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590B1 - 지그비 무선네트워크 규격을 적용한 양방향 호출시스템 - Google Patents

지그비 무선네트워크 규격을 적용한 양방향 호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590B1
KR100610590B1 KR1020050077772A KR20050077772A KR100610590B1 KR 100610590 B1 KR100610590 B1 KR 100610590B1 KR 1020050077772 A KR1020050077772 A KR 1020050077772A KR 20050077772 A KR20050077772 A KR 20050077772A KR 100610590 B1 KR100610590 B1 KR 100610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aiting
person
standb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0966A (ko
Inventor
심성철
Original Assignee
정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찬형 filed Critical 정찬형
Priority to KR1020050077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590B1/ko
Publication of KR20050090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한 양방향 호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패밀리 레스토랑이나 셀프서비스 방식의 음식점 또는 종합병원과 같이 대기시간이 길거나 인원이 혼잡한 장소에서 순번을 기다리는 대기자에게 소정의 단말기를 지급하여, 상기 단말기를 통해 대기자와 담당자가 상호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구현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일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지그비 무선네트워크 규격을 적용한 양방향 호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고유번호가 등록되어 해당 신호에 대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시청각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선택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대기자단말기와; 상기 대기자단말기의 고유번호에 대해 각종 정보들을 입력하여 무선신호를 송신하거나, 역으로 고유번호의 대기자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제어단말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패밀리 레스토랑이나 셀프서비스 방식의 음식점 또는 종합병원과 같이 대기시간이 길거나 인원이 혼잡한 장소에서 순번을 기다리는 대기자에게 소정의 단말기를 지급하여 현재의 진행현황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대기자는 일정한 장소에서 기다리거나 대기번호판을 계속 주시할 필요가 없으며, 대기자단말기를 소지한 채 수신이 가능한 공간 내에서 자유롭게 다른 용무를 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대기자는 담당자에게 다른 내용의 서비스를 요청하거나 현재 자기 상황을 알려주는 등 대기자와 담당자 간의 상호 양방향 통신이 구현됨으로써, 효과적으로 일을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대기에서부터 일을 마무리할 때까지 대기자의 편의를 최대한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음식점, 레스토랑, 종합병원, 대기, 호출, 광고, 양방향, 지그비

Description

지그비 무선네트워크 규격을 적용한 양방향 호출시스템 {The both direction calling system which applies a Zigbee wireless network standard}
도 1은 본 발명에 대한 양방향 호출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호출장치의 상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호출시스템의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호출시스템의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대기자단말기 20 : 제어단말기
본 발명은 무선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한 양방향 호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패밀리 레스토랑이나 셀프서비스 방식의 음식점 또는 종합병원과 같이 대기시간이 길거나 인원이 혼잡한 장소에서 순번을 기다리는 대기자에게 소정의 단말기를 지급하여, 상기 단말기를 통해 대기자와 담당자가 상호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구현함 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일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지그비 무선네트워크 규격을 적용한 양방향 호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밀리 레스토랑이나 셀프서비스 방식의 음식점에서는 대기표를 받아서 자신의 순서를 기다리거나 주문음식이 나올 때까지 대기석이나 빈 테이블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자신의 순서가 되면 대기표를 반납하고 자리안내 또는 해당음식을 제공받게 된다.
이때는, 대기번호가 기록된 대기표를 가지고 있다가 특정 위치에 설치된 대기번호표시판에 표시되는 자신의 번호를 확인하고, 나가서 대기표를 반납 한 후 자리을 안내받거나 해당 음식을 제공받는다.
이와 같은 경우, 자기의 순서가 되거나 해당 음식이 나올 때까지 자신의 대기번호가 표시되는 것은 확인하기 위해 항상 대기번호표시판을 주시하여야하고, 순번이 바뀔때마다 특정 레벨의 벨 소리가 울리게 되어 대기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느끼는 경우가 빈번하게 있으며, 급한 용무로 인해 잠시 자리를 비울 경우 현재 진행현황을 전혀 알 수가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대해 대기자 또는 대기자의 편리를 위해 대기자 호출방식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대기자 호출 장치(출원번호: 10-2004-0001372)가 제시되어 대 기표 대신 호출용 단말기를 지급받아 해당 음식이 나오면 단말기로 호출해줌으로써 자신의 순번이 될 때까지 대기번호표시판을 주시하고 있지 않아도 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의 단말기의 경우, 수신확인과 같은 양방향 기능이 구현되지 않고 호출 여부만 통보하는 극히 단순한 기능으로 제한되며, 단말기의 전력소모가 높아 배터리의 수명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호출 여부만 통보함에 따라 언제 자신의 순번이 되는지 전혀 알 수 없으며, 현재 진행되는 현황을 모르는 채 다른 볼일을 보기 위해 자리를 비우기는 사실상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무선호출기로 사용이 가능한 무선네트워크 규격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무선랜(IEEE 802.11x) 규격, 블루투스(BLUETOOTH, IEEE 802.15.1) 규격, 지그비(Zigbee,IEEE 802.15.4)규격 등이 있다.
우선 무선랜은 보안성이 뛰어난 반면 프로토콜 규격이 복잡하고, 불필요한 신호에 대한 전파간섭이 심하며, 소비전력이 커서 배터리를 자주 교환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블루투스는 음성신호를 주고받기에 적합한 통신규격으로써, 다기능을 요구하는 통신장치에 유용하지만 상대적으로 단가가 높으며 이 또한 역시 소비전력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지그비의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 중 하나는 바로 저전력 소모로써, 외부에서 신호를 보낼 때까지 '휴면' 모드로 유지되어 전력 소모가 매우 낮기 때문에 배터리가 수개월에서 수년간 지속 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나 무선랜 프로토콜보다 훨씬 간단하여 소형화에 유리하고, 그에 따라 시스템에 지그비를 구현하는 비용 또한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그비 통신 모드가 마스터-슬레이브 방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Mesh Mode'라 불리우는 점대점 방식의 네트워킹이 가능하여 하나의 대역 내에 수용되어 있는 수많은 기기들이 동일한 레벨로서 상호 양방향 통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기시간이 길거나 인원이 혼잡한 장소에서 순번을 기다리는 대기자에게 호출용 단말기를 지급함에 있어서, 대기하는 동안 현재 진행현황을 실시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대기완료시에 대기자를 호출하거나, 대기자로 하여금 담당자를 호출할 수 있는 등 단말기를 통해 대기자와 담당자가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구현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일을 처리할 수 있는 양방향 호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고유번호가 등록되어 해당 신호에 대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시청각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선택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대기자단말기(10)와; 상기 대기자단말기의 고유번호에 대해 각종 정보들을 입력하여 무선신호를 송신하거나, 역으로 고유번호의 대기자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제어단말기(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대한 양방향 호출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대기자단말기(10)와 제어단말기(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대기자단말기(10) 및 제어단말기(20)는 지그비 무선네트워크 규격을 적용한 근거리 통신용 장치로써, 이들은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호 양방향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대기자단말기(10)와 제어단말기(20)의 블록구조는 같으며 각각의 대기자단말기(10)에 특정한 고유번호를 등록하여 해당 고유번호의 입력에 따라 대기자단말기 (10) 및 제어단말기(20)간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대기자단말기(10)는 순번을 기다리는 대기자에게 지급되며, 단말기에 등록된 고유번호에 대해 무선신호가 수신될 경우 호출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표시하여 알려주는 기능과, 주어진 단말기를 이용하여 대기자가 원하는 내용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단말기(20)는 대기자단말기(10)에 등록된 고유번호를 입력함에 따라 각종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해당 대기자단말기(10)로 송신하여 대기자를 호출하거나, 또는 대기자단말기(10)에서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대기자가 대기중에 있거나 서비스 요청을 접수했을 경우 제어단말기(20)에서는 진행현황, 접수된 내용, 현재 처리현황 및 처리완료에 대해 대기자단말기(10)로 송신하여 대기자가 그 내용을 받아 볼 수 있도록 하고, 대기자는 이에 대한 수신확인 및 다른 요청사항을 대기자단말기(10)를 통해 제어단말기(20)로 무선신호를 송신하게 되면 담당자는 수신되는 내용을 확인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양방향 호출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호출장치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대기자단말기(10)는, 제어단말기(20)로부터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단말기(20)로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송수신부(11), 송수신되는 신호를 알맞은 신호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변/복조부(12), 변환된 신호를 프로토콜에 맞춰 처리하는 MAC-처리부(13), 수신된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14), 송신할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5), 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호출상태를 대기자에게 알려주는 출력부(16) 및 이들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출력부(16)는 호출상태를 대기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 발광신호에 의한 LED(16a), 호출음을 내는 부저(16b),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수단(16c)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말기의 제조에 따라 기능의 삽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등 다양한 구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는 LCD Display 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어단말기(20)로부터 수신되는 호출 내용을 표시하는 수단으로써,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출력부(16)의 동작과 동시에 본 표시부(14)에 호출 내용이 표시되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입력부(15)는 대기자단말기(10)에서 제어단말기(20)로 무선신호를 송신함에 있어서, 각기 다른 서비스 내용이 설정되어 있는 다수개의 버튼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대기자가 입력하는 해당 버튼의 서비스 내용에 대해 제어단말기(20)에 서 수신되어 담당자가 확인함으로써 요청된 서비스 내용을 처리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어단말기(20)는 각 대기자단말기(10)의 고유번호에 대해 진행현황이나 접수내용 등을 입력하는 키입력부(25), 상기 키입력부(25)에서 입력되는 내용을 표시하거나 대기자단말기(10)로부터 송신된 내용을 보여주는 표시부(24), 외부장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26), 상기 대기자단말기(10)와 마찬가지로 무선신호를 송ㆍ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21), 변/복조부(22), MAC-처리부(23),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는 메인 프로세서(2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키입력부(25)는 단말기에 등록된 고유번호를 입력하여 해당 대기자에게 호출사항을 알려주기 위함으로, 대기자단말기(10)에 형성된 버튼구조의 입력부(15)와 달리 키패드 구조를 가지며, 본 키입력부(25)를 사용하여 진행현황, 접수내역, 처리현황, 완료내용 및 기타 광고정보 등을 대기자단말기(10)로 송신하게 된다.
상기 표시부(24)는 대기자단말기(10)와 같은 LCD Diaplay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표시부(24)를 통해 상기 키입력부(25)에서 입력하는 내용을 표시함은 물론 대기자단말기(10)에서 송신된 내용 또는 대기자의 위치 등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인터페이스(26)는 제어단말기(20)에 부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함으로, 데이터를 총괄하는 PC(26a)나 제어단말기(20)에서 송신되는 대기자단말기(10)의 고유번호 및 광고메세지 등을 모든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전광판(26b)과 같은 외부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근거리 통신 규격의 단점인 짧은 수신 거리에 있어서, 각기 대기자들에 지급되어 흩어져 있는 단말기들끼리 그물방식으로 통신망을 구성하는 메쉬 네트워크 방식이 이용됨으로 인해 전파 음영지역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
따라서, 대기자가 다른 용무를 보기 위해 대기하던 곳에서 어느 정도 이탈하는 경우라도 제어단말기(20)에서 송신하는 해당 신호에 대해 근접하여 있는 다른 대기자단말기(10)들을 통해 자신에게 신호가 수신되게 된다.
이에 대해 보다 확실한 방법으로 높은 수신율을 얻기 위해서는 건물 내에 신호가 미약한 부분에 대해서 중계기 같은 부가 장치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대기자 호출시스템의 동작과정에 대해 도 3,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써, 음식점에서 사용되는 양방향 호출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고객이 음식점에 들어오면 종업원로부터 고유번호가 등록된 대기자단말기를 지급받아서 대기한다.(S1, S11)
종업원은 대기자가 대기하는 동안 제어단말기(20)의 키입력부(21)를 통해 현재 대기 진행상황을 알려주기도 하고, 이벤트성 광고 및 기타 정보 등을 대기자에게 제공한다.(S2)
그리고 순서가 되면 종업원은 대기자단말기(10)의 고유번호를 입력하여 해당 대기자를 호출하게 되는데, 대기자단말기(10)는 호출되는 무선신호를 확인하여 자신의 고유번호와 일치하는지 판별하게 된다.(S3, S10)
상기의 고유번호에 대한 판별에 있어서 대기자단말기(10)와 일치할 경우, 대기자단말기(10)는 호출 상태를 발광, 부저 또는 진동의 방법으로 대기자에게 알려주게 된다.(S12)
주문대로부터 호출받은 대기자는 종업원으로부터 테이블을 배정받고 음식을 주문하게 된다. 이때 종업원은 안내한 좌석의 테이블번호를 제어단말기에 입력하여 대기자로부터 호출이 들어올 경우 대기자의 위치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S4, S13, S5, S14)
이후에 주문대에서는 대기자가 주문한 음식에 대해 주문내용, 처리현황, 완성여부 및 이벤트성 광고 등을 대기자가 음식을 기다리는 동안 제어단말기(20)를 통해 대기자단말기(10)에 제공하게 된다.(S6, S7)
상기에서 주문한 음식이 완성되면, 대게 종업원이 가져다 주는것이 일반적이지만, 셀프음식점의 경우 대기자를 호출하여 직접 가져가도록 할 수 있다.
주문한 음식을 기다리는 동안이나, 음식이 지급되어 식사를 하는 중이라도 종업원으로부터 다른 서비스를 받고자 할 때에는 단말기상에 각기 다른 서비스 내용이 설정된 다수개의 버튼을 이용하여 종업원에게 원하는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S15, S17, S9)
상기에서 대기자로부터 호출이 들어오면 종업원은 제어단말기(20)를 통해 사전에 입력된 대기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수신된 서비스 요청 사항을 확인하여 신속하게 대응하게 된다.(S8)
상기 대기자단말기(10)는 식사를 끝낸 후 계산시에 반납하도록 한다.(S16)
상기 실시 예에서와 같이, 단말기를 지급받은 대기자는 현재의 진행 현황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되어, 일정한 장소에서 기다리거나 대기번호판을 계속 주시할 필요가 없으며, 단말기를 소지한 채 수신이 가능한 공간 내에서 자유롭게 다른 용무를 볼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대한 또 하나의 실시 예로써, 종합병원에서 사용되는 양방향 호출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환자가 병원에 들어가서 진료접수를 하게 되면 담당직원으로부터 대기자단말기를 지급받게 된다.(S20, S31)
진료대기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담당직원은 제어단말기(20)를 이용하여 현재의 대기현황을 실시간으로 알려주게 되고, 순서가 되면 진료실 및 담당의사 등을 대기자단말기(10)로 알려주게 된다.(S21, S22)
상기에서 제어단말기(20)를 통해 해당 고유번호를 입력하여 대기자단말기(10)로 송신하게 되면, 대기자단말기(10)는 자신의 고유번호와 일치하는지 판별하여 해당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게 된다.(S30)
대기자는 순서가 되어 진료를 받고 난 후, 대기자단말기(10)를 이용하여 담당자의 제어단말기(20)로 진료가 끝났음을 알려준다.(S33, S28)
담당자는 대기자로부터 진료가 끝났다는 메시지를 받으면 곧바로 처방전을 준비하게 되고, 처방전이 완료되면 진료가 끝난 후 대기하고 있는 대기자를 호출하 여 처방전을 지급하게 된다.(S23, S24, S34, S25, S26))
대기자는 처방전을 수령하고 진료비 등을 계산할 때 대기자단말기(10)를 반납하게 된다.(S35, S36)Z)
한편, 대기자는 위급상황이 발생할 경우나 직원의 도움이 필요할 경우에 대기자단말기(10)를 이용하여 담당직원을 호출함으로써, 담당자로부터 신속하게 처치를 받을 수 있게 된다.(S37, S29, S27)
상기의 실시 예와 같은 경우, 단말기를 지급받은 대기자는 현재의 진행 현황을 제공받음으로 좀더 편안하게 대기할 수 있게 되고, 진료가 끝나고 완료통보를 해줌으로써, 대기자는 기다리는 시간을 상당히 줄일 수 있으며, 다른 용무를 보는 도중에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신속하게 직원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게 행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 예는 패밀리 레스토랑이나 셀프서비스 방식의 음식점 또는 종합병원과 같이 대기하는 시간이 길거나 인원이 혼잡한 장소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양방향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구현함으로써 새로운 방식의 문화생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가장 실제적이며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에 보여준 실시 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또는 변경되는 사항이 본 발명의 특징을 이용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패밀리 레스토랑이나 셀프서비스 방식의 음식점 또는 종합병원과 같이 대기시간이 길거나 인원이 혼잡한 장소에서 순번을 기다리는 대기자에게 소정의 단말기를 지급하여 현재의 진행현황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대기자는 일정한 장소에서 기다리거나 대기번호판을 계속 주시할 필요가 없으며, 대기자단말기를 소지한 채 수신이 가능한 공간 내에서 자유롭게 다른 용무를 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대기자는 담당자에게 다른 내용의 서비스를 요청하거나 현재 자기 상황을 알려주는 등 대기자와 담당자 간의 상호 양방향 통신이 구현됨으로써, 효과적으로 일을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대기에서부터 일을 마무리할 때까지 대기자의 편의를 최대한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순번을 대기하고 있는 대기자와 담당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한 양방향 호출시스템에 있어서,
    고유번호가 등록되어 있어 무선신호가 수신될 경우 해당 데이터에 대해 수신되는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표시하여 알려주거나, 선택한 내용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가지는 대기자단말기(10);
    대기자단말기(10)에 등록된 고유번호를 입력함에 따라 각종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해당 대기자단말기(10)로 송신하여 대기자를 호출하거나, 또는 대기자단말기(10)에서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제어단말기(2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 무선네트워크 규격을 적용한 양방향 호출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자단말기(10)는,
    상기 제어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송수신부(11);
    송수신되는 신호를 알맞은 신호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변/복조부(12);
    변환된 신호를 프로토콜에 맞춰 처리하는 MAC-처리부(13);
    상기 제어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내용에 대해 대기자가 볼 수 있도록 시각적으 로 표시하는 표시부(14);
    담당자를 호출하기 위해 대기자가 무선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입력부(15);
    상기 제어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에 대해 발광, 부저 또는 진동의 방법으로 호출상태를 알려주는 출력부(16);
    상기 무선 송수신부(11), 변/복조부(12), MAC-처리부(13), 표시부(14), 입력부(15) 및 출력부(16)를 제어하여 상기 대기자단말기(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 무선네트워크 규격을 적용한 양방향 호출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기(20)는,
    상기 대기자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송수신부(21);
    송수신되는 신호를 알맞은 신호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변/복조부(22);
    변환된 신호를 프로토콜에 맞춰 처리하는 MAC-처리부(23);
    상기 대기자단말기의 고유번호 및 송신하고자 하는 각종 내용을 입력하는 키입력부(24);
    상기에서 입력되는 내용이나 대기자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내용을 시각적으 로 표시하는 표시부(25);
    외부장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26);
    상기 무선 송수신부(21), 변/복조부(12), MAC-처리부(13), 키입력부(24),표시부(25) 및 인터페이스(26)를 제어하여 상기 제어단말기(2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프로세서(2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 무선네트워크 규격을 적용한 양방향 호출시스템.
KR1020050077772A 2005-08-24 2005-08-24 지그비 무선네트워크 규격을 적용한 양방향 호출시스템 KR100610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772A KR100610590B1 (ko) 2005-08-24 2005-08-24 지그비 무선네트워크 규격을 적용한 양방향 호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772A KR100610590B1 (ko) 2005-08-24 2005-08-24 지그비 무선네트워크 규격을 적용한 양방향 호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966A KR20050090966A (ko) 2005-09-14
KR100610590B1 true KR100610590B1 (ko) 2006-08-09

Family

ID=37272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772A KR100610590B1 (ko) 2005-08-24 2005-08-24 지그비 무선네트워크 규격을 적용한 양방향 호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5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311B1 (ko) * 2006-05-03 2007-06-12 주식회사이알씨네트웍스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
KR100805957B1 (ko) * 2007-01-19 2008-02-21 이종현 순번대기용 로컬 페이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28044B1 (ko) * 2007-11-02 2014-08-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병원 관리 시스템
KR20100086617A (ko) 2009-01-23 2010-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대기 순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및 단말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915A (ko) * 1999-09-28 2001-04-06 지용 양방향 무선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74952A (ko) * 2001-03-23 2002-10-04 모디테크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주문 시스템
KR200368899Y1 (ko) * 2004-09-08 2004-12-03 헌 기 신 Zigbee기능 활용 호출기
US20050140504A1 (en) * 2002-02-28 2005-06-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teractive system using tags
KR200394174Y1 (ko) * 2005-05-30 2005-08-31 공태호 지그비 표준을 이용한 무선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915A (ko) * 1999-09-28 2001-04-06 지용 양방향 무선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74952A (ko) * 2001-03-23 2002-10-04 모디테크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주문 시스템
US20050140504A1 (en) * 2002-02-28 2005-06-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teractive system using tags
KR200368899Y1 (ko) * 2004-09-08 2004-12-03 헌 기 신 Zigbee기능 활용 호출기
KR200394174Y1 (ko) * 2005-05-30 2005-08-31 공태호 지그비 표준을 이용한 무선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966A (ko) 2005-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96431A1 (en) Reservation system and mobile terminal for the reservation of queuing numbers
HUE033558T2 (hu) Rendszer és eljárás egy lapozó készüléken levõ lapozó hálózatból befogadott üzenetek átvitelére elektronikus készülékekhez
KR100610590B1 (ko) 지그비 무선네트워크 규격을 적용한 양방향 호출시스템
WO2003054574A1 (en) A method for identifying an individual module for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JP2009212813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JP2006163447A (ja) オーダリングシステム
KR20090109451A (ko) 고객 무선호출 장치
KR20010047881A (ko)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027281B1 (ko)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반의 고객 요청 사항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100629595B1 (ko) 순번관리시스템
KR20090061087A (ko) 대기고객 순번관리시스템
KR20010044254A (ko) 대기자 호출 시스템 및 호출 방법
JP6774838B2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JP2009048448A (ja) 順番情報配信方法及びシステム
KR102529689B1 (ko) 스마트 소통 콜 시스템
KR100588091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대기현황 정보 발송 시스템및 그 방법
JPH05268373A (ja) 病院内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EP18089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TT (Push-To-Talk) service according to user state
JP2005050289A (ja) 携帯電話によるコンピューター予約入力実行システム
JP2004234695A (ja) 注文データ管理システム
JP2007208507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3034006U (ja) スケジュール管理装置
JP2001103061A (ja) 宿泊施設における情報通信装置
JP2002057949A (ja) 番組予約システム
JP2004187255A (ja) 聴覚障害者緊急通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