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1203B1 - 와이어 트위스팅방법 - Google Patents

와이어 트위스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1203B1
KR100611203B1 KR1020050052818A KR20050052818A KR100611203B1 KR 100611203 B1 KR100611203 B1 KR 100611203B1 KR 1020050052818 A KR1020050052818 A KR 1020050052818A KR 20050052818 A KR20050052818 A KR 20050052818A KR 100611203 B1 KR100611203 B1 KR 100611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wisting
wires
cutting
twi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돈창
홍종철
양해진
진준용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2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1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7/00Twisting wire; Twisting wire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1/00Cutt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의 공급과 트위스트 및 절단 공정들이 일련의 순서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된 와이어의 트위스팅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트위스팅방법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를 프레임 본체측으로 이송하기 위해 롤러로 구성된 와이어 공급수단을 매개로 가이드하고, 가이드되는 와이어의 일단부를 파지수단으로 파지한 다음에 상측으로 꺾어서 중간부위가 휘어지도록 한 후에, 2줄의 와이어가 적정 길이를 갖도록 그 와이어의 휘어진 부위를 파지한 트위스팅수단이 이동하며, 상기한 2줄의 와이어가 서로 꼬여지도록 트위스팅수단이 와이어의 중간부위를 파지한 상태로 회전시키고, 그 꼬여진 와이어의 타단부를 커팅수단으로 절단한 후에 와이어 양측단의 파지상태를 해제하여 하측으로 낙하시키며, 각각의 단계들이 반복적으로 연계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와이어의 트위스팅을 위한 공정들이 수작업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작업시간 및 인력을 절감하여 작업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와이어 트위스팅방법{METHOD FOR TWISTING OF A WIR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의 트위스팅방법을 순차적으로 표현한 플로우 챠트.
도 2는 본 발명 와이어의 트위스팅방법에 의해 와이어가 트위스팅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와이어의 트위스팅과정이 완료된 후에 가이드플레이트에 의해 가이드되어 하측으로 낙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프레임 본체 200 : 와이어 공급수단
300 : 파지수단 400 : 트위스팅수단
500 : 커팅수단 600 : 제어수단
본 발명은 와이어의 트위스팅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와이어의 공급과 트위스트 및 절단공정들이 일련의 진행 순서에 따라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와이어 트위스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는 주로 건설현장이나 공장 내에서 물품들을 묶어서 결속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와이어는 권취된 상태로 공급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며, 이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권취된 와이어를 인출한 후에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특히 제강공장등에 사용되는 와이어는 다수개의 선재들을 일정 부피의 묶음으로 결속하여 제품을 출하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일정 길이로 절단된 와이어를 이용하여 제조가 완료된 선재등의 제품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한 후에 그 와이어를 비틀어 묶기 위한 트위스팅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 와이어의 트위스팅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와이어를 비틀어 꼬아서, 한 다발의 묶음으로 결속한 후에 시중에 유통시키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트위스팅작업에서 꼬아진 와이어가 제품들의 외주면에 밀착되기 전까지 작업자가 여러번 반복적으로 일방향으로 와이어를 회전시켜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게 될 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이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와이어를 적합한 길이로 미리 절단하여 여러회 트위스팅하여 꼬아진 상태의 것을 채용할 경우에는 제품의 결속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나, 미리 꼬아진 와이어를 공급하기 위해 와이어의 절단 및 트위스팅작업도 수작업일 경우에는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의 낭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와이 어의 절단과 트위스팅동작이 자동으로 일련의 절차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된 와이어의 트위스팅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를 프레임 본체측으로 이송하기 위해 롤러를 이용하여 가이드하는 단계와,
상기 가이드되는 와이어의 일단부를 파지수단이 파지한 후에 상측으로 꺾어서 중간부위가 휘어지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와이어의 휘어진 부위를 좌,우 이동가능한 트위스팅수단이 파지하여 이동하는 단계와,
상기 트위스팅수단이 와이어의 중간부위를 파지한 상태로 회전시켜 와이어가 꼬여지도록 트위스팅시키는 단계와,
상기 꼬여진 와이어의 타단부를 커팅수단으로 절단한 후에 와이어 양측단의 파지상태를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각 단계들이 반복적으로 연계되도록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와이어 양측단의 파지상태를 해제한 후에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측으로 낙하되는 와이어를 적층되도록 가이드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의 트위스팅방법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방법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W)를 상,하 개구된 양측의 프레임 본체(100)측으로 이송하기 위해 롤러로 구성된 와이어 공급수단(200)을 매개로 가이드하고(S1), 가이드되는 와이어(W)의 일단부를 파지수단으로 파지한 다음에 상측으로 꺾어서 중간부위가 휘어지도록 한 후에(S2), 2줄의 와이어(W)가 적정 길이를 갖도록 그 와이어(W)의 휘어진 부위를 파지한 트위스팅수단(400)이 이동하며(S3), 상기한 2줄의 와이어(W)가 서로 꼬여지도록 트위스팅수단이 와이어(W)의 중간부위를 파지한 상태로 회전시키고(S4), 그 꼬여진 와이어(W)의 타단부를 커팅수단으로 절단한 후에 와이어(W) 양측단의 파지상태를 해제하여 하측으로 낙하시키며(S5), 각각의 단계들이 반복적으로 연계 작동되도록 제어하는(S6)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와이어(W) 양측단의 파지상태를 해제한 후에 프레임 본체(100)의 하측으로 낙하되는 와이어(W)를 적층되도록 일정한 장소로 가이드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그 낙하되는 와이어(W)를 가이드시키는 것은 프레임 본체(100)의 하부에 경사진 가이드플레이트(710)를 일체로 설치하여 그 경사면을 따라 와이어(W)가 낙하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트위스팅수단(400)과 파지수단(300)의 와이어(W) 파지동작은 실린더에 의해 동작되는 한 조의 척(chuck)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 제어수단(600)은 일련의 공정들이 각각 연계 통작되도록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게 되며, 일 예로 피.엘.씨(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제어방식 을 채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와이어의 트위스팅방법은, 외부의 와이어(W)가 와이어 공급수단(20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프레임 본체(100)측으로 공급 이송되면, 제어수단에서 제어신호를 인가함에 따라 파지수단(300)이 와이어(W)의 일단부를 파지한 채로 상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파지되도록 맞물린 와이어(W)의 일단부가 상측으로 꺾여지게 된다.
이후에, 트위스팅수단(400)은 제어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파지수단(300)측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꺾여진 와이어(W)의 중간부위를 파지한 후에,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동작하게 된다.
이때, 파지된 와이어(W)는 트위스팅수단(400)의 이동에 따라 같이 연동되므로, 일단부가 파지된 2줄의 와이어(W)가 적정 길이를 갖도록 평행되게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그 당겨지도록 이동된 와이어(W)가 파지된 트위스팅수단(400)의 일부가 회전됨에 따라 와이어(W)의 중간부위가 같이 연동 회전하게 되는 데, 이때 와이어(W)의 일단부가 파지수단(3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2줄의 와이어(W)가 트위스팅되어 일방향으로 서로 꼬이게 된다.
그 트위스팅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커팅수단이(500)이 와이어(W)의 타단부를 절단한 후에, 최종적으로 와이어(W)의 일단부를 파지하고 있는 파지수단(300)과 와이어(W)의 중간부위를 파지하고 있는 트위스팅수단(400)에 와이어(W)의 파지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함에 따라 꼬여진 와이어(W)의 양측 파지상태가 해제되면서 중력에 의해 프레임 본체(100)의 하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낙하되는 와이어(W)는 프레임 본체(100)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된 가이드플레이트(710)에 의해 와이어(W)의 집결 장소로 가이드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와이어의 트위스팅방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공정들을 정리하면, 와이어 공급수단(200)에 의한 외부의 와이어 공급 → 파지수단(300)에 의해 와이어 단부가 파지된 채로 꺾임 →파지된 와이어의 중간부위를 좌,우 이동가능한 트위스팅수단(400)이 파지한 상태로 이동 →트위스팅수단(400)의 일측 부분이 회전되면서 와이어(W)를 트위스팅하여 꼬아줌 →커팅수단(500)이 꼬여진 와이어(W)의 타단부를 절단함 →절단된 와이어(W)의 양단부를 파지하고 있는 파지수단(300)과 트위스팅수단(400)의 물림 상태를 해제함 등의 순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와이어의 공급과 트위스트 및 절단 공정들이 일련의 순서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된 와이어의 트위스팅방법에 관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와이어의 트위스팅을 위한 각각의 공정들이 수작업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작업시간 및 인력을 절감하여 작업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W)를 프레임 본체측으로 이송하기 위해 롤러를 이용하여 가이드하는 단계와,
    상기 가이드되는 와이어(W)의 일단부를 파지수단(300)이 파지한 후에 상측으로 꺾어서 중간부위가 휘어지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와이어(W)의 휘어진 부위를 좌,우 이동가능한 트위스팅수단(400)이 파지하여 이동하는 단계와,
    상기 트위스팅수단(400)이 와이어(W)의 중간부위를 파지한 상태로 회전시켜 와이어(W)가 꼬여지도록 트위스팅시키는 단계와,
    상기 꼬여진 와이어(W)의 타단부를 커팅수단으로 절단한 후에 와이어(W) 양측단의 파지상태를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각 단계들이 반복적으로 연계되도록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의 트위스팅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W) 양측단의 파지상태를 해제한 후에 상기 프레임 본체(100)의 하측으로 낙하되는 와이어(W)를 적층되도록 가이드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의 트위스팅방법.
KR1020050052818A 2005-06-20 2005-06-20 와이어 트위스팅방법 KR100611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818A KR100611203B1 (ko) 2005-06-20 2005-06-20 와이어 트위스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818A KR100611203B1 (ko) 2005-06-20 2005-06-20 와이어 트위스팅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1203B1 true KR100611203B1 (ko) 2006-08-09

Family

ID=37185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818A KR100611203B1 (ko) 2005-06-20 2005-06-20 와이어 트위스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12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8449A (ko) 2020-05-28 2021-12-08 엔에이티엠 주식회사 텅스텐 필라멘트 제조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텅스텐 필라멘트의 제조 방법
KR102652249B1 (ko) 2023-10-18 2024-03-27 권도중 집합선 제조 공정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8449A (ko) 2020-05-28 2021-12-08 엔에이티엠 주식회사 텅스텐 필라멘트 제조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텅스텐 필라멘트의 제조 방법
KR102652249B1 (ko) 2023-10-18 2024-03-27 권도중 집합선 제조 공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656B1 (ko) 철근용 일자형 결속선 다발 자동생성장치 및 방법
JPH0769321A (ja) 物品の結束方法及び結束装置
JP5853776B2 (ja) 電線処理装置
CN114991490B (zh) 一种自动送丝的钢筋绑扎装置及其绑扎方法
KR100611203B1 (ko) 와이어 트위스팅방법
KR100639775B1 (ko) 와이어 트위스팅장치
KR20160138254A (ko) 망 생산기에 세로 와이어를 급송하는 시스템과 방법
KR101824849B1 (ko) 해초류 양식용 포자 끈 결속장치
JPH0569070A (ja) 建築作業用の鉄筋を選び、曲げるためのプラント
KR200395548Y1 (ko) 와이어 트위스팅장치
US3593759A (en) Wire-tying tool
KR101989623B1 (ko) 원형솔의 제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563974B1 (ko) 철망 및 철망의 제조장치
KR102267387B1 (ko) 냉간 인발 봉 포장 방법
JP6305240B2 (ja) 鉄筋配筋用スペーサー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143406B2 (ja) 電線製造装置
KR101763101B1 (ko) 와이어 권선결속 자동화 시스템
US1320515A (en) warwick
KR100961408B1 (ko) 롤 포장기의 묶음장치
KR101966521B1 (ko) 소둔선 릴 결속장치
IT202100014078A1 (it) Gruppo caricatore per elementi oblunghi, in particolare metallici
IT202100031601A1 (it) Apparecchiatura e metodo per la piegatura di barre
JP4301739B2 (ja) レーベル転位導体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109277503B (zh) 一种组合拉簧的制作装置
GB2134421A (en) Process and production line for lining mats for mine workings and lining mats produced there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