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1592B1 - 물백묵용 필기구의 사용이 가능한 도료 조성물 및 그 도료조성물로 도장된 착색 도장강판 - Google Patents

물백묵용 필기구의 사용이 가능한 도료 조성물 및 그 도료조성물로 도장된 착색 도장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1592B1
KR100611592B1 KR1020040076776A KR20040076776A KR100611592B1 KR 100611592 B1 KR100611592 B1 KR 100611592B1 KR 1020040076776 A KR1020040076776 A KR 1020040076776A KR 20040076776 A KR20040076776 A KR 20040076776A KR 100611592 B1 KR100611592 B1 KR 100611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steel sheet
weight
paint
cha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7899A (ko
Inventor
박종훈
박중면
고재상
Original Assignee
동부제강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제강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제강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6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1592B1/ko
Publication of KR20060027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condensation resins of aldehydes, e.g. with phenols, ureas or mel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2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L61/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8L61/2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el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코팅용으로 도장되는 물백묵용의 필기구의 사용이 가능한 도료 및 이 도료로 도장된 도장강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코팅용 도장강판으로 사용되는 전기아연도금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합금화 아연도금강판, 또는용융알루미늄―아연합금도장강판 위에 내식성이 우수한 프라이머 도료를 건조도막두께가 4 ~ 8마이크론(㎛)되게 도장하여, 소재표면온도가 200 ~ 250℃가 되도록 건조하고, 그 위에 색상을 나타내는 중도도료를 건조도막두께가 10 ~ 20마이크론이 되도록 도장하여 200 ~ 250℃에서 건조시킨 후, 그 위에 물백묵용 상도투명도료를 건조도막두께가 10 ~ 30 마이크론이 되도록 도장하여 210 ~ 250℃에서 건조시킨 물백묵용 착색도장강판으로 이는, 기존에 사용되어 오고있던, 분필을 사용하지않고, 물에 현탁시킨 물백묵용 필기구로 상기 도료로 도장된 칠판에 쓰고, 지웠을 때 도막에 쓰임성이 우수하고, 지움성이 우수한 물백묵용 착색도장강판 및 이를 위한 도료조성물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물백묵용 필기구의 사용이 가능한 도료 조성물 및 그 도료 조성물로 도장된 착색 도장강판{Painting compositions and color painted steel sheet thereof for using water chalk}
제 1 도는 본발명에 따라 제조된 물백묵용 착색 도장강판의 단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도금강판 2. 프라이머피막층 3. 중도 피막층
4. 물백묵용 착색 상도 피막층
본 발명은 코일코팅용으로 도장된 착색 도장강판의 도막 표면에 일반적으로 제조된 분필이 아닌 분필가루를 물에 분산시킨 물백묵을 사용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물백묵을 필기구로 쓰고, 지웠을때, 쓰임성과 지움성이 우수하도록 만들어진 도료조성물 및 그 도료조성물로 도장된 물백묵용 착색 도장강판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코팅용 도장강판으로 사용되는 전기아연도금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합금화 아연도금강판, 또는 용융알루미늄-아연합금도장강판 위에 내식성이 우수한 프라이머 도료를 건조도막두께가 4 ~ 8 마이크론(㎛) 되게 도장한 후, 소재표면온도가 200 ~ 250℃에 이르도록 가열, 냉각 및 건조하고, 그 위에 색상을 나타내는 중도도료를 건조도막두께가 10 ~ 20 마이크론이 되도록 도장하여 건조시킨 후, 그 위에 물백묵용 상도도료를 건조도막두께가 10 ~ 30 마이크론 되도록 도장하여 건조시킨 물백묵용 착색도장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알기 쉽게 말해, 기존에 사용되어 오고있던, 분필을 사용하지 않고, 물에 현탁시킨 물백묵용 필기구로 물백묵용 착색도장강판으로 제조된 칠판에 쓰고, 지웠을 때 도막에 쓰임성이 우수하고, 지움성이 우수한 물백묵용 착색도장강판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착색도장강판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물백묵용 도료는 가공성 및 도막에 슬립성을 부여해주는 폴리에스테르 및 실리콘계 폴리에스테르수지를 포함하며, 경화수지로서는 멜라민 경화형 수지를 포함한다. 또한 여기에는 유기 및 무기안료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물백묵용 도료에 사용되는 필러(filler)로는 유기와 무기필러가 사용된다. 사용되는 필러의 종류와 품위 또는 등급(grade)에 따라, 도막의 입자감과 외관에 차이를 발생하게 하여 원하는 형태의 도막외관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물백묵용 필기구의 쓰임성과 지움성의 정도에 대한 요구 성능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백묵을 필기구로, 쓰고, 지웠을 때, 도막 에 흠과 같은 도막의 손상이 없이, 쓰임성, 지움성이 우수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의 물백묵용 도장강판은 도막표면에 요철을 주어 지움성이 우수하도록 하였다. 이 요철을 만들수 있는 필러로는 유기필러와 무기필러가 사용되고 있다. 사용되는 필러의 종류와 등급(grade)에 따라, 도막의 입자감과 외관에 차이를 발생하게 하여 원하는 형태의 도막외관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필러 표면의 다공질 정도에 따라 쓰임성과 지움성에 큰 차이가 발생함으로 필러 표면의 처리상태와 다공질의 정도에 따라 강판제품에 영향이 크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필러로서는 평균적으로 20 ~ 50마이크론(㎛)에 이르는 입자를 가진 무기필러의 경우 유화중합법으로 합성된 구상의 다공성이 없는 실리카 파우더가 적합하며, 또한 유기필러로는 예컨데 폴리아마이드 파우더가 적합하다. 이 두가지 필러를 혼합사용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자 공히 입자크기가 균일하여 입도분포가 좁고, 표면개질을 하여 내충격, 내마모성, 내화학성, 내열성, 내화성, 내부응력이 우수한 실란 표면처리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필러 입자크기 범위가 너무 커져 50㎛를 초과할 경우 표면이 거칠게 되고 20㎛ 미만인 경우 사용 효율이 감소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폴리에스테르수지도료, 또는 실리콘계 폴리에스테르수지도료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메틸레이트 멜라민수지 및 변성 아크릴계 수지, 산촉매, 유기 및 무기필러를첨가하여 제조되는 상도 투명도료의 조성물을 연속 롤 도장공정에서 용융아연도금강판,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 또는 전기 아연도금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용융알루미늄-아연합금도금강판, 또는 알루미늄강판에 롤 도장함에 있어서, 첨부도면 도1과 같이 프라이머 도료를 건조도막두께가 4∼8㎛되게 도장하여 프라이머 피막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소재의 표면도달온도가 200∼250℃가 되도록 가열, 냉각, 건조 등을 행한다. 다음, 그 위에 녹색의 색상을 나타내는 중도도료를 건조도막두께가 약 10 ∼ 20㎛이 되도록 도장하고 소재 표면도달온도가 200 ∼ 250℃가 되도록 가열, 냉각, 건조등의 공정을 거치게 한다, 마지막으로 상도피막층 형성을 위하여 상도 투명도료를 건조도막두께가 10 ~ 30㎛이 되도록 도장하여 이를 소재표면 도달온도가 210 ~ 250℃가 되도록 가열한 후 냉각, 건조하도록 한 롤 도장용 물백묵용 착색도장강판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물백묵용 도장강판을 제조하기 위하여 프라이머, 중도, 상도피막층의 토탈 도막두께가 건조도막두께로 25 ∼ 60㎛되도록 도장한 코일코팅용 도장강판을 제조하기 위하여 전기아연도금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합금화 아연도금강판, 또는 용융알루미늄-아연합금도장강판 위에 내식성이 우수한 프라이머 도료를 건조도막두께가 4 ~ 8 마이크론 되게 도장하여, 소재표면온도가 200 ~ 250℃가 되도록 건조하는데, 그 이유는 200℃미만이 되면 경화되지 않고, 250℃를 초과하면 가공성이 나빠진다. 이는 중도피막층의 건조, 상도피막층의 건조온도범위 210 ~ 250℃의 설정이유이기도 하다. 건조된 프라이머 피막층 위에는 색상을 나타내는 중도도료를 건조도막두께가 10 ~ 20 마이크론이 되도록 도장하여 건조시킨 후, 그 위에 물백묵용 상도도료를 건조도막두께가 10 ~ 30 마이크론이 되도록 도장하여 건조시켜 물백용 착색도장강판을 제조하게 되는데, 상기 건조도막두께는 하한치 미만일 경우 흠발생이 쉽고 소기의 내후성을 얻기가 어려우며, 상기 건조도막두께가 상한치를 초과하면 부착성과 가공성이 나빠진다. 본 발명상의 물백묵용 착색도장강판을 도1로 그 단면을 간단히 나타내었다.
이하에 본 발명의 구성요소와 그에 따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상의 물백묵용 착색도장강판용 최종도료의 조성물은 프리코팅메탈(PCM)에 메틸레이트 코일코팅도료로 사용되어온 폴리에스테르계수지 30∼55중량부와 모노머(Monomeric)의 메틸레이트 멜라민 경화형의 수지 10 ∼ 20중량부에 변성아크릴계수지 0.3 ~ 2중량부, 산촉매 0.1 ∼ 1.5중량부와 물백묵 필기구에 쓰임성 지움성의 성능을 가진 필러를 10 ∼ 40중량부를 사용하고, 여기에 유기첨가제와 이형제 등의 첨가제를 각각 0.2 ~ 1중량부와 3 ~ 8중량부, 합계 100중량부로 배합 구성하여 제조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핵심원료인 폴리에스테르수지와 모노머의 멜라민 경화형수지, 산촉매와 유기, 무기필러에 대한 개요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
본 발명상의 베이스(BASE)수지로서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일반형 폴리에스테르수지, 실리콘계 폴리에스테르수지, 고분자 폴리에스테르수지 등을 사용하며, 염기산과 알콜류의 축합반응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대표적인 염기산으로는 프탈산, 무수프탈산, 벤조산, 이소프탈산, 텔레프탈산, 테트라하이드로 무수프탈산, 헥사하 이드로 무수프탈산, 시클로 헥사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시트로산 톨유(Tall Oil) 지방산으로부터 제조된 다이머 및 무수트리멜리트산 등이 포함되며, 불포화 유기산으로는 말레인산, 무수말레인산, 프말산, 무수숙신산 등이 포함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알콜류로서의 포리올류에는 에틸렌글리콜, 플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1.6-펜탄디올,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틸하이드로프로필, 디메틸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탄올프로판, 트리에탄올 프로판 등이 포함된다.
이 수지는 수평균 분자량이 10000∼30000이고, 평균관능기가 2내지 8범위로 조절되어 있다.
(메틸레이티드 멜라민수지의 조성)
메틸레이티드 멜라민수지는 고형분이 98%인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수지로서 미국의 멜라민 제조업체인 사이텍에서 제조한 수지를 사용하였다.
(산촉매)
산촉매는 고분자폴리에스테르와 메틸레이트멜라민의 경화반응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촉매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산촉매로는 pH가 6∼7이고, 활성도가 25%인 블록화 산촉매를 사용하였고, 주로 산촉매는 미국의 킹사에서 제조한 제품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리콘계 폴리에스테르수지는 일반용 폴리에스테르수지로 대체하여 베 이스로 사용할 수 있다.
(유기필러)
유기필러는 기본적으로 도막에 슬립성을 부여하여 지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유기필러에는 나일론파우더, 폴리아크릴니트릴파우더, 메틸메타아크릴이 주성분인 아크릴파우더, 폴리테트라 플루오르에틸렌파우더 등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중 나일론파우더를 도막중에 첨가하여 가열 경화시키면, 도막의 표면에 독특한 요철모양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나일론은 융점이 36℃ 정도로 낮기 때문에 소부 과정에서 용융하여 미끄러운 외관을 가진 소프트한 요철모양이 얻어진다.
나일론파우더는 용융 시에 각각의 파우더 입자가 상호 융착하고 네트구조를 형성하여 도막전체의 가공성을 향상한다. 단, 나일론의 네트구조에 의한 가공성의 개량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2%이상 가급적 5%이상을 첨가해야한다. 폴리아크릴니트릴파우더는 프리코팅메탈도료의 소부 조건에서는 용융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거친 요철외관을 가진 도막을 얻을 수 있다. 폴리아크릴니트릴파우더는 동일한 크기의 무기계 파우더에 비해 마찰에 대한 저항력이 강해 도막에 슬립성을 부여하여 도막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다.
포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파우더는 윤활성, 표면손상방지, 블록킹방지에 효과가 있다. 유기필러는 2 ~ 20중량부를 첨가한다.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지움성은 좋아지나 쓰임성이 나빠지고 2중량부 미만이 되면 지움성이 나빠진다.
(무기필러)
도료용에 사용되는 무기필러는 기본적으로 물백묵의 쓰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크게 3가지로 나누어 사용된다. 첫째는 도료의 고형분을 높이고, 원가 절감을 위하여 사용하는 체질안료이며, 둘째는 도료의 광택을 저하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소광의 역할을 하는 소광제이며, 셋째는 도막의 표면에 요철을 주는 의장을 부여하기 위한 필러로 그 역할을 달리하여 사용되어지고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무기필러는 도막표면의 경도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고, 도막 표면에 요철을 주어, 도막 표면에 쓰여진 물백묵이 쉽게 지워짐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색상은 무색투명하고, 비중은 약 2.5g/cc, 경도는 약 5.6mohs의 성능을 가진 원료이다.
무기필러는 2 ~ 20중량부를 첨가한다.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쓰임성은 더 좋아지나 지움성과 가공성이 나빠지며, 2중량부 미만을 사용하면 쓰임성이 악화된다.
상기 유기필러와 무기필러는 후술한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유기필러와 무기필러는 이 두가지를 혼합사용하되, 보다 매끄러운 도막을 얻고 도막의 가공성과 도막 손상방지를 위한 도막 슬립성을 향상시키고저 할 경우에는 유기필러의 함유량을 무기필러보다 다량 함유케하고, 도료의 도막표면 경도 향상에 따른 내마모성과 무색투명한 도막을 얻고자 할 경우에는 무기필러의 함유량을 유기필러보다 다량함유하도록 용도에 따라 그 비율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조성물이다
(최종도료 조성물)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도료 30∼55중량부와 용제 10∼55 중량부에 메틸레이트 멜라민수지 10∼20중량부와 산촉매를 0.1∼1.5중량부를 넣고, 상도 투명도료를 제조한 후 여기에 변성 아크릴계 수지인 폴리아크릴레이트수지 0.3∼2 중량부와 평균입자가 20 ~ 50마이크론인 무기필러와 유기필러를 각각 2 ∼ 20중량부 첨가한 후, 아크릴레이트 등의 유기 첨가제, 0.2 ~ 1중량부 및 이형제 3 ~ 8중량부 첨가하여 혼합교반된 도료의 조성물을 얻는다.
이를 이용하여 연속 도장공정에서,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 전기아연도금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용융알루미늄-아연합금도금강판, 또는 알루미늄판에 프라이머와 베이스 도료로 건조도막두께가 15 ∼ 30㎛이 되게 도장하여 가열, 냉각, 건조 등의 공정을 거친 후, 상기 도료의 조성물을 건조도막두께가 15∼30㎛되게 도장한 후 가열, 냉각, 건조 등의 공정으로 통하여 도장강판을 얻는다. 산촉매가 0.1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도막의 경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1.5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경화가 너무 많이 이루어져 가공성을 나쁘게 한다. 또한 유기 및 무기필러가 합계 10중량부 이하인 경우에는 도막 외관의 입자감이 적어 물백묵의 지움성이 떨어지고, 40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지움성은 좋아지나, 도막이 딱딱해져 가공성이 저하되고 표면이 너무 거칠게 된다. 이하 실시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 실시예는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실시예
(실시예1)
전술한 바와 같이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도료 40중량부와 용제 20중량부에 메틸레이트멜라민수지 15중량부와 산촉매를 1중량부를 넣고 도료를 제조한 후 여기에 첨가제로서 변성아크릴계 수지인 폴리아크릴레이트수지 1중량부와 기타 아크릴레이트등의 유기 첨가제 0.5중량부와 평균입자가 20 ~ 50마이크론인 무기필러와 유기필러를 각각 2중량부와 15중량부 및 이형제 5.5중량부를 첨가한 후 용제로 용해하여 혼합교반하므로써 원하는 색상의 도료의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도료를 소재 자체의 이물질을 탈지, 수세, 건조한 용융아연 도금강판에 크로메이트 하도 처리한 다음 연속 롤 도장공정에서 프라이머 도료를 건조 도막두께가 6마이크론 되게 도장한 것을 소재표면온도가 210℃가 되도록 가열·건조하고, 그 위에 색상을 타나내는 중도됴료를 건조도막두께가 15마이크론이 되도록 도장하여 건조시킨 후, 그 위에 물백묵용 상도도료를 건조 도막두께가 20마이크론이 되도록 도장하여 건조시키므로써 물백묵용 착색도장강판을 제조하였다.
위와 같이 제조된 착색도장강판의 쓰임성, 지움성을 시험하였다.
물백묵용 착색 도장강판의 특성은 도장된 도막에 분필을 사용하지 않고, 물에 현탁시킨 물백묵용 필기구로 쓰고, 지웠을 때 도막에 쓰임성이 우수하고,지움성이 우수한 성능을 가져야 하는 것인데, 물백묵의 쓰임성과 지움성을 시험하는 방법으로서는 분필로 쓰임성과 지움성을 확인하는 기존제품과 상대 평가를 하는 방법을 채택하였고, 비교예와 본 발명을 대비하기 위하여 분필을 사용하는 기존의 흑판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표1과 같았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유기필러와 무기필러를 사용하고, 도막의 슬립성이 우수한 실리콘계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일반형의 폴리에스테르수지로 동일하게 대체했을 때의 도막에서의 물백묵의 쓰임성과 지움성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표2, 표3과 같았다. 즉, 양자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유기필러를 단독 사용하였을 때의 물백묵의 쓰임성과 지움성의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도장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3 및 표4의 실시예3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무기필러를 단독 사용했을 때의 물백묵의 쓰임성과 지움성의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도장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3 및 실시예 4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유기필러와 무기필러를 혼합 사용했을 시의 물백묵의 쓰임성과 지움성의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도장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3 및 표4의 실시예5로 나타나 있다.
Figure 112004043659522-pat00001
- 쓰임성 평가에서 "양호"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종래의 문교분필 백색, 청색, 황색, 적색 분필로서 100회 썼을때, 분필이 칠판에 골고루 쓰여지는지의 정도를 볼 것이고, 물백묵의 경우에는 호남흑판㈜의 물분필 칠판펜, 백색으로 100회 썼을 때 물백묵이 골고루 쓰여지는 상태를 말함.
- 지움성의 평가에서 "양호"는 쓰임성의 평가와 같은 필기구로 100회 쓰여진 것을 지웠을 때, 100회 동안 도막에 흔적이 남아있지 않은 상태임.
Figure 112006502934834-pat00007
*배합
- 상기 배합된 조정1을 넣고, 5분간 믹싱히고, 조정2를 첨가하여 5분간 믹싱 후, 실시예1에 준하여 도장시편을 제작하여 시험하였다.
Figure 112004043659522-pat00003
- BYK광택기로서 60도 경면반사값을 측정한 결과치임.
- 거즈를 4겹으로 하여 엄지손가락에 감고 왕복을 1회로하여 도막이 박리될때까지의 마모횟수를 측정한다.
- 경도는 연필에 나타난 수치를 기준으로 하여 총5개의 선을 긋고 4개선의 선에 흠발생이 없는 연필의 수치임.
- 부착성 측정기기로서 0.5mm의 직사각형을 100개 만들고, 그 100개의 직사각형의 도막을 테이프로 당겼을때 그 중 도막박리가 되지않는 개수.
- 20℃에서 시편을 절곡했을시의 도막의 박리상태로 3T는 시편을 구부린 후, 시편 3매를 사이에 끼운 후 그대로 바이스에 물려 시편이 접히게 한 후, 도막의 박리상태를 측정한 것.
- 볼의 직경이 1/2인치짜리 볼을 시편 위에 놓고, 1Kg하중으로 20센티미터 높이에서 떨어 뜨렸을때 도막박리가 없는 상태.
- 쓰임성 평가는 기존의 분필은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문교분필 백색, 청 색, 황색, 적색 분필로서 100회 썼을때, 분필이 칠판에 골고루 쓰여짐의 정도이며, 물백묵은 호남흑판㈜의 물분필 칠판팬, 백색으로 100회 썼을시 물백묵이 골고루 쓰여지는 상태임.
- 지움성의 평가는 쓰임성의 평가와 같은 필기구로 100회 쓰여진 것을 지웠을 때, 100회 동안 도막에 흔적이 남아있지 않은 상태임.
Figure 112004043659522-pat00004
- 상기배합된 량을 분산기로 입도가 5마이크론까지 되도록 분산 후, 분산된 도료에 조정1을 넣고, 5분간 믹싱하고, 조정2를 첨가하여 5분간 믹싱후 실시예1에 준하여 도장시편을 제작하여 시험하였다.
Figure 112004043659522-pat00005
- BYK광택기로서 60도 경면반사값을 측정한 결과치임.
- 거즈를 4겹으로 하여 엄지손가락에 감고 왕복을 1회로하여 도막이 박리될때까지의 마모횟수를 측정한다.
- 경도는 연필에 나타난 수치를 기준으로 하여 총5개의 선을 긋고 4개선의 선에 흠발생이 없는 연필의 수치임.
- 부착성 측정기기로서 0.5mm의 직사각형을 100개 만들고, 그 100개의 직사각형의 도막을 테이프로 당겼을때 도막박리가 되지 않는 개수.
- 20℃에서 시편을 절곡했을시의 도막의 박리상태로 2T는 시편을 구부린 후, 같은 시편 2매를 그대로 바이스에 물려 시편이 접히게 하여 도막의 박리상태를 측정하고, 3T는 시편을 구부린 후, 시편 3매를 구부린 시편사이에 끼운 후 바이스에 물려 시편이 접히게 하여 도막의 박리상태를 측정한다.
- 볼의 직경이 1/2인치짜리 볼을 시편 위에 놓고, 1Kg하중으로 20센티미터 높이에서 떨어 뜨렸을때 도막박리가 없는 상태
- 내산성시험은 20℃에서 5%초산으로 48시간 스폿트 시험한 결과치임
- 내알카리성 시험은 20℃ 5%가성소다를 48시간 스폿트 시험한 결과치임.
- 쓰임성 평가는 기존의 분필은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문교분필 백색, 청색, 황색, 적색 분필로서 100회 썼을때, 분필이 칠판에 골고루 쓰여짐의 정도이며, 물백묵은 호남흑판㈜의 물분필 칠판팬, 백색으로 100회 썼을시 물백묵이 골고루 쓰여지는 상태임.
- 지움성의 평가는 쓰임성의 평가와 같은 필기구로 100회 쓰여진 것을 지웠을 때, 100회 동안 도막에 흔적이 남아있지 않은 상태임.
이상의 실시예1 ~ 실시예5에 따른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상의 착색도장강판은 기본적으로 물백묵의 쓰임성과 지움성이 100회 반복하여 종래의 분필로 쓰고 지우거나 물백묵으로 쓰고 지워도 모두 우수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중 실리콘계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일반용 폴리에스테르수지로 대체하여도 광택, MEK 마모횟수, 연필로 시험하는 경도, 부착성, 쓰임성, 지움성 등에서도 모두 큰 차이가 없이 양호하였다. 따라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이면 어떠한 종류의 것이든 사용에 변화가 없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유기필러 또는 무기필러 어느 한쪽을 사용하는 경우와 양쪽 모두를 혼합사용하는 경우를 비교하여 보았을 때, 무기필러만을 사용하는 경우(실시예4)에는 착색도장강판을 소정의 용도로 가공하였을 때 도막이 박리되는 등 가공성이 나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게다가 지움성도 불량하게 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무기 필러만을 사용할 때 도막조직을 경화시키고 부착성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유기필러만을 사용할 경우(실시예3)에는 가공성, 지움성 등은 양호하였으나 쓰임성의 효율이 떨어져 불량하게 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유기필러와 무기필러 모두를 함께 사용하는 것(실시예5)이 효율적임을 알게 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상의 물백묵용 도장강판의 표면성상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 많은 테스트 결과 유·무기필러의 종류, 입자크기, 및 그 배합비, 선택에 따라 도막표면의 요철상태, 표면외관의 미려함 등이 우수한 물백묵용 착색용도장강판을 얻을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여 쓰임성과 지움성이 우수하고 사용되는 필러의 종류와 그레이드에 따라 도막의 입자감과 외관에 차이가 나는 원하는 형태의 도막을 얻을 수 있어 표면처리가 매끈한 물백묵용 착색도장강판을 얻을 수 있었다.

Claims (5)

  1. 폴리에스테르수지도료, 또는 실리콘계 폴리에스테르수지도료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메틸레이트 멜라민수지 및 변성 아크릴계 수지, 산촉매, 유기 및 무기필러를첨가하여 제조된 상도 투명도료의 조성물을 연속 롤 도장공정에서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 또는 전기 아연도금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용융알루미늄-아연합금도금강판, 또는 알루미늄강판에 롤 도장하도록 한 착색도장 강판에 있어서,
    프라이머 도료를 건조도막두께가 4 ∼ 8마이크론(㎛)되게 도장한 후, 그 도장 표면도달온도가 200 ∼ 250℃가 되도록 가열, 냉각, 건조한 후, 그 위에 녹색의 색상을 나타내는 중도도료를 건조도막두께가 약 10 ∼ 20 마이크론이 되도록 도장하여 중도도막의 표면도달온도가 200∼250℃가 되도록 가열, 냉각, 건조공정을 거친 다음, 상도 투명도료를 건조도막두께가 10 ∼ 30 마이크론이 되도록 도장하여 이를 상도 건조도막의 표면 도달온도가 210 ∼ 250℃가 되도록 가열, 냉각, 건조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도장용 물백묵용 착색도장강판.
  2. 제 1항에 기재된 상도투명도료의 조성물은 코일코팅도료로 사용되는 베이스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수지, 실리콘폴리에스테르계수지, 고분자폴리에스테르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30 ~ 55중량부에, 용제 10 ~ 55중량부, 메틸레이트멜라민수지 10 ~ 20중량부, 산촉매 0.1 ~ 1.5중량부를 넣어 수지도료를 제조한 후 여기에 평균입자 20 ~ 50마이크론인 무기필러와 유기필러를 각각 2 ~ 20중량부 첨가하고 첨가제로서 변성아크릴계수지인 폴리아크릴레이트수지 0.3 ~2중량부와 아크릴레이트첨가제 0.2 ~ 1중량부, 및 이형제 3 ~ 8중량부를 첨가하여 구성된 도료조성물을 상기 아연도금강판류에 롤 도장하여 물백묵용 착색상도피막층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백묵용 착색도장강판용 도료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수지로서 실리콘계 폴리에스테르수지는 일반용 폴리에스테르수지로 대체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조성물.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내식성이 우수한 프라이머를 도장한 3번 도장, 3번 건조하는 도장시스템과 프라이머를 제외한 중도와 상도만을 도장하는 2번 도장, 2번 건조 형태의 도장시스템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백용 착색도장강판.
KR1020040076776A 2004-09-24 2004-09-24 물백묵용 필기구의 사용이 가능한 도료 조성물 및 그 도료조성물로 도장된 착색 도장강판 KR100611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776A KR100611592B1 (ko) 2004-09-24 2004-09-24 물백묵용 필기구의 사용이 가능한 도료 조성물 및 그 도료조성물로 도장된 착색 도장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776A KR100611592B1 (ko) 2004-09-24 2004-09-24 물백묵용 필기구의 사용이 가능한 도료 조성물 및 그 도료조성물로 도장된 착색 도장강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899A KR20060027899A (ko) 2006-03-29
KR100611592B1 true KR100611592B1 (ko) 2006-08-10

Family

ID=37138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776A KR100611592B1 (ko) 2004-09-24 2004-09-24 물백묵용 필기구의 사용이 가능한 도료 조성물 및 그 도료조성물로 도장된 착색 도장강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15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7474A (ja) 1982-02-10 1983-08-15 Yodogawa Seikosho:Kk 白板の製造方法
JPH07309097A (ja) * 1994-03-25 1995-11-28 Sakawa Kokuban Seisakusho:Goushi 黒板類
KR960017810A (ko) * 1994-11-07 1996-06-17 신광식 마커펜 사용이 가능한 가열 건조형 내마모성 도료 및 이 도료가 도장된 철재칠판의 제조방법
KR960017811A (ko) * 1994-11-23 1996-06-17 신광식 마커펜 사용이 가능한 가열 건조형 내마모성 도료 및 이도료가 도장된 철재칠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7474A (ja) 1982-02-10 1983-08-15 Yodogawa Seikosho:Kk 白板の製造方法
JPH07309097A (ja) * 1994-03-25 1995-11-28 Sakawa Kokuban Seisakusho:Goushi 黒板類
KR960017810A (ko) * 1994-11-07 1996-06-17 신광식 마커펜 사용이 가능한 가열 건조형 내마모성 도료 및 이 도료가 도장된 철재칠판의 제조방법
KR960017811A (ko) * 1994-11-23 1996-06-17 신광식 마커펜 사용이 가능한 가열 건조형 내마모성 도료 및 이도료가 도장된 철재칠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899A (ko) 200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6443B2 (ja) 金属調光輝性塗膜形成方法および塗装物品
JP2001164191A (ja) 光輝性塗料組成物、塗膜形成方法および塗装物
KR101417372B1 (ko) 가공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친환경 금속 표면처리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 가공품
KR100965736B1 (ko) 프리 코팅용 도료 조성물
JP4896299B2 (ja) 光輝性塗料組成物、塗膜形成方法および塗装物
JP2004313922A (ja) 意匠性塗膜、意匠性塗膜形成方法および意匠性塗料組成物
KR100550836B1 (ko) 부착방지용 도료 조성물로 도장된 착색 도장강판
KR100611592B1 (ko) 물백묵용 필기구의 사용이 가능한 도료 조성물 및 그 도료조성물로 도장된 착색 도장강판
JP2003073621A (ja) 光輝性塗料組成物、光輝性塗膜形成方法および塗装物
JP2001232285A (ja) 光輝性複層塗膜の形成方法および塗装物
JP2001232283A (ja) 光輝性塗膜形成方法および塗装物
JP2003073620A (ja) 光輝性塗料組成物、塗膜形成方法および塗装物
KR101406516B1 (ko) 수지 피복 강판 및 상기 수지 피복 강판에 사용되는 하도 조성물 및 상도 조성물
JP2001232284A (ja) 光輝性複層塗膜の形成方法および塗装物
JP2006218340A (ja) 光輝性塗膜形成方法および光輝性塗装物
JP2002121494A (ja) 光輝性塗料組成物、塗膜形成方法および塗装物
JP2002201424A (ja) 光輝性塗料組成物、塗膜形成方法および塗装物
JP2002285094A (ja) 光輝性塗料組成物、フリップフロップ性の調整方法および塗装物
JP2002273321A (ja) 真珠光沢塗膜形成方法および塗装物
JP2002121493A (ja) 光輝性塗料組成物、塗膜形成方法および塗装物
JP3908008B2 (ja) 光輝性塗料組成物、光輝性塗膜形成方法および塗装物
KR102627440B1 (ko) 현무암무늬 컬러강판 제조용 도료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컬러강판
JP2002179982A (ja) ベースコート塗料組成物、複層塗膜形成方法および複層塗膜
JP2002273335A (ja) 真珠光沢塗膜形成方法および塗装物
JP2003245603A (ja) 光輝性塗膜形成方法および塗装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