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1005B1 -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1005B1
KR100611005B1 KR1020050055558A KR20050055558A KR100611005B1 KR 100611005 B1 KR100611005 B1 KR 100611005B1 KR 1020050055558 A KR1020050055558 A KR 1020050055558A KR 20050055558 A KR20050055558 A KR 20050055558A KR 100611005 B1 KR100611005 B1 KR 100611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polysilicon
polysilicon film
substrat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권
Original Assignee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5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1005B1/ko
Priority to US11/473,737 priority patent/US774530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9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using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01L28/82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적은 선폭으로 원하는 캐패시터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는 캐패시터 및 그 형성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은 기판에 활성 영역을 정의하는 필드영역을 형성하고 기판 상에 하부 폴리실리콘막을 적층한다. 하부 폴리실리콘막을 패터닝하여 폴리실리콘막 패턴을 형성하고, 계속하여 폴리실리콘막 패턴을 패터닝하여 단차를 가진 하부전극을 형성한다. 하부전극을 포함하는 기판 전면에 유전체막 및 상부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하고 상부 폴리실리콘막을 패터닝하여 상부 전극을 형성한다. 아날로그 소자의 PIP 캐패시터의 하부전극을 3차원으로 만들어서 캐패시터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폴리실리콘의 선폭을 감소시킬 수 있어 셀 집적도(cell density)를 증가시켜 수율(yield)을 향상시킬 수 있다.
캐패시터, 폴리실리콘, 유전체막, 정전용량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Method for Forming Capacitor in Semiconductor And Capacitor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PIP 캐패시터 및 로직 회로를 갖는 반도체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PIP 캐패시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IP 캐패시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IP 캐패시터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101: 기판 3, 103: 필드영역
9, 109b: 하부전극 13, 113: 유전체막
15, 115a: 상부전극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캐패시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적은 선폭으로 원하는 캐패시터의 용 량을 확보할 수 있는 캐패시터 형성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캐패시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실리콘 반도체 기술은 정보 처리를 주 기능으로 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대표되는 로직 기술과 정보 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메모리(memory) 기술을 동시에 구현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더 나아가 로직 기술과 메모리 기술의 통합 뿐만 아니라, 아날로그, RF 기술 등이 통합되고 있다.
이러한 반도체 집적회로(IC)에서는 트랜지스터, 캐패시터, 저항 등의 다양한 소자가 단일 칩 상에 집적되어 있으며, 이들 소자들을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다. 로직 회로(예컨대 CMOS 로직)에서 사용되는 아날로그 캐패시터는 PIP(Polysilicon/Insulator/Polysilicon)와 MIM(Metal/Insulator/Metal) 형태가 주로 사용된다. 이 중에서도 PIP 캐패시터는 아날로그 소자의 노이즈 방지, 주파수 변조 등에 널리 이용되는 소자이며 하부 전극(bottom electrode)과 상부 전극(top electrode)이 로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물질과 동일한 폴리실리콘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별도의 공정없이 게이트 전극 제조 공정시 PIP 캐패시터의 전극을 함께 제조하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PIP 캐패시터 및 로직 회로를 갖는 반도체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A' 영역은 저항 영역을 나타내며, 'B' 영역은 캐패시터 영역을 나타내며, 'C' 영역은 로직 트랜지스터 영역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1)에는 활성영역을 정의하는 필드영역(3)이 정의되어 있다. 기판 상의 'A' 영역에는 저항(7)이 형성되어 있으며, 'B' 영역에는 하부전극 (9), 유전체막(13), 상부전극(15)으로 구성된 PIP 캐패시터가 형성되어 있으며, 'C' 영역에는 게이트 절연막(5)을 개재한 게이트 전극(11)과 게이트 전극에 인접한 활성영역에 형성된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10)으로 구성된 모스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기판에 형성된 저항, PIP 캐패시터 및 트랜지스터의 상부에는 제1 층간절연막(17) 및 제2 층간절연막(19)이 덮여지며 이들 층간절연막들(17, 19)을 관통하여 기판에 형성된 소자와 연결되는 콘택플러그들(21, 23, 25)과 이 콘택플러그들을 연결하는 금속배선들(27)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조의 반도체 소자에서 PIP 캐패시터는 하부전극과 상부전극 사이에 개재된 유전체막의 면적에 의하여 캐패시터의 용량이 결정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PIP 캐패시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부전극(9, 전극의 폭은 L1)과 상부전극(15, 전극의 폭은 L2)와 그 사이에 개재된 유전체막(13)에 의하여 PIP 캐패시터가 구성되며, 캐패시터의 용량은 상하부 전극(9, 15) 사이의 유전체막(13)의 표면적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와 같이, 상하부 전극이 접하는 면적에 의하여 캐패시터의 용량이 결정되기 때문에 상하부 전극을 구성하는 폴리실리콘의 선폭을 크게 가져가야지 반도체 소자가 요구하는 캐패시터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기판에서 다양한 특성을 가진 아날로그 소자(analog device)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다른 소자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는 셀 집적도(cell density)를 가질 수 밖에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날로그 소자의 셀 집적도를 높이기 위하여 PIP 캐패시터의 캐패시터 용량을 높여 적은 선폭으로 원하는 캐패시터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는 캐패시터 및 그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은 기판에 활성 영역을 정의하는 필드영역을 형성하고 기판 상에 하부 폴리실리콘막을 적층한다. 하부 폴리실리콘막을 패터닝하여 폴리실리콘막 패턴을 형성하고, 계속하여 폴리실리콘막 패턴을 패터닝하여 단차를 가진 하부전극을 형성한다. 하부전극을 포함하는 기판 전면에 유전체막 및 상부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하고 상부 폴리실리콘막을 패터닝하여 상부 전극을 형성한다.
하부 폴리실리콘막을 패터닝할 때 또는 상부 폴리실리콘막을 패터닝할 때, 기판의 소정 영역에 저항 및 게이트 전극을 동시에 패터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아날로그 PIP 캐패시터는 단차를 가진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된 하부전극, 하부전극 상에 형성된 유전체막, 및 유전체막 상에 상기 하부 전극보다 폭이 좁은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된 상부전극으로 구성된다.
구현예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구현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IP 캐패시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판에 하부전극(109b), 유전체막(113), 상부전극(115a)이 차례대로 적층되어 있다. 여기서, 하부 전극(109b)은 중앙에 단차를 가지고 있는 3차원의 캐패시터로서 상부전극(115)과 접하는 유전체막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캐패시터의 용량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제한된 셀 면적 내에 메모리 캐패시터의 용량(C)을 적정값 이상 유지시키기 위한 방법은 C=εAs/d (ε:유전률, As:전극의 표면적, d:유전체 두께) 와 같이, 첫째는 유전체 두께(d)를 감소시키는 방법, 둘째는 전극의 표면적(As)을 증가시키는 방법, 셋째는 유전율(ε)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캐패시터를 3차원으로 형성하여, PIP 캐패시터의 하부전극 선폭(L1)과 상부전극의 선폭(L2)을 줄이더라도 원하는 캐패시터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IP 캐패시터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캐패시터 형성영역만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기판(101)에 활성영역을 정의하는 필드영역(103)을 형성한다. 즉, 상기 기판(101)의 소정 영역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고, 상기 트렌치를 충분히 채우는 절연물을 매립하고 화학기계적 연마하여 필드영역(103)을 형성한다. 이어서, 기판 전면에 하부 폴리실리콘막(109)을 2600Å 정도 증착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기판 전면에 감광막을 도포하고 통상의 사진공정으로 패터닝된 감광막 패턴(110)을 식각마스크로 하부 폴리실리콘막을 패터닝하여 폴리실리콘막 패턴(109a)을 형성한다. 이 때,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하부 폴리실 리콘막으로 다른 소자인 저항과 게이트 전극을 동시에 패터닝할 수 있다. 폴리실리콘막 패턴(109a)의 선폭은 종래의 PIP 캐패시터의 하부전극보다 더 폭을 좁게 형성하여 셀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감광막 패턴을 제거하고 다시 기판 전면에 감광막을 도포하고 통상의 사진공정으로 패터닝된 감광막 패턴(112)을 식각마스크로 폴리실리콘막 패턴(109a)의 중앙부분을 제외하고 단차를 가지게 패터닝하여 하부전극(109b)을 형성한다. 하부전극(109b)은 단차를 가진 3차원으로 형성하여 폴리실리콘막의 폭을 좁게 형성하여도 원하는 캐패시터의 용량을 얻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감광막 패턴을 제거하고 하부전극(109b)이 형성된 기판 전면에 유전체막(113) 및 상부 폴리실리콘막(115)을 차례대로 적층한다. 유전체막(113)은 HTO/SiN/SiO2를 50Å/60Å/300Å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부 폴리실리콘막(115)은 인(P)을 도핑하여 1500Å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기판 전면에 감광막을 도포하고 통상의 사진공정으로 패터닝된 감광막 패턴(116)을 식각마스크로 상부 폴리실리콘막(115)을 패터닝하여 상부전극(115a)을 형성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PIP 캐패시터를 완성한다. 이 때,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부 폴리실리콘막으로 다른 소자인 저항과 게이트 전극을 동시에 패터닝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를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정하여지며,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 구현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형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날로그 소자의 PIP 캐패시터의 하부전극을 3차원으로 만들어서 캐패시터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폴리실리콘의 선폭을 감소시킬 수 있어 셀 집적도(cell density)를 증가시켜 수율(yield)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기판에 활성 영역을 정의하는 필드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하부 폴리실리콘막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하부 폴리실리콘막을 패터닝하여 폴리실리콘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폴리실리콘막 패턴을 패터닝하여 단차를 가진 하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전극을 포함하는 기판 전면에 유전체막 및 상부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폴리실리콘막을 패터닝하여 상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캐패시터 형성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하부 폴리실리콘막을 패터닝할 때 기판의 소정 영역에 저항 및 게이트 전극을 동시에 패터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형성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상부 폴리실리콘막을 패터닝할 때 기판의 소정 영역에 저항 및 게이트 전극을 동시에 패터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형성방법.
  4. 반도체 소자의 아날로그 PIP 캐패시터에 있어서,
    단차를 가진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된 하부전극;
    상기 하부전극 상에 형성된 유전체막; 및
    상기 유전체막 상에 상기 하부 전극보다 폭이 좁은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된 상부전극을 포함하는 캐패시터.
KR1020050055558A 2005-06-27 2005-06-27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611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558A KR100611005B1 (ko) 2005-06-27 2005-06-27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US11/473,737 US7745300B2 (en) 2005-06-27 2006-06-23 Method for forming a capacitor in a semiconductor and a capacito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558A KR100611005B1 (ko) 2005-06-27 2005-06-27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1005B1 true KR100611005B1 (ko) 2006-08-10

Family

ID=37568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558A KR100611005B1 (ko) 2005-06-27 2005-06-27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45300B2 (ko)
KR (1) KR1006110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44569A (zh) * 2010-08-06 2011-01-12 北京大学 一种利用mim电容结构制备非挥发性存储器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4526A (en) * 1996-06-14 1998-09-29 Vanguard Inter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DRAM stacked capacitor with a two step ladder storage node
KR100305680B1 (ko) * 1999-08-26 2001-11-01 윤종용 반도체 집적회로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DE10010288C1 (de) * 2000-02-25 2001-09-20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erroelektrischen Kondensatoranordnung
US6492224B1 (en) * 2001-07-16 2002-12-1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Buried PIP capacitor for mixed-mode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92811A1 (en) 2006-12-28
US7745300B2 (en) 201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2581B1 (ko) 반도체 소자의 스택 커패시터 및 그의 형성방법
KR20010014804A (ko)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356135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US6255697B1 (en) Integrated circuit devices including distributed and isolated dummy conductive regions
KR100848241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WO2006087679A2 (en) Embedded dram with increased capaci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0611005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835825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68793A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705257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3257625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96417B1 (ko) 반도체 소자의 엠아이엠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510998B1 (ko) 스토리지 노드 콘택 형성 방법
JP3876218B2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84044B1 (ko)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576513B1 (ko) 반도체 소자의 엠아이엠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244403B1 (ko) 에스램 및 그 제조방법
KR100527564B1 (ko)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KR100591171B1 (ko) 금속 절연체 금속 캐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US20050030700A1 (en) Capacitor element,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ose
KR100368976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415543B1 (ko) 강유전체 메모리 셀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0699685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0165304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자기정합적인 접촉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094061B1 (ko) 반도체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