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079B1 - 동력 조향휠 작동상태 진단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동력 조향휠 작동상태 진단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079B1
KR100610079B1 KR1020040039685A KR20040039685A KR100610079B1 KR 100610079 B1 KR100610079 B1 KR 100610079B1 KR 1020040039685 A KR1020040039685 A KR 1020040039685A KR 20040039685 A KR20040039685 A KR 20040039685A KR 100610079 B1 KR100610079 B1 KR 100610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steering
switch
turned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4462A (ko
Inventor
신창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9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079B1/ko
Publication of KR20050114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1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 B62D15/0215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by measuring on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조향휠 작동상태 진단장치는, 스티어링휠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조향각센서와, 동력실린더내의 랙피스톤에 설치된 자석과, 동력실린더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자석이 근접하면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온되는 스위치와, 상기 조향각센서에 의해 감지된 스티어링휠의 회전각 신호를 입력받아 스티어링휠이 직진상태라고 판단될 때 상기 스위치가 오프되어 있으면 이상상태라고 판단하는 제어유니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동력 조향 장치에 이상상태 발생시 운전자가 신속하게 정비를 받아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동력 조향휠 작동상태 진단장치 및 방법 {Power steering wheel operating state diagnosing device and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조향휠 작동상태 진단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조향휠 작동상태 진단방법의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동감지부 20 : 조향각센서
30 : 자석 40 : 스위치
50 : 경고등 60 : 제어유니트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동력 조향휠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동력 조향장치에서 조향휠의 작동상태에 따라 차량의 주행방향이 정상적으로 변환되는지를 진단하는 동력 조향휠 작동상태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자동차나 저압 타이어를 사용한 경우에는 앞바퀴의 접지저 항이 증대하므로 조향휠의 조작력이 커지며, 신속한 조향 조작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가볍고 신속한 조향 조작을 위해 동력 조향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동력 조향은 조향휠의 조작력을 배력장치의 배력작용을 이용하여 경감시키는 것으로, 엔진이 오일 펌프를 구동하여 발생한 유압을 이용하여 작동시키고 있다.
즉, 운전자가 스티어링휠을 돌리면 유압이 작용하여 스티어링휠이 쉽게 돌려지도록 동력 실린더내의 랙피스톤을 작동시켜서 타이어를 움직여 차량의 주행 방향 전환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동력 조향 장치는, 차량 주행 중 차량 충격으로 인해 차량 휠 축에 이상이 생겨 조향휠이 중앙 위치에 위치하는데도 동력 실린더내의 랙피스톤이 중앙에 존재하지 않아 원활한 동력 조향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를 운전자가 알 수 없다.
즉, 동력 실린더내의 랙피스톤이 중앙 위치에 존재하지 않으면 유압이 작동하더라도 랙피스톤이 어느 한쪽으로 충분히 이동되지 않아 한 방향으로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데 이를 운전자가 알 수 없어 적절한 대책을 세우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 주행 중 차량 충격 등으로 인해 차량 휠 축에 이상이 생겨 조향휠이 중앙 위치에 위치하는데도 동력 실린더내의 랙피스톤이 중앙에 존재하지 않으 면 이를 진단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운전자가 신속하게 정비를 받아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동력 조향휠 작동상태 진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조향휠 작동상태 진단장치는, 스티어링휠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조향각센서와, 동력실린더내의 랙피스톤에 설치된 자석과, 동력실린더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자석이 근접하면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온되는 스위치와, 상기 조향각센서에 의해 감지된 스티어링휠의 회전각 신호를 입력받아 스티어링휠이 직진상태라고 판단될 때 상기 스위치가 오프되어 있으면 이상상태라고 판단하는 제어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조향휠 작동상태 진단방법은, 차량의 엔진 시동이 걸렸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엔진 시동이 걸렸으면 제어유니트에서 조향각센서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스티어링휠이 직진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스티어링휠이 직진상태라고 판단되면 동력실린더의 중앙에 위치된 스위치가 랙피스톤에 설치된 자석에 의해 온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스위치가 오프되었다고 판단되면 이상상태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조향휠 작동상태 진단장치의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조향휠 작동상태 진단장치는, 시동감지부(10)와, 조향각센서(20)와, 자석(30)과, 스위치(40)와, 경고등(50)과, 제어유니트(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시동감지부(10)는 차량 엔진의 시동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유니트(60)로 입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조향각센서(20)는 스티어링휠의 회전각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유니트(60)로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자석(30)은 동력실린더(1)내의 랙피스톤(3)에 설치되어 상기 랙피스톤(3)과 함께 좌우로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40)는 동력실린더(1)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자석(30)이 근접하면 상기 자석(30)의 자력에 의해 온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유니트(60)는 상기 조향각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스티어링휠의 회전각 신호를 입력받은 후 현 스티어링휠의 회전각이 차량의 직진주행 상태일 때의 회전각에 해당하는 경우 스티어링휠의 현 위치상태가 차량의 직진주행 상태에 해당하는 위치로 판단하고, 이때 상기 스위치(40)가 오프되어 있으면 이상상태라고 판단하여 경고등(50)을 점멸시켜서 이상상태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조향휠 작동상태 진단장치 및 방법의 작용 및 효과를 도 2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조향휠 작동상태 진단방법의 순서도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에서는 제어유니트(60)가 시동감지부(10)의 감 지신호를 바탕으로 차량의 엔진 시동이 걸렸는지를 판단하여 시동이 걸렸으면 단계(S2)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2)에서는 제어유니트(60)가 조향각센서(20)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은 후 이를 이용하여 스티어링휠이 차량의 직진주행 상태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하여 직진주행 상태에 놓여 있으면 단계(S3)를 수행하고, 상기 단계(S3)에서는 제어유니트(60)가 동력실린더(1)의 중앙에 위치된 스위치(40)가 랙피스톤(3)에 설치된 자석(30)에 의해 온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오프되었으면 단계(S4)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4)에서는 제어유니트(60)가 이상상태라고 판단하여 경고등(50)을 점멸시켜서 운전자에게 이상상태 발생을 통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주행 중 차량 충격 등으로 인해 차량 휠 축에 이상이 생겨 조향휠이 중앙 위치에 위치하는데도 동력 실린더내의 랙피스톤이 중앙에 존재하지 않으면 이를 진단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운전자가 신속하게 정비를 받아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스티어링휠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조향각센서와, 동력실린더내의 랙피스톤에 설치된 자석과, 동력실린더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자석이 근접하면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온되는 스위치와, 상기 조향각센서에 의해 감지된 스티어링휠의 회전각 신호를 입력받아 스티어링휠이 직진상태라고 판단될 때 상기 스위치가 오프되어 있으면 이상상태라고 판단하는 제어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조향휠 작동상태 진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이상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경고등을 더 포함하는 한편, 상기 제어유니트는 이상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경고등을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조향휠 작동상태 진단장치.
  3. 차량의 엔진 시동이 걸렸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엔진 시동이 걸렸으면 조향각센서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스티어링휠이 직진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스티어링휠이 직진상태라고 판단되면 동력실린더의 중앙에 위치된 스위치가 랙피스톤에 설치된 자석에 의해 온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스위치가 오프되었다고 판단되면 이상상태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조향휠 작동상태 진단방법.
KR1020040039685A 2004-06-01 2004-06-01 동력 조향휠 작동상태 진단장치 및 방법 KR100610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685A KR100610079B1 (ko) 2004-06-01 2004-06-01 동력 조향휠 작동상태 진단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685A KR100610079B1 (ko) 2004-06-01 2004-06-01 동력 조향휠 작동상태 진단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462A KR20050114462A (ko) 2005-12-06
KR100610079B1 true KR100610079B1 (ko) 2006-08-08

Family

ID=37288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685A KR100610079B1 (ko) 2004-06-01 2004-06-01 동력 조향휠 작동상태 진단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07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462A (ko) 2005-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13247A2 (en) Vehicle steering device, failure determination method for vehicle steer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steering motor
US8392055B2 (en) Method for detecting internal friction in a steering system
JP5182433B2 (ja) 車両用制動装置及び制御装置
KR101398828B1 (ko) 차륜 속도 센서의 감시 장치 및 방법
JP2009196464A (ja) 歩行者衝突検知装置及び歩行者保護システム
KR100610079B1 (ko) 동력 조향휠 작동상태 진단장치 및 방법
US9020659B2 (en) Dynamometer vehicle operating mode control
WO2020111192A1 (ja) 車両試験システム及び車両試験方法
JP2008286555A (ja) 車両制御装置
JP2013520353A (ja) 車両の保守作業における車両システムのモニタ方法
JP6582543B2 (ja) 異常検出装置
KR100804754B1 (ko) 자동차의 앞바퀴 자동정렬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70110573A (ko) 피에조 센서를 이용한 타이어 결함 감지방법 및 그감지장치
KR20100046490A (ko) 차량용 연료탱크 압력센서 진단장치 및 방법
JP2011000964A (ja) 操舵装置
EP4194317A1 (en) A vehicle driver warning device
JP2004325448A (ja) バックギヤ検出要素の機能可能性の検査方法および装置
US9162568B2 (en) Drive shaft detection for pump or motor protection
KR20050064844A (ko) 지게차의 방향 지시등 자동 제어장치
JP5939071B2 (ja) 自動制動装置
KR101725678B1 (ko) 차량 사고 방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100471248B1 (ko) 차량의 휠 축 진단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720276B1 (ko) 차량에서 브레이크 스위치의 고장 유무 판단 방법
KR20050064837A (ko) 지게차의 방향 지시등 자동 제어장치
AU2013273814A1 (en) Test Method for Performing Closed-Loop and/or Open/Loop Control of a Steering Aid for a Steering System of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