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948B1 - 진동 모터 구동 회로 - Google Patents

진동 모터 구동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948B1
KR100610948B1 KR1020030072930A KR20030072930A KR100610948B1 KR 100610948 B1 KR100610948 B1 KR 100610948B1 KR 1020030072930 A KR1020030072930 A KR 1020030072930A KR 20030072930 A KR20030072930 A KR 20030072930A KR 100610948 B1 KR100610948 B1 KR 100610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hall element
unit
signal
com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7693A (ko
Inventor
김은지
강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이씨
Priority to KR1020030072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948B1/ko
Publication of KR20050037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7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K29/06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 H02K29/08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using 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plates, magneto-re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모터 구동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진동 모터 구동 회로를 하나의 반도체칩으로 구현하여 그 크기를 대폭 축소함과 동시에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기준 전압 및 동작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소정 전압을 인가받는 동시에 외부의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일정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홀소자부와, 상기 홀소자부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로직 입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로부터의 디지털 로직 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 출력단을 선택하여 소정 신호를 출력하는 로직 회로부와, 상기 로직 회로부의 각 출력단에 연결되어 모터의 자성부에 소정 자기력을 인가하여 모터의 자성부가 회전되도록 하는 코일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함.
진동 모터, 홀소자, 코일

Description

진동 모터 구동 회로{Operation circuit of vibration motor}
도 1은 본 발명의 진동 모터 구동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진동 모터 구동 회로중 코일 배치 상태 및 반도체칩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b는 진동 모터에 구비된 자석 배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전원 공급부 20; 홀소자부
21; 제1홀소자 22; 제2홀소자
30; 증폭부 31; 제1증폭기
32; 제2증폭기 40; 비교부
41; 제1비교기 42; 제2비교기
50; 로직 회로부 60; 코일부
61; 제1코일 62; 제2코일
63; 제3코일
본 발명은 진동 모터 구동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진동 모터 구동 회로를 하나의 반도체칩으로 구현하여 그 크기를 대폭 축소함과 동시에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진동 모터 구동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착신 신호 수신시 벨이 울리도록 하거나, 또는 모터에 의한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전화가 왔음을 알리고 있다. 여기서, 상기 진동 모터 구동 회로는 진동자를 이용한 기계식이어서 그 마모성으로 인해 수명이 짧고, 기계적인 장치로서 회로기판의 크기를 축소하는데 장애 요소가 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진동 모터 구동 회로는 회로기판위에 다수의 능동 소자 또는 수동소자가 납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회로기판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배선패턴이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전력 손실이 매우 큰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 모터 구동 회로를 하나의 반도체칩으로 구현하여 그 크기를 대폭 축소함과 동시에 기계식이 아닌 전자식이어서 마모에 의한 수명 감소가 없고, 또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진동 모터 구동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모터 구동 회로는 기준 전압 및 동작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소정 전압을 인가받는 동시에 외부의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일정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홀소자부와, 상기 홀소자부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로직 입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로부터의 디지털 로직 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 출력단을 선택하여 소정 신호를 출력하는 로직 회로부와, 상기 로직 회로부의 각 출력단에 연결되어 모터의 자성부에 소정 자기력을 인가하여 모터의 자성부가 회전되도록 하는 코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홀소자부는 일정 거리 이격된 제1홀소자와 제2홀소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증폭부는 제1홀소자에 연결된 제1증폭기와, 제2홀소자에 연결된 제2증폭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비교부는 제1증폭기에 연결된 제1비교기와, 제2증폭기에 연결된 제2비교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직 회로부는 제1비교기와 제2비교기로부터 소정 신호가 입력되는 2개의 입력단과, 상기 코일부로 소정 신호가 출력되는 3개의 출력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일부는 상기 로직 회로부의 각 출력단에 연결된 제1코일, 제2코일 및 제3코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부의 제1코일, 제2코일 및 제3코일은 원점을 중심으로 각각 70~75°의 각도를 차지하며 원형으로 근접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 홀소자부, 증폭부, 비교부 및 로직 회로부는 하나의 반도체칩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홀소자와 제2홀소자 사이의 거리는 1.5~2.0mm 이고, 상기 코일부의 원점으로터 상기 각 제1홀소자와 제2홀소자가 이루는 각도는 30~40°일 수 있다.
또한, 최초로 동작 전압이 인가되면, 제1홀소자 및 제2홀소자가 각각 로우 신호를 출력하여, 로직 회로부에 의해 제2코일 및 제3코일에만 전압이 인가되어 모터의 자성체가 회전되기 시작하고, 상기 모터의 자성체가 회전되기 시작하면, 상기 제1홀소자는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제2홀소자는 하이 신호를 출력하여, 로직 회로부에 의해 제3코일에만 전압이 인가되어 모터의 자성체가 계속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모터의 자성체가 계속 회전되면, 상기 제1홀소자 및 제2홀소자가 각각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그러면 로직 회로부에 의해 제1코일에만 전압이 인가되어 모터의 자성체가 더 회전되고, 상기 모터의 자성체가 더 회전되면, 상기 제1홀소자는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제2홀소자는 로우 신호를 출력하여, 로직 회로부에 의해 제2코일에만 전압이 인가되어 모터의 자성체가 연속 회전된다.
더불어, 상기 코일부의 제1코일, 제2코일 및 제3코일의 상부에는 회전 가능한 자성체가 위치되어 있고, 상기 자성체는 코일부의 원점을 중심으로 N극과 S극이 교차하면서 원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는 N극과 S극이 원점을 중심으로 각각 60°를 차지하며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비교기 및 제2비교기는 자신의 반전입력단자에 상기 제1홀소자 및 제2홀소자의 옵셋(off set)을 보정할 수 있도록 옵셋 보정부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코일, 제2코일 및 제3코일에는 자신과 병렬로 보호용 다이오드가 더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홀소자 및 제2홀소자는 외부 자기장의 변화가 없을 경우에는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외부 자기장의 변화가 300가우스(Gause) 이상일 경우에는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진동 모터 구동 회로를 이루는 전원 공급부, 홀소자부, 증폭부, 비교부 및 로직 회로부가 하나의 반도체칩에 구현됨으로써, 그 크기를 대폭 축소함과 동시에, 기계식에 비해 수명을 연장시키고, 또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홀소자를 이용하여 자성체의 회전 상태에 따라 적절한 코일에만 전압을 인가하여 모터의 자성체를 연속 회전시킴으로써, 소비 전력을 더욱 최소화하는 동시에, 진동 모터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모터 구동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모터 구동 회로는 전원 공급부(10)와, 홀소자부(20)와, 증폭부(30)와, 비교부(40)와, 로직 회로부(50)와, 코일부(6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 공급부(10), 홀소자부(20), 증폭부(30), 비교부(40) 및 로직 회로부(50)는 하나의 반도체칩(100)에 집적화되어 구현될 수 있 다.
먼저, 상기 전원 공급부(10)는 통상의 온도 보상용 밴드갭(band gap) 회로와, 초기 전원이 공급되어 정상동작 될 때까지 기준 전류를 제어하는 스타트업 회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10)는 동작 전압(VCC) 및 기준전압(VREF)을 출력한다.
상기 홀소자부(20)는 외부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일정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홀소자(21)와 제2홀소자(22)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1홀소자(21) 및 제2홀소자(22)는 자신의 어느 한 입력 단자가 상기 전원 공급부(1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제1홀소자(21) 및 제2홀소자(22)는 외부 자기장의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로우(low) 신호를 출력하고, 외부 자기장의 변화가 300가우스(Gause) 이상인 경우에는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증폭부(30)는 상기 제1홀소자(21) 및 제2홀소자(22)로부터의 아날로그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제1증폭기(31)와 제2증폭기(32)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1증폭기(31) 및 제2증폭기(32)는 반전입력단자(-) 및 비반전입력단자(+)가 모두 상기 제1홀소자(21) 및 제2홀소자(22)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비교부(40)는 상기 제1증폭기(31) 및 제2증폭기(32)의 아날로그 출력 신호를 로직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비교기(41)와 제2비교기(42)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1비교기(41) 및 제2비교는 비반전입력단자(+)가 상기 제1증폭기(31) 및 제2증폭기(32)의 출력 단자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비교기(41) 및 제2비교기(42)의 반전입력단자(-)는 상기 제1홀소자(21) 및 제2홀소자(22)의 다른 입력 단자에 옵셋 보정부(R1,R2)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옵셋 보정부(R1,R2)는 제1홀소자(21) 및 제2홀소자(22)의 옵셋을 보정하는 역할을 하며 통상의 저항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로직 회로부(50)는 제1,2입력 단자(A1,A2)와 제1,2,3출력단자(A11, A22, A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2입력 단자(A1,A2)는 상기 비교부(40)의 제1비교기(41) 및 제2비교기(42)의 출력 단자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로직 회로부(50)는 상기 제1,2입력 단자(A1,A2)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적절한 제1,2,3출력 단자(A11, A22, A33)중 어느 하나 또는 두개를 선택하여 소정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코일부(60)는 제1코일(61), 제2코일(62) 및 제3코일(6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코일(61)은 상기 로직 회로부(50)의 제1출력단자(A11)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코일(62)은 상기 로직 회로부(50)의 제2출력단자(A22)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3코일(63)은 상기 로직 회로부(50)의 제3출력 단자(A33)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코일(61)과 로직 회로부(50)의 제1출력 단자(A11) 사이에는 베이스에 소정 전류가 흐를때 컬렉터에서 에미터로 증폭 전류를 흘리는 제1트랜지스터(Q1)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Q1) 및 제1코일(61)에는 병렬로 보호용 다이오드(D1,D4)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코일(62)과 로직 회로부(50)의 제2출력 단자(A22) 사이에는 베이스에 소정 전류가 흐를때 컬렉터에서 에미터로 증폭 전류를 흘리는 제2트랜지스터(Q2)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트 랜지스터(Q2) 및 제2코일(62)에는 병렬로 보호용 다이오드(D2,D5)가 연결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제3코일(63)과 로직 회로부(50)의 제3출력 단자(A33) 사이에는 베이스에 소정 전류가 흐를때 컬렉터에서 에미터로 증폭 전류를 흘리는 제3트랜지스터(Q3)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3트랜지스터(Q3) 및 제3코일(63)에는 병렬로 보호용 다이오드(D3,D6)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코일(61), 제2코일(62) 및 제3코일(63)은 실제로 반도체칩 외부에 형성되며, 이는 제1출력 단자(OUT A), 제2출력 단자(OUT B) 및 제3출력 단자(OUT C)를 통해 연결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진동 모터 구동 회로중 코일 배치 상태 및 반도체칩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를 참조하면, 진동 모터에 구비된 자석 배치 상태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부(60)의 제1코일(61), 제2코일(62) 및 제3코일(63)은 원점을 중심으로, 대략 70~75°의 각도를 차지하며, 대략 원형으로 근접 배열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10), 홀소자부(20), 증폭부(30), 비교부(40) 및 로직 회로부(50)가 집적된 반도체칩(100)은 상기 제1코일(61) 내지 제3코일(63) 사이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반도체칩(100)에 형성된 제1홀소자(21) 및 제2홀소자(22) 사이의 거리는 대략 1.5~2.0mm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코일부(60)의 원점으로부터 상기 각 제1홀소자(21)와 제2홀소자(22)가 이루는 각도는 대략 30~40°으로 되어있다.
더불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부(60)의 제1코일(61), 제2코일(62) 및 제3코일(63)의 상부에는 회전 가능한 자성체(70)가 위치되어 있는데, 이는 코일부(60)의 원점을 중심으로 N극과 S극이 교차하면서 원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70)는 N극과 S극이 원점을 중심으로 대략 60°를 차지하며 배열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모터 구동 회로는 이동통신단말기외에도 전동 칫솔, 전기 면도기, 진동 드라이버 등 진동 모터가 이용되는 모든 분야에서 채택 및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특정 분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성을 하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모터 구동 회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이러한 동작 과정을 하기된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입력 단자 로우 로우 하이 하이
제2입력 단자 로우 하이 하이 로우
출력 제2,3출력 단자 제3출력 단자 제1출력 단자 제2출력 단자
먼저, 최초로 동작 전압이 인가되면, 홀소자부(20)의 제1홀소자(21) 및 제2홀소자(22)가 각각 로우 신호를 출력한다. 즉, 모터의 자성체(70) 회전이 아직 없기 때문에, 외부 자기장의 변화가 없고, 따라서 제1홀소자(21) 및 제2홀소자(22)는 외부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지 못하여 로우 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이러한 로우 신호는 증폭부(30)의 제1증폭기(31) 및 제2증폭기(32)를 통하여 각각 증폭되고, 이어 서 비교부(40)의 제1비교기(41) 및 제2비교기(42)를 통하여 로직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로직 회로부(50)에 입력된다. 즉, 로직 회로부(50)의 제1입력 단자(A1) 및 제2입력 단자(A2)로 각각 로우 신호가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로직 회로부(50)는 제2출력 단자(A22) 및 제3출력 단자(A33)에만 소정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제2트랜지스터(Q2) 및 제3트랜지스터(Q3)가 턴-온(turn-on)되도록 한다. 그러면, 제2코일(62) 및 제3코일(63)에 소정 전류가 흐름으로써, 소정 자기장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코일부(60) 위에 위치한 원형의 자성체(70)가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모터의 자성체(70)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홀소자부(20)의 제1홀소자(21) 및 제2홀소자(22)에 소정 자기장의 변화량이 감지된다. 예를 들면, 제1홀소자(21)는 자기장 변화를 아직 감지하지 못하여 로우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제2홀소자(22)는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증폭부(30)의 제2증폭기(32)가 이를 증폭하고, 이어서 비교부(40)의 제2비교기(42)가 로직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로직 회로부(50)의 제2입력 단자(A2)에 하이 신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로직 회로부(50)는 제3출력 단자(A33)에만 소정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제3트랜지스터(Q3)가 턴-온되도록 한다. 그러면, 제3코일(63)에 소정 전류가 흐름으로써, 소정 자기장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코일부(60) 위에 위치한 원형의 자성체(70)가 더 회전하게된다.
이와 같이 모터의 자성체(70)가 더 회전되면, 홀소자부(20)의 제1홀소자(21) 및 제2홀소자(22)에 소정 자기장의 변화량이 감지된다. 예를 들면, 제1홀소자(21) 및 제2홀소자(22) 모두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증폭부(30)의 제1증폭기(31) 및 제2증폭기(32)가 이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또한, 비교부(40)의 제1비교기(41) 및 제2비교기(42)가 이를 로직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로직 회로부(50)의 제1입력 단자(A1) 및 제2입력 단자(A2)에 하이 신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로직 회로부(50)는 제1출력 단자(A11)에만 소정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제1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도록 한다. 그러면, 제1코일(61)에 소정 전류가 흐름으로써, 소정 자기장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코일부(60) 위에 위치한 원형의 자성체(70)가 계속 회전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모터의 자성체(70)가 계속 회전되면, 홀소자부(20)의 제1홀소자(21) 및 제2홀소자(22)에 소정 자기장의 변화량이 감지된다. 예를 들면, 제1홀소자(21)가 자지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제2홀소자(22)는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지 못하여 로우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증폭부(30)의 제1증폭기(31)가 이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또한 비교부(40)의 제1비교기(41)가 이를 로직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로직 회로부(50)의 제1입력 단자(A1)에 하이 신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로직 회로부(50)는 제2출력 단자(A22)에만 소정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제2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도록 한다. 그러면, 제2코일(62)에 소정 전류가 흐름으로써, 소정 자기장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코일부(60) 위에 위치한 원형 의 자성체(70)가 연속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 과정에 의해 모터의 자성체(70)는 동작 전압이 오프될 때까지 계속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진동 모터 구동 회로를 이루는 전원 공급부, 홀소자부, 증폭부, 비교부 및 로직 회로부가 하나의 반도체칩에 구현됨으로써, 그 크기를 대폭 축소함과 동시에 수명을 연장시키고,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홀소자를 이용하여 자성체의 회전 상태에 따라 적절한 코일에만 전압을 인가하여 모터의 자성체를 연속 회전시킴으로써, 소비 전력을 더욱 최소화하는 동시에, 진동 모터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 구동 회로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동작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소정 전압을 인가받는 동시에 외부의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여 소정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호 소정 거리 이격된 제1홀소자와 제2홀자로 이루어진 홀소자부와, 상기 홀소자부의 제1홀소자에 연결된 제1증폭기와, 제2홀소자에 연결된 제2증폭기로 이루어져 상기 홀소자부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의 제1증폭기에 연결된 제1비교기와, 제2증폭기에 연결된 제2비교기로 이루어져 상기 증폭부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로직 입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의 제1비교기와 제2비교기로부터 소정 신호가 입력되는 2개의 입력단과, 소정 신호가 출력되는 3개의 출력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비교부로부터의 디지털 로직 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 출력단을 선택하여 소정 신호를 출력하는 로직 회로부와, 상기 로직 회로부의 각 출력단에 연결된 제1코일, 제2코일 및 제3코일로 이루어져 모터의 자성부에 소정 자기력을 인가하여 모터의 자성부가 회전되도록 하는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비교기 및 제2비교기는 자신의 반전입력단자에 상기 제1홀소자 및 제2홀소자의 옵셋(off set)을 보정할 수 있도록 저항으로 이루어진 옵셋 보정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구동 회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의 제1코일, 제2코일 및 제3코일은 원점을 중심으로 각각 70~75°의 각도를 차지하며 원형으로 근접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구동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 홀소자부, 증폭부, 비교부 및 로직 회로부는 하나의 반도체칩에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구동 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소자와 제2홀소자 사이의 거리는 1.5~2.0mm 이고, 상기 코일부의 원점으로터 상기 각 제1홀소자와 제2홀소자가 이루는 각도는 3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구동 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최초로 동작 전압이 인가되면, 제1홀소자 및 제2홀소자가 각각 로우 신호를 출력하여, 로직 회로부에 의해 제2코일 및 제3코일에만 전압이 인가되어 모터의 자성체가 회전되기 시작하고,
    상기 모터의 자성체가 회전되기 시작하면, 상기 제1홀소자는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제2홀소자는 하이 신호를 출력하여, 로직 회로부에 의해 제3코일에만 전압이 인가되어 모터의 자성체가 계속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모터의 자성체가 계속 회전되면, 상기 제1홀소자 및 제2홀소자가 각각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그러면 로직 회로부에 의해 제1코일에만 전압이 인가되어 모터의 자성체가 더 회전되고,
    상기 모터의 자성체가 더 회전되면, 상기 제1홀소자는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제2홀소자는 로우 신호를 출력하여, 로직 회로부에 의해 제2코일에만 전압이 인가되어 모터의 자성체가 연속 회전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구동 회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의 제1코일, 제2코일 및 제3코일의 상부에는 회전 가능한 자성체가 위치되어 있고, 상기 자성체는 코일부의 원점을 중심으로 N극과 S극이 교차하면서 원형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구동 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N극과 S극이 원점을 중심으로 각각 60°를 차지하며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구동 회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 제2코일 및 제3코일에는 자신과 병렬로 보호용 다이오드가 더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구동 회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소자 및 제2홀소자는 외부 자기장의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외부 자기장의 변화가 300가우스(Gause) 이상인 경우에는 하이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구동 회로.
KR1020030072930A 2003-10-20 2003-10-20 진동 모터 구동 회로 KR100610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930A KR100610948B1 (ko) 2003-10-20 2003-10-20 진동 모터 구동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930A KR100610948B1 (ko) 2003-10-20 2003-10-20 진동 모터 구동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693A KR20050037693A (ko) 2005-04-25
KR100610948B1 true KR100610948B1 (ko) 2006-08-09

Family

ID=37240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930A KR100610948B1 (ko) 2003-10-20 2003-10-20 진동 모터 구동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9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4977A (ja) 1998-10-29 2000-05-12 Alps Electric Co Ltd 多相モータの駆動装置
KR20020060673A (ko) * 2002-07-02 2002-07-18 김정훈 편평형 무정류자 진동모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4977A (ja) 1998-10-29 2000-05-12 Alps Electric Co Ltd 多相モータの駆動装置
KR20020060673A (ko) * 2002-07-02 2002-07-18 김정훈 편평형 무정류자 진동모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6067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693A (ko) 2005-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4561B1 (ko) 고전력 증폭기용 정지 전류 제어 회로
TW200908809A (en)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circuit
US5349275A (en) 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TWI240488B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101792271B1 (ko) 바이어스 회로 및 이를 갖는 전력 증폭기
KR100610948B1 (ko) 진동 모터 구동 회로
JP4181587B2 (ja) ヒステリシス特性を有する電圧比較回路
US8629710B2 (en) Sensor output IC and sensor device
US6756843B2 (en) Signal transmitter with pulse-controlled amplification
JPH04239809A (ja) 振幅制限回路
US4599578A (en) Protection circuit
JP2004112892A (ja) ファン駆動制御回路
US7003048B1 (en) Communication arrangement comprising powerful integrated amplitude-modulation means
JP4824230B2 (ja) 温度検知回路
US6812740B2 (en) Low-voltage drive circuit and method for the same
JP4286763B2 (ja) 過電流保護回路および電圧生成回路
JP2006115255A (ja) 演算増幅器
JPH11259152A (ja) シリーズレギュレータ
JP2005229197A (ja) 電力増幅器モジュール
JP2647233B2 (ja) ホール素子
JP2680944B2 (ja) 信号保持回路
CN210135930U (zh) 一种双极输出的霍尔集成传感器
JP2002267765A (ja) 近接センサ
KR101007490B1 (ko) 전력소모 저감 장치
US10291020B2 (en)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