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6592A - 감열방식 인쇄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감열방식 인쇄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6592A
KR20070016592A KR1020050071396A KR20050071396A KR20070016592A KR 20070016592 A KR20070016592 A KR 20070016592A KR 1020050071396 A KR1020050071396 A KR 1020050071396A KR 20050071396 A KR20050071396 A KR 20050071396A KR 20070016592 A KR20070016592 A KR 20070016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head
platen roller
printing
thermal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1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1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6592A/ko
Publication of KR20070016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65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열방식 인쇄유닛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감열방식 인쇄유닛은, 플라텐롤러(platen roller); 인쇄매체에 열을 가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플라텐롤러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인쇄위치와, 상기 인쇄위치로부터 소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플라텐롤러와 이격된 해제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서멀헤드(thermal head); 상기 서멀헤드의 회전과 연계하여 서멀헤드의 인쇄위치에서는 인쇄매체의 진행 경로에서 벗어난 회피위치에 위치하고, 해제위치에서는 플라텐롤러와 서멀헤드 사이의 열차단위치로 돌출되는 열차단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감열방식 인쇄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Thermal print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도 1은 종래의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2는 인쇄매체의 아랫면을 가열하는 형상, 도 3은 인쇄매체의 윗면을 가열하는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인쇄매체의 일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 및 도 3의 감열방식 인쇄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감열방식 인쇄유닛의 회전동작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5의 열차단판의 동작을 보인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화상형성장치 110 ...카세트
112 ...픽업롤러 120 ...감열방식 인쇄유닛
121 ...서멀헤드(thermal head) 125 ...플라텐롤러
128 ...가이드프레임 130 ...제1 부재
135 ...제2 부재 140 ...제3 부재
145 ...열차단판 150 ...지지브라켓
180 ...회전캠 190 ...이송부
본 발명은 감열방식 인쇄유닛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멀헤드의 예열로 인한 인쇄품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감열방식 인쇄유닛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인데,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10)는 기록매체(P)에 대면하여 열을 가하는 서멀헤드(thermal head, 11)와, 상기 기록매체(P)를 서멀헤드(11) 측으로 가압하는 플라텐롤러(platen roller, 15)와, 상기 기록매체(P)를 이송하는 이송부(20)를 구비한다. 상기 서멀헤드(11)에는 기록매체(P)의 대면(對麵)에 상기 기록매체(P)의 폭 방향으로 다수 개의 발열점(13)들이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서멀헤드(11)는 인쇄매체(P)를 사이에 개재한 상태로 플라텐롤러(15)와 접촉하는 인쇄위치와, 플라텐롤러(15)와 이격되어 인쇄매체(P)의 자유로운 이동을 허용하는 해제위치를 피봇 중심(14)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이동한다.
플라텐롤러(15)는 그 외주면이 탄력있는 고무 재질로 구성되며, 화살표 방향 으로 진행하는 기록매체(P)와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는 아이들롤러(idle roller)이다. 기록매체(P)가 서멀헤드(11)와 플라텐롤러(15)를 통과하는 도중 상기 발열점(13)들이 선택적으로 발열하여 상기 기록매체(P)에 화상을 형성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10)는 서멀헤드(11)가 해제위치에 위치하는 인쇄대기상태에서 서멀헤드(11)를 섭씨 40 내지 50도로 예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서멀헤드(11)와 근접한 플라텐롤러(15)의 특정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온도가 높아지고, 화상 인쇄시에 상기 플라텐롤러(15)의 특정 부분과 접촉하게 되는 인쇄매체(P)의 부분은 고온으로 인해 다른 부분보다 발색 정도가 심해져서 가로줄이 형성되는 인쇄품질의 불량이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멀헤드의 예열시에 서멀헤드와 플라텐롤러 사이로 돌출되는 열차단판을 구비한 감열방식 인쇄유닛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라텐롤러(platen roller); 인쇄매체에 열을 가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플라텐롤러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인쇄위치와, 상기 인쇄위치로부터 소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플라텐롤러와 이격된 해제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서멀헤드(thermal head); 및, 상기 서멀헤드의 회전과 연계하여 서멀헤드의 인쇄위치에서는 인쇄매체의 진행 경로에서 벗어난 회피위치에 위치하고, 해제위치에서는 플라텐롤러와 서멀헤드 사이 의 열차단위치로 돌출되는 열차단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방식 인쇄유닛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열방식 인쇄유닛은 서멀헤드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열차단판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슬롯이 형성된 된 제1 부재와, 서멀헤드의 회전중심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상기 서멀헤드와 같은 각도로 회전하는 제2 부재와, 일측부는 상기 제1 부재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열차단판에 연결되며, 중간부는 상기 제2 부재의 타측부와 연결된 제3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서멀헤드가 해제위치로 회전 이동하면 제2 부재가 같은 각도로 회전하여 그 타측부가 제3 부재의 중간부를 플라텐롤러 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제3 부재의 타측부가 열차단판을 가압하여 상기 열차단판이 열차단위치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재는 인쇄매체를 플라텐롤러와 서멀헤드 사이로 안내하는 가이드 프레임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열방식 인쇄유닛은 인쇄매체의 양 면을 가열할 수 있게 플라텐롤러를 중심으로 상기 서멀헤드가 180도 회전하는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텐롤러(platen roller)와, 인쇄매체에 열을 가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플라텐롤러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인쇄위치와, 상기 인쇄위치로부터 소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플라텐롤러와 이격된 해제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서멀헤드(thermal head)와, 상기 서멀헤드의 회전과 연계하여 서멀헤 드의 인쇄위치에서는 인쇄매체의 진행 경로에서 벗어난 회피위치에 위치하고, 해제위치에서는 플라텐롤러와 서멀헤드 사이의 열차단위치로 돌출되는 열차단판을 구비한 감열방식 인쇄유닛; 및, 상기 감열방식 인쇄유닛을 향한 방향으로 또는 그 역방향으로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감열방식 인쇄유닛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2는 인쇄매체의 아랫면을 가열하는 형상, 도 3은 인쇄매체의 윗면을 가열하는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100)는 외장을 이루는 케이스(101)의 일측에 기록매체(P)가 적재되는 카세트(110)가 장착된다. 상기 카세트(110)의 상부에는 카세트(110)에 적재되는 기록매체(P)를 픽업하는 픽업롤러(112)가 마련된다. 그 상부에는 인쇄 완료된 기록매체를 배출하기 위하여 배출롤러(116) 및 이에 맞물린 아이들롤러(117)를 포함하는 배출부(115)가 마련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픽업롤러(112)와 배출롤러(116)가 상호 접촉되어 하나의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된다.
케이스(101) 내부에 배출부(115)의 반대편에는 감열방식 인쇄유닛(120)이 마련된다. 감열방식 인쇄유닛(120)은 서멀헤드(thermal head, 121)와 플라텐롤러(platen roller, 125)를 구비한다. 상기 서멀헤드(121)는 인쇄매체(P)를 사이에 개 재하고 플라텐롤러(125)의 아래측 외주면과 접촉하여 플라텐롤러(125)와 서멀헤드(121)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매체(P)의 아래면을 가열하여 발색시킨다. 또한, 플라텐롤러(125)에 대하여 180도 회전하여 인쇄매체(P)를 사이에 개재하고 플라텐롤러(125)의 위측 외주면과 접촉하여 플라텐롤러(125)와 서멀헤드(121)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매체(P)의 윗면을 가열하여 발색시킨다. 서멀헤드(120)에는 플라텐롤러(125)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다수 개의 발열점(122)이 마련되며, 상기 발열점(122)들이 화상정보에 대응되게 선택적으로 발열하여 인쇄매체(P)를 가열한다.
상기 감열방식 인쇄유닛(120)은 플라텐롤러(125)를 에워싸는 가이드프레임(128)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28)은 상기 인쇄유닛(120)으로 급지되는 인쇄매체(P)를 플라텐롤러(125)와 서멀헤드(121) 사이로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28)은 서멀헤드(121)가 플라텐롤러(125)에 대하여 180도 회전할 때 연계되어 함께 회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인쇄매체의 일 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기 기록매체(P)는 기재(base sheet, 1)의 아래면과 윗면에 소정색상의 잉크층(2, 3)이 형성되어 있다. 각 잉크층(2, 3)은 단일 색상의 잉크에 의한 단층 구조 또는 2 색 이상의 표현을 위해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잉크층 중 아래면의 잉크층(2)은 옐로우, 마젠타 색상 표현을 위해 2 개의 적층으로 구성되고 윗면의 잉크층(3)은 시안 색상의 표현을 위해 단일층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잉크층들(2, 3)에 의해 3원색의 발색이 가능하므로, 상기 기재(1)가 투명하다면 상기 기록매체(P)로 풀칼라(full color)의 화상 구 현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기재(1)가 불투명한 재질이면 상기 기록매체(P)를 이용하여 그 윗면과 아랫면에 별개의 화상을 형성하는 양면 인쇄가 가능하다.
기록매체(P)는 이송부(190)에 의하여 이송된다. 이송부(190)는 서로 맞물린 한 쌍의 롤러(191, 192)를 포함한다. 그중 하나는 구동모터(미도시)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이송롤러(191)이며, 다른 하나는 상기 이송롤러(191)에 종동하는 핀치롤러(pinch roller, 192)이다.
상기 화상형성장치(100)에 인쇄지시가 입력되면 카세트(110)에 적재된 인쇄매체(P)가 픽업롤러(112)에 픽업된다. 상기 픽업된 인쇄매체(P)는 이송부(190)에 의해 감열방식 인쇄유닛(120)으로 급지된다. 상기 급지된 인쇄매체(P)는 가이드프레임(128)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안내되어 서멀헤드(121)와 플라텐롤러(125) 사이에 개재된다. 서멀헤드(121)가 플라텐롤러(125) 측으로 밀착하면 이송부(190)가 인쇄매체(P)를 당겨 배출부(115) 측으로 이송하고, 상기 인쇄매체(P)는 발열점(122)의 선택적 발열에 의해 아랫면의 잉크층(2)에 화상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멀헤드(121)가 180도 회전하여 플라텐롤러(125)의 위쪽으로 이동하고, 가이드프레임(128)도 플라텐롤러(125)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상기 인쇄매체(P)는 이송부(190)에 의해 급지되며 가이드프레임(128)에 의해 안내되어 서멀헤드(121)와 플라텐롤러(125) 사이에 개재된다. 서멀헤드(121)가 플라텐롤러(125) 측으로 다시 밀착하면 이송부(190)가 인쇄매체(P)를 다시 당겨 배출부(115) 측으로 이송하고, 상기 인쇄매체(P)는 발열점(122)의 선택적 발열에 의해 윗면의 잉크층(3)에 화상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양면에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P)는 배출부(115)에 의해 케이스(101) 밖으로 배출된다.
도 5는 도 2 및 도 3의 감열방식 인쇄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감열방식 인쇄유닛의 회전동작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들이며, 도 7은 도 5의 열차단판의 동작을 보인 도면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멀헤드(121)의 일측부에는 피봇 중심이 되는 힌지샤프트(123)가 마련되고, 상기 힌지샤프트(123)는 지지브라켓(150)에 마련된 힌지홀(152)에 삽입되어, 서멀헤드(121)는 상기 힌지홀(15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지지브라켓(150)에 결합된다. 가이드프레임(128)은 상기 지지브라켓(150)에 고정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수나사(157)가 상기 지지브라켓(150)의 통공(156)을 관통하여 가이드프레임(128)에 형성된 암나사부(129)에 체결되어 가이드프레임(128)이 지지브라켓(150)에 고정된다. 한편, 플라텐롤러(125)는, 일측단부가 상기 서멀헤드(121)에 연결되고 타측단부가 가이드프레임(128)에 연결된 인장코일스프링(149)에 의해 서멀헤드(121)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서멀헤드(121)의 일측부에서 돌출된 돌기(124)는 지지브라켓(150)에 마련된 관통홀(155)에 삽입된다. 상기 서멀헤드(121)가 플라텐롤러(125)에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홀(155)은 장공 형태이다. 또한, 서멀헤드(121)가 상기 힌지홀(152)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플라텐롤러(125)에 접촉 또는 이격되므로 상기 관통홀(155)은 힌지홀(15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열방식 인쇄유닛(120)은 인쇄위치와 해제위치로 회전하는 서멀헤드(121)와 연계하여 인쇄매체(P)의 진행 경로에서 벗어난 회피위치로 후퇴하거나 플라텐롤러(125)와 서멀헤드(121) 사이의 열차단위치로 돌출되는 열차단판(145)를 구비한다. 상기 열차단판(145)의 제1, 제2, 제3 부재(130, 135, 140)의 연관에 의해 후퇴 또는 전진한다. 상기 제1, 제2, 제3 부재(130, 135, 140)는 플라텐롤러(125)와 서멀헤드(121)의 움직임이 방해받지 않도록 그들의 양 단부 외측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프레임(128)의 내측에는 제1 부재(130)가 고정결합된다. 따라서, 제1 부재(130)는 서멀헤드(121)의 힌지샤프트(123)를 중심으로 한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제1 부재(130)에는 열차단판(145)의 열차단위치와 회피위치 사이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슬롯(131)과, 상기 제3 부재(140)와의 연결을 위한 제3 부재 연결홈(13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부재(135)는 서멀헤드(121)에 고정되며, 일측부에 서멀헤드(121)의 힌지샤프트(123)가 관통하는 서멀헤드 관통홈(136)이 형성되고, 타측부에 제3 부재(140)와의 연결을 위한 제3 부재 연결돌기(13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부재(135)를 관통한 힌지샤프트(12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150)의 힌지홀(152)에 삽입 연결된다.
제3 부재(140)는 일측부에 상기 제1 부재(130)의 제3 부재 연결홈(132)에 삽입 연결되는 제1 부재 연결돌기(143)를 구비하고, 타측부에는 상기 열차단판(145)과의 연결을 위한 열차단판 연결홈(141)이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상기 제2 부재(135)의 제3 부재 연결돌기(137)가 삽입 연결되는 제2 부재 연결홈(142)이 형성되 어 있다. 상기 제1 부재(130)의 제3 부재 연결홈(132)과 제3 부재(140)의 제2 부재 연결홈(142)은, 각각 그에 수용되는 제3 부재(140)의 제1 부재 연결돌기(143)와 제2 부재(135)의 제3 부재 연결돌기(137)가 일정 폭만큼 움직일 수 있도록 유격(遊隔)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열차단판(145)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는 연결돌기(146)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돌기(146)는 제1 부재(130)의 가이드슬롯(131)을 관통하여 제3 부재(140)의 열차단판 연결홈(141)에 삽입 연결된다. 상기 열차단판(145)의 동작은 후술한다.
한편, 부싱(160)은 서로 동축상에 형성된 내경부(161)와 제1, 제2, 및 제3 외경부(162, 163, 164)를 구비한다. 플라텐롤러(125)의 샤프트(126)는 지지브라켓(150)의 중앙부에 형성된 지지홀(153)을 관통하여 상기 내경부(161)에 삽입된다. 상기 제1 외경부(162)는 상기 지지브라켓(150)의 지지홀(153)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제3 외경부(164)에는 회전캠(18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캠(180)은 외주면의 기어부(181)와, 서멀헤드(121)의 돌기(124)에 접촉되는 캠부(182)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캠(180)의 기어부(181)는 케이스(101, 도 2 또는 도 3 참조) 내부에 설치된 모터(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부싱(160)의 제2 외경부(163)는 상기 케이스(101) 내부의 측벽프레임(102)에 마련된 홀(104)에 삽입된다. 상기 회전캠(180)은 소정의 지지구(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3 외경부(164)와 분리되지 않게 지지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플라텐롤러(125), 지지브라켓(150), 및 회전캠(180)은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가진다.
상기 지지브라켓(150)은 원형의 외주(151)를 가지며, 상기 외주(151)에는 180도 이격된 제1 및 제2 결합홈(158, 159)이 마련된다. 상기 측벽프레임(102)에는 로킹부재(17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로킹부재(170)는 스프링(175)에 의해 상기 지지브라켓(150)의 외주(151)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상기 로킹부재(170)는 상기 회전캠(180)에 의하여 제1 또는 제2 결합홈(158, 159)으로부터 해제되고 스프링(175)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또는 제2 결합홈(158, 159)에 결합된다. 상기 로킹부재(170)는 제1 및 제2 결합홈(158, 159)에 결합되는 로킹돌기(171)와, 회전캠(180)의 캠부(183)와 간섭되는 간섭부(172)를 구비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인쇄 개시전에 서멀헤드(121)와 플라텐롤러(125)는 스프링(149)에 의해 압접되어 있다. 또한, 로킹부재(170)의 로킹돌기(171)가 제1 결합홈(158)에 걸려 있어 서멀헤드(121)는 플라텐롤러(125)의 아래측에 로킹된 상태이다.
인쇄를 위하여 상기 서멀헤드(121)는 플라텐롤러(125)로부터 이격된다. 도 6를 참조하면,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된 회전캠(180)이 C1 방향으로 회전하여 캠부(183)가 서멀헤드(121)의 돌기(124)를 아래방향인 D1 방향으로 민다. 로킹부재(170)의 로킹돌기(171)가 제1 결합홈(158)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지지브라켓(150)은 회전되지 않으나, 상기 돌기(124)는 관통홀(155)을 따라 아래로 밀리면서 상기 서멀헤드(121)가 힌지샤프트(123)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플라텐롤러(125)로부터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 기록매체(P)는 급지되어 서멀헤드(121)와 플라텐롤러(125) 사이로 안내된다.
도 6c를 참조하면,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캠(180)은 C2 방향으로 회전된다. 로킹부재(170)의 로킹돌기(171)가 제1 결합홈(158)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지지브라켓(150)은 여전히 회전될 수 없으며, 서멀헤드(121)는 스프링(149)의 탄성력에 의해 힌지샤프트(123)을 중심으로 위로 회동되어 플라텐롤러(125)에 다시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기록매체(P)는 급지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송되고 서멀헤드(121)의 발열에 의해 기록매체(P)의 아랫면 인쇄층(2, 도 4 참조)에 화상이 형성된다.
도 6d를 참조하면, 회전캠(180)이 C2 방향으로 회전되면, 캠부(183)는 간섭부(172)를 밀어 로킹부재(170)를 E1 방향으로 회동시키므로, 로킹돌기(171)는 제1 결합홈(158)으로부터 해제되고 지지브라켓(150)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캠부(183)가 C2 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하여 서멀헤드(121)의 돌기(124)를 밀면, 서멀헤드(121)가 D1 방향으로 이격되는 대신에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150)이 C2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지지브라켓(150)에 결합 지지된 서멀헤드(121)와 플라텐롤러(125)도 지지브라켓(150)과 함께 회전된다.
지지브라켓(150)이 180도 회전되면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75)의 탄성력에 의하여 로킹부재(170)가 E2 방향으로 회전되어 로킹돌기(171)가 제2 결합홈(159)에 결합되고 지지브라켓(150)은 로킹되어 더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서멀헤드(121)는 플라텐롤러(125)의 위측 외주면에 대면한다.
상기 로킹돌기(171)가 제2 결합홈(159)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캠(180)이 계속하여 C2 방향으로 회전함에 불구하고 지지브라켓(150)은 더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대신에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멀헤드(121)의 돌기(124)가 캠부(183)에 의해 관통홀(155)을 따라 밀리면서 서멀헤드(121)가 플라텐롤러(125)로부터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 기록매체(P)는 플라텐롤러(125)와 서멀헤드(121) 사이로 급지된다. 회전캠(180)이 다시 C1 방향으로 회전하면, 로킹돌기(171)가 제2 결합홈(159)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지지브라켓(150)은 회전되지 않으며, 대신에 도 6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멀헤드(121)의 돌기(124)가 관통홀(155)을 따라 이동하면서 서멀헤드(121)가 플라텐롤러(125)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기록매체(P)는 급지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재차 이송되고 서멀헤드(121)의 발열에 의해 기록매체(P)의 윗면 인쇄층(3, 도 4 참조)에 화상이 형성된다.
화상의 인쇄가 완료되면, 도 6i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캠(180)은 C1 방향으로 회전되고, 캠부(183)는 간섭부(172)를 밀어 로킹부재(170)를 E1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로킹돌기(171)가 제2 결합홈(159)으로부터 이격되어 지지브라켓(150)의 로킹이 해제된다. 상기 캠부(183)가 계속 회전하여 서멀헤드(121)의 돌기(124)를 밀면, 지지브라켓(150)은 로킹돌기(171)가 스프링(175)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결함홈(158)에 결합될 때까지 회전된다. 그러면, 서멀헤드(121)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 상태로, 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멀헤드(121)가 플라텐롤러(125)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다음번 인쇄를 위하여 대기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열차단판(145)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서멀헤드(121)와 플라텐롤러(125)가 접촉한 인쇄위치에서 는 제2 부재(135)의 제3 부재 연결돌기(137)가 제3 부재(140)의 제2 부재 연결홈(142)의 하측부에 수용되고, 제3 부재(140)의 제1 부재 연결돌기(143)는 제1 부재(130)의 제3 부재 연결홈(132)의 상측부에 수용된다. 또한, 열차단판(145)의 연결돌기(146)는 연결된 제3 부재(140)에 이끌려 플라텐롤러(125)와 이격된 가이드슬롯(131)의 일측부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열차단판(145)은 회피위치에 위치하여 인쇄매체(P)의 진행 경로를 방해하지 않는다.
도 7b를 참조하면, 서멀헤드(121)가 힌지샤프트(123)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플라텐롤러(125)와 이격된 해제위치로 이동하면 제2 부재(135)가 같은 각도로 회전하여 그 타측부의 제3 부재 연결돌기(137)가 제3 부재(140)의 제2 부재 연결홈(142) 내에서 제3 부재(140)의 중간부를 플라텐롤러(125)와 가까워지도록 가압한다. 상기 제3 부재(140)는 제2 부재(135)의 가압력에 의해 열차단판(145)의 연결돌기(146)를 가이드슬롯(131)의 타측부로 가압한다. 제1 부재(130)의 제3 부재 연결홈(132)은 수평방향보다는 상하방향으로 유격이 형성되어 있는 반면, 가이드슬롯(131)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부재(135)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3 부재(140)는 대체적으로 제1 부재 연결돌기(143)를 중심으로 제2 부재(135)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처럼 움직인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슬롯(131)을 관통하는 열차단판(145)의 연결돌기(146)는 상기 제3 부재 연결돌기(137)의 이동폭보다 더 큰 폭으로 플라텐롤러(125)를 향해 이동하여 열차단판(145)이 플라텐롤러(125)와 서멀헤드(121) 사이의 열차단위치로 돌출한다.
이와 같이 열차단위치로 돌출한 열차단판(145)은 예열된 서멀헤드(121)로부 터 플라텐롤러(125)로의 열전달을 억제하여 플라텐롤러(125)의 국부적인 온도상승을 방지한다. 상기 서멀헤드(121)가 다시 인쇄위치로 이동하면 열차단판(145)도 도 7a와 같이 다시 회피위치로 이동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감열방식 인쇄유닛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예열된 서멀헤드로부터 플라텐롤러로의 열전달을 억제함으로써 인쇄화상에 가로줄이 형성되는 인쇄품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플라텐롤러(platen roller);
    인쇄매체에 열을 가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플라텐롤러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인쇄위치와, 상기 인쇄위치로부터 소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플라텐롤러와 이격된 해제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서멀헤드(thermal head); 및,
    상기 서멀헤드의 회전과 연계하여 서멀헤드의 인쇄위치에서는 인쇄매체의 진행 경로에서 벗어난 회피위치에 위치하고, 해제위치에서는 플라텐롤러와 서멀헤드 사이의 열차단위치로 돌출되는 열차단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방식 인쇄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서멀헤드의 회전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열차단판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슬롯이 형성된 된 제1 부재와, 서멀헤드의 회전중심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상기 서멀헤드와 같은 각도로 회전하는 제2 부재와, 일측부는 상기 제1 부재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열차단판에 연결되며, 중간부는 상기 제2 부재의 타측부와 연결된 제3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서멀헤드가 해제위치로 회전 이동하면 제2 부재가 같은 각도로 회전하여 그 타측부가 제3 부재의 중간부를 플라텐롤러 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제3 부재의 타측부가 열차단판을 가압하여 상기 열차단판이 열차단위치로 돌출되도록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방식 인쇄유닛.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인쇄매체를 플라텐롤러와 서멀헤드 사이로 안내하는 가이드 프레임에 고정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방식 인쇄유닛.
  4. 제1 항에 있어서,
    인쇄매체의 양 면을 가열할 수 있게 플라텐롤러를 중심으로 상기 서멀헤드가 180도 회전하는 구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방식 인쇄유닛.
  5. 플라텐롤러(platen roller)와,
    인쇄매체에 열을 가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플라텐롤러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인쇄위치와, 상기 인쇄위치로부터 소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플라텐롤러와 이격된 해제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서멀헤드(thermal head)와,
    상기 서멀헤드의 회전과 연계하여 서멀헤드의 인쇄위치에서는 인쇄매체의 진행 경로에서 벗어난 회피위치에 위치하고, 해제위치에서는 플라텐롤러와 서멀헤드 사이의 열차단위치로 돌출되는 열차단판을 구비한 감열방식 인쇄유닛; 및,
    상기 감열방식 인쇄유닛을 향한 방향으로 또는 그 역방향으로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50071396A 2005-08-04 2005-08-04 감열방식 인쇄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20070016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1396A KR20070016592A (ko) 2005-08-04 2005-08-04 감열방식 인쇄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1396A KR20070016592A (ko) 2005-08-04 2005-08-04 감열방식 인쇄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592A true KR20070016592A (ko) 2007-02-08

Family

ID=43650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1396A KR20070016592A (ko) 2005-08-04 2005-08-04 감열방식 인쇄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65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50559B1 (en) An image forming device
US773143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rmal printing head and printing method thereof
US7198419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performing double-sided printing
US7367726B2 (en) Thermal image forming apparatus
US7336291B2 (en) Thermal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77585B1 (ko) Tph를 채용하는 화상형성장치
KR20070016592A (ko) 감열방식 인쇄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EP1627747A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0144971B1 (ko) 프린팅 장치
KR20060110487A (ko) Tph를 채용하는 화상형성장치
US20060290771A1 (en) Thermal image forming apparatus
US6222576B1 (en) Thermal printer
KR20060110488A (ko)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694103B1 (ko)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612016B1 (ko)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612013B1 (ko) 화상형성장치
KR100608003B1 (ko) 양면인쇄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KR20060110486A (ko)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JP3320167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の紙送り装置
JPH0441263A (ja) カラープリント装置
JP2004181733A (ja) プリンタの給紙機構
JPH06263302A (ja) プリンタ装置
JP2005112508A (ja) 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