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1602B1 - 전력 계측정보 통합수집 모듈 - Google Patents

전력 계측정보 통합수집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1602B1
KR100611602B1 KR1020050005788A KR20050005788A KR100611602B1 KR 100611602 B1 KR100611602 B1 KR 100611602B1 KR 1020050005788 A KR1020050005788 A KR 1020050005788A KR 20050005788 A KR20050005788 A KR 20050005788A KR 100611602 B1 KR100611602 B1 KR 100611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busbars
rstn
holes
z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5279A (ko
Inventor
박기주
김광순
Original Assignee
박기주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주,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filed Critical 박기주
Priority to KR1020050005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1602B1/ko
Publication of KR20060085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23D14/82Preventing flashback or blowback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반 또는 분전반의 부스바 전력라인 상에서 디지털 전력계측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일괄 수집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전력 계측정보 통합수집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전력 계측정보 통합수집 모듈은 4개의 RSTN 부스바를 관통시키기 위해 4개의 관통구(11,12,13,14)가 마련된 몸통부(10)와,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서 상기 4개의 관통구(11,12,13,14)를 통합하여 감싸도록 배치된 ZCT(16)와,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형성된 각 관통구(11,12,13,14)를 각각 독립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 각각의 CT(21,22,23,24)와, 4개의 RSTN 부스바(51,52,53,54)가 상기 몸통부 내부의 관통구(11,12,13,14)를 각각 관통할 때 각각의 부스바에 접촉되는 접속단자(41,42,43,44)와, 상기 RSTN 부스바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접속단자(41,42,43,44)에 각각 부착 설치되는 온도센서(31,32,33,34)와, 상기 접속단자(41,42,43,44)중 어느 2선로에서 전압을 인출하여 저전압을 생성하는 PT(17)와, 상기 ZCT, CT, PT, 온도센서 및 각 접속단자의 출력 값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터미널(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ZCT, PT, CT, 온도센서, 통합모듈, 부스바 관통구

Description

전력 계측정보 통합수집 모듈{Integral type power line data pickup modu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계측정보 통합수집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계측정보 통합수집 모듈의 회로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통부 11,12,13,14 : 관통구
15 : 터미널 16 : ZCT
17 : PT 21,22,23,24 : CT
31,32,33,34 : 온도센서 41,42,43,44 : 접속단자
51,52,53,54 : 부스바
본 발명은 배전반 또는 분전반에서 전력 계측정보 수집을 위한 통합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스바 관통 삽입 방식을 통하여 간편하게 전력라인 상에 설치 할 수 있고 또한 디지털 전력계측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일괄 수집할 수 있도록 한 전력 계측정보 통합수집 모듈에 관한 것이다.
분전반 또는 수배전반 그리고 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나 모터제어반 등에서는 전력의 수배급 및 제어를 위해 각종 전력상태 정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전력상태정보는 영상전류를 검출하는 ZCT(Zero-Phase Current Transformer)와 CT(Current Transformer) 및 PT(Power Transformer) 그리고 온도센서 등을 통하여 수집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디지털 제어용 전력상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 부스바 등의 전력선로상에 위에서 설명한 ZCT, CT, PT, 온도센서 등을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장착 설치하여 필요한 전력 정보를 수집하고 있었기 때문에 개별 센서류의 설치 작업에 따른 별도의 노력과 시간이 요구되고 있었다.
따라서 분전반이나 수배전반 등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정보의 수집을 위해 각종 센서류를 설치하는 작업에 표준화를 도입할 수 없어 제품 생산성의 향상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전력계측제어를 위한 종래의 전력정보수집상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반 또는 분전반에서 전력 계측정보 수집을 위한 통합 모듈의 몸통부에 RSTN 부스바 관통 삽입구를 마련하고 이 관통 삽입구에 부스바를 삽입 장착시키는 것만으로 전력계측에 필요한 일체의 전력정보를 간편하게 수집할 수 있도록 한 전력 계측정보 통합수집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합모듈은 4개의 RSTN 부스바를 관통시키기 위해 4개의 관통구가 마련된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서 상기 4개의 관통구를 통합하여 감싸도록 배치된 ZCT와,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형성된 각 관통구를 각각 독립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 각각의 CT와, 4개의 RSTN 부스바가 상기 몸통부 내부의 관통구를 각각 관통할 때 각각의 부스바에 접촉되는 접속단자와, 상기 RSTN 부스바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접속단자에 각각 부착 설치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접속단자 중 어느 2선로에서 전압을 인출하여 저전압을 생성하는 PT와, 상기 ZCT, CT, PT, 온도센서 및 각 접속단자의 출력 값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터미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계측정보 통합수집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그의 A-A선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력 계측정보 통합수집 모듈은 4개의 RSTN 부스바를 관통시키기 위해 4개의 관통구(11,12,13,14)가 마련된 몸통부(10)와,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서 상기 4개의 관통구(11,12,13,14)를 통합하여 감싸도록 배치된 ZCT(16)와,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형성된 각 관통구(11,12,13,14)를 각각 독립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 각각의 CT(21,22,23,24)와, 4개의 RSTN 부스바(51,52,53,54)가 상기 몸통부 내부의 관통구(11,12,13,14)를 각각 관통할 때 각각의 부스바에 접촉되는 접속단자(41,42,43,44)와, 상기 접속단자(41,42,43,44)중 어느 2선로에서 전압을 인출하여 저전압을 생성하는 PT(17)와, 상기 ZCT, CT, PT 및 각 접속단자의 출력 값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몸통부의 외측에 마련되는 터미널(15)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몸통부 내부의 접속단자(41,42,43,44)에는 RSTN 각상의 부스바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온도센서(31,32,33,34)를 밀착 고정시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센서(31,32,33,34)를 각 접속단자(41,42,43,44)에 밀착 고정시키는 이유는 각 관통홈(11,12,13,14)을 통과하는 각각의 부스바(51,52,53,54)의 온도를 최대한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회로구성도로서 RSTN 전력라인 상에서 영상변류 신호를 검출하는 ZCT(16)의 영상출력과, RST의 3상중 2상에서 접속단자를 통해 전압을 인출하고 이렇게 인출된 전압을 저전압으로 변환하는 PT(17)의 전압출력과, 각 상마다 설치되어 상전류를 검출하는 CT(21,22,23,24)의 전류출력과, 각각의 부스바 단자에 접속되어 상전압을 인출하는 접속단자(41,42,43,44)의 출력과, 상기 RSTN 부스바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31,32,33,34)의 출력은 모두 터미널(15)에 나타나게 배선함으로서, 이 터미널(15)출력을 이용하여 별도의 콘트롤러(도시생략)에서 전력계측정보를 생성하고 처리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나의 몸통부(10)내에 ZCT(16)와 PT(17)와 CT(21-24)등이 내장된 본 발명 통합모듈의 관통구(11-14)를 RSTN의 부스바(51-54)에 맞추어 삽입시킨다.
이때 각각의 RSTN 부스바(51-54)는 CT(21-24)와 ZCT(16)를 통과하면서 또한 각 부스바의 한 표면은 각각의 접속단자(41-44)와 긴밀하게 밀착되어 당접하게 된 다.
RSTN 부스바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각각의 라인마다 설치된 CT(21-24)에서는 해당 라인의 전류변화를 감지하여 터미널(15)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게 되고, ZCT(16)를 통해서는 RSTN의 영상전류를 검출한다. 이렇게 검출된 영상전류도 터미널(15)에 나타나게 된다.
부스가 관통하는 몸통부(10)의 중앙 지점에서 부스바(51-54)와 접촉하고 있는 접속단자(41-44)들은 단자간 전압을 상기 터미널(15)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게 되며, 그중 일부는 PT(17)를 통해 저전압으로 변환되어 상기 터미널(15)을 통해 출력되게 된다.
이렇듯 터미널(15)에는 통합모듈에서 센싱된 모든 정보가 나타나게 되며,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갖는 신호처리 콘트롤러(도시생략)를 통해 각종 전력관련 현재정보 및 제어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위에서는 도 1,2에서 참고 되는 바와 같이, RSTN 부스바가 서로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또한 길이방향의 넓은 면끼리 대향하고 있는 상태로 배치된 예를 보이고 있으나 이러한 부스바 및 몸통부의 관통홈 구조로 이 발명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점에 관해서는 도 4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길이방향으로 평행하면서 서로 인접 부스바 끼리는 좁은 면이 대향하도록 하여 수평면과 나란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은 당업자 수준에서의 설계적 변경사항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배전반 또는 분전반에서 전력 계측정보 수집을 위한 통합 모듈의 몸통부에 RSTN 부스바 관통삽입구를 마련하고 그 몸통부의 내부에는 각종 전력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ZCT, PT, CT, 온도센서 등을 장착시킨 다음 상기 관통 삽입구에 각 상의 부스바를 삽입 관통시키는 것만으로도 간단하고 신속하게 각종 전력계측에 필요한 일체의 전력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한다.

Claims (2)

  1. 4개의 RSTN 부스바를 관통시키기 위해 4개의 관통구(11,12,13,14)가 마련된 몸통부(10)와,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서 상기 4개의 관통구(11,12,13,14)를 통합하여 감싸도록 배치된 ZCT(16)와,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형성된 각 관통구(11,12,13,14)를 각각 독립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 각각의 CT(21,22,23,24)와, 4개의 RSTN 부스바(51,52,53,54)가 상기 몸통부 내부의 관통구(11,12,13,14)를 각각 관통할 때 각각의 부스바에 접촉되는 접속단자(41,42,43,44)와, 상기 접속단자(41,42,43,44)중 어느 2선로에서 전압을 인출하여 저전압을 생성하는 PT(17)와, 상기 ZCT, CT, PT 및 각 접속단자의 출력 값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몸통부의 외측에 마련되는 터미널(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계측정보 통합수집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 내부의 접속단자(41,42,43,44)에는 RSTN 각상의 부스바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센서(31,32,33,34)가 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계측정보 통합수집 모듈.
KR1020050005788A 2005-01-21 2005-01-21 전력 계측정보 통합수집 모듈 KR100611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788A KR100611602B1 (ko) 2005-01-21 2005-01-21 전력 계측정보 통합수집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788A KR100611602B1 (ko) 2005-01-21 2005-01-21 전력 계측정보 통합수집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279A KR20060085279A (ko) 2006-07-26
KR100611602B1 true KR100611602B1 (ko) 2006-08-10

Family

ID=37175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788A KR100611602B1 (ko) 2005-01-21 2005-01-21 전력 계측정보 통합수집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16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929B1 (ko) * 2009-02-10 2009-07-02 주식회사 아이파워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0080A (ja) * 1995-09-14 1997-03-28 Yazaki Corp 電流検出装置の磁気コア保護構造
KR19980039685A (ko) * 1996-11-28 1998-08-17 이종훈 주상변압기 부하관리용 측정장치 및 방법
KR200190768Y1 (ko) * 2000-03-09 2000-08-01 주식회사케이디파워 일체형 전류/영상 전류 검출기
JP2003004775A (ja) 2001-06-19 2003-01-08 Sumitomo Wiring Syst Ltd 車両搭載用電流センサー
KR20040082815A (ko) * 2003-03-20 2004-09-30 엘지산전 주식회사 전압/전류 센서
KR200387363Y1 (ko) * 2005-03-15 2005-06-17 (주)대한메텍스 전자식 전력량계의 터미널블록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0080A (ja) * 1995-09-14 1997-03-28 Yazaki Corp 電流検出装置の磁気コア保護構造
KR19980039685A (ko) * 1996-11-28 1998-08-17 이종훈 주상변압기 부하관리용 측정장치 및 방법
KR200190768Y1 (ko) * 2000-03-09 2000-08-01 주식회사케이디파워 일체형 전류/영상 전류 검출기
JP2003004775A (ja) 2001-06-19 2003-01-08 Sumitomo Wiring Syst Ltd 車両搭載用電流センサー
KR20040082815A (ko) * 2003-03-20 2004-09-30 엘지산전 주식회사 전압/전류 센서
KR200387363Y1 (ko) * 2005-03-15 2005-06-17 (주)대한메텍스 전자식 전력량계의 터미널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929B1 (ko) * 2009-02-10 2009-07-02 주식회사 아이파워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279A (ko) 200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4922B2 (en) Measuring system for monitoring at least one phase of a system
JP6594020B2 (ja) 分電盤
KR100681801B1 (ko) 디지털 분전반
KR101629406B1 (ko) 분,배전반용 일체형 전력 모니터링장치
JP6043977B2 (ja) 分電盤
KR100611602B1 (ko) 전력 계측정보 통합수집 모듈
JP4514124B2 (ja) 電流検出器内蔵プラグユニット
JP6083017B2 (ja) 電流計測用アダプタ
JP6083018B2 (ja) 電流計測部材
KR200447832Y1 (ko) 무접점식 전자식 전력량계
KR20160032844A (ko) 스마트 분전반
JP6173739B2 (ja) 分電盤
JP5871132B2 (ja) 電力計測ユニットおよび分電盤
WO2020008844A1 (ja) 電気回路装置
JP6649470B2 (ja) 単相多重回路計測装置
JP6019424B2 (ja) 配電機器への電流センサ装着構造
JP6400431B2 (ja) 分電盤計測装置
KR101653227B1 (ko) 전력 측정모듈을 구비한 연결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분전반
JP2009140680A (ja) 電流センサ付端子台
JP6019423B2 (ja) 電流計測用アダプタ
JP6433336B2 (ja) 分電盤
KR200442853Y1 (ko) 변류기가 내장된 삼상용 차단기
KR20190081128A (ko) 분전반용 전력량계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JP2005300364A (ja) 計測表示装置
KR200182536Y1 (ko) 입출력분리형 전자식 전력량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