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2844A - 스마트 분전반 - Google Patents

스마트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2844A
KR20160032844A KR1020140123430A KR20140123430A KR20160032844A KR 20160032844 A KR20160032844 A KR 20160032844A KR 1020140123430 A KR1020140123430 A KR 1020140123430A KR 20140123430 A KR20140123430 A KR 20140123430A KR 20160032844 A KR20160032844 A KR 20160032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distribution board
main
digital meter
local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3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양석
Original Assignee
박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양석 filed Critical 박양석
Priority to KR1020140123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2844A/ko
Publication of KR20160032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8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3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for energy 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전반의 차단기의 전력량, 전압, 전류 등의 검출할 수 있는 디지털 미터를 갖는 스마트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 외함 내에 수납 설치되는 메인 부스바와, 이 메인 부스바와 조립되어 전기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지는 분기 부스바를 포함하여 메인 전원의 모선으로부터 사용하고자 하는 전기부하별로 전원을 분배하게 되는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분기 부스바(110)에 고정되어 전원 신호의 레벨을 변환하기 위한 신호레벨변환부(140)를 포함하게 되는 부스바 커넥터 조립체(100)와; 상기 부스바 커넥터 조립체(110) 상부에 조립되어 상기 신호레벨변환부(140)의 신호를 검출하고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갖는 디지털미터 유니트(200);를 포함하되, 상기 디지털미터 유니트(200)는, 최소한 두 개 이상이 서로 직렬로 조립되어 상기 신호레벨변환부의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이 가능한 복수의 로컬 디지털미터(210)와; 상기 로컬 디지털미터(210)와 직렬로 조립되어 상기 복수의 로컬 디지털미터(21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멀티미터(2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분전반{Smart power distribution board}
본 발명은 분전반의 차단기의 전력량, 전압, 전류 등의 검출할 수 있는 디지털 미터를 갖는 스마트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분전반은 건물의 각층과 방 또는 공장 등에서 각각의 장치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메인 전원의 모선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전기부하별로 전원을 분배하여 공급하며, 한편 전원 공급 시에 과부하로 인한 과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배선용 차단기와, 선로의 누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누전차단기로 구성되어 각각의 부하기기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분전반은 분전함 내에 메인 배선용 차단기 및 누전 차단기, 그리고 메인 차단기 및 누전 차단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스바들로 이루어지며, 전력의 공급 및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각 차단기에 연결되는 선로의 노출을 방지하여 누전,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분전반의 부스바 체결방식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종래기술의 분전반은, 수전단자들과 분전단자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수전단자에 연결되는 부스바와 분전단자 사이에 전선을 볼트로 체결하여 조립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부스바 체결방식은 분전반 제품의 제작 시에 부스바와 전선의 연결 부위에 볼트 체결용 홀을 가공하여 볼트로 조여서 고정하여야 하므로, 많은 작업 시간이 소요되고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제20-0446961호(공고일자: 2009.12.11)에서는 전선을 이용하지 않고 클립 타입으로 분기 부스바를 메인 부스바에 끼워 조립하는 클립 타입의 부스바 커넥터가 제안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등록특허공보 제10-1236917호(공고일자: 2013.02.25)에서는 조립이 용이하고 부피가 상대적으로 작게 제작이 가능한 조립식 컴팩트형 표준 분전반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이, 분전반은 다수의 부품이 조립되어 구성되므로 복잡한 제조공정을 개선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와 개발이 이어지고 있으며, 또한 분전반은 용량에 따른 외함의 크기를 표준화하기 어려워서 제작비용 절감에서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분전반의 차단기에 센서를 내장하여 전기사용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며, 누설전류, 과전류, 아크 등의 다양한 상태 정보의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분전반이 나와 있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공보 제10-0809910호(공고일자: 2008.03.06)는 누전, 절연저항, 과전류 및 부스바의 온도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 표시하고 이상 조건이면 경보와 차단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디지털 분전반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디지털 미터가 설치된 분전반을 보여주는 사진으로, 외함 내에 디지털 미터(DM)가 배치되는 경우에 디지털 미터(DM)가 배치될 수 있도록 외함의 폭(W)을 길게 제작해야 한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디지털 미터가 설치된 분전반의 레이아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이와 같이 제한된 크기의 외함에 다수의 구성 부품의 조립이 이루어지는 분전반에 스마트 기능을 위한 디지털 미터의 설치가 요구됨에 따라서 외함의 사이즈는 필연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외함 사이즈의 표준화가 더욱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공보 제10-1302576호(공고일자: 2013.08.27)에서 디지털 미터가 마련되는 스마트 분전반에 있어서 조립이 편리하고 외함의 사이즈를 표준화할 수 있는 스마트 분전반을 제안하였으며, 본 출원은 이를 더욱 개량하여 조립성과 확정성이 용이 스마트 분전반을 청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46961호(공고일자: 2009.12.11)
등록특허공보 제10-1236917호(공고일자: 2013.02.25)
등록특허공보 제10-0809910호(공고일자: 2008.03.06)
등록특허공보 제10-1302576호(공고일자: 2013.08.27)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디지털 미터가 마련되는 스마트 분전반에 있어서 조립이 편리하고 외함의 사이즈를 표준화할 수 있으며, 확장성이 용이한 스마트 분전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분전반은, 외함 내에 수납 설치되는 메인 부스바와, 이 메인 부스바와 조립되어 전기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지는 분기 부스바를 포함하여 메인 전원의 모선으로부터 사용하고자 하는 전기부하별로 전원을 분배하게 되는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분기 부스바에 고정되어 전원 신호의 레벨을 변환하기 위한 신호레벨변환부를 포함하게 되는 부스바 커넥터 조립체와; 상기 부스바 커넥터 조립체 상부에 조립되어 상기 신호레벨변환부의 신호를 검출하고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갖는 디지털미터 유니트;를 포함하되, 상기 디지털미터 유니트는, 최소한 두 개 이상이 서로 직렬로 조립되어 상기 신호레벨변환부의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이 가능한 복수의 로컬 디지털미터와; 상기 로컬 디지털미터와 직렬로 조립되어 상기 복수의 로컬 디지털미터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멀티미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 멀티미터는 상기 복수의 로컬 디지털미터와 버스 방식으로 검출 신호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컬 디지털미터는, 직렬 조립 방향의 두 조립면에 버스용 커넥터부가 마련되어 로컬 디지털미터의 검출 신호가 메인 멀티미터로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컬 디지털미터는, 직렬 조립 방향의 두 조립면에 메인 멀티미터에서 전달되는 전압신호가 인가되는 전압용 커넥터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 멀티미터는 외부와 데이터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분전반은, 디지털미터 유니트가 외함에 다른 구성부품과 함께 평면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부스바 커넥터 조립체의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외함 사이즈를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배전반을 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분전반의 용량이 증가하더라도 외함 폭을 크게 설정할 필요가 없이 모듈화된 로컬 디지털미터를 직렬로 조립하여 제작이 가능하며, 또한 로컬 디지털미터의 검출 신호를 별도의 배전 작업을 배제할 수 있어서 확장성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분전반의 부스바 체결방식을 보여주는 사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디지털 미터가 설치된 분전반을 보여주는 사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디지털 미터가 설치된 분전반의 레이아웃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분전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분전반에 있어서, 부스바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분전반에 있어서, 부스바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분전반에 있어서, 부스바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분전반에 있어서, 디지털미터 유니트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분전반에 있어서, 단일 로컬 디지털미터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분전반에 있어서, 단일 로컬 디지털미터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분전반의 설치예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분전반은 분기 부스바가 부스바 커넥터 조립체(100)로 모듈화되고 부스바 커넥터 조립체(100) 상부에 디지털미터 유니트(200)가 설치되어 부스바 커넥터 모듈을 제작한 후에 외함에 설치된 메인 부스바와 수직으로 교차하여 부스바 커넥터 모듈을 조립하여 분전반의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디지털미터 유니트(200)는 최소한 두 개 이상이 서로 직렬로 조립되어 신호레벨변환부(140)의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이 가능한 복수의 로컬 디지털미터(210)와; 로컬 디지털미터(210)와 직렬로 조립되어 복수의 로컬 디지털미터(21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멀티미터(220);를 포함한다.
도면부호 151은 주전원차단기로써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전원이 입력되며, 도면부호 152는 주전원차단기로부터 전원을 분배받아 출력하거나 분배받은 전원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분전반에 있어서, 부스바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분전반에 있어서, 부스바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부스바 커넥터 조립체(100)는 분기 부스바(110)와, 분기 부스바(110)와 고정되어 메인 부스바와 탄성적으로 끼움 조립이 가능한 탄성클립부(120)와, 분기 부스바(110)와 탄성클립부(120)를 수납하여 고정하게 되는 하우징(130)과, 분기 부스바(110)에 고정되어 전원 신호의 레벨을 변환하기 위한 신호레벨변환부(140)를 포함한다.
부스바 커넥터 조립체(100) 상부에는 로컬 디지털미터(210)가 안착되어 고정되며, 이때 별도의 브라켓(101)이 설치되어 로컬 디지털미터(210)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로컬 디지털미터(210) 하부는 신호레벨변환부(140)와 접촉하여 부스바에 인가된 전원 신호를 검출하여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로컬 디지털미터(210)는 두 개 이상의 서로 직렬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써 분전반의 용량에 따라서 쉽게 증설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관련 도면을 참고하여 다시 설명한다.
부스바 커넥터 조립체(100)의 하우징(130) 상부에는 다수의 안착돌기(133)가 돌출 형성되며, 안착돌기(133)에는 나사체결공이 마련되어 브라켓(101)과 나사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브라켓(101)과 로컬 디지털미터(210)는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주지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로컬 디지털미터(210)는 결합돌기가 마련되어 브라켓 또는 부스바 커넥터 조립체와 직접 결합돌기가 끼움 결합되어 조립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신호레벨변환부(140)는 주지의 변성기(PT) 또는 변류기(CT)이며, 분기 부스바(110)와 결합되어 분기 부스바에 인가된 전원 신호(전압 또는 전류)를 디지털 미터(200)에서 검출 가능한 신호 수준으로 신호 레벨을 변환한다.
본 실시예에서 부스바 커넥터 조립체(100)는 3개가 하나의 단위를 구성하여 로컬 디지털미터(210)와 조립되어 삼상 전원용 부스바 커넥터 모듈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단상 전원용 부스바 커넥터 모듈은 하나의 분기 부스바를 갖는 부스바 커넥터 조립체에 하나의 디지털 미터가 조립되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예시된 것과 같이, 분기 부스바(110)는 직사각형의 금속 재질의 판재이며, 탄성클립부(120)와 조립되어 메인 부스바와는 수직으로 교차하여 설치되며, 양단은 분기차단기(152)(도 4 참고)와 결합된다. 분기 부스바(110)는 양단에 분기차단기와 결합을 위한 제1조립공(111)이 형성되며, 탄성클립부(120)와 나사 조립을 위한 제2조립공(112)이 형성되고 제2조립공(112)은 탄성클립부(120)의 조립 위치(RSTN)와 대응하여 4개의 홀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탄성클립부(120)는 분기 부스바(110)의 제2조립공(112)과 체결부재에 의해 조립되어 분기 부스바(110)와 고정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클립부(120)의 체결부재로써 볼트(B1)를 예시하여 볼트와 너트에 의해 탄성클립부(120)의 조립이 이루어짐을 보여주고 있다.
하우징(130)은 분기 부스바(110)와 탄성클립부(120)를 고정하게 되는 절연 재질로써, 분기 부스바(110)와 탄성클립부(120)를 감싸는 구조이며 메인 부스바와 직접 조립되는 탄성클립부(120)가 직접 바깥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의 오염물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고 탄성클립부(120)를 보호한다.
하우징(130)은 메인 부스바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하방으로 개구되어 인입 형성된 최소한 두 개 이상의 요홈(131a)이 형성된 삽입부(131)를 갖는다. 삽입부(131)에 형성되는 요홈(131a)은 서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어 메인 부스바의 삽입이 이루어진다.
하우징(130)은 제1하우징(130a)과 제2하우징(130b)으로 구성되어 제2체결부재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2체결부재로써 다수의 볼트(B2)를 예시하고 있으며, 제1하우징(130a)과 제2하우징(130b)은 볼트 이외에 나사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제1하우징(130a)과 제2하우징(130b)은 조립되는 분기 부스바(110)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된 구조를 가지며, 분기 부스바(110)와 탄성클립부(1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요홈 또는 돌기 구조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고하면, 하우징(130) 내에서 탄성클립부(120) 상단이 분기 부스바(110)와 볼트에 의해 조립되어 고정되며,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30)은 제1탄성부(122)의 각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지지부가 마련되어 지지부에 의해 제1탄성부의 탄성 변형량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는 제1탄성부(122)의 각 외측면과 대면하여 분기 부스바와 수직한 하우징(130)의 측벽면(132)에 의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제1탄성부(122)는 바깥으로 벌어져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하우징(130)의 측벽면(132)에 의해 지지되어 바깥으로 벌어지는 것이 제한되며, 이때 메인 부스바(30)와 제1,2탄성부(122)(123)는 서로 면접촉되어 많은 접촉면을 갖게 되어 안정적인 전기적 특성도 확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탄성부(122)의 각 외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로써,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측벽면을 예시하였으나 제1탄성부의 벌어짐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우징 내에 마련될 하나 또는 다수의 돌기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부스바 커넥터 조립체는 조립되는 메인 부스바의 위치에 따라서 하우징(130) 내에 탄성클립부(120)를 끼워서 조립하고 메인 부스바에 끼워 조립하여 메인 부스바와 분기 부스바를 쉽게 조립할 수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부스바 커넥터 조립체가 부스바와 메인부스바를 고정하게 되는 탄성클립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부스바와 메인부스바가 서로 볼트로 조립되어 분기 부스바에 신호레벨변환부가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디지털미터 유니트는 볼트로 조립된 부스바와 메인부스바 조립체 상부에 설치되며, 이때 부스바와 메인부스바 조립체 상부에는 하우징이 구비되어 디지털미터 유니트는 하우징 상부에 설치될 수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분전반에 있어서, 디지털미터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디지털미터 유니트(200)는, 최소한 두 개 이상이 서로 직렬로 조립이 이루어져 신호레벨변환부의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이 가능한 복수의 로컬 디지털미터(210)와, 로컬 디지털미터와 직렬로 조립되어 복수의 로컬 디지털미터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멀티미터(220)를 포함한다.
각 로컬 디지털미터(210)는 각 분기별 신호레벨변환부에서 검출된 전류, 전압, 주파수의 검출이 이루어지며, 연산 처리를 위한 프로세서가 구비되어 전력, 전력량, 주파수, 역률, 유효전력, 유효 전력량 등을 산출할 수 있다.
각 로컬 디지털미터(210)는 디스플레이(211)가 마련되어 검출 또는 연산된 정보의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로컬 디지털미터(210)는 양 측부에 신호레벨변환부와 연결되는 커넥터(212)가 마련된다.
또한 각 로컬 디지털미터(210)는 메인 멀티미터(220)와 버스 방식으로 데이터의 통신이 이루어지며, 이를 위하여 직렬 조립 방향의 두 조립면에 버스용 커넥터부(213)가 마련되어 직렬 조립되는 로컬 디지털미터(210)의 검출 데이터는 메인 멀티미터(220)로 전송될 수 있다.
버스용 커넥터부(213)는 어드레스 라인과 데이터 라인으로 구성되며, 각 로컬 디지털미터의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메인 멀티미터(220)는 각 로컬 디지털미터(210)를 구분하여 데이터를 전달받게 된다.
메인 멀티미터(220)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221)가 마련되며, 채널별 파라미터(전압, 전류, 전력량 등)를 출력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분전반 외부와 데이터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원격지로 분전반의 각종 검출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여 분전반의 원격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직렬로 가조립되는 로컬 디지털미터(210)는 로컬 디지털미터(210)를 관통하여 조립되는 장볼트(201)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분전반에 있어서, 단일 로컬 디지털미터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분전반에 있어서, 단일 로컬 디지털미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로컬 디지털미터(210)는, 디바이스가 실장되어 적층 형성된 복수의 PCB(215)와, PCB(215)를 수납하여 고정하게 되는 케이스(210a)(210b)로 구성되며, 케이스(210a)(210b)는 나사로 조립된다.
특히 상부에 위치하는 PCB(215)는 디스플레이(211)가 마련되고 딥스위치(211a)가 인접하게 구비되어 기능의 선택이 이루어진다.
도면부호 214는 메인 멀티미터에서 출력되는 전압신호가 인가될 수 있도록 전압용 커넥터부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분전반의 설치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분전반의 메인 멀티미터는 RS485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마련되어 1.2 Km까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여 원격지에서도 분전반의 상태를 직접 모니터링하고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부스바 커넥터 조립체 110 : 분기 부스바
120 : 탄성클립부 121 : 고정부
122 : 제1탄성부 123 : 제2탄성부
130 : 하우징 140 : 신호레벨변환부
200 : 디지털미터 유니트 210 : 로컬 디지털미터
220 : 메인 멀티미터

Claims (5)

  1. 외함 내에 수납 설치되는 메인 부스바와, 이 메인 부스바와 조립되어 전기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지는 분기 부스바를 포함하여 메인 전원의 모선으로부터 사용하고자 하는 전기부하별로 전원을 분배하게 되는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분기 부스바에 고정되어 전원 신호의 레벨을 변환하기 위한 신호레벨변환부를 포함하게 되는 부스바 커넥터 조립체와;
    상기 부스바 커넥터 조립체 상부에 조립되어 상기 신호레벨변환부의 신호를 검출하고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갖는 디지털미터 유니트;를 포함하되,
    상기 디지털미터 유니트는,
    최소한 두 개 이상이 서로 직렬로 조립되어 상기 신호레벨변환부의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이 가능한 복수의 로컬 디지털미터와;
    상기 로컬 디지털미터와 직렬로 조립되어 상기 복수의 로컬 디지털미터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멀티미터;를 포함하는 스마트 분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멀티미터는 상기 복수의 로컬 디지털미터와 버스 방식으로 검출 신호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분전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디지털미터는, 직렬 조립 방향의 두 조립면에 버스용 커넥터부가 마련되어 로컬 디지털미터의 검출 신호가 메인 멀티미터로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분전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디지털미터는, 직렬 조립 방향의 두 조립면에 메인 멀티미터에서 전달되는 전압신호가 인가되는 전압용 커넥터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분전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멀티미터는 외부와 데이터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분전반.
KR1020140123430A 2014-09-17 2014-09-17 스마트 분전반 KR20160032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430A KR20160032844A (ko) 2014-09-17 2014-09-17 스마트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430A KR20160032844A (ko) 2014-09-17 2014-09-17 스마트 분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844A true KR20160032844A (ko) 2016-03-25

Family

ID=55645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3430A KR20160032844A (ko) 2014-09-17 2014-09-17 스마트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284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912A (ko) * 2018-12-13 2020-06-23 이기현 배전반용 모듈 조립식 전원 분배장치
KR20210104832A (ko) * 2018-12-21 2021-08-25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장착 판 상에 배열된 전기 개폐기의 전기 구성요소의 로봇 지원 배선 방법
KR102343845B1 (ko) * 2021-01-13 2021-12-27 김진복 It 융합 블록 조립식 키트형 분전반 및 이를 이용하여 분전반 이상 징후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912A (ko) * 2018-12-13 2020-06-23 이기현 배전반용 모듈 조립식 전원 분배장치
KR20210104832A (ko) * 2018-12-21 2021-08-25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장착 판 상에 배열된 전기 개폐기의 전기 구성요소의 로봇 지원 배선 방법
KR102343845B1 (ko) * 2021-01-13 2021-12-27 김진복 It 융합 블록 조립식 키트형 분전반 및 이를 이용하여 분전반 이상 징후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12966B1 (en) Plug-in circuit breaker assembly including insulative retainers
US9425603B2 (en) Bus plug apparatus using multiple interconnected enclosures
US8488302B2 (en) Circuit breaker panel
US9088644B2 (en) Removable sensor modules
US6865073B2 (en) Panelboard metering arrangement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KR20160032844A (ko) 스마트 분전반
AU2015303065A1 (en) Vertical fuse-carrying base
KR100534588B1 (ko) 전력장치용 차단기
KR101302576B1 (ko) 스마트 분전반
JP2012248140A (ja) サーバシステムにおける直流電源の給電構造
TWI755262B (zh) 電力分配盤
US9263860B2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switchgear assembly, and mounting member therefor
CN212162335U (zh) 过压放电装置
KR100709981B1 (ko) 수배전반 배선용 차단기
US10297985B2 (en) Modular electrical device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nd mounting the same
KR101447117B1 (ko) 클립타입의 부스바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분전반
JP6424547B2 (ja) 分電盤
CN113437592B (zh) 连接装置和机电组件
US8932088B2 (en) Anti-turn mechanism for multiple connector sizes
JP2005300364A (ja) 計測表示装置
HU220263B (hu) Szerkezet villamos készülékek, szerelvények áramköri elosztóba való bekötéséhez
KR200411969Y1 (ko) 수배전반 배선용 차단기
KR20180047532A (ko) 배전반 및 그 조립 방법
JP4607363B2 (ja) 分電盤の分岐ブレーカー1次送り接続構造
KR20150078398A (ko) 클립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분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