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7311B1 -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7311B1
KR100727311B1 KR1020060040144A KR20060040144A KR100727311B1 KR 100727311 B1 KR100727311 B1 KR 100727311B1 KR 1020060040144 A KR1020060040144 A KR 1020060040144A KR 20060040144 A KR20060040144 A KR 20060040144A KR 100727311 B1 KR100727311 B1 KR 100727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information
information data
server
smar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0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등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이알씨네트웍스
고등영
김용욱
유재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이알씨네트웍스, 고등영, 김용욱, 유재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이알씨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060040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7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휴대용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하여 청각, 시각 또는 언어 등의 장애를 가진 장애인들에게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은, 호출자로부터 피호출자의 고유식별정보와 메시지를 포함하는 정보데이터를 입력받아 호출에 관련된 호출정보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호출서버; 상기 호출서버로부터 전송된 호출정보데이터를 수신받아 지그비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호출정보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지국서버; 및 상기 기지국서버로부터 전송된 호출정보데이터를 수신하여 소정의 방법으로 출력하는 휴대용 스마트단말기를 포함한다.
장애인, 정보 제공, 스마트 단말기, 호출, 지그비(zigbee)

Description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Wireless Call Information Provison system for Handdicapped Pers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 110 : 호출자
111 : 팩스 112 : 개인PC
113 : 전화기 114 : 센서
120 : 호출서버 130 : 기지국 서버
140 : 휴대용 스마트단말기
본 발명은 장애인에게 무선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하여 장애인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정보통신관련의 하드웨어(Hardware)와 소프트웨어(Software)의 보급을 일반화하였으며, 보급된 정보통신기기는 의사소통과 정보획득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특히, 초고속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누구와도 정보 교환이 가능한 유비쿼터스 환경으로 발전하면서 장애인도 비장애인과 비슷하거나 동일한 수준까지 다양한 정보 서비스를 활용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은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장애인의 삶의 질도 향상될 수 있는 가능성은 내포되어 있으나 이들이 가진 신체적인 장애로 인하여 비장애인들이 활용하고 있는 정보통신기기를 접근하는 데 큰 불편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현재 수준의 PC(personal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와 같은 정보통신기기들과 다음 세대를 지향하는 통신기기 및 서비스들은 비장애인을 주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장애인용 IT 서비스와 이를 실현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 및 단말기 기술의 확보가 시급히 요구된다.
따라서, 문자 이외의 그래픽 표현으로 의사 전달이 가능하고 상호 간에 응답의 즉시성 및 대화가 가능하며 청각장애인뿐만 아니라 언어장애인, 난청인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음성과 그래픽을 동시에 사용하여 사업장 또는 가정에서의 의사소 통 한계를 극복할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생활 보조 기능 및 응급 상황에 신속히 대처하기 위한 다목적 무선 호출용 송수신 통신 장비의 개발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하여 청각, 시각 또는 언어 등의 장애를 가진 장애인들에게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호출자로부터 피호출자의 고유식별정보와 메시지를 포함하는 정보데이터를 입력받아 호출에 관련된 호출정보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호출서버; 상기 호출서버로부터 전송된 호출정보데이터를 수신받아 지그비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호출정보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지국서버; 및 상기 기지국서버로부터 전송된 호출정보데이터를 수신하여 소정의 방법으로 출력하는 휴대용 스마트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유식별정보는, 상기 피호출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성별, 연락처, 주소, 이메일주소, 홈페이지주소, 신체검사결과, 장애등급, 장애병명, 사원번호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스마트단말기는, 진동, 소리 또는 경광을 이용하여 정보의 수신여부를 상기 피호출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스마트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호출정보데이터를 화면표시수단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에 있어서, 피호출자는 상기 휴대용 스마트단말기의 화면표시수단을 통해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한 후 수신확인 버튼을 눌러 상기 기지국서버를 통해 호출서버로 수신확인여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에 있어서, 피호출자는 위급상황 발생시 상기 휴대용 스마트단말기의 비상버튼을 눌러 상기 기지국서버로 위급상황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의 호출정보데이터 전송방법은, a) 호출서버를 통해 정보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입력된 정보데이터를 호출경보데이터로 변환하여 기지국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전송된 호출정보데이터를 지그비 방식을 이용하여 휴대용 스마트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전송된 호출정보데이터의 수신여부를 피호출자에게 알리고 수신된 호출정보데이터에 포함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e) 상기 호출정보데이터에 포함된 메시지의 수신확인여부를 상기 기지국서버로 전송하 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럼, 이하 관련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의 블럭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100)은, 호출자(110), 호출서버(120), 기지국서버(130), 휴대용 스마트단말기(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호출자(110)는 청각, 시각 및 언어 장애를 갖는 장애인을 관리하는 관리자 또는 동료직원으로써, 상기 장애인 즉, 피호출자의 고유식별정보 및 피호출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를 포함하는 정보데이터를 상기 호출서버(120)를 통해 입력한다.
이때, 상기 피호출자의 고유식별정보는, 상기 피호출자를 다른 직원들과 쉽게 구분하기 위한 피호출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성별, 연락처, 주소, 이메일주소, 홈페이지주소, 신체검사결과, 장애등급, 장애병명 및 사원번호 중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호출자(110)가 피호출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정보로써, 상기 피호출자를 일정장소로 이동하게 하기 위한 이동정보, 작업의 시작 및 끝을 알리는 정보, 당일 해야 할 업무를 알리는 정보, 긴급상황시 일정장소로 대피 및 이동하게 하기 위한 대피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만약, 상기 피호출자가 작업하는 장소와 인접한 장소에 큰 화재가 발생할 경우, 청각장애를 갖고 있는 피호출자는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그 장소에서 계속해서 일을 하고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관리자, 즉, 호출자는 상기 피호출자에게 화재의 발생을 알리기 위해 정보데이터인 화재경보 메시지를 상기 호출서버에 입력한다.
상기 호출서버(120)는, 상기 호출자로부터 피호출자의 고유식별정보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정보데이터를 입력받아 호출에 관련된 호출정보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기지국서버(13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호출서버(120)는, 그래픽(graphical user interface: GUI) 응용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호출자(110)가 피호출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에 해당하는 정보데이터를 보다 쉽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출서버(120)는, 상기 호출서버(120)로 입력된 피호출자의 고유식별정보 및 메시지를 포함하는 정보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정보데이터를 기지국서버(130)로 전송하기 위해 여러 단계의 계층을 거치면서 호출정보데이터로 변환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변환된 호출정보데이터를 상기 피호출자에게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해 기지국서버(130)로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서버(130)는, 상기 호출서버(120)로부터 전송된 호출정보데이터를 수신받아 무선전송을 위한 소정의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스마트단말 기(140)에게 상기 호출정보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서버(130)와 휴대용 스마트단말기(140)의 송수신은 초소형 및 저전력의 지그비(zigbee)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서버(130)에서 사용하는 지그비 방식은, 무선 주파수 대역으로 2.4GHz ISM Band(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band: 산업, 과학, 의료 분야에서 사용허가 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대역폭)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무선통신 비용의 지불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그비 방식을 이용한 무선전송 방식은 소량의 전력으로 수천개의 장치를 지원할 수 있으므로, 상기 지그비 방식으로 정보를 수신할 휴대용 스마트단말기(140)의 배터리 사용시간을 증대하여 잦은 배터리 교체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그비 방식은 중계기를 사용하여 전송범위를 확장할 수 있으므로 광범위한 사업장에서 피호출자가 어디에 있던지 효율적으로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스마트단말기(140)는, 상기 기지국서버(130)에 의해 변환되어 전송된 호출정보데이터를 수신하여 피호출자가 인식할 수 있는 소정의 방법으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스마트단말기(140)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어 여러명의 장애인들을 하나의 기지국서버(130)에서 관리할 수 있으며, 피호출자의 손목, 또는 진동을 쉽게 느낄 수 있는 허리띠 등의 휴대하기 용이한 부위에 휴대할 수 있 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형성될 수 있어 피호출자의 장애 및 편의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스마트단말기(140)는, 상기 피호출자를 관리하는 호출자(110)가 피호출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상기 휴대용 스마트단말기(140)의 위치를 상기 기지국서버(130)를 통해 상기 호출서버(120)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스마트단말기(140)는 상기 피호출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수신할 경우 진동, 경광 또는 소리를 이용하여 정보의 수신여부를 피호출자에게 알리게 된다.
예를들어, 제1 휴대용 스마트단말기(141)를 사용하는 피호출자가 청각장애인이라면 상기 제1 휴대용 스마트단말기(141)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손목에 휴대하여 상기 호출자로부터 피호출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가 도착할 때 진동 또는 경광하게 되어 피호출자에게 정보의 수신을 알리게 된다.
만약, 상기 제2 휴대용 스마트단말기(142)를 사용하는 피호출자가 진동을 느끼지 못하는 장애인이라면 상기 제2 휴대용 스마트단말기(142)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손목에 휴대하여 피호출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호출정보데이터가 도착할 때 음악 또는 알림음 등의 소리를 출력하게 되어 피호출자에게 호출정보데이터의 수신을 알리게 된다.
상기 진동, 경광 및 소리를 통해 호출정보데이터의 수신을 알게된 피호출자는 상기 제1 및 제2 휴대용 스마트단말기(141, 142)의 화면표시수단을 통해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호출정보데이터에 포함된 메시지에 적합한 행동을 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스마트단말기(140)의 화면표시수단을 통해 메시지를 확인한 피호출자는 상기 호출정보데이터의 수신확인여부를 호출자(110)에게 전송하기 위해 상기 휴대용 스마트단말기(140)의 수신확인 버튼을 눌러 상기 호출정보데이터의 수신확인여부를 상기 기지국서버(130)를 통해 상기 호출서버(12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피호출자가 작업하는 도중에 다치거나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여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할 경우, 상기 휴대용 스마트단말기(140)의 비상버튼을 눌러 상기 휴대용 스마트단말기(140)를 착용하고 있는 피호출자의 비상사태를 상기 기지국서버(130)를 통해 호출서버(120)에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피호출자를 관리하는 호출자(110)는 상기 피호출자의 비상사태를 파악하게 되고, 상기 호출서버(120)에서 상기 피호출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직접 또는 다른 직원들을 상기 피호출자가 있는 위치로 이동시켜 비상사태에 적합한 행동을 취하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장애를 갖고 있는 피호출자는 위급상황시 상기 휴대용 스마트 단말기(140)의 비상버튼을 눌러 도움을 요청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위급상황을 대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호출자(110)는, 관리자 또는 동료직원 이외의 팩스(111), 개인PC(112), 전화기(113) 및 화재경고 센서(114)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호출자(110)는 상기 호출서버(120)와 연결되어 있어 피호출자에게 정보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피호출자에게 팩스(111)가 도착할 경우, 상기 팩스(111)는 상기 호출서버(120)로 피호출자의 고유식별정보 및 피호출자에게 팩스(111)가 도착했다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정보데이터를 전달한다.
또한, 상기 피호출자의 개인PC(112)에 E-mail이 도착할 경우, 상기 피호출자의 개인PC(112)는 호출서버(120)에 피호출자에게 E-mail이 도착했다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정보데이터를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호출서버(120)는 상기 호출자(110)로부터 전달된 정보데이터를 소정의 방법을 이용하여 호출정보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기지국서버(130)로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서버(130)는 호출서버(120)로부터 전송된 호출정보데이터를 지그비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피호출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용 스마트단말기(140)에 전송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휴대용 스마트단말기(140)는, 상기 호출정보데이터를 수신하여 진동, 경광 또는 소리 등을 이용하여 피호출자에게 호출정보데이터의 수신여부를 알리게 되고, 상기 피호출자는 휴대용 스마트단말기(140)의 화면표시수단을 통해 상기 호출정보데이터에 포함된 메시지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상기 메시지가 팩스(111)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이면 '팩스'라는 메시지가 표시되며, E-mail의 도착을 알리기 위해 전송된 메시지이면 'E-mail' 등의 간단한 표시방법으로 표시되어 피호출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피호출자는 상기 휴대용 스마트단말기의 수신확인 버튼을 눌러 상기 메시지의 수신확인여부를 상기 기지국서버(130)를 통해 호출서버(120)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호출서버(120)는 호출자(110))로부터 입력된 정보데이터를 기지국서버(130)으로 전송하는 것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사 내에서 매일 똑같은 시간에 행해지는 일들, 예를들어, 식사시간, 퇴근시간 등을 알리기 위해 정해진 시간을 상기 호출서버(120)에 입력하여 추가적인 입력없이 상기 시간이 되면 자동적으로 피호출자에게 상기 메시지를 포함하는 호출정보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100)은, 산업현장에서 작업 중인 장애인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호출서버(120)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입력하고 지그비 방식으로 기지국서버(130)에서 휴대용 스마트단말기(140)로 해당 호출정보데이터를 전송하여 피호출자가 상기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상기 휴대용 스마트단말기(140)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다.
그럼,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의 전송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출서버를 통해 호출자로부터 정보데이터 를 입력받는다(S200).
다음으로, 상기 호출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데이터를 소정의 방법을 이용하여 호출정보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호출정보데이터를 기지국서버로 전송한다(S210).
상기 기지국서버에서는 상기 호출서버로부터 전송된 호출정보데이터를 지그비 방식을 이용하여 휴대용 스마트단말기에 전송한다(S220).
그러면, 상기 휴대용 스마트단말기는 상기 호출정보데이터를 수신하여 피호출자에게 호출정보데이터의 수신여부를 알려주며, 상기 휴대용 스마트단말기에 구비된 화면표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호출정보데이터에 포함된 메시지를 출력한다(S230).
그 다음으로, 상기 피호출자는 상기 휴대용 스마트단말기에 구비된 수신확인 버튼을 눌러 호출정보데이터에 포함된 메시지의 수신여부를 기지국서버를 통해 호출서버에 전송한다(S250).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은, 청각, 시각, 정신적 장애를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장애인들에게 휴대용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고 진동, 경광 및 소리를 이용하여 피호출자에게 정보의 수신여부를 효과적으로 알리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무선전송 방식을 초소형 및 저전력의 지그비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스마트단말기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다수의 장애인에게 정보의 전달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호출자로부터 피호출자의 고유식별정보와 메시지를 포함하는 정보데이터를 입력받아 호출에 관련된 호출정보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호출서버;
    상기 호출서버로부터 전송된 호출정보데이터를 수신받아 지그비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호출정보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지국서버; 및
    상기 기지국서버로부터 전송된 호출정보데이터를 수신하여 소정의 방법으로 출력하는 휴대용 스마트단말기;
    를 포함하는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식별정보는,
    상기 피호출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성별, 연락처, 주소, 이메일주소, 홈페이지주소, 신체검사결과, 장애등급, 장애병명, 사원번호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스마트단말기는,
    진동, 소리 또는 경광을 이용하여 정보의 수신여부를 상기 피호출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스마트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호출정보데이터를 화면표시수단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피호출자는 상기 휴대용 스마트단말기의 화면표시수단을 통해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한 후 수신확인 버튼을 눌러 상기 기지국서버를 통해 호출서버로 수신확인여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피호출자는 위급상황 발생시 상기 휴대용 스마트단말기의 비상버튼을 눌러 상기 기지국서버로 위급상황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
  7. a) 호출서버를 통해 정보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입력된 정보데이터를 호출경보데이터로 변환하여 기지국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전송된 호출정보데이터를 지그비 방식을 이용하여 휴대 용 스마트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전송된 호출정보데이터의 수신여부를 피호출자에게 알리고 수신된 호출정보데이터에 포함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e) 상기 호출정보데이터에 포함된 메시지의 수신확인여부를 상기 기지국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 전송방법.
KR1020060040144A 2006-05-03 2006-05-03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 KR100727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144A KR100727311B1 (ko) 2006-05-03 2006-05-03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144A KR100727311B1 (ko) 2006-05-03 2006-05-03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7311B1 true KR100727311B1 (ko) 2007-06-12

Family

ID=38359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0144A KR100727311B1 (ko) 2006-05-03 2006-05-03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73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247B1 (ko) 2007-09-21 2009-09-16 신성균 지그비 통신모듈 내장형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통신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966A (ko) * 2005-08-24 2005-09-14 원엑스솔루션스(주) 지그비 무선네트워크 규격을 적용한 양방향 호출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966A (ko) * 2005-08-24 2005-09-14 원엑스솔루션스(주) 지그비 무선네트워크 규격을 적용한 양방향 호출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5-0090966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247B1 (ko) 2007-09-21 2009-09-16 신성균 지그비 통신모듈 내장형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통신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19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ding information to an emergency call
JP2006268192A (ja) 要援護者の一斉安否確認システム
US9773404B2 (en) Module mobile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JP2018198020A (ja) 救急活動支援システム、その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3693928B2 (ja) 緊急通報システム
Marti et al. Giving the caller the finger: collaborative responsibility for cellphone interruptions
KR100727311B1 (ko) 장애인 무선정보 상호호출 시스템
JP4273068B2 (ja) 緊急時の通知システム及び通知方法
US20050176402A1 (en) Method of making an emergency telephone call and an automatic calling apparatus for making such call
AU2018263283B2 (en) Personal alarm system
KR102529689B1 (ko) 스마트 소통 콜 시스템
JP4257169B2 (ja) 緊急通報装置
JP2005244902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Ito et al. Information delivery system for deaf people at a larger disaster
KR200188857Y1 (ko) 위치확인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Ito et al. Universal use of information delivery and display system using ad hoc network for deaf people in times of disaster
JP2019193016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JPH09248315A (ja) 盲ろう者向け携帯用小型無線バイブレータ装置
AVVANNAVAR et al. MOBILE PHONES: AN ANTHROPOLOGICAL REVIEW OF ITS EVOLUTIONARY IMPACT.
US20070081652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ication of importance of communications
KR20020068942A (ko)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정보전달 시스템
JP4490237B2 (ja) 緊急通報システム及び携帯無線端末
JP2002358587A (ja) ネット自主防衛システム
KR20070094045A (ko)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경호 정보 관리 방법
JP2003346258A (ja) 緊急連絡システム及びそれに使用する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