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845B1 - 자가발전 무선온도 진단장치 - Google Patents

자가발전 무선온도 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845B1
KR101995845B1 KR1020180089531A KR20180089531A KR101995845B1 KR 101995845 B1 KR101995845 B1 KR 101995845B1 KR 1020180089531 A KR1020180089531 A KR 1020180089531A KR 20180089531 A KR20180089531 A KR 20180089531A KR 101995845 B1 KR101995845 B1 KR 101995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unit
data
temperature sensor
electric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준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시그니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시그니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시그니처
Priority to KR1020180089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8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01K1/024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for remote indic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2215/00Details concerning sensor pow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발전 무선 온도 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스바(busbar), 케이블 등의 전류가 흐르는 대상물에 선택적으로 복수 개 탈착 가능하고, 상기 대상물에 흐르는 전류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외부 전원 공급 없이 무선으로 상기 대상물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원격에서 수집, 진단, 분석, 저장 및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기 설정한 기준 값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경보를 알리도록 하여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고, 온도 측정 대상물이 함의 내부에 위치하거나 활선 상태인 경우에도 함의 개폐나 정전 없이 대상물의 온도를 보다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자가발전 무선 온도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기가 흐르는 대상물 주변의 자기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전력변환부, 상기 전기에너지를 구동전원으로 이용하고, 상기 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부, 상기 전기에너지를 구동전원으로 이용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온도를 전송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제어부 및 상기 전기에너지를 구동전원으로 이용하고, 상기 데이터제어부에서 변환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온도측정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가발전 무선온도 진단장치 {WIRELESS TEMPERATURE DIAGNOSIS APPARATUS WITH SELF GENERATOR}
본 발명은 자가발전 무선 온도 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스바(busbar), 케이블 등의 전류가 흐르는 대상물에 선택적으로 복수 개 탈착 가능하고, 상기 대상물에 흐르는 전류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외부 전원 공급 없이 무선으로 상기 대상물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원격에서 수집, 진단, 분석, 저장 및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기 설정한 기준 값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경보를 알리도록 하여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고, 온도 측정 대상물이 함의 내부에 위치하거나 활선 상태인 경우에도 대상물의 온도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자가발전 무선 온도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중공업 플랜트, 지하철, 석유단지, 화학단지, 제철소 등에는 한전에서 제공되는 주전원을 통제하면서 각종 전력기기에서 사용 가능한 단위 전원으로 분전하는 수배전반이 설치된다.
이러한 수배전반은 통상적으로 베이스패널의 전면에 설치되어 주전원을 통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차단기와 함께 단위전원을 통제하는 복수개의 서브 차단기가 설치된다.
그리고 메인차단기와 서브차단기는 주전원을 단위전원으로 분전하기 위한 선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 부스바(MAIN BUSBAR)와 복수개의 서브 부스바(SUB BUSBAR)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 접속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메인 부스바와 서브 부스바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의 부스바는 금속판 형태로 표면적이 넓어 방열이 우수하고, 임피던스 저감으로 인한 발열량이 감소함으로 전력케이블 대체하여 주전원을 단위전원으로 분전하기 위한 선로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부스바에 흐르는 전류량은 수용가측에서 단위전원을 사용하는 전력기기의 부하 변동에 따라 변화하는데, 전류량이 증가하거나 부하전류가 과도하게 작용하면 부스바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부스바의 온도 상승은 전력공급설비의 안정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감시해야 한다.
종래의 온도 측정은 비접촉식으로 적외선온도 센서 또는 열화상 카메라가 사용되고, 접촉식으로는 써미스터 등이 사용되고 있다.
비접촉 센서의 경우 보이는 범위 안에서만 관측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각지대에서의 열화에 의한 전기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접촉식이 개발되고 있다.
접촉식 센서의 경우 유선형과 무선형이 있고, 유선형의 경우 부스바가 많이 필요한 대형 공장에서 다수의 온도센서를 원하는 부스바에 설치 후 전원 및 통신용 배선 작업이 필요하여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무선형의 경우 온도센서 및 송수신 모듈의 전원 공급을 위해서 각각의 모듈별로 건전기 또는 배터리 등의 독립 전원이 필요하므로 주기적으로 건전지 또는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고, 특히 전기안전사고 방지를 위해서 반드시 정전 후에 건전지 또는 배터리 전원을 교체해야 하므로 운영상 문제로 사용자가 기피하는 실정이다.
한편, 전술한 부스바 외에도 옥외변압기 터미널, 부스덕트, 송전가공선, 케이블 트레이 및 지중케이블 등 전류가 흐르는 설비는 전류량이 증가하거나 부하전류가 과도하게 작용하면 전력설비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온도상승은 전력설비에 손상을 일으키고 화재 등을 발생시켜 안정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감시해야 한다.
이러한 전력설비는 복잡하게 설치되거나 사람들의 접근이 어려운 곳에 설치되므로, 다수의 온도센서를 원하는 설비에 설치 후 전원 및 통신용 배선 작업이 필요하여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형의 경우 온도센서 및 송수신 모듈의 전원 공급을 위해서 각각의 모듈별로 건전기 또는 배터리 등의 독립 전원이 필요하므로 주기적으로 건전지 또는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고, 전기안전사고 방지를 위해서 반드시 정전 후에 건전지 또는 배터리 전원을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47456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스바(busbar), 케이블 등의 전류가 흐르는 대상물에 선택적으로 복수 개 탈착 가능하고, 상기 대상물에 흐르는 전류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외부 전원 공급 없이 무선으로 상기 대상물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원격에서 수집, 진단, 분석, 저장 및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기 설정한 기준 값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경보를 알리도록 하여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고, 온도 측정 대상물이 함의 내부에 위치하거나 활선 상태인 경우에도 함의 개폐나 정전 없이 대상물의 온도를 보다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자가발전 무선 온도 진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 무선 온도 진단장치는, 전기가 흐르는 대상물 주변의 자기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전력변환부, 상기 전기에너지를 구동전원으로 이용하고, 상기 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부, 상기 전기에너지를 구동전원으로 이용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온도를 전송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제어부 및 상기 전기에너지를 구동전원으로 이용하고, 상기 데이터제어부에서 변환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온도측정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측정모듈은, 내부에 상기 온도측정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외면에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대상물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클램프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온도센서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대상물과 접하며 온도를 측정하는 탐촉자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력변환부는, 상기 대상물 주변에 발생하는 자기장을 수집하여 교류전압을 발생하는 코일유닛 및 상기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고, 과전류 및 과전압을 보호하며, 맥동전압을 억제하는 필터회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 무선 온도 진단장치는 상기 온도측정모듈의 상기 송신부에서 송신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표시 및 전송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1 제어부에서 변환된 상기 데이터를 상호간에 연결된 사물로 송신하고, 상기 사물에서 송신되는 명령을 수신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신모듈은, 상기 수신모듈이 구비된 외부 환경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 무선 온도 진단장치는 상기 수신모듈의 상기 제1 통신부와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제1 통신부로 송신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제2 통신부로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변환, 저장, 분석 및 처리하고, 상기 명령을 변환 및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명령을 입력받는 입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니터링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모듈은, 상기 온도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상기 대상물의 온도가 사용자가 기설정한 온도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출력부는, 상기 제2 제어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측정모듈은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수신모듈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온도측정모듈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각각 표시되도록 복수 개로 구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설치 대상물에 흐르는 전류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하므로 외부 전원 공급 없이 자가발전을 통해 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전원공급을 위한 배선작업 등이 필요하지 않아 설치가 용이하고 주기적으로 정전 후 배터리 등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또한, 측정된 온도 데이터를 원격에 구비된 외부기기에 무선으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대상물의 발열에 의한 온도를 원격에서 무선으로 수집, 진단, 분석, 저장 및 표시할 수 있으며, 대상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일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을 전송하여 대상물의 발열 상태를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진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클램프유닛을 이용하여 부스바(busbar), 케이블 등 설치 대상물의 형태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며, 설치 대상물에 직접 접하며 온도를 측정하여 보다 정확한 대상물의 발열 상태를 진단하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무선 온도 진단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무선 온도 진단장치의 온도측정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무선 온도 진단장치의 개략적인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무선 온도 진단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무선 온도 진단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무선 온도 진단장치의 온도측정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무선 온도 진단장치의 개략적인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 무선 온도 진단장치는 배전반 부스바, 부스덕트 부스바, 송전 가공선, 케이블 트레이, 지중 케이블, 옥외변압기 터미널 등 전류가 흐르는 다양한 설비의 온도를 측정 및 진단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하 배전반의 부스바(busbar)에 사용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무선 온도 진단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측정모듈(100), 수신모듈(200) 및 모니터링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온도측정모듈(100)은 전력변환부(110), 제1 온도센서부(120), 데이터제어부(130) 및 송신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전류가 흐르는 온도 측정 대상물에 선택적으로 탈착되어 대상물의 발열 온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온도측정모듈(100)은 내부에 온도측정모듈(100)을 수용하는 하우징(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50) 외면에는 하우징(150)을 대상물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클램프유닛(16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50)의 외면에 구비된 상기 클램프유닛(1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 형상되어, 상기 대상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하우징(150)을 상기 대상물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부스바인 경우, 클램프 유닛(160)은 하우징(150) 외면 일측에 구비되며, 부스바 일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탈착되며 부스바의 발열온도를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케이블인 경우, 클램프유닛(160)은 하우징(150) 외면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케이블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양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선택적으로 탈착되며 케이블의 발열 온도를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측정모듈(100)은 온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온도측정모듈(100)의 전력변환부(110)는 전기가 흐르는 대상물 주변의 자기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며, 후술하는 제1 온도센서부(120), 데이터제어부(130) 및 송신부(140)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력변환부(110)는 코일유닛및 필터회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코일유닛은 전술한 대상물에 전류가 흐를 때 주위에 발생하는 자기장을 수집하여 교류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필터회로유닛은 코일유닛에서 발생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고, 과전류 및 과전압을 보호하며, 맥동전압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설치 대상물에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자기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함으로써 외부 전원 공급 없이 자가발전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온도측정모듈(100)을 구동하기 위한 배선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며, 배터리와 같은 보조 전원을 주기적으로 교체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그리고, 온도측정모듈(100)의 제1 온도센서부(120)는 전력변환부(110)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구동전원으로 이용하고, 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온도센서부(120)는, 대상물에 접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탐촉자(122)를 구비하고, 탐촉자(122)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대상물과 접하며 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탐촉자(122)는 상기 클램프유닛(160)이 돌출된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50)의 외부에 돌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는 비접촉센서와 접촉센서가 있으며, 비접촉 센서의 경우 보이는 범위 안에서만 관측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각지대에서의 열화에 의한 전기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온도센서부(120)는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50)의 외부로 돌출되어 대상물과 직접 접하며 온도를 측정하도록 형성되므로, 대상물의 온도 변화를 보다 정확하고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데이터제어부(130)는 전력변환부(110)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구동전원으로 이용하고, 제1 온도센서부(120)에서 측정된 온도를 전송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부(140)는 전력변환부(110)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구동전원으로 이용하고, 데이터제어부(130)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외부기기로 송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온도측정모듈(100)은 설치 대상물에 흐르는 전류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전원 공급 없이 자가발전을 통해 대상물의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고, 원격에 구비된 외부기기로 온도 데이터를 무선으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전력공급을 위한 배선작업 등이 필요하지 않아 온도 측정 대상물에 설치가 용이하고, 밀폐된 함 내부에 대상물이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도 함을 개폐하지 않고 대상물의 온도 측정이 용이하며, 주기적으로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 교체 작업 등이 필요치 않은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측정모듈(10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았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모듈(200 및 모니터링모듈(30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무선 온도 진단장치에 있어서 수신모듈(200)은 수신부(210), 제1 제어부(220) 및 제1 통신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수신모듈(200)은 온도측정모듈(100)에서 측정된 대상물의 온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변환하며 후술하는 모니터링모듈(300)로 전송하고, 명령을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수신모듈(200)은 온도측정모듈(100)이 구비된 대상물과 같은 공간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받는 것에 있어 유리할 수 있다.
수신부(210)는 온도측정모듈(100)의 송신부(140)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무선으로 송신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온도측정모듈(100)에서 측정된 온도 데이터를 원격에 구비된 외부기기에 무선으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제어부(220)는 수신부로 수신된 데이터를 표시 및 전송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도록 형성될 있으며, 제1 통신부(230)는 제1 제어부(220)에서 전송 가능한 형태로 변환된 데이터를 상호간에 연결된 사물로 송신하고, 사물에서 송신되는 명령을 수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온도측정모듈(10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온도측정모듈(100)은 각각의 ID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통신부(230)는 데이터를 수신받아야 할 온도측정모듈(100)의 ID 및 전송하는 데이터 포맷을 후술하는 모니터링모듈(300)로부터 수신받고, 제1 제어부(220)는 선정된 온도측정모듈(100) ID 각각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모니터링모듈(3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변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호간에 연결된 사물은 무선이거나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제어부(220)는 전송받은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 가능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통신부(230)와 상호간에 연결된 사물은 후술하는 모니터링모듈(300)의 제2 통신부(310)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다른 외부 기기를 수신모듈(20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수신모듈(200)은, 수신모듈(200)이 구비된 외부 환경의 외부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대상물이 구비된 외부환경의 온도와 대상물의 발열 온도를 비교 및 분석하여 대상물의 발열상태를 보다 정밀하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온도센서부(미도시)에서 측정된 외부환경 온도는 후술하는 입출력부(330)에 표시되도록 형성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무선 온도 진단장치에 있어서 모니터링모듈(300)은, 제2 통신부(310), 제2 제어부(320) 및 입출력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모니터링모듈(300)은 수신모듈(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집, 진단, 분석, 저장 및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링모듈(300)은 사용자가 관리 및 확인하기 용이한 곳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통신부(310)는 수신모듈(200)의 제1 통신부(230)와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사요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제1 통신부로 송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제어부(320)는 제2 통신부(310)로 수신된 데이터를 변환, 저장, 분석 및 처리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변환 및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제어부는(320) 사물 상호간에 연결된 방식에 따라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형태로 변환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입출력부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데이터의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입출력부(330)는 제2 제어부(32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도측정모듈(100)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각각의 온도측정모듈(100)은 개별 ID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입출력부(330)를 통하여 온도측정모듈(100) ID를 선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정된 ID의 온도측정모듈(100)이 부착된 대상물의 측정 온도가 데이터로 변환되어 수신모듈(200)로 수신되고 모니터링모듈(300)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모듈(300)은, 온도측정모듈(100)에서 측정된 대상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하는 알람부(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입출력부(330)를 통해 설정된 온도 기준을 입력할 수 있으며, 제2 제어부(32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설정된 온도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알람부(340)가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사용자는 대상물의 온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대상물을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출력부(330)는, 제2 제어부(32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온도측정모듈(100)에서 측정된 대상물의 온도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온도측정모듈(10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는 복수 개의 온도측정모듈(100)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각각 표시되도록 복수 개로 구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측정 대상물이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부스바인 경우, 복수 개의 온도측정모듈(100)을 일정거리 이격되게 부스바에 구비하여 입출력부(330)의 디스플레이부에 각각의 온도를 표시하게 함으로써 부스바의 온도 변화를 보다 정밀하고 정확하게 측정 및 진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측정 대상물이 복수 개의 케이블 집합인 경우, 각각의 케이블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온도측정모듈(100)을 부착하여 입출력부(330)의 디스플레이부에 각각의 온도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의 온도 변화를 보다 정밀하고 정확하게 측정 및 진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대상물의 발열에 의한 온도를 원격에서 무선으로 수집, 진단, 분석, 저장 및 표시할 수 있으며, 따라서 대상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며 진단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모듈(200) 및 모니터링모듈(300)은 개별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수신모듈(200)이 모니터링모듈(300)의 구성을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신모듈(200)은 전술한 제2 제어부(310), 입출력부(330), 알람부(340)의 구성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신모듈(200)에서 온도측정모듈(100)의 온도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으며, 기설정된 온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을 울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온도측정모듈
110: 전력변환부
112: 코일유닛
114: 필터회로유닛
120: 제1 온도센서부
122: 탐촉자
130: 데이터제어부
140: 송신부
150: 하우징
160: 클램프유닛
200: 수신모듈
210: 수신부
220: 제1 제어부
230: 제1 통신부
300: 모니터링모듈
310: 제2 통신부
320: 제2 제어부
330: 입출력부
340: 알람부

Claims (10)

  1. 온도측정모듈, 수신모듈 및 모니터링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온도측정모듈은,
    전기가 흐르는 대상물 주변의 자기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전력변환부;
    상기 전기에너지를 구동전원으로 이용하고, 상기 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부;
    상기 전기에너지를 구동전원으로 이용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온도를 전송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제어부;
    상기 전기에너지를 구동전원으로 이용하고, 상기 데이터제어부에서 변환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
    내부에 상기 전력변환부, 제1온도센서부, 데이터제어부 및 송신부가 수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대상물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클램프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신모듈은,
    상기 온도측정모듈의 상기 송신부에서 송신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표시 및 전송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1 제어부에서 변환된 상기 데이터를 상호간에 연결된 사물로 송신하고, 상기 사물에서 송신되는 명령을 수신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모니터링모듈은,
    상기 수신모듈의 상기 제1 통신부와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제1 통신부로 송신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제2 통신부로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변환, 저장, 분석 및 처리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변환 및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으며, 상기 제2 제어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입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온도측정모듈은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온도측정모듈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각각 표시되도록 복수 개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온도센서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대상물과 접하며 온도를 측정하는 탐촉자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구비된 상기 클램프유닛은 절곡 형상되어 상기 대상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하우징을 상기 대상물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탐촉자는 상기 클램프유닛이 돌출된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신모듈은 상기 수신모듈이 구비된 외부 환경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온도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대상물이 구비된 외부환경의 온도와, 상기 제1온도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대상물의 발열 온도를 비교 및 분석하여 대상물의 발열상태를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무선 온도 진단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변환부는,
    상기 대상물 주변에 발생하는 자기장을 수집하여 교류전압을 발생하는 코일유닛; 및
    상기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고, 과전류 및 과전압을 보호하며, 맥동전압을 억제하는 필터회로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무선 온도 진단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모듈은,
    상기 온도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상기 대상물의 온도가 사용자가 기설정한 온도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무선 온도 진단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89531A 2018-07-31 2018-07-31 자가발전 무선온도 진단장치 KR101995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531A KR101995845B1 (ko) 2018-07-31 2018-07-31 자가발전 무선온도 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531A KR101995845B1 (ko) 2018-07-31 2018-07-31 자가발전 무선온도 진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845B1 true KR101995845B1 (ko) 2019-07-03

Family

ID=67258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531A KR101995845B1 (ko) 2018-07-31 2018-07-31 자가발전 무선온도 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84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9430A1 (zh) * 2020-03-27 2021-09-30 杰瑞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土壤修复的无线数据采集系统方法
KR20210120183A (ko) 2020-03-26 2021-10-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 케이블의 손실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KR102339368B1 (ko) 2021-06-24 2021-12-13 성보전기공업 주식회사 전력 하베스팅 수배전반
KR102350364B1 (ko) * 2021-01-25 2022-01-12 한우석 온도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351171B1 (ko) * 2021-05-26 2022-01-13 이재현 고성능 무기체계용 중점관리장비를 위한 관리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3197B1 (en) * 2002-05-31 2005-11-08 E.O. Schweitzer Manufacturing Co., Llc. Targeted timed reset fault indicator
KR101630370B1 (ko) * 2015-11-03 2016-06-14 씨앤씨에이드 주식회사 선로진단시스템
KR101647456B1 (ko) 2015-06-02 2016-08-10 (주)탑솔루션 직접 접촉식 부스바 온도 측정 장치
KR20170034087A (ko) * 2015-09-18 2017-03-28 (주)파서블에너지 전력설비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센서 및 그를 위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3197B1 (en) * 2002-05-31 2005-11-08 E.O. Schweitzer Manufacturing Co., Llc. Targeted timed reset fault indicator
KR101647456B1 (ko) 2015-06-02 2016-08-10 (주)탑솔루션 직접 접촉식 부스바 온도 측정 장치
KR20170034087A (ko) * 2015-09-18 2017-03-28 (주)파서블에너지 전력설비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센서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101630370B1 (ko) * 2015-11-03 2016-06-14 씨앤씨에이드 주식회사 선로진단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183A (ko) 2020-03-26 2021-10-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 케이블의 손실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WO2021189430A1 (zh) * 2020-03-27 2021-09-30 杰瑞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土壤修复的无线数据采集系统方法
KR102350364B1 (ko) * 2021-01-25 2022-01-12 한우석 온도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351171B1 (ko) * 2021-05-26 2022-01-13 이재현 고성능 무기체계용 중점관리장비를 위한 관리시스템
KR102339368B1 (ko) 2021-06-24 2021-12-13 성보전기공업 주식회사 전력 하베스팅 수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845B1 (ko) 자가발전 무선온도 진단장치
JP6355217B2 (ja) 無線分岐回路エネルギー監視システム
KR101979631B1 (ko) 무선온도감지장치
KR101597096B1 (ko) 진동감지와 누설전류의 실시간 원격 계측 및 외부 침입퇴치 기능과 데이터 저장기능을 구비한 배전반
KR100709694B1 (ko) 수배전반 절연열화 예측시스템 및 방법
KR101604110B1 (ko) 비접촉 반도체형 통합 온습도 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의 부스바 통합 관리 시스템
KR100921673B1 (ko) 부스 덕트시스템의 온도 검출장치
KR101194021B1 (ko) 다면적 온도감지를 이용한 배전반
KR200426692Y1 (ko) 수배전반 절연열화 예측시스템
KR100880440B1 (ko) 수배전반의 전력 케이블 감시장치 및 방법
KR102308420B1 (ko) 수배전반용 온도센서를 포함한 모니터링시스템(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1606704B1 (ko) 활선표시장치 및 보호계전기 동작 음성경보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KR101262907B1 (ko) 지진강도 단계별 차단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컨트롤 시스템이 설치된 재해 방지형 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KR20090126488A (ko) 모니터링이 가능한 조립식 전원분배장치
KR20200081088A (ko) 배전반 감시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101520758B1 (ko) 온도와 통전전류 분석방식의 이상 진단 기능을 구비한 배전반
KR20180003978A (ko) 수배전반 내에서 스스로 정확한 동작 여부를 진단하고 및 동작이 부정확하면 경보를 울리는 자가진단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EP3045922A1 (en) Testing device power induced by current transformer
KR20190133919A (ko) 고전압 배선선로용 온도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KR101723217B1 (ko) 수배전반 내에서 스스로 정확한 동작 여부를 진단하고 및 동작이 부정확하면 경보를 울리는 자가진단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KR20180003857A (ko) 온도와 전압을 감지하여 조절하는 수배전반
KR102308421B1 (ko) 모니터링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1386406B1 (ko) 부스바 표면 온도 감지용 무선형 온도센서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
KR20100126874A (ko) 수배전반 원격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
KR100916146B1 (ko)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