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5929B1 -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5929B1
KR100905929B1 KR1020090010539A KR20090010539A KR100905929B1 KR 100905929 B1 KR100905929 B1 KR 100905929B1 KR 1020090010539 A KR1020090010539 A KR 1020090010539A KR 20090010539 A KR20090010539 A KR 20090010539A KR 100905929 B1 KR100905929 B1 KR 100905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sensor module
main body
voltage cabl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주
강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파워
디아이케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파워, 디아이케이(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파워
Priority to KR1020090010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5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istribution gear, e.g. bus-bar systems; for switch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기의 고압 케이블에 온도 및 전류를 검출하여 원격으로 관리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고압 케이블의 온도 및 전류를 검출하여 외부로 전달하는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은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각각 덮는 제 1, 제 2 케이스 덮개와, 상기 본체 케이스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본체 케이스를 관통하는 고압 케이블의 전류를 검출하는 자기장 유도기와, 상기 본체 케이스를 관통하여 양측면으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상기 본체 케이스를 관통하는 고압 케이블과 접촉하여 온도를 검출하는 도전성 라인과, 상기 본체 케이스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자기장 유도기 및 도전성 라인으로부터 검출된 고압 케이블의 전류 및 온도 정보를 입력받아 전원을 생성하여 공급함과 아울러 온도 및 전류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제어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배전반,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 온도, 전류, 고압 케이블

Description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Distributing Board With A Wireless Direct Thermal Sensor Module}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온도 및 전류를 검출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학교, 건물 등의 여러분야의 작업장에서, 전력을 사용하여 소정의 작업을 행하는 장비는 전원을 공급하는 본체, 이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실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기, 및 본체로부터 작업기까지 전력을 전송하는 케이블로 이루어져 있다.
대부분의 작업장에서 본체와 작업기는 인접해 있기보다는 비교적 원거리로 격리되어 있다. 또한, 여러분야의 작업장의 소비 전력의 상태를 감지하는 중앙 통제소가 있으며, 이 중앙 통제소는 작업장에 과부하로 인한 화재 발생 위험을 감시하고, 이 감시 결과를 작업장이 상주해 있는 작업자에게 알려주며, 작업자는 이에 대한 조치를 취하여 화재 발생을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력의 감시를 위하여 모든 작업장에서는 중앙 통제소의 감시 결과를 통제받는 작업자가 항상 대기하고 있어야 하므로, 이는 인건비 상승의 원인이 되고, 또한 작업자가 적절한 제어 동작을 취하지 않은 경우 전력 손실은 물론 엄청난 재해가 종종 발생할 수도 있는 위험성이 항상 내재해 있었다.
일반적으로 특고압의 전기를 공급받아 그 용도에 맞게 적정 전압으로 변압시키기 위해서는 수배전반 또는 수배전 장치(이하, "수배전반"이라 칭한다)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수배전반은 사용하는 과정에서 인체의 감전 및 화재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하여 외부와의 직접적인 접촉제한 및 내부 점검이나 유지보수를 위한 개폐형 배전함 도어가 장착된 절연 함체와 즉, 수배전반 몸체와 연속적이며 균일한 공급전압에 대한 신뢰성을 감안하여 함체 내부에 차단기나 피뢰기와 같은 각종 보호장비의 설치가 필수적인 설비요건이 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건물 및 산업용 공장 등에 사용하는 수배전반은 전기의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변압기의 고압측으로 고압의 전기가 인가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고압측의 온도 및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온도 상승 및 열화로 인한 정전사고로 인한 경제적 손실도 증가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정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접속불량 및 열화를 종래에는 적외선방식 접속부 온도감시 장치를 사용했는데, 부스바에는 적외선파장이 회절되어 측정오차가 발생함으로서 정확한 온도검출이 불가능하고 고압부에 굴절된 장소에는 측정이 불가능하고 고압부이기 때문에 측정위험이 따르며 가격도 고가이며 다수의 개소를 연속적으로 측정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변압기의 고압 케이블에 온도 및 전류를 검출하여 원격으로 관리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은 수배전반 몸체와, 상기 수배전반 몸체의 후방에 형성된 인입구와, 상기 수배전반 몸체의 측벽에 형성된 함체와, 상기 인입구와 함체를 통과한 고압 케이블을 천정에 형성된 고정부재에 연결시키는 작업을 용이하도록 측벽에 구비된 점검구와, 상기 고압 케이블에 부착되어 상기 고압 케이블의 온도 및 전류를 검출하여 외부로 전달하는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은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각각 덮는 제 1, 제 2 케이스 덮개와, 상기 본체 케이스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본체 케이스를 관통하는 고압 케이블의 전류를 검출하는 자기장 유도기와, 상기 본체 케이스를 관통하여 양측면으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상기 본체 케이스를 관통하는 고압 케이블과 접촉하여 온도를 검출하는 도전성 라인과, 상기 본체 케이스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자기장 유도기 및 도전성 라인으로부터 검출된 고압 케이블의 전류 및 온도 정보를 입력받아 전원을 생성하여 공급함과 아울러 온도 및 전류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제어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변압기의 고압 케이블에 온도 및 전류를 검출을 위한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설치함으로써 온도 및 전류 검출이 용이하여 원격으로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의 내부를 나타낸 일예시 우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후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부에 상하 전후의 공간으로 구분되는 제 1∼4공간부(111∼114)가 제공되는 함체 형태를 갖는 수배전반 몸체(110)와, 상기 제 1∼4공간부(111∼114)에 형성되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20), 변압기(130), 전원차단 제어부(140), 및 파워휴즈(150)와 피뢰기(160) 그리고 계기용 변압기(170)로 형성되며, 상기 수배전반 몸체(110)의 전후방에는 점검과 기기의 설치 및 점검을 위한 각각의 도어(115,116)가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한전측으로 부터 인가되는 특고압 전기를 그 용도에 맞게 강하시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배전반 몸체(110)의 후방에 형성된 인입구(200)와, 상기 수배전반 몸체(110)의 측벽(210)에 형성된 함체(220)와, 상기 인입구(200)와 함체(220)를 통과한 고압 케이블(230)을 천정에 형성된 고정부재(240)에 연결시키는 작업을 용이하도록 측벽(210)에 구비된 점검구(250)와, 상기 고압 케이블(230)에 부착되어 상기 고압 케이블(230)의 온도 및 전류를 검출하여 외부로 전달하는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인입구(200)는 수배전반 몸체(110)의 후방 하부에 구성되어 고압 케이블(230)이 내부로 인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함체(220)는 측벽(210)의 중앙 일측에 구성되어 인입구(200)를 통해 인입된 고압 케이블(23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점검구(250)는 작업자나 점검자의 상체 일부나 손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 개구부(251)와, 상기 개구부(251)의 전면에 힌지로 고정되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비된 도어(252)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점검구(250)를 개구부(251)의 일측에 힌지로 고정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형성하였으나, 힌지식 이외에 커버를 개구부로 부터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도록 나사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은 일측에 형성된 도어(115)를 열고 수배전반 몸체(110)의 내부 공간부에 각각 변압기(130)와 고장구간자동개폐기(120) 및 피뢰기(160)와 파워휴즈(150) 그리고 계기용 변압기(170)를 안착 및 고정시켜 설치를 한다.
다음, 설치된 각각의 기기에 케이블이 접속되도록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수배전반의 조립작업이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적정한 장소로 수배전반을 옮겨 수평이 되도록 안착시킨 후 측벽(210)의 일측에 형성된 도어(262)를 오픈시킨다.
다음, 상기 수배전반 몸체(110)의 후방 하부에 형성된 인입구(200)를 통해 고압 케이블(230)을 내부로 끌어들이고, 내부로 끌어들인 고압 케이블(230)을 다시 측벽(210)의 중앙 일측 부분에 형성된 함체(220)를 관통시켜 소정의 길이로 늘어뜨린다.
그리고 외부에서 개구부(251)를 통해 함체(220)의 상부로 늘어뜨려진 고압 케이블(230)을 잡아 당켜 주어 고압 케이블(230)의 단부가 고정부재(240)의 접속부분에 위치되도록 한 후 나사등을 이용하여 접속 고정시킴으로서 고압 케이블(230)의 접속작업이 마무리된다.
다음, 열려져 있던 도어(252)를 잠금으로서 최종 설치작업이 마무리된다.
도 4는 도 1의 고압 케이블에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압 케이블(230)을 감싸면서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300)이 부착되어 있다. 즉, 상기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300)의 중심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고압 케이블(230)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압 케이블(230)의 직경이 상기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300)에 형성된 홀보다 큰 지름을 가질 경우에는 상기 고압 케이블(230)의 일부를 절단하고, 상기 절단된 고압 케이블(230)의 일측을 상기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300)의 일측에 연결하고, 상기 고압 케이블(230)의 타측을 상기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300)의 타측에 연결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4의 Ⅲ-Ⅲ'선에 따른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300)은 본체 케이스(310) 와, 상기 본체 케이스(310)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각각 덮는 제 1, 제 2 케이스 덮개(320,330)와, 상기 본체 케이스(310)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본체 케이스(310)를 관통하는 고압 케이블(230)의 전류를 검출함과 함께 검출된 전류를 전압을 변환하는 자기장 유도기(340)와, 상기 본체 케이스(310)를 관통하여 양측면으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상기 본체 케이스(310)를 관통하는 고압 케이블(230)과 접촉하여 온도를 검출하는 도전성 라인(350)과, 상기 본체 케이스(310)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자기장 유도기(340) 및 도전성 라인(350)으로부터 검출된 고압 케이블(230)의 전류 및 온도 정보를 입력받아 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전류 및 온도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제어보드(3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 케이스(310)와 제 1, 제 2 케이스 덮개(320,330)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성 라인(350)은 열전도율이 좋은 동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으로 이루어진 도전성 라인(350)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열전도율이 좋은 다른 금속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도전성 라인(350)은 상기 본체 케이스(310)의 내부에 스크류 체결을 통해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도전성 라인(350)은 상기 본체 케이스(310)를 관통하는 고압 케이블(230)과 접촉하면서 상기 고압 케이블(23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내부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가 부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내부 온도센서는 상기 제어보드(360)와 와이어(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1, 제 2 케이스 덮개(320,330)는 상기 본체 케이스(310)의 외곽을 따라 스크류 체결을 통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케이스 덮개(320,330)이 상기 본체 케이스(310)에 스크류 체결을 통해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후크 체결 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 케이스(310)의 내부에는 상기 자기장 유도기(340)와 제어보드(360)를 분리하기 위한 격벽(311)과, 상기 격벽(311)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고압 케이블(230) 및 도전성 라인(350)이 관통되도록 홀을 갖는 돌출부(312)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 케이스(310)의 돌출부(312)에 형성된 홀과 대응되게 상기 제 1, 제 2 케이스 덮개(320,330)에도 동일하게 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제 2 케이스 덮개(320,330)의 외측면에는 상기 홀을 감싸면서 볼록부(321,33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볼록부(321,331)는 상황에 따라 형성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본체 케이스(310) 및 제 1, 제 2 케이스 덮개(320,330)에 형성된 홀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 덮개(320)는 도 5의 본체 케이스(310)의 일측면에 스크류 체결(322)을 통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 1 케이스 덮 개(320)의 중심 부분에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볼록부(3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볼록부(321)를 관통하게 고압 케이블이 삽입되는 타원 형태의 고압 케이블 삽입홀(32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압 케이블이 다른 모양 즉 사각형이나 다각형의 형태를 가질 경우에 상기 고압 케이블의 형태에 따라 상기 고압 케이블 삽입홀(323)의 형태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가 있다.
즉, 상기 고압 케이블 삽입홀(323)의 하단부에는 도전성 라인(3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전성 라인(350)에 상기 고압 케이블 삽입홀(323)을 통해 삽입되는 고압 케이블(230)이 접촉되게 구성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 덮개(330)는 본체 케이스(310)의 타측면에 스크류 체결(332)을 통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 2 케이스 덮개(330)의 중심 부분에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볼록부(3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볼록부(331)를 관통하게 고압 케이블이 삽입되는 타원 형태의 고압 케이블 삽입홀(33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압 케이블이 다른 모양 즉 사각형이나 다각형의 형태를 가질 경우에 상기 고압 케이블의 형태에 따라 상기 고압 케이블 삽입홀(333)의 형태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가 있다.
즉, 상기 고압 케이블 삽입홀(333)의 하단부에는 도전성 라인(3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전성 라인(350)에 상기 고압 케이블 삽입홀(333)을 통해 삽입되는 고압 케이블(230)이 접촉되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 2 케이스 덮개(330)의 외측표면에는 상기 본체 케이스(310) 외부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외부 온도센서(335)가 부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온도센서(335)는 상기 본체 케이스(310) 내부에 구성된 제어보드(360)와 와이어(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 덮개(330)에는 외부에서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열감응 센서의 동작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홀(336)과 무선 열감응 센서를 식별하기 위한 윈도우(337)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윈도우(337)는 도 5의 제어보드(360)에 형성된 무선 열감응 센서 고유의 식별번호를 알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열감응 센서는 일정한 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수배전반에 형성된 고압 케이블에 설치되는데, 각각 고유의 식별번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고유의 식별번호를 갖는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에 의해서 고압 케이블에 이상이 발생한 수배전반의 위치를 보다 신속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도 7은 도 5의 도전성 라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성 라인(350)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형성되는데, 상기 도전성 라인(350)의 가장자리 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홀(35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도전성 라인(350)은 본체 케이스(도 5의 310)에 형성된 도체 삽입홀(323,333)보다 큰 지름을 갖는 고압 케이블이 있을 때 상기 고압 케이블의 일부분을 절단하고 상기 도전성 라인(350)의 일측과 타측에 절단된 일측과 타측을 나사 등을 이용하여 연결되도록 홀(351)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도 5의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300)은 본체 케이스(310) 일측의 돌출부(312)에 자기장 유도기(340)가 삽입되고, 상기 자기장 유도기(340)가 삽입된 본체 케이스(310)의 일측을 제 1 케이스 덮개(320)를 통해 덮는다.
이어, 상기 본체 케이스(310) 타측에는 제어보드(360)가 탑재되고, 상기 제어보드(360)가 삽입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310)의 타측으로 제 2 케이스 덮개(330)를 통해 덮는다.
그리고 상기 본체 케이스(310), 제 1 케이스 덮개(320), 제 2 케이스 덮개(330) 및 자기장 유도기(340)와 제어보드(360)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도전성 라인(350)이 체결된다.
상기 제 1 케이스 덮개(320)와 제 2 케이스 덮개(330)는 상기 본체 케이스(310)와 스크류 체결(322,332)을 통해 결합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 케이스(310)와 제 1, 제 2 케이스 덮개(320,330)가 스크류 체결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후크 체결이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다.
도 9는 도 5의 제어보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보드(360)는 고압 케이블(도 5의 23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기장으로부터 전류를 검출하는 자기장 유도기(도 5의 340)에서 검출된 전류를 받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전압 변환회로(361)와, 상기 직류전압 변환회로(361)로부터 변환된 직류전압을 받아 대전류에 의한 과전압이 발생될 경우 이를 제어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직류전압 제한회로(362)와, 상기 직류전압 변환회로(361)로부터 변환된 직류전압을 임시로 저장하는 충전회로(363)와, 상기 충전회로(363)에 저장된 직류전압을 받아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364)와, 상기 자기장 유도기(340)로부터 검출된 전류를 받아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회로(365)와, 상기 전류 측정회로(365)로부터 측정된 전류와 도전성 라인(350)으로부터 검출된 고압 케이블(230)의 온도 및 외부 온도센서(335)로부터 측정된 온도를 제공받아 분석하는 제어회로(366)와, 상기 제어회로(366)로부터 분석된 결과는 외부로 전달하는 무선 모뎀(367)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보드(360)는 상기 제어회로(366)로부터 분석된 결과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368) 및 각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의 식별번호를 표시하는 식별번호판(369)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 표시부(368)는 2가지 기능을 하게 되는데, 하나는 정상적인 동작을 표시하고, 다른 하나는 기준값보다 높은 전류나 온도가 발생했을 경우 경보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태 표시부(368)는 제 2 케이스 덮개(도 5의 330)에 형성된 표시홀(336)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식별 번호판(369)은 제 2 케이스 덮개(도 5의 330)에 형성된 윈도우(337)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식별 번호판(369)에 형성된 고유의 식별번호가 MAC Code화 되어있어서 상기 제어회로(366)는 식별번호를 ID 형태로 관리한다.
상기 무선 모뎀(367)은 RS232통신 레벨을 RS485통신 레벨로 변환해주는 장치이고, 상기 제어회로(366)는 상기 자기장 유도기(340)와 도전성 라인(350)의 내부 온도센서 및 외부 온도센서(335)로부터 검출된 전류 및 온도를 제공받아 원격으로 온도 및 전류 데이터를 관리,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무선 모뎀(367)은 이웃하는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끼리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일정한 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다수의 수배전반 각각의 고압 케이블에 설치되는 각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은 이웃하는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끼지 송수신이 가능하여 외부의 통신수단과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무선 모뎀(267)으로부터 각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의 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하여 다수의 수배전반을 원격을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을 나타낸 외형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은 수배전반 몸체(210)위에 태양 전지판(400)을 설치한 것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도 9와 동일하고, 태양광선을 이용하여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도서, 산간 지역에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의 내부를 나타낸 일예시 우측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후면도
도 4는 도 3의 고압 케이블에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Ⅲ-Ⅲ'선에 따른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도 5의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나타낸 후면도
도 8은 도 5의 도전성 라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5의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4의 제어보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의 외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배전반 230 : 고압 케이블
300 :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

Claims (10)

  1. 수배전반 몸체와,
    상기 수배전반 몸체의 후방에 형성된 인입구와,
    상기 수배전반 몸체의 측벽에 형성된 함체와,
    상기 인입구와 함체를 통과한 고압 케이블을 천정에 형성된 고정부재에 연결시키는 작업을 용이하도록 측벽에 구비된 점검구와,
    상기 고압 케이블에 부착되어 상기 고압 케이블의 온도 및 전류를 검출하여 외부로 전달하는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은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각각 덮는 제 1, 제 2 케이스 덮개와, 상기 본체 케이스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본체 케이스를 관통하는 고압 케이블의 전류를 검출하는 자기장 유도기와, 상기 본체 케이스를 관통하여 양측면으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상기 본체 케이스를 관통하는 고압 케이블과 접촉하여 온도를 검출하는 도전성 라인과, 상기 본체 케이스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자기장 유도기 및 도전성 라인으로부터 검출된 고압 케이블의 전류 및 온도 정보를 입력받아 전원을 생성하여 공급함과 아울러 온도 및 전류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제어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라인은 상기 본체 케이스를 관통하는 상기 고압 케이블과 접촉하면서 상기 고압 케이블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제어보드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자기장 유도기와 제어보드를 분리하기 위한 격벽과, 상기 격벽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고압 케이블 및 도전성 라인이 관통되도록 홀을 갖는 돌출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 덮개의 외측표면에는 상기 본체 케이스 외부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외부 온도센서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외부 온도센서는 상기 본체 케이스 내부에 구성된 제어보드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 덮개에 외부에서 상기 무선 열감응 센서의 동작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홀과 무선 열감응 센서를 식별하기 위한 윈도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보드는
    상기 고압 케이블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기장으로부터 전류를 검출하는 자기장 유도기에서 검출된 전류를 받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전압 변환회로와,
    상기 직류전압 변환회로로부터 변환된 직류전압을 받아 대전류에 의한 과전압이 발생될 경우 이를 제어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직류전압 제한회로와,
    상기 직류전압 변환회로로부터 변환된 직류전압을 임시로 저장하는 충전회로와,
    상기 충전회로에 저장된 직류전압을 받아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와,
    상기 자기장 유도기로부터 검출된 전류를 받아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회로와,
    상기 전류 측정회로로부터 측정된 전류와 도전성 라인으로부터 검출된 도체의 온도 및 외부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를 제공받아 분석하는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로부터 분석된 결과는 외부로 전달하는 무선 모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보드는 상기 제어회로로부터 분석된 결과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 및 각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의 식별번호를 표시하는 식별번호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케이블의 직경이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홀의 지름보다 클 경우에 상기 고압 케이블을 절단하여 상기 도전성 라인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압 케이블의 일측을 도전성 라인의 일측에 연결하고 상기 고압 케이블의 타측을 도전성 라인의 타측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 몸체에 태양광선을 이용하여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에 공급하는 태양 전지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이용한 수배전반.
KR1020090010539A 2009-02-10 2009-02-10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0905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539A KR100905929B1 (ko) 2009-02-10 2009-02-10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539A KR100905929B1 (ko) 2009-02-10 2009-02-10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5929B1 true KR100905929B1 (ko) 2009-07-02

Family

ID=41337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539A KR100905929B1 (ko) 2009-02-10 2009-02-10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59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9508A (zh) * 2021-11-10 2022-02-18 云南昆宝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远程操作功能的智能电缆分支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9885A (ja) * 2000-04-03 2001-10-19 Kyushu Electric Power Co Inc 送配電線の計測システムにおける電流電圧計測装置および送配電線の計測状態監視方法
JP2005192378A (ja) * 2003-12-25 2005-07-14 Azu Kikaku Sekkei:Kk コンテナや簡易倉庫向け電気系統システム
KR100611602B1 (ko) * 2005-01-21 2006-08-10 박기주 전력 계측정보 통합수집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9885A (ja) * 2000-04-03 2001-10-19 Kyushu Electric Power Co Inc 送配電線の計測システムにおける電流電圧計測装置および送配電線の計測状態監視方法
JP2005192378A (ja) * 2003-12-25 2005-07-14 Azu Kikaku Sekkei:Kk コンテナや簡易倉庫向け電気系統システム
KR100611602B1 (ko) * 2005-01-21 2006-08-10 박기주 전력 계측정보 통합수집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9508A (zh) * 2021-11-10 2022-02-18 云南昆宝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远程操作功能的智能电缆分支箱
CN114069508B (zh) * 2021-11-10 2023-09-15 云南昆宝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远程操作功能的智能电缆分支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694B1 (ko) 수배전반 절연열화 예측시스템 및 방법
KR100916146B1 (ko)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
KR101995845B1 (ko) 자가발전 무선온도 진단장치
KR100880440B1 (ko) 수배전반의 전력 케이블 감시장치 및 방법
KR101606704B1 (ko) 활선표시장치 및 보호계전기 동작 음성경보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KR101280292B1 (ko) 수변전설비의 멀티센서를 이용한 이상감지장치
KR102356233B1 (ko) 부스덕트 접속부 및 이를 포함하는 부스덕트 다점온도감시시스템
US9698609B2 (en) Testing device power induced by current transformer
KR20180003978A (ko) 수배전반 내에서 스스로 정확한 동작 여부를 진단하고 및 동작이 부정확하면 경보를 울리는 자가진단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ES2611994B1 (es) Dispositivo medidor de magnitudes físicas sobre cables conductores eléctricos con aislamiento perimetral exterior
KR102238913B1 (ko) 부스덕트 다점온도감시시스템의 온도센서 인식방법
KR101386406B1 (ko) 부스바 표면 온도 감지용 무선형 온도센서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2382939B1 (ko)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 전력미터기 및 이것이 장착된 고전압 전력설비
KR101809827B1 (ko) 계측기
CN205138677U (zh) 一种温度监测设备
KR100905929B1 (ko)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0934247B1 (ko)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주상 변압기
KR102626362B1 (ko) 전기패널의 안전감지 및 이상점검이 가능한 시스템
KR101300523B1 (ko) 배전반 화재감시제어기
KR101582828B1 (ko) Single-Loop 방식 광통신을 이용하는 전원부 온도 측정에 의한 근접형 활선 및 음성 경보 장치
KR102536744B1 (ko) 자가구동전원으로 부스바 접속부에서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부스바접속부커버가 구비된 수배전반
CN110031120B (zh) 母线测温装置
KR20200120212A (ko) 단자대 온도감시 시스템
CN206772451U (zh) 电缆的温度监测装置及温度监测系统
KR200456906Y1 (ko) 옥외용 전력 기기의 이상 검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