다. 피벗부재(230)에는 요부(223)에 결합되는 돌출부(235)가 마련된다. 피벗부재(230)는 제1, 제2아암(231)(232)을 구비한다. 피벗돌기(250)는 TPH(51)가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되기 위하여 회전될 때에 제1아암(231)과 간섭되고, TPH(51)가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복귀될 때에 제2아암(232)과 간섭된다. 본 실시예의 피벗돌기(250)는 이송유닛(40)을 두 측판(102, 102a)에 지지하는 지지부재 (43)에 마련된다. 피벗유닛은 피벗부재(230)를 로킹시키기 위한 스토퍼(240)를 더 구비한다. 스토퍼(240)는 탄성아암(241)을 구비한다. 탄성아암(241)은 바이어스부재(220)가 제3, 제4위치에 위치된 때에 피벗부재(230)의 제1, 제2걸림턱(233)(234)에 각각 결합되어 피벗부재(230)를 로킹시킨다. 스토퍼(240)는 홀더(2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로서 홀더(2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i는 TPH(51)가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바이어스부재(220)가 피벗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TPH(51)는 플라텐 롤러(52)에 접촉되어 있다. 또, 로킹부재(20)의 돌기(21)가 제1결합홈(88)에 결려 있어 TPH(51)는 제1위치에 로킹된 상태이다. 픽업롤러(63)에 의하여 급지카세트(70)로부터 인출된 미디어(10)는 이송유닛(40)으로 이송된다. 미디어(10)가 TPH(51)와 플라텐 롤러(52) 사이로 이송되기 전에 TPH(51)는 플라텐 롤러(52)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b를 보면, 회전캠(95)이 C1 방향으로 회전되고, 캠부(97)는 샤프트(84)를 민다. 로킹부재(20)의 돌기(21)가 제1결합홈(88)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지지브라켓(53)은 회전되지 않는다. 샤프트(84)가 관통홀(85)을 따라 D1 방향으로 밀리면서 TPH(51)가 힌지홀(82)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플라텐 롤러(52)로부터 이격된다. 이 때, 제1, 제2규제부(54a)(54b)는 힌지홀(8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태이기 때문에 TPH(51)는 단부(52b)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고 회동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이송유닛(40)은 미디어(10)를 제1방향(A1)으로 이송시켜 TPH(51)와 플라텐 롤러 (52) 사이로 공급한다. TPH(51)와 플라텐 롤러(52)가 이격되어 있으므로 플라텐 롤러(52)가 회전되지 않더라도 미디어(10)는 저항없이 TPH(51)와 플라텐 롤러(52) 사이로 인입된다. 미디어(10)가 TPH(51)와 플라텐 롤러(52) 사이로 공급된 후에 이송유닛(40)은 정지된다.
도 10c를 보면, 회전캠(95)은 C2 방향으로 회전된다. 로킹부재(20)의 돌기(21)가 제1결합홈(88)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지지브라켓(53)은 회전되지 않는다. TPH(51)는 제2탄성부재(83)의 탄성력에 의하여 힌지홀(82)을 중심으로 D2 방향으로 회동되어 플라텐 롤러(52)에 탄력적으로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유닛(40)은 미디어(10)를 제2방향(A2)으로 이송시키기 시작한다. 미디어(10)와의 마찰에 의하여 플라텐 롤러(52)는 제2방향(A2)으로 이끌린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어스부재(220)가 제3위치에 위치되어 제1탄성아암(221)이 플라텐 롤러(52)를 제2방향(A2)으로 민다. 따라서, 플라텐 롤러(52)는 부싱(90, 90a)의 장공형태의 내경부(91)를 따라 제2방향(A2)으로 이동된다. 플라텐 롤러(52)의 단부(52b)가 제1규제부(54a)에 접촉되면, 플라텐 롤러(52)는 더 이상 이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TPH(51)의 히팅라인(59)은 플라텐 롤러(52)에 의하여 형성되는 인쇄닙에 얼라인된다. TPH(51)는 미디어의 제1면에 열을 가하여 마젠타, 옐로우 색상의 화상을 인쇄한다. 마젠타 색상과 옐로우 색상은 예를 들면 TPH(51)의 온도와 가열시간에 의존되어 선택적으로 발현된다. 예를 들면 마젠타 색상은 고온으로 단시간, 옐로우 색상은 저온으로 상대적으로 장시간 가열함으로써 발현된다. 배출부(60)는 미디어(10)를 임시로 배출한다. 미디어(10)의 제1면에 대 한 인쇄가 완료되면, 이송유닛(40)은 미디어(10) 이송을 멈춘다.
이제, 미디어(10)의 제2면에 화상을 인쇄하기 위하여 TPH(51)를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도 10d를 보면, 회전캠(95)이 C2 방향으로 회전되면, 캠부(97)는 간섭부(22)를 밀어 로킹부재(20)를 E1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돌기(21)는 제1결합홈(88)으로부터 해제되고, 지지브라켓(53)은 구속이 풀려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캠부(97)가 C2 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되어 샤프트(84)를 밀면 TPH(51)가 D1 방향으로 이격되는 대신에 도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53)이 C2 방향으로 회전된다. 지지브라켓(53)이 C2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에 캠부(97)가 샤프트(84)를 밀고 있으므로 TPH(51)는 플라텐 롤러(52)로부터 실질적로 약간 이격될 수 있다. 캠부(97)와 간섭부(22)와의 간섭이 종료되면 로킹부재(20)는 제1탄성부재(25)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브라켓(53)의 외주(87)에 지속적으로 접촉된다.
지지브라켓(53)이 예를 들면 180도 회전되면 도 1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5)의 탄성력에 의하여 로킹부재(20)가 E2 방향으로 회전되어 돌기(21)가 제2결합홈(89)에 결합되고 지지브라켓(53)은 로킹되어 회전되지 않는다. TPH(51)는 미디어(10)의 제2면에 대면된 제2위치에 도달된다.
이 때,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부재(230)의 제1아암(231)은 피벗돌기(250)와 간섭된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아암(241)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제1걸림턱(233)으로부터 해제되고 피벗부재(230)는 F1방향으로 피벗된다. 이 때, 돌출부(235)가 요부(223)를 밀고, 바이어스부재(220)는 G1방향으로 피 벗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위치에 도달된다. 탄성아암(241)은 제2결림턱(234)에 결합되어 피벗부재(230)를 로킹시킨다. TPH(51)가 제2위치에 도달되면 바이어스부재(220)의 제2탄성아암(232)이 플라텐 롤러(52)를 제2방향(A2)으로 민다.
회전캠(95)이 계속하여 C2 방향으로 회전되면, 돌기(21)가 제2결합홈(89)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지지브라켓(53)은 회전되지 않는다. 그 대신에 도 10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84)가 관통홀(85)을 따라 밀리면서 TPH(51)가 플라텐 롤러(52)로부터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유닛(40)은 미디어(10)를 제1방향(A1)으로 이송시켜 TPH(51)와 플라텐 롤러(52) 사이로 공급한 후에 정지된다. 회전캠(95)이 C1 방향으로 회전되면, 돌기(21)가 제2결합홈(89)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지지브라켓(53)은 회전되지 않는다. 그 대신에 도 10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84)가 관통홀(85)을 따라 후퇴되면서 TPH(51)가 플라텐 롤러(52)에 접촉된다.
이송유닛(40)은 미디어(10)를 다시 제2방향(A2)으로 이송시킨다. 미디어(10)와의 마찰에 의하여 플라텐 롤러(52)는 제2방향(A2)으로 이끌린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어스부재(220)의 제1탄성아암(221)이 플라텐 롤러(52)를 제2방향(A2)으로 민다. 따라서, 플라텐 롤러(52)는 부싱(90, 90a)의 장공형태의 내경부(91)를 따라 제2방향(A2)으로 이동된다. 플라텐 롤러(52)의 단부(52b)가 제2규제부(54b)에 접촉되면, 플라텐 롤러(52)는 더 이상 이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TPH(51)의 히팅라인(59)은 플라텐 롤러(52)에 의하여 형성되는 인쇄닙에 얼라인된다. TPH(51)는 미디어(10)의 제2면에 열을 가하여 시안 색상의 화상을 인쇄한다. 제1, 제2면에 대한 인쇄가 완료된 미디어(10)는 배출부(60)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출된다.
화상의 인쇄가 완료되면, 도 10i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캠(95)은 C1 방향으로 회전된다. 캠부(97)는 간섭부(22)를 밀어 로킹부재(20)를 E1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돌기(21)가 제2결합홈(89)으로부터 해제되고, 지지브라켓(53)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캠부(97)가 샤프트(84)를 밀면 지지브라켓(53)은 돌기(21)가 제1탄성부재(25)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결함홈(88)에 결합될 때까지 회전된다. 그러면, TPH(51)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로 복귀된다.
이 때,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부재(230)의 제2아암(232)은 피벗돌기(250)와 간섭된다.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아암(241)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제2걸림턱(234)으로부터 하제되고 피벗부재(230)는 F2방향으로 피벗된다. 이 때, 돌출부(235)가 요부(223)를 밀고, 바이어스부재(220)는 G2방향으로 피벗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3위치로 복귀된다. 탄력아암(241)은 제1결림턱(233)에 결합되어 피벗부재(230)를 로킹시킨다. TPH(51)가 제2위치에 도달되면 바이어스부재(220)의 제1탄성아암(231)이 플라텐 롤러(52)를 제2방향(A2)으로 민다.
이 상태로, 또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TPH(51)가 플라텐 롤러(52)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다음번 인쇄를 위하여 대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플라텐 롤러 에 인쇄를 위한 미디어의 이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TPH가 제1, 제2위치에 위치될 때에 TPH의 히팅라인과 인쇄닙을 얼라인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의 설치조건과 사용환경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된 인쇄품질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TPH를 플라텐 롤러의 주위로 회전시켜 미디어의 제1면과 대면된 제1위치와 그 반대면인 제2면에 대면된 제2위치로 이동시켜 미디어의 양면에 화상을인쇄하는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로서,
    미디어를, 상기 플라텐 롤러와 상기 TPH 사이로 공급하기 위한 제1방향과 인쇄를 위하여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상기 플라텐 롤러의 상기 제2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상기 플라텐 롤러와 상기 TPH에 의하여 형성되는 인쇄닙과 상기 TPH의 히팅라인을 얼라인시키는 규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플라텐 롤러는 상기 규제부재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제2탄성아암을 구비하며 상기 TPH와 함께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바이어스부재;
    상기 TPH가 상기 제1, 제2위치에 위치될 때에, 상기 제1, 제2탄성아암이 각각 상기 플라텐 롤러를 상기 규제부재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미는 제3, 제4위치로 상기 바이어스부재를 피벗시키는 피벗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유닛은,
    피벗돌기;
    상기 바이어스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TPH와 함께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것으로서, 이동되는 동안에 상기 피벗돌기와 간섭되어 피벗됨으로써 상기 바이어스부재를 상기 제3, 제4위치로 피벗시키는 피벗부재;
    상기 바이어스부재가 상기 제3, 제4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피벗부재를 로킹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TPH가 상기 제1, 제2위치에 위치될 때에 각각 상기 플라텐 롤러의 상기 제2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1, 제2규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5. TPH를 플라텐 롤러의 주위를 회전시켜 미디어의 제1면과 대면된 제1위치와 그 반대면인 제2면에 대면된 제2위치로 이동시켜 미디어의 양면에 화상을 인쇄하는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로서,
    미디어를, 상기 플라텐 롤러와 상기 TPH 사이로 공급하기 위한 제1방향과 인쇄를 위하여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상기 TPH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TPH가 상기 제1, 제2위치에 위치될 때에 각각 상기 플라텐 롤러의 상기 제2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1, 제2규제부를 구비하는 규제부재;
    상기 TPH와 함께 이동되는 홀더;
    제1, 제2탄성아암을 구비하며, 상기 홀더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이어스부재;
    피벗돌기;
    상기 바이어스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홀더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TPH가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될 때에 상기 피벗돌기와 간섭되어 피벗됨으로써 상기 제1, 제2탄성아암이 각각 상기 플라텐 롤러를 상기 제1, 제2규제부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미는 제3, 제4위치로 상기 바이어스부재를 피벗시키는 피벗부재;
    상기 바이어스부재가 상기 제3, 제4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피벗부재를 로킹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부재는 상기 TPH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될 때에 상기 피벗돌기와 간섭되는 제1아암과, 상기 TPH가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복귀될 때에 상기 피벗돌기와 간섭되는 제2아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부재는 제1, 제2걸림턱을 더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바이어스부재가 각각 상기 제3, 제4위치에 위치될 때에 상기 제1, 제2걸림턱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피벗부재를 로킹시키는 탄성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20050032766A 2005-04-20 2005-04-20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694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766A KR100694103B1 (ko) 2005-04-20 2005-04-20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US11/385,800 US7425973B2 (en) 2005-04-20 2006-03-22 Thermal type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766A KR100694103B1 (ko) 2005-04-20 2005-04-20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485A KR20060110485A (ko) 2006-10-25
KR100694103B1 true KR100694103B1 (ko) 2007-03-12

Family

ID=37187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766A KR100694103B1 (ko) 2005-04-20 2005-04-20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25973B2 (ko)
KR (1) KR1006941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8673B2 (ja) * 2006-07-28 2010-12-0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プリン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7771A (en) 1981-03-26 1982-09-29 Ricoh Co Ltd Heat-sensitive recording device
JPH0422981A (ja) * 1990-05-18 1992-01-2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KR20050033801A (ko) * 2003-10-08 2005-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인쇄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KR100544208B1 (ko) 2004-07-30 2006-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인쇄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7670A (ja) 1990-11-28 1992-07-17 Seiko Instr Inc サーマルヘッドの位置決め機構
JPH04301474A (ja) 1991-03-29 1992-10-26 Kanzaki Paper Mfg Co Ltd 熱転写プリンタ
JPH05155100A (ja) 1991-12-04 1993-06-22 Seiko Instr Inc サーマルヘッドの保持機構
JPH05212923A (ja) 1992-02-04 1993-08-24 Sony Corp 感熱記録装置
JPH05220989A (ja) 1992-02-12 1993-08-31 Yupiteru Kogyo Kk サーマルヘッドの支持構造
JPH05309850A (ja) 1992-05-11 1993-11-22 Seiko Instr Inc サーマルヘッドの支持機構
JP2001080154A (ja) 1999-09-14 2001-03-27 Riso Kagaku Corp 記録装置
JP2001310503A (ja) * 2000-04-28 2001-11-06 Canon Inc 記録装置
JP2002283631A (ja) * 2001-03-26 2002-10-03 Seiko Instruments Inc サーマルプリン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7771A (en) 1981-03-26 1982-09-29 Ricoh Co Ltd Heat-sensitive recording device
JPH0422981A (ja) * 1990-05-18 1992-01-2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KR20050033801A (ko) * 2003-10-08 2005-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인쇄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KR100544208B1 (ko) 2004-07-30 2006-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인쇄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39741A1 (en) 2006-10-26
KR20060110485A (ko) 2006-10-25
US7425973B2 (en) 2008-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9002B2 (en) Thermal image forming apparatus
US773143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rmal printing head and printing method thereof
KR100708167B1 (ko) Tph를 채용하는 화상형성장치
EP1661721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77585B1 (ko) Tph를 채용하는 화상형성장치
US7391428B2 (en) Thermal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94103B1 (ko)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US7336291B2 (en) Thermal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60110487A (ko) Tph를 채용하는 화상형성장치
US7446791B2 (en) Thermal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cooling fan
US755971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guide member to guide paper
KR100612016B1 (ko)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612013B1 (ko) 화상형성장치
KR20060110486A (ko)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619045B1 (ko)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 잼제거방법
KR100608003B1 (ko) 양면인쇄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KR20070016592A (ko) 감열방식 인쇄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